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구루=윤진웅 기자] 현대모비스가 인도 내 차세대 리더십 육성을 위한 프로그램을 가동했다. 경영학석사(MBA) 출신의 우수 인재를 미리부터 점찍어 인도 현지에서 맞춤형 자동차 기술 개발 역량을 키워나갈 수 있게 적임자를 찾는다. 18일 업계에 따르면 현대모비스는 지난 14일부터 인도에서 '오프-캠퍼스 드라이브 2025'(Off-Campus Drive 2025) 프로그램을 가동하고, 관리 연수생(Management Trainee, MT) 모집을 시작했다. 오프-캠퍼스 드라이브는 대학 캠퍼스 밖에서 기업이 주관하는 채용 행사를 말한다. 신입 또는 경력직 구직자들에게 취업 기회를 제공한다. 인도의 경우, 현대모비스와 같은 엔지니어링 기업들이 신입 사원을 모집하는 주요 경로로 활용하고 있다. 관리연수생은 기업이 신입사원을 선발해 일정 기간 동안 다양한 부서에서 교육·실무 경험을 제공한 후, 정규직 관리자 또는 특정 직무로 배치된다. 단순한 실무 경험이 아닌, 미래 관리자급 인재를 육성하기 위한 과정이라는 점에서 인턴과는 차이가 있다. 인턴은 주로 실무 보조 역할을 하며, 정규직 전환이 보장되지는 않는다. 이번 현대모비스 관리연수생 지원 자격으로는 크게 한 가지가
[더구루=김은비 기자] 현대자동차그룹이 지난해 글로벌 커넥티드카 시장에서 점유율 3위를 차지했다. 중국 BYD도 전년 대비 34% 수직상승, 글로벌 커넥티드카 시장의 다크호스로 주목받고 있다. 17일 시장조사업체 카운터포인트에 따르면 현대차·기아는 지난해 글로벌 커넥티드카 시장에서 점유율 7%를 기록, 3위에 올랐다. 성장폭은 전년 대비 11%에 달했다. 토요타와 폭스바겐그룹의 점유율은 각각 11%를 기록, 1위와 2위를 기록했다. 성장폭은 각각 6%와 2%였다. 현대차그룹에 이어 BYD는 4위(점유율 7%)를 차지했다. 전년 대비 성장폭은 34%에 달했다. 특히 지난 2022년 10위권을 벗어났다는 사실을 감안할 때 중국 내수와 해외 시장 확대를 토대로 성장을 이끌었다는 분석이다. GM의 경우 마이너스 성장(-4%), 점유율 7%를 차지해 5위로 밀렸다. 향후 글로벌 커넥티드카 시장은 더 빠르게 성장할 전망이다. 글로벌 컨설팅사 맥킨지는 현재 글로벌 신차의 절반을 차지하고 있는 커넥티드카는 오는 2030년 95%까지 늘어날 것으로 전망했다. 2030년 시장 규모는 1조5000억 달러(약 2180조원)에 달할 것으로 분석했다. 업계 관계자는 "BYD를 비롯한
[더구루=윤진웅 기자] 기아가 인도네시아 무슬림을 겨냥한 대규모 애프터세일즈(AS) 프로그램을 진행한다. 국민 대부분이 이슬람교를 믿는 인도네시아에서 '라마단' 기간과 맞물려 현지 특화 서비스를 제공한다. 고객 부담을 줄인 자동차 정비 서비스를 통해 안전하고 편안한 귀향길을 지원한다. 15일 업계에 따르면 기아는 인도네시아 딜러 '크레타 인도 아르타'(Kreta Indo Artha·이하 KIA)를 통해 인도네시아 전역 51개 공식 기아 정비소에서 애프터세일즈 프로그램 '무브먼트 투 피트르'(Movement to Fitr)를 가동하고 있다. 무브먼트 투 피트르는 이드 알 피트르(Eid al-Fitr)를 겨냥한 귀향 지원 프로그램이다. 귀향을 앞둔 고객들의 안전을 보장하도록 고안됐다. 애프터 서비스 수수료와 예비 부품, 오일 등에 대해 최대 20% 할인 혜택을 제공한다. 이드 알 피트르는 종교적 금식 기간인 라마단이 끝났음을 축하하는 무슬림의 휴일로 샤왈(Shawwal, 이슬람력 10월) 첫째 날 개최된다. 무슬림들은 이날 각 지역에 특별히 마련된 넓은 예배장소나 또는 큰 사원에 모여서 예배를 올린 다음 서로 인사를 나누며 친척과 친구들을 방문하고 선물을 교환한
[더구루=윤진웅 기자] 볼보가 차세대 프리미엄 전기 스포츠유틸리티차량(SUV) 모델 'EX30'에 중국 10위권 배터리사 제품을 탑재한 배경을 두고 다양한 해석이 나오고 있다. 판매 가격을 낮추기 위해 원가 절감에 집중한다는 평가와 더불어 원산지와 주요 부품을 모두 중국에서 조달해 스웨덴 프리미엄 브랜드 전기차로서의 지위는 잊은것 같다는 날 선 목소리도 나오고 있다. 14일 업계에 따르면 볼보는 EX30에 중국 배터리 기업 '선우다' 배터리셀을 탑재해 생산한다. 선우다는 파라시스와 비슷한 수준의 기술력을 가진 배터리 기업이다. 파라시스는 지난해 8월 발생한 인천 청라국제도시 아파트 지하 주차장 화재 사고의 원인으로 지목받았던 배터리셀을 제조한 업체이다. 당시 화재로 동주차장에 주차됐던 차량 87대가 전소되고 783대가 그을리는 등 큰 피해가 발생했었다. 선우다와 파라시스는 지난해 전기차용 배터리 업체별 글로벌 판매 실적 기준 10위 자리를 놓고도 각축전을 벌인 바 있다. 중국 현지 판매 역시 10위권 수준에 불과하다. 볼보의 이 같은 선택은 차량 생산 비용 절감과 가격 경쟁력 확보를 위한 전략에서 비롯된 것으로 풀이된다. 최근 국내 시장 출시 가격을 주요 글
[더구루=윤진웅 기자] 현대자동차·기아가 영국 주요 자동차 시상식에서 '5관왕'을 차지했다. 특히 기아는 '가장 깨끗한 자동차 제조사'로 꼽히며 현지 친환경차 시장을 선도하는 브랜드로 주목받았다. 14일 영국 B2B 차량 전문 미디어 플릿뉴스에 따르면 현대차 디 올 뉴 코나는 영국 런던 그로스버너 하우스 호텔에서 열린 '2025 플릿뉴스 어워즈(2025 Fleet News Awards)'에서 2년 연속 '최고 콤팩트 SUV(Best Compact SUV)'로 선정됐다. 현대적인 디자인과 넓은 실내 공간을 갖춘 것은 물론 5년 무제한 마일리지 보증이 매력적이라는 평가를 받았다. 플릿뉴스 측은 "코나는 다양한 파워트레인 라인업으로 비즈니스 차량 운전자의 요구를 충족한다"며 "세련된 디자인과 우수한 판매 네트워크를 보유한데다 합리적인 가격까지 두루 갖췄다"고 설명했다. 기아는 총 4개 부문을 휩쓸었다. △EV3(최고 중형 SUV, Best Mid-size SUV) △EV6(최고 중형차, Best Medium Car) △EV9(최고 대형 SUV, Best Large SUV)가 부문별 정상에 올랐다. 특히 기아 영국판매법인은 '올해의 가장 깨끗한 자동차 제조업체'(Z
[더구루=윤진웅 기자] 현대자동차 소형 스포츠유틸리티차량(SUV) 모델 '코나 하이브리드'가 브라질 시장에 출격한다. 현지 전략형 모델 크레타의 뒤를 이을 모델로 낙점됐다. 시장 반응에 따라 현지 생산도 모색하고 있다. 14일 현대차 브라질판매법인에 따르면 내달 브라질 SUV 시장에 코나 하이브리드 공식 출시한다. △얼티메이트(Ultimate) △시그니처(Signature) 2개 트림으로 선보인다. 현지 판매 가격 등 구체적인 제원은 출시일에 맞춰 공개할 예정이다. 코나 하이브리드 출시는 친환경차 라인업 확대 차원에서 추진됐다. 현대차는 브랜드 전용 전기차 모델 '아이오닉5'에 버금 가는 신차 효과를 기대하고 있다. 아이오닉5는 지난해 하반기 대형 플래그십 스포츠유틸리차량(SUV) 모델 '팰리세이드'와 함께 출시된 바 있다. 특히 현대차는 현지 시장 동향과 수요에 맞춰 생산 포트폴리오를 조정하고 코나 하이브리드를 현지 생산할 방침이다. 크레타 뒤를 이을 차세대 모델로 선정한 것이다. 당초 유력 후속 모델로 크레타EV와 인스터 등이 거론됐지만, 현지 운전자들의 하이브리드 선호도를 고려한 결정이다. 앞서 현대차는 지난해 10월 브라질 상파울루주 피라시까바 공장
[더구루=윤진웅 기자] 한국타이어앤테크놀로지(이하 한국타이어)가 연말 미국 테네시주(州) 클락스빌 공장 2단계 증설 1차 확장을 마무리하고 2차 확장에 착수한다. 글로벌 생산 포트폴리오 다변화 전략에 따라 트럭·버스용 타이어(TBR) 생산 설비를 도입, 미국 내 첫 TBR 생산기지를 마련한다. 14일 업계에 따르면 한국타이어는 연말 클락스빌 공장 2차 확장 작업에 돌입한다. 4분기 2단계 증설 1차 확장을 마무리 한 뒤 곧바로 2차 확장을 이어간다는 것. 2차 확장 시점이 확인된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한국타이어는 2차 확장을 놓고 테네시주 산업개발위원회 등 행정 당국과 협의, 현재 보조금 등 인센티브에 대해서 최종 논의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2차 확장에 따른 현지 일자리 창출 효과는 500~1000개에 달할 전망이다. 특히 최근 롭 윌리엄스(Rob Williams) 한국타이어 북미 본부장도 테네시주 내슈빌에서 열린 '2025 기술 및 유지보수 위원회'(Technology and Maintenance Council 2025, TMC)에서 "연말 2단계 증설 2차 확장에 나선다"고 직접 밝히기도 했다. 2차 확장의 핵심은 TBR 생산 설비를 마련하는 데
[더구루(인천)=윤진웅 기자] 미니코리아가 국내 시장 진출 20주년을 맞아 전기차 신모델 3종을 출시했다. 소형차 불모지인 국내 시장에서 미니만의 독특한 문화를 만들어오며 누적 판매 13만 대라는 '이정표'도 세운 미니는 '프리미엄 소형 전기차'에 대한 새로운 방향성을 제시했다. 미니코리아는 13일 인천 영종도 미니 드라이빙센터에서 '더 뉴 올-일렉트릭 MINI 패밀리' 쇼케이스 행사를 열고 △더 뉴 올-일렉트릭 미니 에이스맨 △더 뉴 올-일렉트릭 미니 쿠퍼 △더 뉴 올-일렉트릭 미니 컨트리맨 총 3종을 공식 출시했다. 한동률 BMW그룹코리아 본부장은 "올해 미니가 한국에 처음 발을 디딘 지 20년 되는 해"라며 "그동안 미니는 프리미엄 소형차 매력을 알리는 데 주력한 것과 더불어 미니 만의 자동차 문화를 만들고자 노력했다"고 말했다. 소형차 불모지인 국내 시장에서 누적 판매량 13만 대를 돌파했다는 점을 강조했다. 한 본부장은 "미니는 늘 새로운 변화를 추구하는 브랜드"라며 "전동화 트렌드에 발 맞춰 (BMW)그룹 내 막내지만, 가장 먼저 전기차 라인업을 완성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그러면서 "오늘 출시한 미니 전기차 3종을 통해 미니 브랜드가 그리는 전동
[더구루=홍성일 기자] 스웨덴 상용차 전문기업 스카니아(Scania)가 추가 배터리 공급 업체 확보에 성공했다. 스카니아는 유일한 배터리 공급업체였던 노스볼트(Northvolt) 파산 신청에 공급망 다변화 전략을 가속화한다. [유료기사코드] 13일 로이터통신에 따르면 스카니아는 새로운 배터리셀 공급업체를 확보했다. 스카니아는 추가 공급업체의 이름을 밝히지 않았다. 스카니아는 노스볼트 지분 21%를 보유한 폭스바겐의 산하 상용차 브랜드로, 노스볼트 최대 고객 중 하나다. 특히 스카니아는 그동안 모든 배터리를 노스볼트에서만 공급받아왔다. 스카니아가 추가 배터리 공급사를 찾고 있다는 소식이 전해진 것은 지난해 11월이다. 당시 크리스찬 레빈 스카니아 최고경영자(CEO)가 로이터통신과의 인터뷰에서 "추가로 배터리를 공급할 업체와 논의 중"이라며 "노스볼트에 문제가 생겨도 전기차 생산에 지장이 없도록 할 것"이라고 밝혔다. 스카니아가 새로운 배터리 공급업체를 찾아나선 것은 유일한 배터리 공급업체였던 노스볼트가 경영난에 빠졌기 때문이다. 테슬라 임원 출신 피터 칼슨이 2016년 설립한 노스볼트는 한때 유럽 배터리 산업의 대표주자로 평가받으며 폭스바겐을 비롯해 BMW·골
[더구루=윤진웅 기자] 현대자동차 러시아 협력사들이 일제히 인력 채용에 나서며 현대차 러시아 재진출 여부가 초미의 관심사로 떠오르고 있다. 13일 업계에 따르면 △현대모비스 △현대위아 △피터폼 △현대제철 △성우하이텍 △NVH △대원강업 △동희그룹은 러시아에서 인력 채용을 진행하고 있다. 직책에 따른 월급여를 8만~13만3000루블(약 133만~221만 원)으로 책정하고, 지원율을 높이기 위해 △교통비 지원 △중식 무료 제공 △건강 보험 가입 등 다양한 혜택을 마련했다. 이들 업체의 현지 인력 채용은 현대차의 러시아 '복귀'에 대한 이야기로 이어지고 있다. 연내 현대차 바이백 행사 가능성을 고려한 선제 대응 차원으로 해석되기 때문이다. 앞서 현대차는 지난 2022년 2월부터 시작된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의 여파로 그해 3월 공장 가동을 중단한 뒤 2023년 12월 러시아 업체 아트파이낸스에 상트페테르부르크 공장을 포함한 러시아 지분 100%를 1만 루블(당시 약 14만원) 매각했다. 당시 현대차는 2년 이내에 되살 수 있는 권리(바이백) 옵션을 매각 계약에 포함했다. 바이백 옵션에 대한 권리는 올해 12월까지이다. 이번 채용이 현대차 러시아 복귀와는 무관하다는
[더구루=김은비 기자] 현대자동차 고성능 전기차(EV) 아이오닉 5 N이 '포르투갈 올해의 차' 2관왕에 올랐다. N e-시프트(Shift) 기능을 통한 역동적인 주행 성능과 더불어 아이오닉 5 N에 적용된 모터 시스템에 대한 기술적 성과가 주효했다는 평가다. 13일 업계에 따르면 현대차 아이오닉 5 N은 지난 11일(현지시간) 포르투갈 리스본에서 열린 '2025 포르투갈 올해의 차(Carro do Ano 2025)' 시상식에서 ‘올해의 스포츠·레저 자동차상’과 ‘기술·혁신상’을 수상했다. 올해 심사에는 현지 자동차 전문 기자 18명이 참여했다. 포르투갈 올해의 차 선정위원회에 따르면 아이오닉 5 N은 △N e-시프트 기술력과 △고성능 전기차로서 뛰어난 주행 성능을 인정 받았다. N e-시프트를 통해 내연기관 스포츠카의 8단 듀얼 클러치 변속기(DCT) 변속감을 그대로 구현하면서도 전기차 특유의 즉각적인 가속감과 스포츠카 감성을 동시에 제공했다는 평가다. 여기에 'N 액티브 사운드+(N Active Sound+)' 기능이 더해져 가솔린 스포츠카의 엔진 사운드를 재현, 더욱 역동적인 주행 경험을 선사한다고 덧붙였다. 강력한 파워와 긴 주행 거리도 장점으로 꼽혔
[더구루=윤진웅 기자] 현대자동차가 지난달 베트남 1위 탈환에 아쉽게 실패했다. 지난달 현지 인기 모델 액센트를 내세워 50% 성장세를 보였으나 토요타의 독주를 막지 못했다. 13일 베트남자동차제조업협회(VAMA)에 따르면 현대차 베트남 합작사 현대탄콩은 지난달 베트남에서 3022대를 판매했다. 이는 전년(2033대) 대비 48.64% 증가한 수치이다. 브랜드베스트셀링카 액센트가 455대 판매, 실적을 이끌었으며, 투싼(403대)과 스타게이저(304대), 크레타(303대) 등이 뒷받침했다. 그러나 현대차는 1위 탈환에는 실패했다. 토요타는 지난달 3156대를 판매했다. 이는 전년 동기 1248대 대비 152% 수직성장한 수치다. 베트남은 올들어 2개월 연속 월간 판매 1위 자리를 꿰찼다. 다만, 양사 판매 격차는 지난 1월 342대에서 134대로 좁혀졌다. 토요타 판매는 하이브리드 모델이 견인했다. 하이브리드 모델은 전년 동기 대비 227% 급증한 462대가 판매됐다. 친환경차와 연비효율성을 우선시하는 현지 운전자들의 추세가 반영됐다는 결과이다. 현대탄콩은 신차 출시를 확대, 베트남 정상 탈환에 적극 나서고 있다. 지난해 9월 새롭게 출시한 신형 싼타페와 현
[더구루=정예린 기자] 테슬라 전 사장이 테슬라가 전기차 시장을 주도할 수 있었던 핵심 요인으로 일론 머스크 최고경영자(CEO)가 직접 주도한 실물 기반 제품 회의를 꼽았다. 수치를 담은 프레젠테이션 대신 실제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를 직접 만지며 평가하는 방식이 빠른 피드백과 조직 내 긴장감을 동시에 가능하게 했다는 분석이다. [유료기사코드] 2일 미국 IT 전문 매체 '테크크런치'에 따르면 테슬라의 전 글로벌 세일즈·서비스 총괄 사장이자 현재 제너럴모터스(GM) 이사회 멤버인 존 맥닐은 최근 보스턴에서 열린 'TC 올 스테이지' 행사에서 "첫 번째 규칙은 슬라이드를 금지하는 것이었다"며 "우리는 항상 실제 제품을 검토해야 했다"고 밝혔다. 이어 "매주 고위 임원들과 제품 책임자들이 모여 프로토타입이든 하드웨어든 직접 만지고 작동해보며 진척 상황을 점검했다"며 "이런 문화가 조직에 긴장감을 주고 매주 진척과 혁신이 이어지게 했다"고 덧붙였다. 머스크 CEO의 회의 운영 철학은 애플 창업자 고(故) 스티브 잡스의 조언에서 비롯됐다. 맥닐은 "머스크가 잡스를 찾아가 '하드웨어 비즈니스를 시작하려 한다. 한 가지 조언만 해달라'고 하자, 잡스는 '완벽한 제품을 만
[더구루=김은비 기자] 유럽 전기차 충전 인프라 업체 알피트로닉(Alpitronic)이 미국 충전 시장에서도 빠르게 입지를 넓히고 있다. 테슬라에 이어 미국 내 두 번째로 큰 충전 하드웨어 공급업체로 떠오르며 업계 판도를 흔들고 있다. [유료기사코드] 2일 충전 분석업체 파렌(Paren)에 따르면 알피트로닉은 지난 상반기(1~6월) 미국 급속 충전소 점유율 12%로 2위를 차지했다. 1위는 테슬라다. 점유율 36%를 기록했다. 3, 4위 차지포인트(ChargePoint)와 BTC파워였다. 점유율은 각각 9%, 8%로 집계됐다. 알피트로닉은 월마트·벤츠·아이오나 등 주요 파트너와 잇따라 계약을 체결하며 빠른 속도로 시장을 확장해온 것이 점유율 확대에 주효했다. 특히 GM·현대차·토요타 등이 참여한 초고속 전기차 충전 연합체 ‘아이오나(Ionna)’가 ‘프리미엄 EV 충전소’ 콘셉트인 ‘리차저리(Rechargery)’에 알피트로닉(alpitronic)의 ‘HYC 400’ 모델만을 단독 도입했다. 알피트로닉은 2023년 알피트로닉은 미국 노스캐롤라이나주 샬럿에 본사 및 생산 거점을 두고 있는 이탈리아 볼차노(Bolzano) 기반의 전력전자 전문 기업이다. 최근에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