[더구루=오소영 기자] 미국 테라파워가 와이오밍주에 부지를 매입했다. 소듐냉각고속로(SFR) 기반 4세대 소형모듈원자로 '나트륨(Natrium)' 실증 단지 건설에 박차를 가한다.
[더구루=오소영 기자] 이흥주 한국전력 해외원전부사장이 영국을 찾아 윌파 원전 부지를 둘러봤다. 정부·의회·산업계 인사들과 두루 만나며 원전 협력을 꾀했다. 22일 한전에 따르면 이 부사장이 이끄는 한전 대표단은 지난 6~11일 버지니아 크로스비 하원의원(보수당·앵글시)의 초청으로 원전 부지 중 하나인 윌파를 방문했다. 크로스비 하원의원과 만나 부지를 둘러보고 원전 사업 참여 방안을 논의했다. 크로스비 의원은 회동 직후 페이스북을 통해 "앵글시 지역 주민을 위한 일자리를 가져와야 한다"며 "내가 신규 원전 캠페인을 벌이는 이유"라고 전했다. 이어 "런던에서 한국 팀과 몇 차례 만남을 가진 후 앵글시에서 그들을 환영하게 돼 자랑스럽다"고 덧붙였다. 이 부사장은 크리스 헤퍼 에너지안보넷제로부 원전국장, 사이먼 보웬 영국 원자력청 의장, 영국 총리실 에너지 담당관, 영국 엔지니어링 회사 모트맥도널드 경영진 등과도 회동했다. 현지 정부·산업계 고위 인사들과 원전 협력을 협의하고 협조를 당부했다. 윌파는 일본 히타치가 2012년부터 원전 사업을 개발했던 지역이다. 영국 정부와 사업 요건을 두고 갈등하며 2020년 원전 건설을 포기했다. 한전은 윌파 등 영국에서 원전
[더구루=오소영 기자] 카자흐스탄이 원전 부지로 알마티주 울켄을 확정하고 공개 토론 절차를 시작했다. 현지 지역 주민의 의견을 수렴해 원전 건설에 나선다. 21일 카자흐스탄 정부에 따르면 신규 원전 부지로 울켄이 최종 결정됐다. 카자흐스탄 당국은 작년 5월 올켄의 타당성을 연구한 결과를 승인했고, 이어 11월 알마티 주의회에서 지역 주민들의 동의 하에 원전 건설을 지지하기로 결정했다. 알마티주는 지역 이해관계자들의 의견을 듣고자 공개 토론에 돌입했다. 지난달 31일(현지시간) 정부 홈페이지와 소셜네트워크서비스(SNS)를 통해 공개 토론 개최를 알렸다. 카자흐스탄주는 환경영향평가 단계에서 추가로 공청회를 열 예정이다. 지역 주민들의 의견을 수렴해 신규 원전을 건설한다. 카자흐스탄은 2800㎿ 규모의 원전 2기를 2029년 착공한다는 계획이다. 2035년 완공을 목표로 하며 투자비는 기당 50억 달러(약 6조7100억원)로 예상된다. 카자흐스탄이 원전 사업 준비에 만전을 기하며 한국과 중국, 러시아, 프랑스의 수주전도 달아오를 것으로 보인다. 카자흐스탄은 신규 원전 사업의 파트너로 △한국수력원자력(ARP-1400) △중국 핵공업그룹(CNNC, HPR-1000)
[더구루=오소영 기자] 한국수력원자력이 체코 회사 약 200곳과 두코바니 신규 원전 사업 협력을 모색한다. 체코 기업들과의 파트너십을 앞세워 원전 수주에 승부수를 본다. 한편 원전 사업비는 유럽의 인플레이션을 반영해 오를 것이라는 전망이 우세하다. ◇ 한수원, 체코 회사 38곳과 원전 협력 체코 매체 '아이덴즈(iDnes.cz)'에 따르면 장민환 한수원 프라하사무소장은 지난 19일(현지시간) 인터뷰에서 "체코는 자국 기업이 최소 60% 참여하길 원한다"며 "(한수원은) 지난 5년 동안 약 200곳의 잠재 파트너를 대상으로 평가를 진행했다"고 전했다. 이어 "38개 회사와 에너지 협력에 관한 협약을 체결했다"고 덧붙였다. 입찰 가격도 언급했다. 장 소장은 체코 정부가 입찰 초기 제시한 1600억 코루나(약 9조7000억원)에 회의적이었다. 그는 "유럽의 인플레이션은 심각하다"며 "실제 가격은 이전 추정치와 다를 수 있다"고 예상했다. 한수원이 참여한 아랍에미리트(UAE) 바라카 원전 사업도 사업비가 당초 200억 달러(약 26조8000억원)에서 240억 달러(약 32조1000억원)로 올랐다. 장 소장은 "연간 2~5%의 인플레이션은 자연스러운 현상"이라며 "프
[더구루=오소영 기자] 아랍에미리트(UAE)가 미래 청정에너지원으로 원전을 주목하고 있다. 우리나라는 바라카 원전 사업을 성공적으로 수행한 경험을 발판 삼아 소형 원전 수출을 넘본다. 20일 코트라 두바이무역관에 따르면 UAE는 지난달 에너지 전략을 개정해 추가 목표 9개를 발표했다. 2030년까지 청정에너지 비중을 30% 이상으로 높이고 에너지 분야에 1500억~2000억 디르함(약 55조~73조원)을 투자하는 내용을 담았다. UAE는 이를 달성하고자 원전에 주목하고 있다. 바라카 원전 가동으로 UAE는 2021년 원전에서 생산한 전력 소비량(2.1GW)이 재생에너지(1.3GW)를 넘었다. 발전량도 원전은 2021년 10.5TWh에서 2022년 20.1TWh로 증가했다. 발전 비중은 7%에서 13%로 뛰었다. 원전 비중이 높아지며 우리나라와의 협력도 강화될 전망이다. 한국전력공사 주도로 꾸려진 한국 컨소시엄은 바라카 원전 사업을 수행했다. 한전KDN, 한국수력원자력, 한전기술, 한전원자력연료, 현대건설, 두산에너빌리티, 삼성물산 등이 참여해 4기를 성공적으로 준공했다. 지난 9일 기준 1~3호기를 가동 중이며 4호기는 완공 후 연방 원자력규제청(FANR)의
[더구루=오소영 기자] 한국수력원자력의 파트너 폴란드 'PGE PAK 원자력에너지(PGE PAK Energia Jądrowa)'가 첫 인허가 절차에 돌입했다. 폴란드 당국에 신청서를 내고 한국형 원자로 'APR 1400' 도입에 나섰다. 17일(현지시간) 폴란드 정부에 따르면 PGE PAK 원자력에너지는 폴란드 기후환경부에 퐁트누프 사업에 대한 정치적 인가(Decision In Principle, 이하 DIP)를 신청했다. DIP는 폴란드 원전 건설을 위해 필요한 첫 번째 허가다. DIP 승인을 받은 회사만 부지 결정과 건축 허가 등 후속 절차를 밟을 자격을 부여받고 국가적 지원을 확보할 수 있다. PGE PAK 원자력에너지는 최대 발전용량과 운영 기간, 퐁트누프에 건설될 APR 1400 기술 관련 세부 사안 등 프로젝트의 주요 특징을 신청서에 담았다. DIP 허가를 받아 원전 건설에 본격적으로 시동을 걸 예정이다. 야첵 사신 폴란드 부총리 겸 국유재산부 장관은 "폴란드의 에너지 독립을 위해 큰 발걸음을 내딛었다"고 평가했다. 보이치에흐 동브로프스키 폴란드 국영전공사(PGE) 사장은 "주요 투자 중 하나를 이행하고자 한 단계 진전을 이뤘다"며 "(퐁트누프 사
[더구루=정예린 기자] 미국 소형모듈원자로(SMR) 기업 '엑스에너지(X-energy)'가 방사선 검출기 제조업체 '미리온 테크놀로지스(Mirion Technologies, 이하 미리온)'와 손을 잡는다. 미리온의 기술력을 더해 제품 성능을 강화한다.
[더구루=오소영 기자] 우크라이나 국영 원전회사 에네르고아톰이 에너지 인프라를 복원하고자 소형모듈원자로(SMR)을 도입하겠다고 재차 밝혔다. 홀텍 인터내셔널(이하 홀텍)과 현대건설의 'SMR-160' 건설 사업에 높은 기대감을 표명했다. 14일 HB.비즈니스(НВ. Бізнес) 등 우크라이나 매체에 따르면 페트로 코틴 에네르고아톰 대표는 지난 10일(현지시간) "훼손된 원전을 SMR로 대체할 수 있다"고 예측했다. 코틴 대표는 홀텍의 SMR-160을 주목했다. SMR-160은 160㎿급 경수로형 SMR이다. 사막, 극지 등 지역이나 환경적 제한 없이 배치 가능하다. 코틴 대표는 "두 기를 나란히 놓으면 (설비용량이) 320㎿에 달한다"며 "이는 화력 발전과 거의 동일한 규모"라고 설명했다. 안전성 측면에서도 "(기존 대형 원전과) 완전히 다른 수준"이라며 "수동적 안전 시스템과 자연 순환으로 원전 사고를 피할 수 있다"고 강조했다. 외부 전원 없이 자연적인 공기 순환으로 냉각이 가능해 원전 가동이 중단되더라도 붕괴열 제거함으로써 일본 후쿠시마 사례와 같은 중대 사고를 막을 수 있다는 뜻이다. 코틴 대표는 안전성이 강화된 홀텍의 SMR-160을 활용해 전력
[더구루=홍성환 기자] 뉴스케일파워·USNC 등 미국 소형모듈원전(SMR) 기업의 필리핀 진출이 가시화하고 있다.
[더구루=홍성환 기자] 한국형 원전의 우간다 수출에 청신호가 켜졌다. 10일 외신에 따르면 요웨리 무세베니 우간다 대통령은 수도 캄팔라에서 열린 아프리카 주요 25개국이 참석하는 '커피서밋'(Africa Coffee Summit)에서 기자들과 만나 "한국과 러시아가 최대 1만5600㎿ 규모 전력을 생산하기 위한 원자력 발전소 2기를 건설할 예정"이라며 "두 나라와 협상이 마무리 단계에 있다"고 밝혔다. 앞서 한국수력원자력은 지난 3월 우간다 에너지광물자원개발부와 원자력 협력에 대한 양해각서를 맺은 바 있다. 협약을 통해 한수원은 우간다의 원자력 인력양성을 지원하고, 원자력발전소의 설계, 건설, 운영 등의 분야에서 긴밀히 협력하기로 했다. 우간다는 90억 달러(약 11조8350억원) 규모의 원전 사업을 추진 중이다. 1000㎿급 대형 원전 2기를 짓는 프로젝트다. 원전 건설을 검토 중인 지역은 우간다 수도 캄팔라와 100여㎞ 떨어진 부옌데 지역으로 알려졌다. 단계적으로 1000㎿급 원전을 먼저 건설하고 2031년까지 2000㎿ 규모 원전 2기를 건설해 2032년 본격적으로 가동하는 것이 목표다. 우간다 원전 사업은 국제원자력기구(IAEA)가 지난해 5월 원전
[더구루=오소영 기자] 폴란드 국영 원전기업 PEJ가 한국수력원자력과 웨스팅하우스의 합의를 촉구했다. 양측의 공방으로 한수원과의 본 계약이 늦어질 우려가 제기되자 목소리를 냈다. 9일 에너지24(Energetyka24) 등 폴란드 매체에 따르면 루카시 므위나르키에비츠(Łukasz Młynarkiewicz) PEJ 이사회 의장은 지난 7일(현지시간) 인터뷰에서 한수원과 웨스팅하우스의 분쟁에 대해 "폴란드의 개입 없이 양측이 대화하고 있다"며 "곧 합의에 도달하길 바란다"고 전했다. 한수원은 작년 10월 폴란드 국영전력공사(PGE), 민간발전사 제팍(ZE PAK)과 폴란드 퐁트누프 지역에 원전을 짓는 협력의향서(LOI)를 체결했다. PGE와 제팍이 지난 4월 설립한 합작법인 PPEJ와 본계약을 맺고 원전 건설에 돌입한다. 1400㎿ 용량의 한국형 원자로 'APR1400' 2기를 지을 예정이다. 폴란드 정부는 한수원과의 협력에 적극적이다. 보이치에흐 동브로프스키 PGE 사장은 4월 방한 당시 "언제든지 본계약을 체결할 수 있다"고 밝힌 바 있다. 폴란드의 지원에도 불구하고 한수원과 웨스팅하우스의 공방이 재개되며 원전 도입은 안갯속이다. 양측의 공방은 웨스팅하우스가
[더구루=정등용 기자] 인도가 원자력 발전 용량 확대를 위해 소형모듈원자로(SMR) 활용을 검토 중이다. 다만 대형 원자로 중심의 기존 계획에는 변화가 없을 전망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