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구루=최영희 기자] 국내 최대 NFT 마켓 팔라가 미국 하버드 비즈니스 스쿨 MBA 학생 방문단이 15일 서울 강남구 테헤란로에 위치한 팔라 본사를 방문해 ‘필드 글로벌 이머전’ 프로그램을 통해 ‘NFT(대체불가토큰) 시장의 새로운 비즈니스 케이스’를 주제로 발표의 시간을 가졌다고 17일 밝혔다. 필드 글로벌 이머전 프로그램은 미국 하버드 비즈니스 스쿨 MBA의 현장 학습 프로그램 과정의 일환으로 하버드 비즈니스 스쿨 학생들이 글로벌 파트너 회사에 방문해 실제 비즈니스 문제를 효율적으로 이해하고 해결하는 능력을 개발하기 위해 마련된 산학 협력 과정이다. 학생들은 파트너사가 위치한 나라를 방문해 현장 조사, 소비자 조사 등을 거쳐 자신들의 아이디어를 파트너사의 임직원들에게 최종 전달한다. 팔라는 국내 최대 NFT 거래소로 한국 시장의 성공적 NFT 비즈니스 표본이라는 점에서 2023년 글로벌 파트너로 최종 선정되었다. 전 세계 16개국 171개 기업이 선택됐으며 팔라를 포함한 국내 11개 기업이 이번 프로그램에 참여했다. 미국 하버드 비즈니스 스쿨 팀은 NFT에 대한 비즈니스 관점의 심층적 분석은 물론, 소비자 및 유저 분석 인터뷰, 다양한 파트너 기업들과
[더구루=홍성일 기자] 재생 에너지 기반 비트코인 채굴 스타트업 '코민트 데이터 시스템즈(Cormint Data Systems, 이하 코민트)'가 대규모 신규 투자를 유치했다. 코민트는 서부 텍사스에 대규모 채굴용 컴퓨팅 시설 구축에 집중한다. 코민트는 16일(현지시간) 시리즈A 투자 라운드를 통해 3000만 달러(약 400억원)를 조달했다고 밝혔다. 이번 펀딩은 제이미 맥아비티 코민트 대표와 나브 수크 실리콘 랩스 회장이 공동으로 주도했다. 나브 수크 회장과 실리콘랩스의 전 CTO 알레산드로 피오바카리는 코민트의 고문으로 합류한다. 이번 펀딩은 지난해 12월 발행된 1000만 달러 규모 비트코인 표시 약속 어음에 포함돼 총 조달 규모는 4000만 달러(약 540억원)에 달한다. 코민트는 2018년 설립됐으며 재생 에너지를 기반으로 한 친환경 채굴 시스템을 구축한다. 코민트는 자체 개발한 솔루션, 최적화 소프트웨어를 지속적으로 혁신해 북미에서 가장 저렴한 비트코인 채굴업체 중 하나가 된다는 목표다. 코민트는 이번 펀딩을 통해 확보한 자금을 서부 텍사스에 위치한 포트스톡턴에 채굴 시설 구축에 투입한다. 이를 통해 2024년까지 자체 채굴 용량의 2.4EH까지
[더구루=홍성일 기자] 글로벌 가상자산(암호화폐, 가상화폐) 거래소 코인베이스가 통합 멀티체인 거래 인프라 기업 'Zk링크(Zklink)'에 베팅했다. Zk링크는 블록체인 간 거래 시스템을 구축, 멀티체인 생태계 확장한다는 목표다.
[더구루=홍성일 기자] NFT(대체불가토큰) 엔터테인먼트 플랫폼 터부(Taboo)가 신규 투자 유치에 성공했다. 암호화폐 침체기 속 관련 업계에 대한 투자가 줄어들고 있는 가운데 성장세를 보이며 눈길을 끌고 있다.
[더구루=홍성일 기자] 글로벌 가상자산(암호화폐, 가상화폐) 거래소 코인베이스가 탈중앙화 거래소(DEX) 프로토콜 돌로마이트(Dolomite)에 베팅했다. 돌로마이트는 분산형 금융(DeFi, 디파이), DEX 생태계를 확장해 암호화폐 시장 유동성 확보에 속도를 낸다. 돌로마이트를 개발한 리벳 이노베이션은 지난 13일(현지시간) 드레이퍼 고렌 홀름(DGH), NGC 등이 주도한 시드 투자 라운드를 통해 250만 달러(약 34억원)를 조달했다고 밝혔다. 이번 펀딩에는 코인베이스 벤처스, WW벤처스, 식스맨 벤처스(6MV), RR2 캐피탈 등 다수의 기업과 앤젤투자자들이 참여했다. 리벳 이노베이션은 이번에 확보한 자금을 기반으로 다양한 금융 전략과 파트너십을 확보한다. 이를 통해 디파이 생태계 혁신을 주도한다는 계획이다. 리벳 이노베이션은 기존 탈중앙화 자본 시장의 한계를 뛰어넘고, 이전보다 높은 자본효율성과 광범위한 유동성 공급이 가능하도록 만든다는 목표로 다양한 기술을 개발하고 있다. 리벳 이노베이션의 돌로마이트 프로토콜은 아비트럼 네트워크를 기반을 구축됐으며 최근에는 분산형 영구 스왑 거래소 GMX와 GLP(Generalized Liquidity Provid
◇네오핀 글로벌 씨디파이(CeDeFi) 플랫폼 네오핀은 P2E 대체불가토큰(NFT) 게임개발사 노레이턴시(Nolatency Limited)와 파트너십을 체결하고, ‘드로우샵 킹덤 리버스(Drawshop Kingdom Reverse)’를 네오핀에 온보딩한다고 9일 밝혔다. 노레이턴시는 지난해 NFT 스테이킹 서비스인 'NFT-Fi 시스템'을 발표해 업계의 큰 관심을 이끌어낸 바 있다. 올해 정식 릴리즈 예정인 드로우샵 킹덤 리버스 게임은 클레이튼 기반 게임 중 가장 큰 관심을 받고 있는 기대작이다. 아바타, 월드 랜드, 기계, 인형 등 다양한 NFT를 활용해 즐길 수 있는 P2E 게임이자, 주요 특징인 전략 시스템과 타이쿤(Tycoon)을 접목하고 프리 투 플레이(Free-to-Play), 시나리오 모드 및 PvP(플레이어 간 전투) 시스템 등 플레이 요소를 대거 반영된 것이 매력 포인트다. 게임은 기계와 인형을 랜드에 배치하면 NPC들이 방문해 수익을 창출할 수 있고, 인게임 재화로 기계와 인형들을 강화해 매장을 성장시킬 수 있다. 게임 내 재미요소를 통해 유틸리티 토큰인 '조이(JOY)'를 획득하거나 인게임 재화를 구매하는 것으로 사용할 수 있다. 이번 파
[더구루=홍성일 기자] 블록체인 기술을 적용한 다이아몬드 유통 시스템을 개발해 관심을 받았던 블록체인 스타트업 '에버렛저(Everledger)'가 자금 조달에 실패하며 회생 절차를 밟기 시작했다. 13일 업계에 따르면 에버렛저가 추가 투자 조달 실패로 자발적 관리(voluntary administration)에 돌입했다. 자발적 관리는 기업 회생 절차 중 하나로 기업이 부채를 갚을 수 없다고 판단하면 파산관리인을 임명해 회생 방안을 강구, 추지하는 제도다. 에버렛저의 영국 자회사는 상황이 더욱 심각해 아예 청산절차에 돌입했으며 영국에 위치한 지주회사는 법정관리 상태까지는 이르지 않은 것으로 알려졌다. 에버렛저가 2015년 브리즈번에 설립된 블록체인 스타트업이다. 에버렛저는 블록체인 기술을 기반으로 다이아몬드 수명 주기 전체를 추적할 수 있는 기술을 개발했다. 이 기술은 다이아몬드 외에도 다양한 귀금속, 명품 의류, 예술품, 와인 등 사치품 시장 전반에 적용될 수 있어 투자자들의 큰 관심을 받았다. 또한 2022년에는 포드와 배터리 여권 시범 서비스를 시작하기도 했다. 에버렛저는 지난 8년간 5170만 달러가 넘는 투자를 유치했다. 2021년에는 호주 정부의
[더구루=홍성환 기자] 암호화폐 채굴기업 사이퍼마이닝(Cipher Mining)이 채굴기 1만여대를 추가로 도입한다.
[더구루=홍성일 기자] 마이크로소프트의 전 개발자인 안톤 카츠와 에단 펠드먼이 설립한 디지털 자산 거래 기술 기업 '탈로스(Talos)'가 'D3X 시스템즈(D3X Systems)'를 인수했다. 탈로스는 기관 투자자들의 디지털 자산 시장 진입을 가속화한다. 탈로스는 9일(현지시간) 기관 투자자 대상 기술 개발업체 'D3X 시스템즈'를 인수했다고 밝혔다. D3X 시스템즈 팀은 탈로스에 합류, 포트폴리오 엔지니어링 기술 등을 개발한다. D3X 시스템즈의 서비스를 이용하던 투자자들은 탈로스 자산 거래 플랫폼과 화이트 글러브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다. 탈로스는 2018년 설립됐으며 금융기관 대상 디지털자산 거래 기술을 제공하고 있다. 탈로스 플랫폼을 통해 기관 투자자들은 암호화폐 직접거래는 물론 파생상품 거래도 가능하다. 또한 대출, 커스터디(수탁) 업무도 처리할 수 있다. 탈로스는 D3X 시스템즈 인수를 통해 기존 자본 시장에서 검증된 고급 포트폴리오 엔지니어링 기법을 디지털 자산 거래에 적용한다. 포트폴리오 엔지니어링 SaaS 플랫폼은 백테스팅, 팩터 모델링, 최적화, 리밸런싱, 리스크·수익률 보고 등 체계적인 포트폴리오 설계, 구현 서비스를 제공한다. 이를 통
[더구루=홍성일 기자] 영국 공영방송 BBC가 NFT(대체불가토큰)·메타버스 게임 관련 상표를 출원했다. 언론산업에서도 블록체인 기술을 통한 변화가 예고되고 있다. 11일 업계에 따르면 BBC는 미국특허청(USPTO)에 '닥터후(DOCTOR WHO)' 로고를 기반으로 한 상표를 등록했다. 해당 상표는 글로벌 클래스(IC) 003, 009, 016, 025, 038 등 다양한 분야에서 사용될 수 있다. 상표 등록 사실을 처음 전한 지식재산권 전문 변호사 마이크 콘도우디스는 트위터를 통해 "해당 상표는 NFT, 의류, 비디오게임, VR 소프트웨어와 하드웨어, 사운드와 비디오 레코딩 등 다양한 부문을 커버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BBC는 상표와 관련해 상세한 정보를 공개하지는 않았다. 하지만 상표 등록이 이뤄진 만큼 향후 NFT는 물론 메타버스와 관련된 가상현실 소프트웨어 등을 개발할 것으로 전망된다. BBC의 NFT 관련 상표 등록과 함께 언론산업에서도 블록체인 생태계 구축에 속도가 붙고 있다. 가상자산 전문매체인 '코인텔레그래프'가 지난해 간행물을 NFT로 전환하는 서비스를 시작하는 등 블록체인 기술 도입에 적극적으로 나서고 있다.
[더구루=홍성일 기자] 삼성전자, 위메이드 등의 투자를 유치한 바 있는 가상자산(암호화폐, 가상화폐) 운용사 하이퍼리즘(Hyperithm)이 레이어1 블록체인 네트워크 세이(Sei)에 투자했다. 하이퍼리즘은 10일 세이 블록체인 네트워크에 투자를 단행했다고 밝혔다. 하이퍼리즘은 세이 블록체인이 도쿄 웹3 스프링 해커톤 스폰서를 맡는 등 일본 활동을 늘릴 것이라고 덧붙였다. 이에 향후 세이 블록체인의 일본 활동에 있어 하이퍼리즘의 지원이 있을 것으로 전망된다. 세이는 DeFi에 최적화된 블록체인을 목표로 개발된 레이어1 블록체인이다. 세이는 기존의 블록체인 네트워크가 특정 분야가 아닌 광범위한 분야에 적용될 수 있도록 개발된 것과는 다르게 암호화폐 거래에 집중하고 있다. 이를 통해 기존 블록체인 네트워크가 할 수 없었던 작업이 가능해졌다. 또한 세이 블록체인은 다른 블록체인이 유저에게 초점을 맞추고 있다면 개발자에 초점을 맞추고 있어 생태계 확장에 유리하다고 설명이다. 하이퍼리즘 관계자는 "세이 블록체인은 트레이딩에 특화된 최초의 레이어1 블록체인"이라며 "하이퍼리즘도 트레이딩에 특화된 사업으로 시작한 기업이기 때문에 매력을 느껴 투자하게 됐다"고 말했다.
[더구루=홍성일 기자] 미국의 웹3 IP, NFT컬렉션 스타트업 '퍼지 펭귄(Pudgy Penguins)'이 암호화폐 겨울 속 시드 투자 유치에 성공했다. 퍼지 펭귄은 IP(지식재산권)을 활용한 웹3 사업 확대에 집중한다. 퍼지 펭귄은 9일(현지시간) 1kx가 주도한 시드 투자 라운드를 통해 900만 달러(약 120억원)를 조달했다고 밝혔다. 이번 펀딩에는 빅브레인홀딩스, 크로노스 리서치, 오드 패션 리서치, CRIT 벤처스 등이 투자자로 참여했다. 퍼지 펭귄은 2021년 설립됐으며 2022년 4월 웹3 부문 기업가인 루카 네츠에 인수됐다. 퍼지 펭귄은 통통한 펭귄들이라는 뜻으로 150개의 특성을 가진 펭귄 캐릭터를 조합해 제작된 8888개 NFT로 구성된 컬렉션이다. 2021년 7월 출시된 직후 19분만에 모든 NFT가 완판되며 화제가 되기도 했다. 2022년 퍼지 펭귄을 인수, CEO에 오른 루카 네츠는 IP 경쟁력 확보를 최우선 목표로 다양한 사업을 진행했다. 이에 퍼지 펭귄의 GIF 조회수는 30억 회를 넘어섰으며 인스타그램 팔로우도 50만명을 넘어섰다. 퍼지 펭귄은 이렇게 확보한 IP 경쟁력을 기반으로 다양한 굿즈도 판매하고 있다. 퍼지 펭귄은 이번
[더구루=길소연 기자] 미국 인공지능(AI)·데이터 분석 기업 팔란티어 테크놀로지스(이하 팔란티어)가 미국 텍사스에 데이터센터 설립을 검토한다. 미국 에너지 개발기업인 페르미 아메리카(Fermi America, FRMI)가 최대 규모의 민간 전력망(HyperGridTM)과 AI·데이터센터 복합단지를 조성하는데 함께할 전망이다.
[더구루=길소연 기자] 폭스바겐 그룹이 전기차(EV) 시장의 새로운 주도권을 잡기 위해 전기차 가치 사슬의 핵심인 스페인 배터리 셀 제조 설비 구축에 박차를 가한다. 폭스바겐은 독일 잘츠기터(Salzgitter) 공장을 시작으로 스페인 발렌시아(Valencia), 캐나다 세인트 토마스(St. Thomas) 등에 기가팩토리를 구축, 표준화된 프로세스·장비·워크플로우를 적용해 경쟁력을 확보한다는 전략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