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구루=오소영 기자] HD현대가 마틴 코허(Martin Kocher) 노동경제부 장관이 이끄는 오스트리아 경제 대표단과 회동했다. HD현대중공업과 HD현대사이트솔루션, HD한국조선해양 경영진이 총출동했다. 강소 선박 기자재 업체들이 밀집한 오스트리아와 파트너십을 모색하고 선박·건설기계 분야에서 사업 기회를 발굴한다. 24일 오스트리아 노동경제부와 연방경제회의소에 따르면 코허 장관과 볼프강 헤순 연방경제회의소 부회장 일행은 지난 22일 경기 성남시 분당구 HD현대 글로벌R&D센터(이하 GRC)를 방문했다. 박승용 HD현대중공업 사장, 조영철 HD현대사이트솔루션 사장, 장광필 HD한국조선해양 연구소장을 접견했다. HD현대마린솔루션의 디지털관제센터를 비롯해 GRC 내부 투어를 진행하고, 친환경·디지털 선박과 건설기계 분야에서 협력을 모색했다. 디지털관제센터는 HD현대마린솔루션의 스마트 솔루션이 장착된 430여 척의 선박 운항 정보가 모이는 집합소다. 코허 장관은 회동 직후 페이스북을 통해 "HD현대와 같은 글로벌 기업들과의 협력은 우리에게 새 사업 기회를 가져오고 국내(오스트리아) 기업의 경쟁력을 강화하며 일자리 창출에도 도움이 된다"며 "우리의 사명은
[더구루=오소영 기자] HD현대중공업이 페루 국영 시마(SIMA)에 상륙함 건조에 쓸 기자재 패키지를 보냈다. 내년 1월부터 시마조선소에서 상륙함 건조에 돌입한다. 시마와의 강력한 파트너십을 발판 삼아 페루에서 추가 수주를 모색한다. 24일 시마에 따르면 HD현대중공업은 지난 17일 울산조선소에서 '페루 수출함정 기자재 공급 1항차 출항 기념식'을 열었다. 이는 페루 함정 건조에 쓰일 기자재 패키지를 실은 1호 선박이 페루로 출항했다는 의미다. 시마는 HD현대중공업으로터 받은 기자재를 토대로 내년 1월부터 1400톤(t)급 상륙함 2척을 건조할 예정이다. 이번 협력은 지난 4월 체결한 계약에 따른 것이다. HD현대중공업은 시마와 4억6290만 달러(약 6400억원) 규모 함정 4척에 대한 현지 건조 공동생산 계약을 맺었다. 상륙함 2척을 비롯해 3400t급 호위함 1척, 2200t급 원해경비함 1척 등 4척을 공동 생산해 페루 해군에 인도한다. 2026년 상륙함 2척, 2028년 초계함, 2029년까지 호위함을 순차 납품한다. HD현대중공업이 함정의 설계와 기자재 공급, 기술 지원을 수행하고, 시마가 최종 건조를 맡기로 했었다. 내년 건조가 시작될 상륙함 2
[더구루=오소영 기자] 우진산전이 대구 박람회에서 전기버스를 선보였다. 철도차량 분야에서 쌓은 기술력을 토대로 전기버스 시장에도 진출하며 친환경 상용차 시장을 선도한다. 우진산전은 오는 26일까지 대구에서 열리는 '2024 대구 미래혁신기술 박람회’에 참가한다고 23일 밝혔다. 우진산전은 이번 전시회에서 아폴로 시리즈 AP900·AP700 차량을 소개하며 주력 제품인 AP1100 차량도 전시한다. AP900은 국내에서 제작된 9m급 저상 전기버스 중 최고 용량의 배터리가 탑재됐다. 실시간 배터리에 대한 모니터링이 가능해 화재 등의 사고를 사전에 방지할 수 있다. 또 교통약자의 이동 증진을 위한 2개의 휠체어 고정 공간과 승하차 편의를 위한 전자식 차고 높이 조절 장치가 적용됐다. AP700은 국내 최초 7m급 전·후 풀(full) 에어서스펜션이 적용된 친환경 전기버스다. 관공서 차량·회사 셔틀버스·어린이 버스 등 다목적으로 활용할 수 있다. 우진산전은 지난 3월 경북 김천에 연간 1500대 이상의 전기버스를 생산할 수 있는 전용 생산 공장을 구축했다. 우진산전 관계자는 "내년 연간 700대 이상의 (전기버스) 판매가 예상된다"며 "앞으로도 지속적인 투자와 연
[더구루=오소영 기자] 에스토니아가 미국 록히드마틴의 고속기동포병로켓시스템(HIMARS·하이마스) 인도 지연으로 인한 대안을 모색한다. 한화에어로스페이스의 다연장로켓포 '천무'가 후보로 꼽힌다. K9 자주포가 쏘아올린 한화와 에스토니아의 방산 협력이 천무로 이어지는 분위기다. [유료기사코드] 23일 브리킹디펜스 등 외신에 따르면 마그누스-발데마르 자르(Magnus-Valdemar Saar) 에스토니아 국방투자센터(Estonian Center for Defense Investments)장은 "납품 기간이 길어지면 하이마스를 다른 무기로 대체해야 할 수 있다"고 밝혔다. 에스토니아는 지난 2020년 록히드마틴과 약 2억 달러(약 2700억원) 규모인, 하이마스 6대 공급 계약을 체결했다. 70㎞부터 300㎞까지 다양한 사거리의 로켓과 함께 유지보수와 훈련 등 후속 지원도 받기로 했다. 당초 올해부터 인도받아야 했으나 지연되고 있다. 자르 센터장은 앞서 "내년 납품을 기대하고 있으며 후속 주문을 계획하고 있다"고 말한 바 있다. 에스토니아 정부는 하이마스를 우선적으로 고려하고 있으나 납기가 늦어지면 대체품을 찾을 수 있다고 예고했다. 한화에어로스페이스의 천무와 튀
[더구루=정예린 기자] LS그룹의 산업기계·첨단부품 전문기업 'LS엠트론'이 브라질 트랙터 시장 공략을 가속화하며 성과를 내고 있다. 대규모 유통망과 차별화된 제품 포트폴리오를 앞세워 사업 확장을 위한 가속페달을 밟는다. 22일 LS엠트론 브라질법인에 따르면 회사는 최근 트랙터 3만 대를 인도하는 이정표를 달성했다. 지난 2013년 현지 공장을 설립하고 브라질 시장에 진출한지 11년 만이다. LS엠트론의 성공 비결은 현지화다. LS엠트론은 2013년 브라질 남동부 산타카타리나주 가루바시에 연간 5000대 규모 트랙터 공장을 설립했다. 한국과 중국에 이어 3번째 트랙터 제조 시설이자 아시아 외 지역의 첫 생산거점이었다. 탄탄한 현지 대리점 네트워크도 구축하고 있다. LS엠트론은 세아라(Ceará), 히우그란지두노르치주(Rio Grande do Norte), 히우그란지두술주(Rio Grande do Sul) 등 브라질 전역에 70개 이상 대리점을 두고 있다. 브라질 농기계, 장비 도매 무역업체 콜레토 마퀴나스(Coletto Máquinas) 등 현지 기업과도 협력한다. LS엠트론의 최대 강점은 다양한 제품 포트폴리오다. 첫 진출 당시 브라질에서는 볼 수 없었던
[더구루=정예린 기자] 폴란드 정부가 한국항공우주산업(KAI)으로부터 공급받은 경공격기 'FA-50'에 장착할 탄약 조달 문제로 곤혹스럽다. 입찰에 참여하는 업체가 없어 공고가 번번이 무산되면서다. 22일 폴란드 군비청(Armament Agency)에 따르면 군비청은 FA-50용 20x120mm 탄약 납품 건에 대한 절차 무효를 공지했다. 신청서 제출 마감일이 지나도록 공급을 제안하는 기업이 나타나지 않았기 때문이다. 군비청은 지난 4월30일 'FA-50 항공기용 20mm 탄약 납품'이라는 제목의 주문서를 고시했다. 고폭소이탄(HEI) M56A3과 연습탄(TP) M55A2을 각각 9만 개 공급할 기업을 물색했다. 특히 한국 탄약 생산업체로부터 공급받기를 원했다. 하지만 마감일인 지난 6월5일까지 제안서가 들어오지 않았다는 게 군비청의 설명이다. 폴란드 정부가 한국산 탄약 조달을 시도한 것이 이번이 처음은 아니다. 군비청은 작년 3월에도 고폭소이탄 7만2000개를 납품 받기 위한 1차 입찰을 진행했으나 실패로 돌아갔다. 당시에도 제안서가 들어오지 않아 입찰이 무효화됐다. 국내에서는 풍산에서 군비청이 원하는 고폭소이탄 M56A3과 연습탄 M55A2 등 2종을 생
[더구루=오소영 기자] 미국 상원의원들이 연방 정부에 해저케이블의 보안 강화를 위한 조치를 촉구했다. 방대한 데이터를 전송하는 해저케이블이 중국의 공격 대상이 될 수 있다고 주문했다. 해저케이블 시장에서 중국을 배제하자는 내부 목소리가 확산되면서 미국에 진출한 LS전선이 반사이익을 볼 수 있을 것으로 전망된다. [유료기사코드] 22일 토드 영 상원의원(공화당·인디애나)과 로이터 등 외신에 따르면 토드 영 상원의원과 크리스 머피 상원의원(민주당·코네티컷)을 비롯해 양당 의원 8명으로 구성된 초당파 상원의원단은 21일(현지시간) 조 바이든 대통령에 보낸 서한에서 "글로벌 해저케이블 인프라의 안보 취약성을 검토해야 한다"고 주문했다. 현재 400개 이상의 해저케이블을 통해 전 세계 데이터 트래픽의 95% 이상이 처리되고 있다. 매일 수조 달러에 달하는 금융 거래도 해저케이블을 통해 이뤄진다. 해저케이블의 역할이 중요해진 만큼 안보 우려도 크다. 의원단은 "미국의 적대 세력은 해저 인프라를 공격하거나 교란할 역량을 개발해왔다"고 지적했다. 이어 "교전국은 분쟁의 첫 단계에서 상대방의 수중 통신 회선을 공격하는 오랜 전통이 있었다"며 "가령 두 차례 세계 대전에서 영
[더구루=오소영 기자] 국산 고속철도차량의 첫 수출을 일군 '민·관 협력 체계'가 우즈베키스탄에서 주목을 받았다. 현대로템의 고속차량 기술과 정부의 적극적인 지원이 합쳐져 우즈베키스탄에서의 수주를 성공시켰다는 분석이 제기된다. [유료기사코드] 21일 우즈베키스탄 국영 우즈베키스탄통신(UzA)에 따르면 현대로템의 우즈베키스탄 파트너사는 지난 18일(현지시간) 타슈켄트에서 열린 '우즈베키스탄 국제협력 이니셔티브 주간(Weet of International Partnership Initiatives)' 포럼에 참석했다. 이번 행사는 국제 협력을 활용해 지속가능한 경제 성장을 모색하고자 현지 경제재정부 주도로 열렸다. 주요국 수출입은행이 참석하는 가운데 현대로템은 최근 금융지원을 통해 철도 인프라 사업을 수행한 사례로 초청됐다. 현대로템은 지난 6월 우즈베키스탄 철도청이 발주한 2700억원 규모 동력분산식 고속차량 사업을 수주했다. 시속 250㎞급 고속철 7량 1편성, 총 42량을 공급해 타슈켄트~부하라(590km) 구간과 개통 예정인 부하라~히바(430km) 구간, 미스켄~누쿠스(196km) 구간 등 총 1216㎞에 달하는 노선에 투입한다. 경정비 2년, 중정비
[더구루=정예린 기자] HD현대건설기계가 인도에 굴착기 공인 수리 센터를 오픈, 고객 서비스를 강화한다. 높은 수요에 힘입어 사상 최대 실적을 갈아치우고 있는 인도법인의 성장 가속 페달을 밟는다. 17일 HD현대건설기계에 따르면 인도법인은 지난달 동부 서벵골주 카조라에 ARC(Authorized Rebuild Centre) 시설을 개소했다. ARC는 노후된 굴착기 등 HD현대건설기계 장비를 종합 수리해주는 곳이다. HD현대건설기계의 ARC는 인도 건설·광업 장비 유지·보수 전문업체 '노우텍 이큅케어(Knowteq Equipcare)'가 운영을 맡는다. HD현대건설기계와 노우텍 이큅케어는 지난 2월 ARC 시설 관련 파트너십을 체결했다. 이후 약 8개월 만에 완공 후 오픈했다. HD현대건설기계는 ARC를 통해 동부 지역 고객들에게 예산에 맞춰 굴착기 등 오래 사용한 중장비에 대한 애프터서비스(A/S)를 제공한다. 굴착기를 분해해 부품을 교체하고 페인트를 새로 칠하는 등의 서비스가 포함된다. 장비 수명을 연장해줘 사소한 문제로 사용하던 굴착기가 고장이 나 신차 구입을 망설이는 고객들에게 효과적인 혜택인 셈이다. 신규 ARC는 최첨단 기계와 설비를 갖추고 있다.
[더구루=오소영 기자] 슈테판 켈러(Stephan Keller) 독일 뒤셀도르프 시장이 HD현대 사옥을 찾아 조선 중간지주사인 HD한국조선해양 경영진과 만났다. 지난해 격상한 HD유럽연구센터의 운영 현황을 살피며 친환경 선박 기술 파트너십을 확대하기로 뜻을 모았다. 17일 뒤셀도르프시와 RP온라인 등 외신에 따르면 켈러 시장 일행은 지난 15일 경기 성남시 분당구 HD현대 글로벌R&D센터(이하 GRC)를 방문했다. 김대순 HD한국조선해양 미래기술연구원 기술자문(부사장)과 권병훈 HD한국조선해양 디지털연구랩부문장(전무)을 만나 사업 협력을 논의했다. HD현대는 이날 뒤셀도르프 거점의 운영 현황을 공유하고 친환경 선박 기술 협력을 논의했다. HD한국조선해양은 지난 2022년 4월 뒤셀도르프에 연구지사를 설립했다. 이듬해 HD유럽연구센터로 승격했다. 신설 센터에서 수소와 연료전지, 암모니아, 전기추진 등 차세대 선박 기술 연구를 수행하며 유럽 주요국으로 협력 네트워크를 넓힐 계획이다. 켈러 시장은 이날 HD한국조선해양의 친환경 선박 기술에 높은 관심을 보였다. 무탄소 전기추진선부터 수소추진선까지 기술 개발 현황을 살폈다. 인공지능(AI)와 디지털트윈(Dig
[더구루=오소영 기자] HD현대인프라코어가 글로벌 첫 건설장비 시연 행사를 체코에서 열고 첨단 기술을 대거 공개했다. 자율화 장비와 3차원(3D) 중장비 제어 솔루션을 최초로 선보였다. 혁신 기술을 적용한 스마트 건설장비로 유럽에서 '승부수'를 던진다. 16일 HD현대사이트솔루션과 HUB4 등 외신에 따르면 HD현대인프라코어는 지난달 23~26일(현지시간) 체코 밀로비체에서 열린 '디벨론 데모 데이(DEMO DAYS)'에서 자율화 장비를 최초로 시연했다. 스위스 그라비스 로보틱스(Gravis Robotics, 이하 그라비스)의 자율작업 기술을 적용한 디벨론 22톤(t) 굴착기로 굴착과 트럭 상하차 작업을 실시했다. HD현대인프라코어는 그라비스와 자율 굴착기 개발에 협력해왔다. 마르코 후터(Marco Hutter) 그라비스 창업자는 올해 초 세계 최대 IT·가전 박람회 'CES 2024'에서 정기선 HD현대 부회장의 오프닝 연설 직후 무대에 올라 자율 굴착기의 개발 목적과 건설 장비 로봇의 가능성을 발표했었다. 그동안 협력한 결과물을 이번 행사에서 최초로 선보인 것이다. 크롤러 굴착기 DX225LC-7X의 3D 중장비 제어 솔루션도 처음 공개됐다. 이 솔루션은
[더구루=정등용 기자] 폴란드가 치누크(CH-47) 헬기 도입을 추진한다. 최근 자연재해 현상이 빈번해지면서 이에 대응하기 위한 차원에서다. [유료기사코드] 와디스와프 코시니악-카미쉬 폴란드 국방부 장관은 15일(현지시간) 폴란드 국방 포털과 인터뷰에서 “폴란드 육군을 위해 치누크 헬기 구매를 고려하고 있다”고 말했다. 이는 최근 폴란드 남부 지역을 강타한 홍수 피해 여파에 따른 것이다. 코시니악-카미쉬 장관은 이 같은 대형 자연재해를 지원하기 위해 많은 수의 군대와 보급품을 운반할 수 있는 다목적 헬기의 필요성이 높아졌다고 강조했다. 코시니악-카미쉬 장관은 “병사들을 접근하기 어려운 곳으로 수송하거나 주민들을 대피시키는 데 효과적으로 지원할 수 있는 더 큰 헬리콥터가 필요하다”고 설명했다. 앞서 보잉은 올해 국제 방위 산업 전시회에서 폴란드에 치누크 헬기 판매를 제안하기도 했다. 보잉은 폴란드가 치누크 헬기를 구매하면 동맹국 간 상호 운용성이 향상될 뿐만 아니라 국방에 필요한 임무 수행을 지원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했다. 치누크 헬기는 국내외 군에서 60년 넘게 인기를 끌고 있는 명품 대형헬기다. 보잉이 개발한 쌍발 탠덤로터 방식의 수송헬기로서 지난 196
[더구루=홍성일 기자] 마이크로소프트(MS)의 창업자 빌 게이츠가 설립한 미국 소형모듈원자로(SMR) 스타트업 '테라파워'가 미국 엔지니어링·건설·프로젝트 관리 회사 'KBR'과 손잡았다. 테라파워는 KBR과 협력을 강화해 영국 원전 시장 진출에 속도를 낸다. [유료기사코드] 테라파워는 15일(현지시간) KBR과 영국에 소듐냉각고속로(SFR) 발전 시스템 '나트륨(Natrium®)'을 구축하는데 협력하기로 했다고 밝혔다. 테라파워와 KBR은 올해 3월 나트륨 상용화를 위한 전략적 제휴를 체결한 바 있다. 나트륨은 액체 나트륨(소듐)을 냉각재로 사용하는 SMR과 용융염 기반 에너지 저장 시스템를 통합해 만들어졌다. 소듐은 끓는점이 880℃로 기존 냉각제인 물보다 8배 이상 높아 많은 열을 흡수하면서 발전 출력을 높일 수 있다. 안정적이고 핵폐기물도 적다는 장점을 지녔다. 용융염 기반 에너지 저장 시스템은 원자로에서 생성된 열을 용융염 형태로 저장한다. 용융염은 가열된 상태로 보관되며, 추가 에너지가 필요할시 증기를 가열하는데 사용된다. 이를 통해 나트륨 원자로 전력 출력인 345MWe보다 더 많은 전력이 필요할 때 500MWe까지 발전 용량을 늘릴 수 있다.
[더구루=정예린 기자] 미국 배터리 스타트업 '앰프리우스 테크놀로지(Amprius Technologies, 이하 앰프리우스)'가 약 6개월 만에 직전 수주 대비 3배 이상 커진 규모의 무인항공기(UAS)용 배터리 공급 계약을 따냈다. 기존 고객과의 신뢰를 기반으로 신규 수주를 확보하며 고에너지밀도 실리콘 음극 배터리 기술의 우수성을 입증, 글로벌 UAS 시장 점유율 확대에 속도를 낼 전망이다. [유료기사코드] 앰프리우스는 15일(현지시간) 익명의 UAS 제조업체와 3500만 달러 규모의 'SiCore' 배터리셀을 공급하는 계약을 체결했다고 발표했다. 이번 수주는 지난 2월 체결한 1500만 달러 규모 수주의 후속 주문으로, 같은 고객사와의 지속적인 협력 관계를 구축하고 있음을 보여준다. <본보 2025년 2월 28일 참고 '현대공업 투자' 美 앰프리우스, 무인항공기용 실리콘 음극재 배터리 수주> 앰프리우스가 공급하는 SiCore는 고정된 날개를 이용해 비행하는 UAS에 장착된다. 군용 장거리 감시·정찰 드론뿐만 아니라 재난 대응, 탐색·구조, 대규모 농업 모니터링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 가능하다. SiCore가 높은 에너지밀도를 갖춰 UAS 무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