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구루=김은비 기자] 현대자동차가 올해 이스라엘 자동차 시장에서 토요타를 제치고 '왕좌'를 차지했다. 기아도 '톱3'에 이름을 올리며 국내 완성차 브랜드의 저력을 입증했다. 현대차·기아는 중동 주요 시장 중 하나인 이스라엘에서 존재감을 키우고 있는 모양새다. 8일 중국 자동차 매체 오토홈에 따르면 현대차는 지난 1~4월 이스라엘에서 1만5691대를 판매, 전체 브랜드 중 판매 순위 1위를 차지했다. 이는 전년 동기 대비 14.6% 증가한 수준으로, 시장 점유율은 13.5%를 기록했다. 현대차가 누적 순위 1위를 차지한 데에는 지난달 판매량 급증한 것이 주효했다. 4월 판매 순위 1위인 토요타(2890대)의 판매량은 10.6% 증가한 반면, 현대차 지난달 판매량(2810대)은 전년 동월 대비 69.8% 상승했다. 토요타와 현대차의 판매량 차이는 80대에 불과하다. 토요타는 1~4월 누적 1만4627대를 판매, 2위를 기록했다. 점유율은 12.5%다. 기아는 같은 기간 누적 판매량 9877대를 기록, 3위에 올랐다. 점유율 8.5%다. 4월 판매량은 1364대로, 점유율은 7%를 기록했다. 4위부터는 △체리(6431대, 5.5%) △스코다(9303대, 8.0%
[더구루=김은비 기자] KG모빌리티(옛 쌍용자동차)가 지난달 영국 자동차 시장에서 역주행했다. 올들어 3월까지 증가세를 보였으나 지난달 판매는 승용차 기준 전년 동기 대비 절반으로 줄었다. 8일 영국자동차제조판매협회(SMMT)에 따르면 KG모빌리티는 4월 한달동안 영국에서 승용차 72대, 상용차(LCV) 103대를 판매했다. 승용차 기준 전년 동기(139대) 대비 48.2% 감소했으며, 전체 시장 점유율은 0.06%다. LCV를 포함할 경우 전체 판매량은 175대로 감소폭은 다소 줄어든다. 앞서 KG모빌리티은 지난 1분기 영국에서 총 1046대를 판매, 전년 938대 대비 11.5% 증가하는 등 성장세를 보였었다. 업계는 KG모빌리티의 영국 내 브랜드 인지도와 라인업 부족 등을 판매 부진 주요 요인으로 지목하고 있다. KG모빌리티는 한때 티볼리·렉스턴 등 내연기관 중심 스포츠유틸리티차량(SUV) 라인업을 앞세워 일정 수요를 확보해왔다. 전기차 라인업도 한몫했다. 전기차 모델은 지난해 5월 출시한 전기 SUV 모델 '토레스 EVX' 단 1종 뿐이다. 특히 영국을 포함한 유럽 전역에서 전기차 전환이 빠르게 진행되고 있어 향후 성장을 위해서는 전동화 전략 강화가
[더구루=정예린 기자] 현대자동차가 전기자동차 구동 시스템에 세계 1위 차량용 반도체 기업인 독일 '인피니언 테크놀로지(이하 인피니언)'의 차세대 실리콘카바이드(SiC) 초접합 기술을 도입한다. 인피니언과의 협력이 본격적인 결실을 맺으며, 전력반도체의 고효율·소형화를 바탕으로 전기차 성능 향상과 기술 경쟁력 강화가 기대된다. 8일 인피니언에 따르면 현대차는 인피니언의 SiC TSJ(Trench Super Junction) 기술 기반 전력반도체 'ID-PAK 1200V'를 자사 전기차 파워트레인 시스템에 적용한다. ID-PAK은 전력 효율과 내구성, 패키지 안정성을 고려해 고안된 형태로, 1200V(볼트) 전압을 처리할 수 있는 고출력 전기차용 반도체다. 현대차는 인피니언의 차세대 SiC TSJ 기술을 채택한 첫 글로벌 완성차 고객사다. 현재 인피니언과 함께 해당 기술을 적용한 구동 시스템을 시험 중이다. 이를 통해 전력 변환 시스템을 더 작고 효율적으로 만들고 전기차 전체 시스템 성능을 극대화할 계획이다. SiC TSJ 기술은 트렌치(홈 구조)와 초접합 기술을 결합해 전력 소자의 효율성과 성능을 크게 향상시킨 혁신 전력반도체 솔루션이다. 전기차의 전력 변환
[더구루=홍성일 기자] 테슬라의 무인 자율주행차 모델명 선정 작업이 난관에 봉착했다. 무인 자율주행차 모델명 확정이 지연되면서 내달 출시를 앞두고 우려의 목소리가 나오고 있다. [유료기사코드] 8일 미국 특허청(USPTO)에 따르면 테슬라가 지난해 10월 출원한 '로보택시(Robotaxi)' 상표에 대해 '예비 거부 통지(nonfinal office action)' 결정을 내렸다. 예비 거부 통지는 상표 등록을 완전히 거절하기 전 출원자에게 반론 시간을 부여하는 단계다. 테슬라는 3개월 혹은 6개월(비용 지불시) 내 반박자료를 제출할 수 있다. 만약 반박자료가 제출되지 않을 경우 등록 거부가 확정된다. USPTO의 성명에 따르면 로보택시 상표 자체와 충돌하는 상표는 없었다. 문제는 USPTO가 로보택시를 무인 자율주행차를 설명할 때 사용하는 보통명사로 판단했다는 점이다. USPTO는 "로보택시는 '차량 공유 서비스에 이용되는 자율주행차'를 설명하는데 사용하는 용어"라며 "더버지와 죽스 등에 따르면 이 용어는 다른 회사에서 유사한 상품과 서비스를 설명하는데 사용된다는 것을 알 수 있다"고 설명했다. 이번 결정으로 테슬라 무인 자율주행차 모델명 선정이 원점으로
[더구루=김은비 기자] 현대자동차·기아가 영국 자동차 시장에서 고속 질주하고 있다. 기아가 지난달 현지 판매 순위 2위를 기록했으며 현대차의 경우 연초 대비 4계단 오른 6위를 차지했다. 8일 영국자동차제조판매협회(SMMT)에 따르면 기아는 지난달 8320대를 판매, 전체 신차 판매 순위에서 2위를 차지했다. 점유율은 6.9%다. 현대차는 같은 기간 6524대를 판매, 6위에 올랐다. 이는 지난 1월 10위에서 4계단 상승한 순위다. 점유율은 5.4%로 집계됐다. 1위는 폭스바겐이 차지했다. 1만474대(점유율 8.7%)를 판매했다. BMW는 8086대(6.7%)를 판매, 기아에 이어 3위에 올랐다. 이어 △아우디(8017대, 6.6%) △포드(7006대, 5.8%) △푸조(5914대, 4.9%) △메르세데스 벤츠(5371대, 4.4%) △토요타(5301대, 4.4%), 복스홀(5162대, 4.3%) 순으로 이어졌다. 현대차·기아의 영국 내 양호한 성적은 전기차 중심 라인업 강화와 실용성, 디자인을 겸비한 전략형 모델 인기가 주효했다는 분석이다. 현대차는 아이오닉 5·6을 중심으로 한 전동화 전략에 더해, 곧 출시 예정인 대형 전기 SUV 아이오닉 9을 통해
[더구루=김은비 기자] 현대자동차 전기차 '아이오닉 9'이 영국 '2025 탑기어닷컴 전기차 어워드'를 수상했다. 유럽 공식 출시를 목전에 두고 최우수 전기차로 선정되면서 현지 흥행몰이가 예상된다. 기아 EV3 역시 최고 크로스오버 부문에서 수상했다. 8일 탑기어에 따르면 현대차 아이오닉 9가 영국 '2025 탑기어닷컴 전기차 어워드(TopGear.com Electric Awards 2025)'에서 ‘최우수 7인승 전기차(Best Seven-Seat EV)’로 선정됐다. 현대차는 지난 2023년 아이오닉 5 N, 지난해 싼타페에 이어 3년 연속 수상했다. 기아 EV3의 경우 ‘최고의 EV 크로스오버(Best EV Crossover)’ 부문을 수상했다. 지난해에 이어 2년 연속이다. 탑기어닷컴 전기차 어워드는 올해로 6회째를 맞은 전기차 전문 시상식으로, 세계 각국의 혁신적인 전동화 모델을 대상으로 다양한 부문에서 수상작을 선정한다. 아이오닉 9은 △세련된 디자인 △우수한 실용성 △첨단 기술 등을 고루 갖춘 점이 높이 평가됐다. 잭 릭스 탑기어 편집장은 “아이오닉 9는 단순히 사람을 태우는 것을 넘어 현대차 특유의 디자인 감각과 실용적 사고가 조화를 이룬 모델
[더구루=오소영 기자] 미국 완성차 업체 포드가 스페인 발렌시아 공장에 현대자동차그룹의 자회사 보스턴다이내믹스의 로봇개 '스팟(SPOT)'을 배치해 본격 활용한다. 미국 변속기 공장에서 설계 최신화 작업에 투입해 효과를 확인한 후 스팟의 적용 범위를 유럽으로 확대하고 있다. 8일 포드 어소리티 등 외신에 따르면 쿠마르 갈호트라(Kumar Galhotra) 포드 최고운영책임자(COO)는 지난 5일(현지시간) 1분기 실적발표 컨퍼런스콜에서 "스페인 발렌시아 공장에서 보스턴다이내믹스의 로봇개를 도입했다"며 "실험이 시작된 곳이 바로 여기(발렌시아 공장)"라고 밝혔다. 이어 "이 로봇개는 보고, 듣고, 진동을 느끼고, 오일 누출 냄새까지 감지할 수 있는 센서가 내장됐다"고 부연했다. 갈호트라 COO는 로봇개 도입에 상당한 만족을 표했다. 그는 "예방 정비 방식을 완전히 바꿔놓았다"며 "(로봇개가) 하루 종일 공장을 돌아다니며 사람보다 빨리 이상 상태를 감지할 수 있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포드는 지난 2020년 스팟 2대를 임대해 미시간주 반다이크 변속기 공장에서 활용한 바 있다. 스팟은 공장을 스캔해 컴퓨터 지원 설계(CAD)를 업데이트하는 작업을 지원했다. 카
[더구루=김은비 기자] 한국이 슈퍼카 람보르기니 글로벌 상위 판매국에서 '6위'를 차지했다. '오일머니'의 중동과 유럽 휴양 도시 모나코 왕국을 포함한 프랑스를 크게 앞질렸다. 8일 오토모빌리 람보르기니에 따르면 지난 1분기(1~3월) 국내에서 판매된 람보르기니 134대(고객 인도량 기준)에 달한다. 이는 람보르기니 1분기 글로벌 인도량이 2967대라는 사실을 고려하면 4.5%에 해당하는 비중이다. 특히 한국 순위는 지난해 말 기준 보다 한 계단 올랐다. 1위는 933대가 판매된 미국이 차지했다. 독일과 영국이 각각 366대와 272대를 기록, '톱3'에 이름을 올렸다. 이어 △일본(187대) △이탈리아(143대) △스위스(95대) △호주(85대) △프랑스·모나코(76대) 순으로 이어졌다. 국내 순위가 오른 배경은 하이브리드 신차 효과로 분석된다. 람보르기니는 하이브리드 모델 ‘레부엘토(Revuelto)’와 ‘우루스 SE(Urus SE)’를 국내에 선보인 바 있다. 레부엘토는 브랜드 최초 V12 플러그인 하이브리드 슈퍼카로 지난 2023년 6월 국내에 출시했었다. 우루스 SE는 인기 스포츠유틸리티차량(SUV) 우루스를 하이브리드(PHEV)로 진화시킨 모델로
[더구루=김은비 기자] 현대자동차가 미국에서 '마이현대 위드 블루링크(MyHyundai with Bluelink)’ 애플리케이션(앱)을 업데이트했다. 전기차(EV) 충전·결제 단계를 간소화하고 테슬라 슈퍼차저를 포함한 주요 충전 네트워크와의 연동 범위를 넓혔다. 앱 내 공공 충전 기능을 대폭 강화하는 한편 전기차 사용자 편의성까지 업그레이드해 전기차 시장에서 입지를 확대한다는 방침이다. 7일 현대차에 따르면 북미법인은 최근 미국에서 전기차 공공 충전을 간편하게 할 수 있는 '인앱 차징(In-App Charging)'과 '플러그 앤 차지(Plug and Charge)' 기능을 블루링크 내에 추가했다. 인앱 차징은 사용자가 블루링크 앱 내에서 충전소 검색, 경로 안내, 충전 시작, 결제까지 원스톱으로 진행할 수 있는 기능이다. 별도 서드파티 앱이나 실물 카드 없이도 앱에 등록된 현대 페이(Hyundai Pay) 결제 정보를 기반으로 충전이 가능하며, 차량 내 인포테인먼트 화면에서도 실시간 경로 및 충전 계획을 설정할 수 있다. 플러그 앤 차지는 별도 인증이나 결제 없이 충전기에 차량을 연결하기만 하면 자동으로 인증 및 과금이 진행되는 기능이다. 아이오나(IONN
[더구루=김은비 기자] 미국 전기차 생산업체 리비안이 미국 일리노이주 노멀(Normal)에 신규 부품 공급단지를 조성하기 위해 1억1960만 달러(약 1670억원)를 투자한다. 공급망을 공장 인근으로 집약해 생산 효율성을 높이고 자국내 생산 거점을 강화한다는 방침이다. [유료기사코드] 7일 업계에 따르면 리비안은 노멀 공장에 최소 1억1960만 달러를 투자, 인근에 부품 공급업체 유치를 위한 산업단지를 조성할 계획이다. 이를 통해 약 100개 이상의 일자리가 창출될 전망이다. 이 비용은 일리노이 주정부가 추진 중인 '에너지 운송수단 재창조(Reimagining Energy and Vehicles Program, REV)' 프로그램을 통해 일부 조달한다. 일리노이 주정부는 리비안에 총 1600만 달러(222억 6880만 원) 규모 인센티브와 더불어 20년간 세금 간면 혜택(500만 달러 상당)과 자본 보조금 등을 제공한다. 리비안은 현재 노멀 공장에서 픽업트럭 R1T, 스포츠유틸리티차량(SUV) R1S, 그리고 상업용 전기밴 등을 생산 중이다. 지난 해 초 리비안이 건설을 중단한 조지아주 공장 대신 노멀 공장에서 내년 상반기(1~6월)부터 차세대 전기 SUV
[더구루=정등용 기자] 테슬라가 자동기어변속기 특허 소송에 휘말렸다. 7일 블룸버그에 따르면 불렛프루프 프로퍼티 매니지먼트(Bulletproof Property Management)는 미국 텍사스 서부 지방 법원에 테슬라를 상대로 한 특허 침해 소송을 제기했다. 문제가 된 특허는 운전자가 수동으로 변경할 필요 없이 스티어링 입력에 따라 차량의 변속기를 자동으로 변속할 수 있는 차량 기어 선택 제어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더구루=정예린 기자] 베트남 자동차 산업이 단순 조립과 내수 판매를 넘어, 기술 중심의 제조와 수출 산업으로 탈바꿈하고 있다. 그 중심에는 현대자동차와의 전략적 합작을 통해 완성차 수출 시대를 연 탄콩그룹이 있다는 평가가 나온다. 3일 베트남 온라인 매체 리타임(Reatimes)에 따르면 담 황 푹(Đàm Hoàng Phúc) 하노이 공과대학교(HUST) 기계공학부 교수 겸 자동차공학 교육과정 책임자는 이 매체와의 인터뷰에서 "탄콩그룹은 기술 이전과 인력 양성을 중심으로 자동차 산업 생태계를 구축한 드문 사례"라며 "베트남 자동차 산업의 전환점을 보여주는 결정적 사건"이라고 분석했다. 이어 "베트남 기업들이 그동안 국내 조립에만 머물렀던 이유는 기술 이전과 품질 관리, 공급망 구축의 어려움 때문이었다"며 "하지만 탄콩그룹은 초기부터 단순 조립에 머무르지 않고 현대차와의 전략적 합작을 통해 기술 내재화와 현지 인력 역량 강화에 집중해 왔다”며 자립 기반을 적극적으로 구축한 것을 높게 평가했다. 탄콩그룹은 2009년 현대차의 베트남 내 독점 유통권을 확보하며 현대차와 인연을 맺었다. 2011년 생산을 위탁하는 방식(CKD)으로 현대차 자동차 생산을 시작했다.
[더구루=홍성일 기자] 마이크로소프트(MS)의 창업자 빌 게이츠가 설립한 미국 소형모듈원자로(SMR) 스타트업 '테라파워'가 미국 엔지니어링·건설·프로젝트 관리 회사 'KBR'과 손잡았다. 테라파워는 KBR과 협력을 강화해 영국 원전 시장 진출에 속도를 낸다. [유료기사코드] 테라파워는 15일(현지시간) KBR과 영국에 소듐냉각고속로(SFR) 발전 시스템 '나트륨(Natrium®)'을 구축하는데 협력하기로 했다고 밝혔다. 테라파워와 KBR은 올해 3월 나트륨 상용화를 위한 전략적 제휴를 체결한 바 있다. 나트륨은 액체 나트륨(소듐)을 냉각재로 사용하는 SMR과 용융염 기반 에너지 저장 시스템를 통합해 만들어졌다. 소듐은 끓는점이 880℃로 기존 냉각제인 물보다 8배 이상 높아 많은 열을 흡수하면서 발전 출력을 높일 수 있다. 안정적이고 핵폐기물도 적다는 장점을 지녔다. 용융염 기반 에너지 저장 시스템은 원자로에서 생성된 열을 용융염 형태로 저장한다. 용융염은 가열된 상태로 보관되며, 추가 에너지가 필요할시 증기를 가열하는데 사용된다. 이를 통해 나트륨 원자로 전력 출력인 345MWe보다 더 많은 전력이 필요할 때 500MWe까지 발전 용량을 늘릴 수 있다.
[더구루=정예린 기자] 미국 배터리 스타트업 '앰프리우스 테크놀로지(Amprius Technologies, 이하 앰프리우스)'가 약 6개월 만에 직전 수주 대비 3배 이상 커진 규모의 무인항공기(UAS)용 배터리 공급 계약을 따냈다. 기존 고객과의 신뢰를 기반으로 신규 수주를 확보하며 고에너지밀도 실리콘 음극 배터리 기술의 우수성을 입증, 글로벌 UAS 시장 점유율 확대에 속도를 낼 전망이다. [유료기사코드] 앰프리우스는 15일(현지시간) 익명의 UAS 제조업체와 3500만 달러 규모의 'SiCore' 배터리셀을 공급하는 계약을 체결했다고 발표했다. 이번 수주는 지난 2월 체결한 1500만 달러 규모 수주의 후속 주문으로, 같은 고객사와의 지속적인 협력 관계를 구축하고 있음을 보여준다. <본보 2025년 2월 28일 참고 '현대공업 투자' 美 앰프리우스, 무인항공기용 실리콘 음극재 배터리 수주> 앰프리우스가 공급하는 SiCore는 고정된 날개를 이용해 비행하는 UAS에 장착된다. 군용 장거리 감시·정찰 드론뿐만 아니라 재난 대응, 탐색·구조, 대규모 농업 모니터링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 가능하다. SiCore가 높은 에너지밀도를 갖춰 UAS 무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