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구루=홍성환 기자] 암호화폐 시장 위축으로 미국 최대 암호화폐 거래소 코인베이스 주가가 가파르게 하락하는 가운데 큰손 투자자들의 이탈이 가속화하고 있다. 17일 관련 업계에 따르면 홍콩계 운용사 주피터에셋매니지먼트는 1분기 코인베이스 주식 7만3441주를 전량 매도했다. 운용자산 규모 3억4000만 유로(약 4560억원) 규모 스페인계 운용사 아조라캐피탈도 같은 기간 4만3290주를 모두 팔았다. 억만장자 투자자 존 야브로가 이끄는 야브로캐피탈도 1만6968주를 전부 처분했다. 또 타이거글로벌은 1분기 203만2837주를 매각했다. 이에 따라 보유 주식이 작년 말 286만9434주에서 3월 말 83만6597주로 70%나 축소됐다. 한국투자공사(KIC)도 지난 1분기 코인베이스 주식 8700주를 전량 매도했다. 지난해 4분기 매수한지 1분기 만에 손절한 셈이다. 한국투자공사는 지난해 4분기 코인베이스 주식을 매입, 가상자산 관련 기업에 처음 투자하며 시장의 주목을 받은 바 있다. <본보 2022년 5월 16일자 참고 : 한국투자공사, 암호화폐 거래소 '코인베이스' 1분기만에 손절> 코인베이스 주가는 미국의 금리인상과 인플레이션 압박 등으로 암호화
[더구루=홍성일 기자] 캐나다의 메타버스 검색엔진 스타트업 라이트하우스 랩스가 애니모카브랜즈 등으로부터 투자를 받았다. 라이트하우스 랩스는 11일(현지시간) 시드 투자 라운드를 통해 700만 달러(약 90억원)를 조달했다고 밝혔다. 이번 투자 라운드는 액셀, 블랙타워, 애니모카브랜즈가 공동의 주도했으며 화이트스타 캐피탈, 스파클 벤처스, 제미니 프론티어 그룹 등과 유명 앤젤투자자들이 참여했다. 라이트하우스 랩스는 캐나다 몬트리올에 기반을 두고 있으면 메타버스 세계를 쉽게 이동할 수 있는 검색 시스템 개발에 나서고 있다. 라이트하우스는 현재의 메타버스가 단일 통로를 통해 모든 것에 접속할 수 있는 인터넷과는 달리 게임 속에서 숨겨진 무언가를 찾아야 하는 퀘스트를 하는 것과 가깝다고 판단, 이를 쉽게 이동할 수 있는 검색 엔진을 구현하고 있다. 라이트하우스 랩스는 확보된 자금을 기반으로 엔지니어링, 커뮤니티팀을 확장하고 글로벌 파트너십도 확대할 계획이다. 이를 통해 올 여름 내 첫 메타버스 검색 플랫폼을 출시할 예정이다. 또한 라이트하우스 랩스는 향후 메타버스 세계에서 애니모카브랜즈 등과 협력하게 될 것으로 보인다. 라이트하우스 랩스 관계자는 "구글과 같은 웹
[더구루=홍성환 기자] 미국 금리인상 여파로 전 세계 암호화폐(가상화폐, 가상자산) 시장이 하락세를 보이는 가운데 자산운용사들이 암호화폐 투자 펀드를 조성하고 있다. 13일 관련 업계에 따르면 영국 자산운용사 파사나라캐피탈은 핀테크·암호화폐 회사에 투자하는 펀드를 3억5000만 달러(약 4490억원) 규모로 조성할 계획이다. 현재 1억 달러(약 1280억원)를 조달한 상태로 여러 투자기관과 추가 자본 유치를 논의하고 있다. 파사나라캐피탈은 35억 달러(약 4조4950억원) 이상의 자산을 보유한 데이터 기반 운용사다. 최근 독일 전자기기 공유 플랫폼 그로버와 선구매후지불(BNPL) 업체 스칼라페이 등에 투자했다. 프란체스코 필리아 파사나라캐피탈 최고경영자(CEO)는 블룸버그에 "이번 펀드와 달리 이번 펀드는 새로운 외부 투자자에게 개방할 것"이라며 "암호화폐 시장이 어려운 단계를 거치면서 우리는 더 나은 거래를 할 수 있다"고 했다. 암호화폐 전문 미디어 더블록 창업자 마이크 두다스가 이끄는 식스쓰맨벤처스(6th Man Ventures)는 초기 단계 암호화폐 기업에 투자하는 펀드를 1억4500만 달러(약 1860억원) 규모로 조성했다. 갤럭시비전힐스, 쓰리애로
[더구루=홍성일 기자] 삼성전자가 투자한 바 있는 글로벌 암호화폐(가상화폐, 가상자산) 거래소 FTX의 설립자인 샘 뱅크만 프라이드가 미국 최대 주식거래 플랫폼 로빈후드의 주요 주주로 떠올랐다. 미국증권거래위원회(SEC)는 12일(현지시간) 샘 뱅크먼 프라이드가 로빈후드의 지분 7.6%를 보유하고 있다고 밝혔다. SEC가 공개한 문서에 따르면 샘 뱅크먼 프라이드는 약 5600만 주 가량의 주식을 보유하고 있으며 가치는 4억8200만 달러(약 6200억원)에 달한다. 샘 뱅크먼 프라이드은 이번 지분 인수로 로빈후드의 3대주주로 올라서게 됐으며 인수 소식이 알려지자 12일 하루에만 로빈후드의 주식도 24% 가량 급등했다. 샘 뱅크먼 프라이드가 로빈후드의 주식을 매입하기 시작한 것은 지난 3월부터로 이멀전드 피델리티 테크놀로지스라는 자신이 대주주로 있는 회사를 통해 매입했다. 샘 뱅크먼 프라이드는 SEC 문서를 통해 당장 로빈후드에 대한 움직임을 취할 생각이 없음을 명확히 했으나 업계에서는 향후 추가적인 지분 인수 가능성은 물론 FTX와 관계 변화도 있을 가능성에 대한 분석도 나오고 있다. 샘 뱅크먼 프라이드는 "주식이 매력적인 투자수단이라는 믿음으로 로빈후드의
[더구루=홍성일 기자] 영국의 유튜버이자 래퍼인 KSI(JJ 올라툰지)가 루나 코인 급락으로 수십억대 손실을 입고 있다고 밝혀 눈길을 끌고 있다. KSI는 12일 자신의 트위터를 통해 자신의 루나 코인 투자 내역을 공개했다. KSI는 "280만 달러(약 36억원)는 1000달러의 가치가 있다"고 덧붙였다. 권도형 CEO와 티몬의 신현성 티몬 창업자가 공동으로 창업한 테라폼랩스가 개발한 코인으로 한때 세계 8위 시총 규모를 가진 코인이었다. 하지만 11일 루나의 자매코인이라고 할 수 있는 스테이블코인 '테라'의 신뢰도 이슈 발생으로 가치가 떨어지면서 동반으로 하락하기 시작, 지난달 120달러선이었던 루나의 시세는 1달러 대로 폭락했다. 이번 테라, 루나 코인 폭락 사태는 스테이블코인인 테라의 시세 하락으로 인한 신뢰도의 문제가 발생했기 때문이다. 테라는 태더나 USDC 등 현금, 국채 등의 안전자산을 담보로 발행한 스테이블코인과는 다르게 자매코인인 루나를 담보로 발행된다. 테라의 보유자들은 테라 가격 하락시 테라폼랩스에 테라를 넘기로 1달러 가치를 가진 루나 코인 받아 차익을 챙길수 있는 구조로 가치를 유지했다. 이렇게 되면 시중에 테라가 회수되면서 테라의 가
[더구루=홍성일 기자] 블록체인 데이터분석 전문업체인 '체이널리시스(Chainalysis)'가 추가 투자를 유치하며 사업 확장에 속도를 낸다. 체이널리시스는 11일(현지시간) 싱가포르 국부펀드인 'GIC(싱가포르투자청)'가 주도한 시리즈F 투자 라운드를 통해 1억7000만 달러(약 2180억원)를 조달했다고 밝혔다. 체이널리시스는 이번 투자 라운드를 통해 기업가치를 86억 달러로 증가시켰다. 체이널리시스는 블록체인 데이터분석을 전문적으로 하는 업체로 정부 기관, 거래소 등의 보안을 위한 소프트웨어, 조사 서비스 등을 제공하고 있다. 특히 암호화폐 탈취 범죄 추적 솔루션 등을 제공해 다양한 암호화폐 탈취 사건의 조사를 진행하기도 했다. 암호화폐 시장이 붕괴됐다는 평가가 나올정도로 냉각된 상황에서 체이널리시스가 대규모 자금을 수혈한 것을 두고도 다양한 분석이 나오고 있다. 업계에서는 암호화폐의 가격이 급락하고 있지만 여전히 시장의 장래에 대한 평가는 높게 평가되고 있다고 분석했다. 코인텔레그래프에 따라면 올 1분기 암호화 인프라, NFT, 디파이 등에 146억 달러가 투자되며 지난해 총 투자액에 절반 수준에 다다른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최근 해킹을 통한 암호화
[더구루=홍성환 기자] 세계 최대 암호화폐 운용사 그레이스케일 인베스트먼트가 비트코인 현물 상장지수펀드(ETF) 출시를 위해 미국 증권당국과 물밑접촉에 나섰다. 12일 미국 경제매체 CNBC에 따르면 그레이스케일은 지난주 미국 증권거래위원회(SEC)와 비공개 회의를 진행, 미국 장외시장(OTCMKTS)에 상장된 비트코인 현물 신탁의 ETF 전환을 촉구한 것으로 알려졌다. 그레이스케일은 이날 회의에서 비트코인 현물 신탁을 뉴욕증권거래소에서 거래되는 ETF로 전환하면 비트코인에 대한 접근성이 확대되고 보호 기능이 강화되는 동시에 투자자에게 최대 80억 달러(약 10조2600억원)의 가치를 제공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그레이스케일은 "이 상품은 작년 초부터 기초 자산 가격에서 평균 25% 할인된 가격으로 거래되고 있으며 ETF로 전환하면 할인이 사라질 것"이라고 주장했다. 크레이스케일에 따르면 이 회사의 비트코인 현물 신탁은 현재 전 세계 비트코인의 약 3.4%를 보유하고 있다. 마이클 소넨샤인 그레이스케일 최고경영자(CEO)는 최근 비트코인 현물 ETF 승인을 촉구하는 캠페인에 참여하는 등 전방위적으로 당국을 압박하고 있다. 앞서 그는 지난달 초 마이매미에서 열린
[더구루=홍성일 기자] 블록체인·웹3 등에 전문적으로 투자사 해시드의 투자를 유치한 바 있는 NFT 게임 몬스테라의 자체 토큰 IDO(탈중앙화거래소 코인 공개)가 연기됐다. 몬스테라는 11일(현지시간) 자체 토큰의 IDO를 연기하기로 결정했다고 밝혔다. 몬스테라는 IDO 연기 결정을 위해 커뮤니티 투표, 투자자들과 논의 등을 진행했다. IDO 연기에 따라 몬스테라 게임 출시도 뒤로 밀리게됐다. 몬스테라가 IDO를 연기로 한 것은 최근 암호화폐 시장을 비롯한 글로벌 자산시장의 급격한 냉각에 따른 것이다. 특히 암호화폐 시장은 급격하게 자본 유출이 벌어지고 있어 몬스테라가 IDO를 해도 예상한 만큼의 자금을 확보하지 못할 것으로 우려한 것으로 보인다. 몬스테라는 IDO와 게임 출시는 연기되지만 마케팅 등 기타 활동은 예정대로 진행한다는 계획이다. 몬스테라 측은 "우리는 이번 결정이 커뮤니티의 이익을 보호하고 프로젝트의 지속 가능한 개발을 보장하는 최선의 결정이라고 믿는다"며 "험난한 길이지만 우리는 커뮤니티 등과 함께 나아갈 것"이라고 말했다. 한편 몬스테라는 텍토스, 미스틱, 비스트, 셀레스트, 카오스 등 5개 몽겐 종족의 몬스터를 획득하고 농사, 건물 건설,
[더구루=홍성일 기자] '알고랜드' 블록체인과 투자펀드인 '하이브마인드 캐피탈'이 손잡고 1세대 음원 공유 플랫폼 냅스터를 인수하기로 했다. 하이브마인드는 10일(현지시간) 알고랜드와 함께 냅스터를 인수하기로 했다고 밝혔다. 하이브마인드는 인수 조건, 인수 과정에서 역할 배분 등 자세한 정보는 공개하지 않았다. 알고랜드와 하이브마인드 캐피탈은 지난해 11월 하이브마인드가 15억 달러 규모 가상화폐 펀드를 출시하며 전략적 파트너십 관계를 맺고 공동 투자에 나서기로 했다. 알고랜드와 하이브마인드 캐피탈에 인수되는 냅스터는 1999년 노스이스턴대학교 재학생이던 숀 패닝이 개발한 음원 공유 프로그램으로 시작됐다. 이후 저작권 소송에 휘말리며 2001년 문을 닫았지만 2002년 유료 서비스 전환 후 서비스를 재개, 여러번 주인이 바뀌며 음원 스트리밍 플랫폼으로 자리를 잡아왔다. 알고랜드와 하이브마인드는 향후 냅스터의 웹3 플랫폼 전환을 주도할 것으로 보인다. 냅스터도 최근 웹3 전환을 선언한 상황이다. 하이브마인드 측은 "냅스터를 통해 블록체인과 웹3를 아티스트와 음악팬들에게 제공하겠다"며 "이를 통해 음악 산업에 다시 한 번 혁명을 일으키겠다"고 말했다.
[더구루=최영희 기자] 블록체인 신사업 LOTT 프로젝트를 추진 중인 소프텍코퍼레이션이 가상자산거래소 보라비트와 함께 LOTT 코인으로 결제할 수 있는 실물카드와 단말기 서비스를 선보인다. 소프텍코퍼레이션은 12일 보라비트와 함께 LOTT 코인으로 결제 가능한 'LOTT Pay System'을 도입한다고 밝혔다. 'LOTT Pay System'은 블록체인·핀테크 개발 전문기업 뱅코가 개발한 퍼플페이먼트 결제시스템이다. 신용카드와 동일한 규격을 가진 LOTT Pay Card와 단말기 서비스를 통해 오프라인 가맹점에서 LOTT 코인으로 결제가 가능하다. 새롭게 선보이는 가상화폐 결제 서비스는 이번달 NFT와 블록체인 선도자 방송인 기욤 패트리가 오픈한 레스토랑 ‘라시네(Racine)’에서 처음으로 선보인다. 이후 다양한 기업과의 제휴를 통해 오프라인 사용처를 확대할 예정이다. 회사 관계자는 "LOTT Pay System 도입으로 LOTT 코인 이용 편의성과 활용성이 대폭 향상될 것으로 기대한다”며 "앞으로도 보라비트가 보유한 퍼플페이먼트 시스템을 적극 활용해 LOTT 코인 상용화 및 고객 확대에 앞장서겠다"고 말했다. 보라비트는 뱅코가 2017년에 설립한 가상자
[더구루=홍성일 기자] 스웨덴의 웹3 개발 플랫폼 스타트업 모랄리스(Moralis)가 코인베이스 등으로부터 투자를 유치하며 서비스 확대에 나선다.
[더구루=홍성일 기자] 아프리카의 웹3 인터넷 환경을 구축하는 목표로 하고 있는 암호화 스타트업 잠보(Jambo)가 대규모 투자를 유치하며 사업 확대에 나선다.
[더구루=정예린 기자] LG에너지솔루션과 일본 토요타그룹의 무역상사 토요타통상이 미국에서 추진하는 배터리 리사이클 합작법인이 유럽연합(EU)으로부터 승인을 확보했다. 주요국의 허가 절차를 잇따라 통과하며 LG에너지솔루션의 북미 전기차 배터리 재활용과 자원 순환 체계 구축 전략에 속도가 붙을 것으로 기대된다.
[더구루=길소연 기자] DL이앤씨와 두산에너빌리티의 파트너사인 미국 소형모듈원전(SMR) 기업 엑스에너지(X-energy)가 핵연료 제조시설 착공에 들어갔다. 지난 8월 건설 착수를 알린 엑스에너지는 그동안 부지정리 작업을 마무리한 후 지상건설에 본격 돌입했다. 엑스에너지의 핵연료 제조시설 건설로 미국의 핵연료 공급망 자국화가 가속화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