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구루=윤진웅 기자] 포르쉐코리아가 신규 데스티네이션 포르쉐 디자인(New Destination Porsche Design)을 적용한 '국내 최대 규모' 서비스 센터를 구축했다. 특히 전국 단위 서비스 강화 전략을 실현하기 위해 강북 및 서울 동부지역과 연결되는 전략적 요충지에 자리를 잡았다. 포르쉐코리아는 12일 국내 최대 규모이자 포르쉐 고객 라이프스타일을 강조한 최초의 서비스 센터 ‘포르쉐 서비스 센터 성수’를 공식 오픈했다. 평일 오전 9시부터 오후 6시까지 운영된다. 포르쉐코리아의 공식 딜러사 세영모빌리티㈜에서 담당한다. 에너지 효율성을 극대화한 인프라가 특징이다. 건축물 에너지 효율 등급1++ 인증과 친환경 건축물 인증을 획득했으며, 포르쉐 CI가 적용된 태양광 파사드를 설치해 지속 가능성 가치를 전달한다. 연면적 1만5968㎡ 규모로 지하 1층부터 지상 11층으로 구성됐다. 포르쉐의 엄격한 기준을 충족하는 최신 설비와 최첨단 장비는 물론, 국내에서 가장 많은 총 40개의 워크베이를 갖췄다. 하루 평균 90대 이상의 일반 정비와 사고 차량 서비스가 가능한 풀워크샵 기능을 수행한다. 향후 지상6층과 지상7층에 일반 정비 및 판금 도장 설비를 추가
[더구루=윤진웅 기자] "중국은 전기차 배터리 분야에서 미국을 10년 앞서고 있다. 중국이 보유하고 있는 배터리 관련 지식재산권(IP) 라이선스를 확보해야 한다". 짐 팔리(Jim Farley) 포드 최고경영자(CEO)는 최근 뉴욕타임스와 인터뷰를 통해 이 같이 밝혔다. 중국 전기차 산업과 대적하기 위한 중국의 베터리 기술을 활용이 불가피하다는 주장이다. 그는 리튬인산철(LFP) 배터리를 예로 들어 "20년 전 중국과 동일한 방식으로 우선 중국 배터리 IP 라이선스를 확보한 다음 독창성과 인프라 등을 토대로 독자적인 기술을 개발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실제 LFP 배터리는 미국이 원천기술을 가지고 있었다. 텍사스 오스틴 대학교 존 굿이너프 교수가 1997년 개발했고, 이후 오바마 행정부에서 막대한 자금을 지원받은 스타트업 A123 시스템 LLC(A123 Systems LLC) 가 상용화에 성공했다. 하지만 예상보다 전기차 대중화 속도가 더뎌지면서 A123은 경영악화를 겪였고, 결국 2012년 10월 파산했다. A123이 보유하고 있던 배터리 IP 포함 모든 사업은 헐값으로 당시 중국 최대 자동차 부품사였던 완샹그룹에 넘어갔고, 이후 CATL이 셀투팩(CTP:
[더구루=윤진웅 기자] 현대자동차가 중국 시장 반등을 위해 새로운 가격 정책을 내놨다. 현지 수요를 확보하기 위해 고객 부담을 최소화하고 잔존가치도 기존의 2배 이상 보장한다는 게 골자다. 이번 조치에 따른 사실상 가격 인하가 현지 판매 확대로 이어질 지 관심이 모아진다. 12일 베이징현대에 따르면 신차 단일 가격 정책을 연초부터 시행하고 있다. 기존 판매 가격보다 최대 4만2000위안(한화 약 835만원) 인하된 가격으로 운전자들의 구매욕을 자극하고 있다. 이에 따라 쏘나타 가격은 3만 위안(595만원) 인하된 11만9800위안부터 시작된다. 투싼 L은 4만 위안(795만원) 저렴한 12만9800위안, 쿠스토는 4만2000위안(835만원) 내려간 13만9800위안으로 책정됐다. 싼타페의 경우 적정한 판매 가격이 검토되고 있다. 아울러 베이징현대는 이번 신차 단일 가격 정책과 함께 잔존가치 보장 플랜도 마련했다. 잔존가치 보장액을 기존보다 2배 이상 높게 책정했다. 베이징현대는 새롭게 마련한 가격 정책들이 매출을 키우는 데 기여할 것으로 보고 있다. 복잡하고 번거로운 자동차 구매 과정을 간단하고 직접적으로 만들었다는 점에서 브랜드 진입 장벽을 낮추는 효과를
[더구루=윤진웅 기자] 현대자동차·기아가 올해 호주 자동차 시장에서 순조로운 출발을 보였다. 기아는 브랜드 인기 스포츠유틸리티차량(SUV) 모델 '스포티지'를 앞세워 지난달 판매 '4위'를 차지했다. 12일 호주연방자동차산업회의소(FCAI)에 따르면 현대차·기아는 지난달 호주 자동차 시장에서 총 1만1198대를 판매했다. 시장 점유율은 12.90%를 기록했다. 같은 달 호주 시장 규모는 전년 대비 3.3% 감소한 8만6804대였다. 단일 브랜드 기준 현대차는 전년(5911대) 대비 7.32% 감소한 5478대를 판매했다. 점유율은 6.9%에서 6.3%로 0.6%포인트 줄었다. 브랜드별 월간 판매 순위는 6위에 랭크됐다. 5위인 미쯔비시(5681대)와의 판매 격차는 203대에 불과했다. 기아는 전년(5707대) 대비 0.22% 소폭 증가한 5720대를 판매했다. 점유율은 6.6%로 전년(6.4%)보다 0.2%포인트 올랐다. 월간 판매 순위는 4위를 기록했다. 특히 브랜드 현지 볼륨 모델 스포티지의 활약이 빛났다. 스포티지는 전년(1665대) 대비 9.7% 증가한 1826대 판매되며 현지 월간베스트셀링카 순위 8위에 이름을 올렸다. 1위는 1만8424대를 판매한
[더구루=윤진웅 기자] 현대자동차가 튀르키예 합작법인 사명을 변경했다. 현지 합작사와의 지분 매입에 매듭을 짓는 한편 사명 변경을 토대로 브랜드 정체성을 강화한다는 방침이다. 특히 '메이드 인 튀르키예' 차량 경쟁력을 높여 유럽 내 브랜드 존재감을 더욱 확대한다는 의지를 담았다는 평가다. 12일 업계에 따르면 현대차 튀르키예 합작사 '현대앗산오토모티브'(Hyundai Assan Otomotiv Sanayi ve Ticaret AŞ)의 사명이 최근 현대차 튀르키예(Hyundai Motor Türkiye Otomotiv AŞ)로 변경됐다. 지난 2021년부터 진행 중인 지배구조 조정 과정의 일환이다. 현지 합작 파트너사 카바르홀딩스의 지분을 꾸준히 매입한 뒤 97%까지 확보했다. 30% 지분을 보유한 카바르홀딩스는 현지 유통에 역량을 집중하고 있다. 유럽 수출 강화 전략과도 맞물린다. 현대차는 튀르키예 이즈미트 공장이 수출을 담당하고 있는 40여 개국에서 '메이드 인 튀르키예'의 위상을 높이기 위해 직관적인 사명이 도움이 될 것으로 봤다. 지난 1997년 설립된 이즈미트 공장은 현대차 글로벌 품질 기준에 따라 제품을 생산하고 있다. 현대차그룹 33개 공장 중 최
[더구루=윤진웅 기자] 기아가 멕시코 자동차 시장에서 연초 기록적인 판매 이정표를 세우며 현지 선두주자로서 리더십을 가속화하고 있다. 12일 기아 멕시코판매법인(KMM)에 따르면 지난달 8605대를 판매했다. 이는 전년 대비 4.9% 성장한 수치이며 역대 1월 최고치이다. 시장 점유율은 7.2%를 기록했다. K3가 실적을 견인했다. 같은 달 총 3988대가 판매되며 브랜드 월간 베스트셀링카 역할을 톡톡히 했다. 현지 생산을 토대로 한 원활한 공급과 합리적인 가격 책정에서 비롯된 결과이다. K3의 뒤를 이어 셀토스와 K4가 실적을 뒷받침했다. 각각 1301대와 1299대 판매를 기록했다. 멕시코 운전자들의 니즈에 부합하는 고품질 제품을 제공할 수 있는 역량을 입증했다는 평가이다. 업계 관계자는 "지속해서 브랜드 혁신과 혁신과 지속 가능한 이동성에 투자한 결과, KMM은 멕시코 자동차 산업의 벤치마크로 자리매김했다"고 호평했다. 실제 KMM은 판매 라인업 확대를 통해 수요 확보에 총력을 기울이고 있다. K3와 셀토스, K4를 비롯해 쏘넷, 스포티지, 쏘렌토, 텔루라이드 등 SUV 중심으로 포트폴리오를 꾸렸다. 또한 전기차 시장 공략을 위해 스포티지 HEV와 니로
[더구루=김은비 기자] 현대차그룹 글로벌 광고대행사 이노션이 디지털 미디어 역량을 강화한다. 새로운 디지털 미디어 총괄을 영입, 글로벌 입지 확대에 나선다. 12일 링크드인(LinkedIn)에 따르면 이노션 월드와이드는 이디티야 싱(Aditya Singh)을 디지털 미디어 분야 신임 총괄로 영입했다. 싱 총괄은 자신의 링크드인을 통해 “이노션은 창의성과 혁신이 결합해 세계적인 브랜드를 위한 획기적인 캠페인을 만들어가는 곳”이라며 “훌륭한 팀과 함께 디지털 미디어의 미래를 만들어갈 수 있어 기대된다”고 말했다. 싱 총괄은 지난 2013년부터 약 12년간 디지털 광고 분야에서 활동해온 업계 베테랑이다. 이노션 합류 전에는 글로벌 미디어 에이전시 '그룹M'(GroupM)에서 디지털 프로그래매틱 미디어와 디지털 벤더 및 퍼블리셔 파트너십, 소셜 미디어 부문의 수석 매니저를 역임했다. 또한 퍼블리시스(Publicis) 그룹, 옴니콤 미디어 그룹(OMG), 브이도피아(Vdopia) 등 글로벌 미디어 에이전시에서 근무, 해당 분야에서 다양한 경험을 쌓았다. 이노션은 이번 영입을 통해 온라인 마케팅 역량을 한층 강화, 글로벌 시장에서의 입지를 더욱 확대해 나갈 것으로 기대
[더구루=윤진웅 기자] 무함마드 빈 살만(Mohammed bin Salman bin Abdulaziz Al Saud) 사우디아라비아(이하 사우디) 왕세자 겸 총리가 본인의 이름을 딴 자동차 클러스터를 마련한다. 사우디 비전 2030에 따라 국가 경제를 다각화하고 사회·문화적 변화를 촉진하기 위해서다. 궁극적으로 석유 의존도를 대폭 줄이겠다는 의지가 반영됐다. 11일 사우디 국영 통신사 SPA에 따르면 빈 살만 총리는 사우디 킹 압둘라 경제도시(KAEC)에 킹 살만 자동차 산업단지를 설립한다. 경제 다각화 차원에서 자동차 산업을 키우고 이를 통해 경제 성장 속도를 높이겠다는 계획이다. 킹 살만 자동차 산단은 60km² 규모로 조성된다. 축구장 약 8108개에 달하는 면적이다. 사우디 첫 전기차 브랜드인 ‘사우디 시어(Ceer)모터스’와 루시드모터스의 전기차 공장과 피렐리 타이어 제조 공장 등을 포함한 다양한 글로벌 업체들의 생산 기지가 들어설 예정이다. 현대차 중동 지역 최초 생산 거점도 이곳에 마련된다. 현대차는 지난 2023년 10월 합작투자 계약에 따라 사우디 국부펀드(PIF)와 연간 5만 대의 자동차를 생산할 수 있는 반조립제품(CKD) 합작공장을 건설
[더구루=윤진웅 기자] 기아 소형 전기 SUV 모델 EV3가 주요 유럽 시장에서 질주하고 있다. 네덜란드에서 베스트셀리카 정상에서 오르고, 스페인의 경우 전기차 시장에서 1위를 차지했다. 지난해 하반기 출시한 EV3의 유럽 공략이 본격화되고 있다는 평가다. 11일 네덜란드 자동차산업협회(RAI Automotive Industry NL)에 따르면 기아 EV3는 지난달 네덜란드 월간 베스트셀링카로 선정됐다. 총 1757대가 판매되며 단일 모델로 점유율 5.4%를 기록했다. 지난달 신규 등록된 차량 20대 중 1대가 EV3인 셈이다. 지난달 네덜란드 자동차 시장 규모는 3만2804대로 집계됐다. 이는 전년 대비 4.6% 감소한 수치이다. 이 중 전기차 비중은 34%(1만1157대)에 달한다. EV3에 이어 피칸토(국내명 모닝)가 월간 베스트셀링카 2위에 올랐다. 총 855대가 판매됐다. 점유율은 2.6%였다. 이어 △푸조 208(777대) △볼보 EX30(724대) △폭스바겐 폴로(696대) 순으로 '톱5'에 이름을 올렸다. EV3에 힘입어 기아는 브랜드별 월간 판매 1위를 차지했다. 총 4102대를 판매, 점유율 12.5%를 기록했다. 2위 폭스바겐(2829대)
[더구루=윤진웅 기자] 기아 준중형 스포츠유틸리티차량(SUV) 모델 '스포티지'가 영국에서 고속질주하고 있다. 세련된 디자인과 성능, 합리적인 가격까지 갖춰 현지 운전자들의 사랑을 독차지하고 있다. 덩달아 기아 현지 판매량도 크게 향상되며 폭스바겐에 이어 두 번째로 사랑받는 브랜드가 됐다. 11일 영국자동차공업협회(SMMT)에 따르면 기아 스포티지는 지난달 영국 시장에서 총 3476대 판매됐다. △닛산 콰시콰이 △북스홀 코르사 △폭스바겐 골프 △푸조 3008 등을 모두 제치고 현지 월간 베스트셀링카 정상에 올랐다. 스포티지 활약으로 기아 브랜드 현지 입지 또한 크게 확대됐다. 같은 달 전년(1만207대) 대비 5.94% 확대된 1만813대를 판매했다. 점유율은 전년(7.14%) 대비 0.62%포인트 증가한 7.76%로 월간 판매 순위 2위를 차지했다. 영국 자동차 시장 규모는 13만9345대였다. 1만3565대를 판매한 폭스바겐이 1월 정상을 차지했다. BMW는 9265대로 3위, 푸조는 8096대로 4위, 닛산은 7129대로 5위에 이름을 각각 올렸다. 6위부터 10위는 △북스홀(7084대) △포드(6636대) △아우디(6433대) △메르세데스-벤츠(636
[더구루=김은비 기자] 현대자동차의 지난달 일본 판매량이 절반가량 감소했다. 경쟁사인 중국 BYD도 전년 대비 4분의 1 수준으로 판매고가 수직하락했다. 특히 현대차는 BYD의 주력 모델 출하 중단 사태를 기회 삼아 현지 판매를 대폭 확대한다는 방침이다. 11일 일본자동차수입조합(JAIA)에 따르면 현대차 일본법인 현대모빌리티재팬(HMJ)은 지난달 현지에서 총 41대의 전기차를 판매했다. 이는 전년 동월(71대) 대비 42.3% 감소한 수치다. 점유율 기준으로 0.18%다. 현지 전기차 시장에서 경쟁 관계에 있는 BYD 역시 큰 폭으로 하락했다. 지난달 BYD는 전년 동월(217대) 대비 75.6% 감소한 53대를 판매했다. 점유율은 0.23%를 기록했다. BYD의 판매 급감은 일본 국토교통성에 제출한 차량 인증 문제가 원인으로 분석된다. 인증 신청 과정에서 BYD는 '웰컴 라이트 기능'을 서류 기재를 누락한 사실이 확인, △아토 3 △돌핀 △씰 등 3개 주력모델 출하를 중단했다. 현대차는 BYD 판매 급감과 주력 모델 출하 중단 사태를 기회로 삼아, 자체 보조금 지원을 내세워 고객몰이에 나선다는 방침이다. 최근 출시한 인스터(국내명 캐스퍼 일렉트릭) 구매
[더구루=윤진웅 기자] KG모빌리티(옛 쌍용자동차)가 전기 스포츠유틸리티차량(SUV) 모델 '토레스 EVX'를 앞세워 영국 시장 내 입지를 꾸준하게 확대하고 있다. 연초 40%에 달하는 성장을 기록하며 잠재력을 과시했다. 브랜드 전략에 따른 온라인 판매 등을 준비, 올해 성적표에 관심이 쏠린다. 10일 영국자동차공업협회(SMMT)에 따르면 KG모빌리티는 지난달 영국 자동차 시장에서 총 115대를 판매했다. 이는 전년(84대) 대비 36.90% 증가한 수치이다. 시장 점유율은 전년(0.06%) 대비 0.02%포인트 상승한 0.08%를 기록했다. 같은 달 영국 자동차 시장 규모는 13만9345대였다. 현지 판매 라인업 중에서는 전기 스포츠유틸리티차량(SUV) 모델 '토레스 EVX'가 활약했다. 토레스 EVX는 KG모빌리티의 기술력이 결집된 전기차 모델이다. 엔트리 모델부터 첨단 운전자 보조 시스템(ADAS), 커넥티비티 내비게이션 기능, 전자식 변속 시스템, V2L 커넥터 등 소비자가 원하는 사양이 대거 적용됐다. 영국에는 지난해 5월부터 판매를 시작했으며, 판매 가격은 보급형 K30과 고급형 K40 2가지 트림으로 나눠 각각 4만4495파운드(한화 약 7605
[더구루=정예린 기자] 테슬라 전 사장이 테슬라가 전기차 시장을 주도할 수 있었던 핵심 요인으로 일론 머스크 최고경영자(CEO)가 직접 주도한 실물 기반 제품 회의를 꼽았다. 수치를 담은 프레젠테이션 대신 실제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를 직접 만지며 평가하는 방식이 빠른 피드백과 조직 내 긴장감을 동시에 가능하게 했다는 분석이다. [유료기사코드] 2일 미국 IT 전문 매체 '테크크런치'에 따르면 테슬라의 전 글로벌 세일즈·서비스 총괄 사장이자 현재 제너럴모터스(GM) 이사회 멤버인 존 맥닐은 최근 보스턴에서 열린 'TC 올 스테이지' 행사에서 "첫 번째 규칙은 슬라이드를 금지하는 것이었다"며 "우리는 항상 실제 제품을 검토해야 했다"고 밝혔다. 이어 "매주 고위 임원들과 제품 책임자들이 모여 프로토타입이든 하드웨어든 직접 만지고 작동해보며 진척 상황을 점검했다"며 "이런 문화가 조직에 긴장감을 주고 매주 진척과 혁신이 이어지게 했다"고 덧붙였다. 머스크 CEO의 회의 운영 철학은 애플 창업자 고(故) 스티브 잡스의 조언에서 비롯됐다. 맥닐은 "머스크가 잡스를 찾아가 '하드웨어 비즈니스를 시작하려 한다. 한 가지 조언만 해달라'고 하자, 잡스는 '완벽한 제품을 만
[더구루=김은비 기자] 유럽 전기차 충전 인프라 업체 알피트로닉(Alpitronic)이 미국 충전 시장에서도 빠르게 입지를 넓히고 있다. 테슬라에 이어 미국 내 두 번째로 큰 충전 하드웨어 공급업체로 떠오르며 업계 판도를 흔들고 있다. [유료기사코드] 2일 충전 분석업체 파렌(Paren)에 따르면 알피트로닉은 지난 상반기(1~6월) 미국 급속 충전소 점유율 12%로 2위를 차지했다. 1위는 테슬라다. 점유율 36%를 기록했다. 3, 4위 차지포인트(ChargePoint)와 BTC파워였다. 점유율은 각각 9%, 8%로 집계됐다. 알피트로닉은 월마트·벤츠·아이오나 등 주요 파트너와 잇따라 계약을 체결하며 빠른 속도로 시장을 확장해온 것이 점유율 확대에 주효했다. 특히 GM·현대차·토요타 등이 참여한 초고속 전기차 충전 연합체 ‘아이오나(Ionna)’가 ‘프리미엄 EV 충전소’ 콘셉트인 ‘리차저리(Rechargery)’에 알피트로닉(alpitronic)의 ‘HYC 400’ 모델만을 단독 도입했다. 알피트로닉은 2023년 알피트로닉은 미국 노스캐롤라이나주 샬럿에 본사 및 생산 거점을 두고 있는 이탈리아 볼차노(Bolzano) 기반의 전력전자 전문 기업이다. 최근에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