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 공정거래위원회가 현대중공업과 대우조선해양의 기업결함심사에 대해 정치적 상황은 배제하고, 최대한 공정하게 검토하겠다는 입장을 전했다. 이로써 합병 최대 걸림돌로 떠오른 해외 심사에서 일본 공정위에 대한 심사 부담감을 덜게 됐다. 29일 관련 업계에 따르면 일본 공정거래위원회는 최근 현지…
일본 정부가 해운·조선산업 활성화를 위해 신기술을 활용한 범정부 대응기구를 출범했다. 한국과 중국 조선업 재편 움직임이 보이자 위기감을 느껴 대응책 마련에 나선 것으로 풀이된다. 23일 관련 업계에 따르면 일본 국토교통성은'해사산업 장래상 검토회(海事産業将来像検討会)'를 설치하고, 기술 혁신…
일본 1위 조선소인 이마바리 조선이 한국 조선의 저가 수주를 지적하며 저가 과당 경쟁을 우려했다. 중국에 이어 한국의 저가 공세에 밀려 일본 조선업체의 수주가 힘들어졌기 때문이다. 일본 조선업계는 한국 조선이 정부의 공적 지원을 받아 수주를 하는 통에 수주량은 확대될지라도 경영실적이 악화되는 현…
현대중공업그룹이 유럽 선주를 상대로 대우조선해양과의 기업 합병 설득 작업에 나섰다. 양사가 합병하게 되면 신조선 개발부터 공정 경쟁으로 인해 선주에게 이득이 많다며 여론전을 펼친 것이다. 20일 관련 업계에 따르면 현대중공업그룹의 중형조선소 자회사인 현대미포조선은 최근 유럽 선주에 인도한…
독일과 일본 최대 해운사 간 합병설이 제기됐다. 한동안 뜸했던 글로벌 해운업계의 덩치 키우기 경쟁을 촉발시키는 것 아니냐는 분석이다. 25일 관련 업계에 따르면 세계 2위 해운사 MSC의 디에고 아폰테 최고경영자(CEO)가 최근 이탈리아선주협회 연례총회에 참석해 "독일 하팍로이드와 일본 오션네트워…
중국 조선업체의 합종연횡이 가속화되고 있다. 규모의 경제로 경쟁력으로 높이겠다는 전략이다. 세계 1·2위 조선업체인 현대중공업과 대우조선해양 합병을 의식한 행보로 풀이된다. 13일 관련 업계에 따르면 중국 3위 조선업체인 중국초상국공업(CMIH)은 중국국제해운컨테이너그룹(CIMC), 중국항공공…
현대중공업그룹이 대우조선해양 인수 핵심 절차인 기업결합 신청에 본격 착수한 가운데 중국도 자국 조선소 합병을 확정하는 등 재편에 속도를 내고 있다. 한국 조선업계가 빅3에서 빅2로 재편해 독주체제로 가속화될 조짐이 보이자 중국도 자국 조선소 구조 재편을 통해 몸집을 키워 경쟁력을 키우겠다는 의…
삼성전자가 중국에 마지막으로 남겨둔 스마트폰 생산공장을 접기로 결정했다. 17일 관련 업계에 따르면 삼성전자 중국 법인은 광둥성 후이저우(惠州)에 있는 스마트폰 공장을 올해까지 폐쇄한다. 앞서 삼성전자는 이달 14일까지 직원들에게 희망퇴직 신청서를 받은 바 있다. 후이저우 공장 직원은 현지 언론…
중국의 메모리업체들이 올해 하반기 본격적인 양산에 돌입한다. 미국 정부의 제재를 돌파할 수 있는 틈새가 될지 주목되고 있다. 13일 관련 업계에 따르면 D램 제조사인 허페이창신(이노트론)은 지난해 중국 반도체 업체로는 처음으로 8Gb LPDDR4 D램 메모리 생산을 시작했다. 허페이창신은 올해 3분기…
페이스북이 전기 로봇 모터사이클을 개발하고 있는 것으로 확인됐다. 12일 관련업계에 따르면 미국특허청(USPTO)은 지난달 30일 페이스북이 지난 2017년 출원한 '모터사이클'에 대한 특허를 공개했다. 해당 특허의 제목은 '스스로 균형을 잡는 로봇 모터사이클'로 특허에는 상부구조는 포함되지 않고 하…
유럽연합(EU) 경쟁 당국이 독일 철강회사와 인도 철강회사 간 합병 승인을 불허하면서 국내 조선업계에 긴장감이 감돈다. 현대중공업과 대우조선의 최종 합병이 성사되기까지 EU 공정거래 당국의 합병 승인을 받아야 하기 때문이다. 특히 EU경쟁당국이 현대중공업·대우조선해양 합병에불편한 기색을 드…
대우조선해양이 바다 위를 떠다니며 전기를 생산하는 해상 원전 사업에 뛰어들 전망이다. 10일 관련 업계에 따르면 미국 소형 모듈형 원자로(SMR) 설계사인 토르콘이 대우조선과 부유식 해상 원자력 발전소 건설 관련 협의를 진행하고 있다. 부유식 해상 원자력발전소는 미리 조립한 발전설비를 부양 바지에…
[더구루=홍성일 기자] 글로벌 인공지능(AI) 패권을 두고 미국과 경쟁하고 있는 중국이 자국산 반도체의 기술적 한계라는 벽에 부딪혔다. 딥시크의 자국 칩 사용 시도가 실패로 돌아가면서, 상당기간 중국이 미국 기술에 의존할 수 밖에 없을 것이라는 분석이 나온다. [유료기사코드] 23일 업계에 따르면 딥시크가 당초 5월 출시 예정이던 최신 거대언어모델(LLM) R2 출시를 당분간 미뤘다. 딥시크 R2 출시가 지연된 배경에는 중국 정부의 권고에 따라 도입한 화웨이 어센드(Ascend) 프로세서의 성능 문제가 있었다. 딥시크는 R2의 훈련 과정에 화웨이 어센드 칩으로 구성된 시스템을 도입했다. 문제는 어센드 칩 시스템이 단 한 번의 학습과정도 완료하지 못했다는 점이다. 화웨이 어센드 시스템은 R2 훈련에 필요한 막대한 양의 연산을 제대로 처리하지 못한 것으로 전해졌다. 결국 딥시크는 R2의 학습은 엔비디아 칩, 추론은 화웨이 어센드 칩을 활용하는 것으로 전략을 수정해야만 했고 출시도 지연될 수 밖에 없었다. AI 모델 개발에서 훈련은 방대한 데이터를 처리하며 모델을 만드는 가장 연산 집약적인 단계이며, 추론은 이미 학습된 모델을 활용해 결과를 도출하는 것으로 하드웨
[더구루=홍성일 기자] 생성형 인공지능(AI) 애플리케이션(앱)의 폭발적인 성장에 힘입어 사상 처음으로 비게임 앱의 지출 규모가 게임을 앞질렀다. AI 기술의 발전이 모바일 앱 시장의 지출 지형도를 바꾸고 있는 모양새다. [유료기사코드] 23일 모바일 데이터 분석기업 센서타워의 '2025년 2분기 디지털 시장 지표' 보고서에 따르면 올해 2분기 글로벌 모바일 인앱결제 수익은 전년 동기 대비 11.5% 증가한 410억 달러(약 57조3430억원)를 기록했다. 센서타워는 조사를 시작한 이래 분기 수익으로는 사상 최고치를 기록했다고 덧붙였다. 특히 이번 조사에서는 비게임 앱 지출이 전년 동기 대비 24%나 급증한 211억 달러(약 29조5100억원)를 기록, 200억 달러(약 27조9700억원)에 머문 모바일 게임 부문을 사상 처음으로 넘어섰다. 10년 전 게임 부문 매출은 비게임 앱에 6배에 달했었다. 비게임 앱의 매출 성장은 구독 모델의 보편화와 숏폼 플랫폼 틱톡의 수익화 전략 성공 등으로 모바일 결제에 대한 심리적 장벽이 낮아진 것이 일차적인 이유로 꼽힌다. 틱톡은 인앱 결제를 통해 크리에이터에게 보낼 가상 선물을 구매할 수 있도록 해 막대한 수익을 올리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