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구루=오소영 기자] 미국 뉴스케일파워가 루마니아 소형모듈원자로(SMR) 사업 속도를 낸다. 약 1년 동안 원전 설계와 사업비 산출 등을 추진한다. 미국 정부의 지원을 받아 루마니아 사업에 진전을 보이면서 두산에너빌리티의 루마니아발 기자재 수주가 기대된다. 뉴스케일파워는 미국 플루어(Fluor)와 루마니아 SMR 사업관련 기본설계(FEED) 2단계 계약을 체결했다고 9일(현지시각) 미국 증권거래소에 공시했다. 플루어는 뉴스케일파워의 대주주이자 SMR 설계·조달·시공(EPC)을 담당하는 회사다. 지난 7월 루마니아 SMR 사업의 주관사인 로파워(RoPower)와 FEED 2단계에 대한 주계약을 맺은 바 있다. 이어 뉴스케일파워와도 계약 체결에 성공했다. 로파워는 루마니아 원자력공사(SNN)와 민간 에너지회사인 노바 파워 앤 가스(Nova Power & Gas)가 공동 설립한 회사다. 뉴스케일파워는 이번 계약에 따라 약 1년 동안 FEED 2단계를 진행한다. 원자로와 원자로 건물에 대한 설계, 인허가 지원, 사업비 산출 등을 수행할 예정이다. 이후 루마니아 규제기관의 인허가 심사, 기기 제작 등 본격적인 사업이 이어질 것으로 전망된다. 뉴스케일파워는 지
[더구루=오소영 기자] 루마니아 원자력공사(Societatea Nationala NUCLEARELECTRICA, SNN)가 원전을 2기에서 5기로 확대한다는 목표를 재확인했다. 대형·소형 원전 모두 활용해 전력 수요 증가에 대응한다. 세계 최대 우라늄 생산국인 카자흐스탄과 핵연료 확보를 위한 굳건한 협력 관계를 지속하겠다는 의사도 내비쳤다. 9일 카자흐스탄 국영 통신사인 카진포름에 따르면 코스민 기짜(Cosmin Ghita) SNN 사장은 지난 1일 인터뷰에서 "현재 원전 2기가 있는데 같은 부지에 2기를 더 짓고 별도 장소에 SMR을 설치할 예정"이라며 "총 2기에서 5기로 늘리겠다"고 전했다. SNN은 체르나보다 원전 1·2호기에 더해 3·4호기 건설을 추진하고 있다. 각각 오는 2030년·2031년 가동한다는 목표로 공급사를 찾고 있다. 한국수력원자력은 사업 수주에 관심을 표하고 있다. 또한 SNN은 도이세슈티 지역에 석탄화력발전소를 페쇄하고 남은 부지에 462㎿ 규모의 SMR 발전소를 구축한다. 미국 뉴스케일파워의 77㎿급 SMR 6기를 설치해 2030년 상업운전할 계획이다. 기짜 사장은 "원전은 팬더믹과 같은 혼란 속에서도 일관되게 전력을 공급했다"
[더구루=홍성환 기자] 우즈베키스탄와 러시아가 조만간 원자력 발전소 건설 사업 협상을 마무리할 전망이다. 1일 코트라 '우즈베키스탄 1호 원전 건설 협상 마지막 단계' 보고서에 따르면 우즈베키스탄 정부는 러시아 원자력공사 로사톰과 원전 건설 협상을 진행 중이다. 양측은 우크라이나 침공 사태로 중단됐던 협상을 지난해 재개했고, 지난 11월 저출력 운전 상태와 원전 직원 직무교육에 관한 사항이 합의했다. 건설 계약은 마무리 단계에 있으며 연내 착공하는 것이 목표다. 우즈베키스탄은 2019~2029년 우즈베키스탄 원자력 발전 계획에 따라 2030년까지 총 2.4GWh 규모, 각 1.2GWh 용량의 원전 2개를 건설할 계획이다. 연간 발전량은 1만8900GWh/h로 예상된다. 이는 우즈베키스탄 전체 발전량의 25%로 우즈베키스탄의 전력난을 해결해 줄 것으로 기대된다. 우즈베키스탄은 현재 건설 예정인 원전 외에도 추가적인 원전 건설을 추진할 계획이다. 한국도 소형모듈원자로(SMR)를 앞세워 향후 건설될 원전 수주전에 적극적으로 참여할 가능성이 높다. 코트라는 "우즈베키스탄 원전 건설은 국가 에너지 정책과 지속 가능한 발전을 위한 중요한 전략이며 국제적인 협력과 안전성
[더구루=오소영 기자] 미국 홀텍 인터내셔널의 크리스 싱(Krishna Singh) 설립자 겸 최고경영자(CEO)가 나렌드라 모디 인도 총리와 회동했다. 청정 에너지를 확대하고 에너지 자립을 이루려는 인도 정부의 의지를 높게 평가했다. 현지 정부의 에너지 목표를 달성할 수단으로 소형모듈원자로(SMR)의 가능성도 적극 알렸다.
[더구루=오소영 기자] '세계 최초 탈원전' 국가였던 이탈리아가 원전 재개로 돌아섰다. 10년 이내에 원전을 가동하고 2050년까지 원전 비중을 11~22%로 확대한다. 이를 위해 원전을 포함한 에너지 계획안을 유럽연합(EU) 당국에 제출했으며, 소형모듈원자로(SMR) 법안도 마련한다. 원전 도입에 본격 시동을 걸며 우수한 기술을 보유한 한국 업체들의 수혜가 기대된다.
[더구루=오소영 기자] 한국수력원자력이 세계 최대 스마트시티 행사에 처음으로 참가한다. 황주호 한수원 사장이 토론자로 나서고 한국관 내 전시 공간을 활용해 '소형모듈원자로(SMR)'와 '스마트 넷제로 시티(SSNC)'를 알린다. 차세대 원전 시장을 주도하고자 유럽과 중동 등 전 세계를 무대로 홍보 활동을 펼친다. 27일 업계에 따르면 한수원은 오는 11월5일부터 7일까지 스페인 바르셀로나에서 열리는 '2024 스마트시티 엑스포 월드 콩그레스(SCEWC)'에 참가한다. SCEWC는 바르셀로나시와 피라 바르셀로나가 주최·주관하는 행사다. 매년 약 140개국, 700여 개 도시와 800여 개 기업, 연구센터 등이 참가한다. 올해 행사는 'LIVE BETTER(더살기 좋은 도시)' 주제로 열린다. 디지털 변환과 도시 환경, 모빌리티, 공유 도시 등 스마트 인프라·차세대 모빌리티 기술을 엿볼 수 있다. 황 사장은 6일 오전 11시20분부터 약 45분 동안 진행되는 세션에 토론자로 무대에 선다. 'Eco-Urbanism: Responding to a Changing Climate(생태 도시주의: 기후변화에 대응하기)'을 주제로 사우디아라비아 부동산 개발사 로쉰(ROSH
[더구루=홍성환 기자] 현대건설·홀텍인터내셔널(Holtec International)이 영국 소형모듈원전(SMR) 사업 1차 관문을 통과했다. SMR 분야 글로벌 선도 기업으로 평가받는 뉴스케일파워(NuScale Power)는 고배를 마셨다. 영국 원자력청(GBN·Great British Nuclear)은 25일(현지시간) SMR 초기입찰 결과를 발표했다. △홀텍인터내셔널 △GE히타치뉴클리어에너지 △롤스로이스SMR △웨스팅하우스 등 네 곳을 선정했다. 뉴스케일파워는 탈락했다. GBN은 초기입찰을 통과한 사업자와 협상을 진행할 예정이다. 올해 말이나 내년 초 최종 사업자 두 곳을 선정한다는 방침이다. 자국 기업인 롤스로이스SMR이 가장 유력한 후보로 꼽히는 가운데 나머지 세 개 업체가 한 자리를 놓고 경쟁할 것으로 예상된다. 영국 당국은 윌파나 올드버리 부지에 SMR을 건설할 전망이다. 2030년대 초반 SMR을 가동한다는 목표다. 영국은 SMR을 통해 2050년까지 원전 발전 용량을 24GW(기가와트)로 확대한다는 방침이다. 전력의 25%를 원전에서 공급받고 2050년 탄소중립을 달성하겠다는 목표를 세우고 있다. 홀텍은 현대건설과 손을 잡고 영국 SMR 개발
[더구루=오소영 기자] 인도 정부가 2032년까지 원전 발전용량을 22.4GW로 세 배 늘린다. 현지 기업들의 참여를 독려하는 동시에 러시아와 최대 6개 원전 건설 협상을 추진 중이다. 22일 더힌두와 파워테크놀로지 등 외신에 따르면 인도 정부는 2070년 탄소중립을 목표로 내걸며 주요 에너지원으로 원전을 삼고 있다. 현재 7.4GW에서 2029년 13GW, 2032년 22.4GW로 점차 확대한다. 이를 위해 약 260억 달러(약 34조원)의 민간 투자 유치를 추진하고 있다. 릴라이언스 인더스트리와 타타 파워, 아다니 전력, 베단타 등 최소 5개 민간기업과 각각 약 440억 루피(약 6960억원) 투자를 위한 협의를 진행 중이다. 소형 원전 연구에도 민간 참여를 독려하고 있다. 올해 예산안을 통해 119억 달러(약 15조8000억원)를 지원할 계획이다. 아누샤크티 비드휴트 니감은 인도의 대표 원전 기업이다. 타밀나두와 카르나타카, 자르칸드, 차티스가르, 구자라트 등 다수 지역에서 신규 원전 건설을 주도하고 있다. 인도는 러시아와도 원전에 긴밀히 협력하고 있다. 현지 최대 규모인 쿠단쿨람 원전 건설을 러시아에 맡겼었다. 2014년 1기, 2016년 2기 가동을
[더구루=오소영 기자] 카자흐스탄 정부가 원전 건설의 찬반을 물을 국민투표를 시행하기 위한 문턱을 넘었다. 내달 국민투표를 실시하고 원전 사업의 향방을 결정짓는다. 한국과 프랑스, 중국, 러시아 등 잠재 파트너도 카자흐스탄을 주목하고 있다.
[더구루=정등용 기자] 미국 IT 기업 오라클이 소형 모듈형 원자로(SMR) 3기에 대한 건설 허가를 획득했다. SMR 3기는 향후 오라클의 데이터센터에 전력을 공급할 예정이다.
[더구루=오소영 기자] 체코전력공사(CEZ)가 연내 소형모듈원자로(SMR) 공급사를 정한다. 체코 기업들과의 협력을 최우선 조건으로 내걸었다. 최소 10기 이상 SMR 건설을 선언하면서 미국 '웨스팅하우스'와 미·일 합작사 'GE히타치', 영국 '롤스로이스'가 막판 홍보전에 열을 올리고 있다.
[더구루=홍성환 기자] 현대건설과 웨스팅하우스가 스웨덴·핀란드 등 북유럽에서 대형 원자력 발전소 건설 사업 수주 기회를 공동으로 모색한다. 양사 간 협력을 강화해 해외 원전 시장 진출에 속도를 높이는 모습이다. 웨스팅하우스는 10일(현지시간) 현대건설과 AP1000 원자로 기술을 기반으로 스웨덴·핀란드 원전 사업에 협력하는 내용의 협약을 체결했다고 밝혔다. 이는 앞서 양사가 지난 2022년 5월 맺은 대형 원전 글로벌 사업 공동 참여를 위한 전략적 협약을 기반으로 한다고 웨스팅하우스 측은 설명했다. 웨스팅하우스와 전략적 협약 체결을 국내 기업은 현대건설이 처음이다. 웨스팅하우스는 지난 2월 스웨덴 국영 전력사 바텐팔(Vattenfall)과 스웨덴 남서부 할란드주(州) 바르베리 지역에 위치한 랑할 원전에 신규 원전을 건설하기로 합의했다. 오는 2030년 가동을 목표로 사업을 추진한다. 또 작년 6월에는 핀란드 국영 에너지 기업 포르툼(Fortum)과 핀란드·스웨덴에서 신규 원전 건설 기회를 모색하는 협약도 맺었다. 대니얼 립맨 웨스팅하우스 에너지시스템 회장은 "글로벌 최고 수준의 건설사인 현대건설과 협력해 스웨덴과 핀란드에 원전 기술을 제공, 국가 에너지 안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