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구루=길소연 기자] 포스코인터내셔널의 자회사인 호주 천연가스 기업 세넥스 에너지(이하 세넥스)가 호주 가스 프로젝트 지분을 인수한다. 호주에서 가스전 개발을 추가해 글로벌 천연가스 사업을 확대한다. 15일 업계에 따르면 세넥스는 1250만 호주달러(약 106억원)를 들여 센트럴 페트롤리엄(Central Petroleum)의 레인지 가스 프로젝트(ATP2031) 지분 50%를 인수한다. 거래는 이달 말 완료된다. 센트럴 페트롤리엄이 전액 출자 자회사인 센트럴 페트롤리엄 이스턴(Central Petroleum Eastern Pty Ltd.)을 매각하면서 프로젝트 지분을 세넥스에 넘긴다. 그동안 센트럴 페트롤리엄 이스턴은 호주 비료그룹 인시텍 피벗 퀸즐랜드 가스(Incitec Pivot Queensland Gas)과 50대 50으로 합작 투자해 퀸즐랜드 수랏(Surat) 분지에서 레인지 가스 프로젝트를 개발해왔다. 레인지 가스 프로젝트는 약 270페타줄(PJ, 국제에너지 측정 단위)의 2C 임시 가스 자원을 보유하고 있다. 2C 매장량은 국제적으로 인정받는 석유자원관리시스템에 의해 임시 자원에 대한 최선의 추정치로 정의된다. 레인지 가스는 2021년과 2022
[더구루=정예린 기자] 중국 안후이성이 LG그룹에 적극 구애하고 있다. 신에너지 자동차와 반도체 분야를 핵심 산업군으로 지정하고 관련 생태계 구축을 위한 글로벌 기업 유치에 전력을 쏟고 있다. 14일 안후이성에 따르면 장홍문(张红文) 성 상무위원회 위원 겸 부성장은 이달 초 경제사절단을 이끌고 한국을 방문했다. 기업 중에는 가장 먼저 LG그룹을 찾았다. 장 부성장은 서울 마곡에 위치한 LG사이언스파크를 견학하며 LG화학, LG에너지솔루션, LG이노텍 등 그룹사 전반의 혁신 기술을 살폈다. 그는 안후이성의 기업 친화적인 사업 환경과 △탄탄한 산업 기반 △혁신 모멘텀 등을 소개했다. 전기차와 반도체 등 첨단 산업 투자 유치에 대한 당국의 의지를 적극적으로 피력, LG그룹 측에 신규 프로젝트를 제안했다. 안후이성이 방한 일정 중 LG그룹을 찾은 것은 LG그룹이 배터리부터 전장, 반도체 부품까지 다양한 첨단 산업군에서 글로벌 경쟁력을 갖췄기 때문이다. 전기차와 전기차 배터리 등 신에너지차 산업을 육성하기 위해서는 전체 공급망이 우선돼야 한다고 판단, 소재와 부품 분야까지 투자 확보에 적극 나서는 것으로 풀이된다. 장 부성장은 LG그룹 외 한국핵융합에너지연구원(KFE
[더구루=정예린 기자] 롯데케미칼이 미국 루이지애나 공장에서 유체를 태우는 '플레어링(Flaring)'을 실시한다. 설비 보수 작업 일환으로, 안전하게 마무리해 공장 재가동에 속도를 낸다. 13일 루이지애나주 레이크찰스 칼카슈카운티 국토안보·비상대비국(OHSEP)에 따르면 롯데케미칼 미국 자회사 'LC USA'와 액시올(현 웨스트레이크 케미칼) 간 합작사 'LACC'의 에탄크래커(ECC) 공장은 가스 플레어링 작업을 진행하고 있다. 주민들에 위험은 없다는 게 당국의 설명이다. 롯데케미칼은 플레어링을 통해 공정 설비 내 액체 상태의 유체를 완전 제거한다. 설비에서 확인된 유체는 별도 구축된 플레어링 설비를 통해 정제된 뒤 안전하게 연소돼 유해 물질이 외부로 유출되지 않는다는 게 롯데케미칼의 설명이다. 롯데케미칼 관계자는 "관계 당국과 지역 사회에 신고한 뒤 허가를 받아서 진행하는 공장 유지·보수 작업의 정상 절차 중 하나"라며 "플레어링 작업은 공장 재가동을 안전하게 보장하기 위해 필수적인 것으로, 발생하는 연기는 정제하는 시설 거쳐 깨끗한 상태로 배출된다"고 밝혔다. 롯데케미칼은 루이애나주 레이크찰스에 에탄크래커(ECC) 공장을 보유하고 있다. 롯데케미칼 미
[더구루=길소연 기자] 중국이 한국산 니트릴부타디엔 고무(NBR, 이하 니트릴 고무)에 반덤핑 관세 부과 조치 연장을 위해 조사에 착수했다. 금호화학과 LG화학이 관세 부담을 덜 수 있을지 주목된다. 중국 상무부는 8일(현지시간) 한국과 일본산 수입 니트릴 고무에 대해 반덤핑 일몰재심 조사를 시작했다고 발표했다. 조사 내용은 한국과 일본산 수입 니트릴 고무에 대한 반덤핑 조치가 종료될 경우 덤핑과 자국 산업 피해가 지속되는지 여부다. 조사 기간은 오늘부터 내년 11월 9일까지이다. 중국은 지난 2018년부터 5년간 한국과 일본산 니트릴 고무에 대해 반덤핑관세를 부과해왔다. 금호화학 12%, LG화학 15%, 기타 37% 세율이 매겨졌다. 상무부는 올해 한국산 니트릴 고무 관세 부과가 끝나자 관세 연장을 위한 일몰 재심 조사에 착수했다. 일몰 재심은 중국 니트릴 고무 산업을 대표해 중국석유총공사 란저우 석유화학 지사와 닝보 순제 고무 유한공사가 제출한 반덤핑 조치에 대한 기간 종료 검토 신청서를 접수하면서 진행됐다. 중국 업체는 "반덤핑 조치가 종료될 경우 한국과 일본산 수입 니트릴 고무가 중국으로 덤핑되는 행위가 지속되거나 재발될 수 있다"며 "중국 국내 산
[더구루=정등용 기자] 카타르가 글로벌 LNG(액화천연가스) 산업에 대한 야망을 드러냈다. 중국을 비롯한 에너지 소비 대국과 적극적인 파트너십을 통해 LNG 시장 점유율을 높여 나가겠다는 각오다. 8일 관련 업계에 따르면 사드 쉐리다 알 카비 카타르 에너지부 장관 겸 카타르 에너지 사장은 최근 중국 상하이에서 열린 ‘시노펙(Sinopec·중국석유화학공사) 포럼’에 참석해 “오는 2029년까지 글로벌 LNG 공급물량의 40%를 책임질 것”이라고 밝혔다. 알 카비 장관은 “카타르는 현실적인 에너지 전환을 향한 여정에서 LNG의 역할을 확고히 지지해왔다”면서 “지속 가능한 성장과 더 나은 미래를 지원하기 위해 경제성과 환경성을 모두 갖춘 가장 깨끗한 탄화수소 에너지원을 공급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알 카비 장관의 이번 발언은 글로벌 LNG 산업 확대에 대한 카타르의 강력한 의지로 해석된다. 실제로 카타르는 이미 유럽 국가들과 LNG 공급 계약을 잇따라 체결하며 글로벌 LNG 시장 확대에 대한 욕심을 나타내고 있다. 카타르 국영 에너지 기업인 카타르 에너지는 지난 10월 네덜란드와 오는 2026년부터 27년 동안 매년 최대 350t(톤)의 LNG를 공급하는 장기 계
[더구루=정예린 기자] GS칼텍스가 노르웨이 해운회사 '왈레니우스 윌헬름센(Wallenius Wilhelmsen)'에 바이오 선박유 공급을 추진한다. 글로벌 기업들과 잇따라 손잡고 탈탄소 시대를 맞아 수요가 급증하고 있는 친환경 바이오 연료 사업에 속도를 낸다. 왈레니우스 윌헬름센은 6일(현지시간) GS칼텍스와 협력해 경남 마산항에 정박해 있는 자동차 운반선 '토렌스(TORRENS)'에 처음으로 바이오 선박유를 벙커링(연료 주입)하는 테스트를 진행했다고 발표했다. 왈레니우스 윌헬름센이 한국에서 선박에 바이오 연료를 주입한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GS칼텍스는 바이오 연료인 B30 HSFO(고유황유)를 공급했다. HSFO는 해양 바이오 디젤 연료 'UCOME'와 혼합된 제품이다. 초저유황중유(VLSFO) 블렌드 제품 대비 스코프3 기준 이산화탄소 배출량을 약 20~25% 저감하는 효과를 거둘 수 있다. 선박 개조나 탱크를 청소할 필요 없이 기존 엔진에도 사용할 수 있어 편리하다. 전 세계에서 이 연료를 조달할 수 있는 공급업체는 소수에 그친다는 게 왈레니우스 윌헬름센의 설명이다. 바이오 연료는 기존 화석 연료 대안으로 급부상하며 수요가 늘고 있다. 바이오 연료는
[더구루=정예린 기자] SK어스온이 참여하는 베트남 석유 개발 프로젝트의 최대 지분을 보유한 미국 정유업체 '머피오일(Murphy Oil)'이 약 1조원에 달하는 최종 투자 규모를 확정했다. 오는 2026년 첫 상업 생산한다는 목표가 순항하고 있다. 6일 머피오일에 따르면 회사 이사회는 지난 3분기 베트남 남부 해상의 15-1/05 광구(Lac Da Vang·황색 낙타)에 대한 6억9300만 달러(약 9073억원) 규모 투자를 승인했다. 내년 본격 개발에 착수, 오는 2026년 첫 생산하고 2029년까지 사업을 단계적으로 진행한다. 머피오일은 15-1/05 광구에 대한 지분 40%를 보유하고 있다. △베트남 국영 석유개발 전문회사 PVEP(35%) △SK어스온(25%)도 이 프로젝트에 참여하고 있다. 15-1/05 광구는 베트남 호찌민시 동남쪽 180㎞ 지점에 위치한 해상 광구다. 원시부존량은 4억9000만배럴, 회수 가능 매장량은 약 6000만 배럴이다. 투자안에는 광구 개발과 함께 해양 처리 플랫폼과 부유식 석유가스 저장설비(FSO) 구축도 포함된다. 계획대로 오는 2026년 생산에 성공할 경우 SK는 투자 20여년 만에 사업 성과를 보게 된다. SK는
[더구루=길소연 기자] 미국에서 두 번째로 큰 액화천연가스(LNG) 수출 시설인 '프리포트 LNG'가 연방에너지규제 당국의 추가 승인을 얻으며 완전 가동에 나선다. 작년 6월 화재로 잠정 폐쇄한 후 1년 4개월 만이다. 3일 업계에 따르면 프리포트 LNG는 지난달 27일(현지시간) 미국 연방에너지규제위원회(FERC)로부터 프리포트 LNG 수출 터미널을 완전 가동하기 위한 추가 조치를 취하라는 승인을 받았다. 터미널이 본격 가동되면 화재 발생 후 작년 6월부터 1년 4개월 만에 LNG 수출이 완전 재가동되면서 겨울철 난방 시즌을 앞두고 글로벌 시장에 더 많이 공급할 수 있게 된다. 러시아가 모스크바의 우크라이나 침공 이후 유럽에 공급하는 가스 양을 줄이는 동안 프리포트 LNG까지 폐쇄돼 작년 여름 유럽과 아시아에서 세계 가스 가격이 사상 최고치를 기록했다. 프리포트 LNG는 화재 사고 이후 제3 저장탱크와 제2 선석까지 안전하게 서비스로 복귀시키기 위해 규제 기관과 계속 협력해왔다. 이후 프리포트 LNG는 지난 2월 FERC의 허가를 받아 일부 시설을 재가동했다. 제1·2 LNG 트레일(일렬로 설치된 LNG 생산시설) 운영을 재개해 화물 선적을 시작했다. &l
[더구루=정예린 기자] 롯데케미칼이 파키스탄 테레프탈산(PTA) 생산시설 셧다운을 약 보름 연장한다. 사업 부진에 따른 재정 부담 완화를 위해서는 추가 재고 조정이 필요하다는 판단에 따른 결정으로 풀이된다. 2일 파키스탄 증권거래소에 따르면 롯데케미칼 파키스탄은 지난달 30일(현지시간) "회사 경영진은 지난 17일 발표한 공장 가동 일시 중단 일정을 오는 12일까지 연장하기로 했다"고 공시했다. 약 한달 간 공장 생산을 멈추는 셈이다. 롯데케미칼은 앞서 지난달 29일까지 생산시설 가동을 중단한다고 발표했었다. 당시 회사는 "다운스트림 수요 감소에 따른 효율적인 재고 및 생산 관리를 위한 결정"이라고 설명했다. <본보 2023년 10월 18일 참고 롯데케미칼, 파키스탄 PTA 공장 가동 일시중단> 롯데케미칼은 올 1월 파키스탄법인 지분 75.01%를 현지 화학 회사인 '럭키코아인더스트리'에 매각한다고 발표했다. 거래 규모는 1924억원에 이른다. 현재 매각 절차를 진행 중이다. 최근 거래 마감 일자를 내년 1월까지 연장했다. <본보 2023년 10월 31일 참고 롯데케미칼, 파키스탄 자회사 매각 막판 난항> 중장기 사업 비전과 맞지 않다고
[더구루=오소영 기자] 효성이 응우옌 반 푸엉 후에성 인민위원회 위원장과 만났다. 현지 투자 계획을 점검하며 효성의 핵심 생산 기지인 베트남에서 투자 행보를 가속화 한다. 2일 후에성 정부에 따르면 프엉 위원장은 지난달 31일(현지시간) 효성 임직원들과 만나 후에성의 강점을 알리고 투자 유치를 주문했다. 그는 "후에성에서 한국 기업을 주요 파트너로 하는 여러 프로젝트가 진행되고 있다"며 "효성도 후에성에 투자를 검토하고 있는 것으로 안다"고 전했다. 이어 "(효성과) 동행할 준비가 돼 있다"고 강조했다. 효성 측은 후에성 당국의 환대에 감사를 표하며 후에성 프로젝트를 위해 협력 의사를 내비쳤다. 후에성은 베트남 중부에 위치한다. 쩐마이 항만과 푸바이·다낭공항 등과 인접해 있다. 베트남은 후에성에 일반 산업단지 3개 구역을 포괄하는 쩐마이랑꼬 경제구역과 스마트시티 개발을 추진하고 있다. 이를 위해 2021년 9월 한국토지주택공사(LH)와 양해각서(MOU)를 체결했다. 2025년까지 한국의 광역시 격인 중앙직할시로 격상할 예정으로 향후 성장성이 높은 도시로 평가받는다. 효성은 후에성에 투자를 모색하고 베트남 사업 보폭을 확대한다. 앞서 효성은 2007년 동나이에
[더구루=정등용 기자] 중국해양석유그룹(CNOOC)이 셸(Shell)의 싱가포르 에너지 화학 단지 인수를 추진한다. 아시아 지역 내 석유 거래 허브를 구축하기 위한 차원으로 해석된다.
[더구루=정예린 기자] 롯데케미칼의 파키스탄 자회사 '롯데케미칼파키스탄(LCPL)' 매각 작업이 지연되고 있다. 인수자인 현지 화학 회사 '럭키코어인더스트리'가 최종 거래 마감 일자를 연장하면서다. 31일 파키스탄 증권거래소(PSX)에 따르면 럭키코어인더스트리를 대리하는 '옵티머스 캐피탈 매니지먼트'는 지난 26일(현지시간) "주식공개매수(Public Announcement of Offer, 이하 PAO) 발표 날짜를 2024년 1월 27일까지 90일 연장한다"고 공시했다. 이어 "인수자(럭키코어인더스트리)가 (거래) 마감일인 2023년 10월 29일까지 공개매수를 진행할 수 없다고 판단했다"며 "이 거래는 여전히 규제 승인을 받아야 하기 때문"이라고 덧붙였다. 롯데케미칼은 올 1월 파키스탄법인 지분 75.01%를 현지 화학 회사인 '럭키코어인더스트리'에 매각한다고 발표했다. 거래 규모는 1924억원에 이른다. 당초 롯데케미칼의 파키스탄법인 매각은 연내 마무리될 것으로 예상됐었다. 양사는 주식매매계약(SPA)을 체결하고 럭키코어인더스트리가 주식공개인수의사(Public Announcement of Intention, 이하 PAI)를 공시하며 거래에 탄력이 붙었
[더구루=홍성일 기자] 일본 모바일 게임 시장이 다운로드 수 정체에도 불구하고 높은 사용자당 평균 수익(ARPU)을 기반으로 아시아 2위 자리를 굳건히 지키고 있다. 충성도 높은 이용자 기반과 효과적인 수익화 전략이 일본 시장의 강점이자 한계가 될 수 있다는 분석이다.
[더구루=홍성일 기자] 미국 항공우주국(NASA, 나사) 연구진이 슈퍼컴퓨터를 통해 지구 생명체의 '종말 시점'을 예측했다. 나사는 인류가 다른 생명체보다 훨씬 이른 시점에 생존 위기를 맞을 것으로 전망하며 대안 마련이 필요하다는 의견을 내놓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