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구루=홍성환 기자] K콘텐츠 기업연합 '케이웨이브미디어(옛 케이엔터홀딩스)'가 세계 최대 암호화폐 투자사 갤럭시 디지털(Galaxy Digital)과 비트코인 투자에 협력하기로 했다. 케이웨이브미디어는 22일 갤럭시 디지털과 비트코인 준비자산 편입에 협력하는 전략적 파트너십을 맺었다고 밝혔다. 갤럭시 디지털은 케이웨이브미디어의 자산운용사이자 전략적 자문사 역할을 수행한다. 또 갤럭시 디지털은 이번 파트너십을 계기로 케이웨이브미디어에 투자할 예정이다. 구체적인 투자액은 공개되지 않았다. 갤럭시 디지털은 골드만삭스 출신 마이크 노보그라츠가 지난 2018년 설립한 암호화폐 투자사다. 자산운용, 비트코인 상장지수펀드(ETF), 채굴, 벤처 투자 등 다양한 암호화폐 관련 사업을 하고 있다. 앞서 케이웨이브미디어는 지난달 비트코인 투자 계획을 발표한 바 있다. 이에 따라 비트코인 인수 자금 마련을 위해 지난달 5억 달러(약 6900억원) 규모 주식 매수 계약을 체결했고, 이어 지난 11일에는 전환사채 발행을 통해 10억 달러(약 1조3800억원)를 조달했다. 이 회사는 현재 88개 비트코인을 보유 중이다. 코인마켓캡 기준 이날 오전 7시 30분 가격(약 11만760
[더구루=홍성환 기자] 민간 우주기업 블랙스카이(BlackSky)가 약 2200억원 규모로 전환사채를 발행한다. [유료기사코드] 블랙스카이는 1억6000만 달러(약 2200억원) 규모 전환 선순위 채권(Convertible Senior Notes)을 발행할 예정이라고 21일 밝혔다. 채권 만기는 2033년 8월 1일, 금리는 연 8.25%다. 전환율은 1000달러당 클래스A 보통주 27.1909주다. 이는 지난 17일 기준 주가 대비 약 30%의 프리미엄이 붙은 수준이다. 블랙스카이는 조달 자금으로 차입금을 상환하고, 일부는 운영비로 사용할 계획이다. 블랙스카이는 선도적인 실시간 지리정보 제공업체다. 소규모(Smallsats)·저궤도(Low Earth Orbit) 위성을 통해 전 세계를 실시간으로 관찰한다. 이를 통해 이미지 처리와 데이터 수집 등을 실시하고 AI로 분석해 지구 상에 벌어지는 변화를 파악한다. 주요 투자자로는 미국 중앙정보국(CIA) 산하 벤처캐피탈 인큐텔(In-Q-Tel)이 투자한 팔란티어가 있다. 팔란티어는 일론 머스크 테슬라 CEO와 함께 페이팔을 창업한 피터 틸을 포함해 ,5명이 공동으로 설립한 빅데이터 분석 전문업체다.
[더구루=홍성환 기자] 마이크로소프트 창업자 빌 게이츠와 아마존 창업자 제프 베이조스가 투자한 미국 광물 탐사 기업 코볼드 메탈스(KoBold Metals)가 콩고민주공화국(민주콩고) 리튬 광산 개발에 본격적으로 착수할 예정이다. [유료기사코드] 21일 광업전문매체 마이닝닷컴에 따르면 코볼드와 민주콩고는 지난 18일 예비 광물 탐사 협정을 체결했다. 이에 따라 코볼드는 세계 최대 미개발 리튬 매장지로 꼽히는 마노노 광산을 인수하고 핵심 광물 탐사에 착수할 수 있는 권리를 확보하게 됐다. 펠릭스 치세케디 민주콩고 대통령은 "이번 협정은 미국이 코발트, 구리, 리튬 등 주요 광물에 대한 접근성을 확대하기 위한 전략의 일환"이라며 "아울러 글로벌 공급망에서 중국의 지배력을 약화시키기 위한 양국의 이해관계에도 부합한다"고 전했다. 코볼드는 앞서 지난 5월 호주 자원 개발 기업 AVZ미네랄로부터 마노노 프로젝트 지분을 인수하는 기본 계약을 체결했다. 마노노는 6억6900만톤 규모 리튬 자원이 매장된 것으로 추정된다. 로슈두레 광구에는 4억톤의 리튬 광석이 포함돼 있으며, 일부 지역의 리튬 산화물 함량은 1.65%에 달한다. 코볼드는 AI와 머신러닝(기계학습) 기술을
[더구루=홍성환 기자] 미국 반도체 기업 엔비디아가 AI 및 자동화 기술 기반 소재 연구·개발(R&D) 스타트업 '래디컬AI(Radical AI)'에 투자했다. [유료기사코드] 래디컬AI는 21일 5500만 달러(약 770억원) 규모 시드 자금조달 확장 라운드를 완료했다고 밝혔다. 이번 펀딩은 항공우주·방위 산업 전문 벤처캐피털(VC) RTX벤처스가 주선했다. 주요 투자자로는 엔비디아 VC 부문인 N벤처스, 유럽 VC 노아, 미국 VC 인피니트캐피털, 이탈리아 최대 석유기업 에니 등이 있다. 래디컬AI는 지난해 설립된 신생 기업으로 미국 뉴욕에 본사가 있다. 이 회사는 AI 및 자동화 기술을 활용해 미래 산업에 필요한 새로운 소재를 개발한다. 래티컬AI는 올해 초 오픈소스 머신러닝(기계학습) 라이브러리 파이토치(PyTorch)를 기반으로 하는 원자 시뮬레이션 엔진인 '토치심(TorchSim)'을 출시했다. 래디컬AI는 "우주 탐사·청정 에너지·교통·국가 안보·생명 공학·반도체 등 산업의 가장 큰 과제는 해당 산업의 문제를 해결하는 데 필요한 소재가 없다는 것"이라며 "우리는 미래 기술의 문을 여는 차세대 소재를 자율적으로 발견하고 창조하며 제조하는 과
[더구루=홍성환 기자] 사우디아라비아가 핵심 광물 개발에 44조원의 투자금을 확보했다. 칼리드 알-무다이퍼 사우디 산업광물부 차관은 20일 현지 일간지 아샤르크 비즈니스와 인터뷰에서 "지속적인 광물 부문 개혁으로 철·인산염·알루미늄·구리 프로젝트에 320억 달러(약 44조원)의 투자를 유치했다"며 "이는 2030년까지 유치하려는 목표액인 1000억 달러(약 140조원)의 3분의 1에 해당한다"고 밝혔다. 그는 "사우디의 광물 탐사 지출은 2018년 이후 4배 증가했으며 연평균 성장률은 32%로 전 세계 평균치인 6~8%를 크게 웃돈다"며 "사우디에 진출한 광업기업은 2019년 6개에서 현재 132개로 증가했다"고 설명했다. 광업기업의 70%가 외국계 기업이다. 탈(脫)석유를 추구하는 사우디는 광물 투자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사우디는 올해 1월 수도 리야드에서 열린 연례 미래 광물 포럼에서 1000억 달러(약 146조원) 규모의 광물 투자 프로젝트를 발표했다. 이어 3월에는 광물 탐사 촉진을 위한 6억8500만 리얄(약 2600억원) 규모의 재정 인센티브 패키지를 내놨다. 사우디는 인산염·금·희토류 등을 포함한 미개발 광물자원을 2조5000억 달러(약 348
[더구루=홍성환 기자] 덴마크 자치령 그린란드의 최대 희토류 매장지 '탄브리즈(Tanbreez)' 광산 개발 프로젝트가 새로운 시추 작업을 시작했다. 미국 희토류 개발업체 크리티컬 메탈스(Critical Metals)는 "최근 탄브리즈 시추 프로그램을 새로 시작했다"고 밝혔다. 이번 프로그램은 확인 자원량 880만톤, 추정 자원량 1380만톤의 유다이알리트 광상(鑛床·자원 매장지)의 기존 광물 자원 추정치(MRE)를 확대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다만 구체적인 목표치는 언급하지 않았다. 이 회사의 토니 세이지 CEO는 "시추 시작은 미국과 서구권의 희토류 수요 증가에 대응하고 희토류 생산을 빠르게 시작하기 위한 단계"라며 "자원 추정량을 많이 늘릴 수 있을 것으로 예상한다"고 전했다. 탄브리즈 광산은 세계 최대 희토류 매장지다. 47억톤 규모의 광상이 존재하는 것으로 추정된다. 이 사업에는 총 2억9000만 달러(약 4000억원)가 들 것으로 전망된다. 탄브리즈 광산 개발업체인 크리티컬 메탈스는 뉴욕에 본사를 둔 회사다. 도널드 트럼프 2기 상무부 장관 하워드 루트닉이 경영하는 투자회사인 캔트피츠제럴드가 세 번째로 많은 지분을 보유 중이다. 크리티컬 메탈스는
[더구루=홍성환 기자] 한화투자증권 베트남 법인 파인트리증권의 2분기 실적이 크게 성장했다. 파인트리증권은 2분기 세후이익 약 180억 동(약 10억원)을 기록했다고 19일 밝혔다. 이는 지난해 같은 기간 약 100억 동(약 5억원) 대비 84% 증가한 수치다. 2분기 총매출은 860억 동(약 46억원)으로 전년 동기 750억 동(약 40억원)보다 15% 증가했다. 지출은 640억 동(약 34억원)으로 2% 늘었다. 파인트리증권은 "주식 시장의 안정과 회사의 사업 지원 정책으로 총매출이 15% 증가했다"면서 "지출의 경우 회사의 비용 관리 노력으로 소폭 증가했다"고 설명했다. 한화투자증권은 지난 2019년 현지 HFT증권을 인수하며 파인트리 증권을 설립했다. 웹 트레이딩 시스템(WTS)과 모바일 트레이딩 시스템(MTS)를 통해 브로커리지·신용공여 서비스를 주력 사업으로 한다. 베트남 주식 시장은 빠르게 성장하고 있다. 지난해 말 기준 전체 시가총액은 7200조 동(약 380조원)으로 2023년 대비 21% 성장했다. 이는 동남아시아에서 가장 높은 수준이다.
[더구루=홍성환 기자] 미래에셋자산운용의 미국 자회사 글로벌X가 미국 국채에 투자하는 상장지수펀드(ETF)를 새로 출시했다. 글로벌X는 미국 증시에 TLTX(Global X Treasury Bond Enhanced Income ETF)를 상장했다고 19일 밝혔다. TLTX는 미국 국채와 국고채 원금·이자 분리채권(스트립·STRIPS), 그리고 이를 기초자산으로 하는 ETF에 투자하는 상품이다. 금리 민감도를 관리하고 프리미엄 수익을 추구하는 것을 목표로 매주 콜옵션을 발행한다. 이 상품은 글로벌X가 커버트콜 전략을 적용한 15번째 ETF다. 커버드콜은 특정 자산을 매수하면서 해당 자산의 콜옵션을 매도하는 전략으로, 주가 변동 시 손익을 조절하는 데 활용된다. 주가 상승 시 콜옵션 프리미엄 수익을 얻고, 하락 시 손실을 일부 상쇄한다. 페드로 팔란드라니 글로벌X 상품 연구개발 책임자는 "TLTX는 신중한 위험 관리를 통한 수익 창출 수요를 위해 내놓은 상품"이라며 "국채 ETF에 대한 주간 콜옵션을 발행해 프리미엄 수익을 창출함으로써 이러한 투자자 수요를 충족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글로벌X는 2008년 설립된 미국 ETF 전문 운용사로, 테마형·인컴형 등
[더구루=홍성환 기자] 미국 소형모듈원전(SMR) 기업 오클로(Oklo)가 원전 건설을 위한 인허가 작업에 본격적으로 돌입했다. [유료기사코드] 오클로는 미국 아이다호주(州) 국립연구소(INL)에 건설할 예정인 첫 SMR에 대해 "원자력규제위원회(NRC) 통합인허가신청서(COLA, Combined license application) 1단계 사전 준비 평가를 완료했다"고 18일 밝혔다. COLA는 설계·건설·운영 관련 인허가를 한 번에 진행하는 절차다. NRC가 원전 부지의 환경, 안전성, 비상 계획 등을 철저히 검토한다. 오클로는 "이번 평가 완료는 오클로의 인허가 절차 준비가 완료됐음을 의미하는 것으로, 인허가 승인에 지장을 줄 만한 중대한 문제점이 발견되지 않았다"고 설명했다. 이에 따라 오클로는 올해 COLA 1단계 서류를 제출할 예정이다. 제이콥 드위트 오클로 공동 창업자 겸 최고경영자(CEO)는 "명확하고 효율적인 인허가 절차를 구축하기 위해 NRC와 긴밀히 협력하고 있으며 긍정적인 경로를 밟고 있음을 보여주는 신호"이라고 전했다. 2013년 설립된 오클로는 캘리포니아에 본사를 둔 소형원전 기업이다. 챗GPT 개발사 오픈AI의 창업자 샘 알트만이
[더구루=홍성환 기자] 마이크로소프트(MS) 창업자 빌 게이츠가 AI 광물 탐사 플랫폼 '지오로직AI(GeologicAI)'에 추가 투자했다. [유료기사코드] 지오로직AI는 18일 4400만 달러(약 610억원) 규모 시리즈B 자금조달 라운드를 완료했다고 밝혔다. 이번 라운드는 스위스 벤처캐피털(VC) 블루어스 캐피털이 주선했다. 빌 게이츠가 설립한 VC 브레이크스루 에너지 벤처스가 2023년 시리즈A에 이어 재투자했다. 세계 1위 광산기업 BHP와 2위 리오틴토도 자금을 댔다. 지오로직AI는 캐나다에 본사를 둔 기업이다. 이 회사의 광물 탐사 플랫폼은 다양한 센서와 머신러닝, 전문 지식 등을 결합해 '시추코어(땅속에 구멍을 뚫어 채취한 원기둥 모양의 암석)'를 실시간으로 스캔·분석한다. 고해상도 데이터와 개선된 모델로 신속한 의사 결정을 제공해 탐사 효율성을 높일 수 있다는 평가를 받는다. 카요데 아키놀라 블루어스 사모펀드 책임자는 "핵심 광물 공급량 증가는 에너지 전환, 즉 전기화에 필수적"이라며 "지오로직AI는 탄소 발자국을 줄이는 동시에 광물 회수 절차를 개선하는 솔루션을 제공하는 데 앞장서 있다"고 평가했다. 로렐 버크너 BHP 벤처 부문 부사장은
[더구루=홍성환 기자] SK가 미국 친환경 가스 기업 넷파워(NET Power) 지분을 전량 매도했다. 그룹 사업 재편 작업에 따라 비주력 사업 몸집 줄이기에 속도를 높이고 있다. 18일 미국 증권거래위원회(SEC)에 따르면 SK는 지난 15일(현지시간) 미국 자회사 틸란드시아(Tillandsia)가 보유 중이던 넷파워 지분 250만주를 매도했다. 매도액은 약 650만 달러(약 90억원)다. SK는 앞서 지난해 5월 넷파워 지분 250만주를 처분한 데 이어 이번에 추가로 매각하면서 지분을 모두 털어냈다. 다만 지분 투자한 리버스캐피털(8 Rivers Capital) 등을 통해 간접 보유한 공유 의결권 주식은 2672만9880주가 있다. <본보 2024년 5월 29일자 참고 : [단독] SK, 美 친환경 천연가스 기업 '넷파워' 지분 일부 매도…'340억 규모'> 앞서 SK는 2023년 6월 넷파워가 기업인수목적회사(스팩·SPAC) 합병으로 미국 증시에 상장할 당시 상장지분사모투자(PIPE)를 통해 5000만 달러(약 700억원)를 투자한 바 있다. 당시 투자 주체는 자회사 SK머티리얼즈였다. 이번 지분 매각은 SK그룹이 작년부터 추진해온 포트폴리오
[더구루=홍성환 기자] 글로벌 투자은행(IB) 모건스탠리가 국내 자동차 부품 및 방위산업 기업 SNT모티브의 주가 전망을 높여 잡았다. 17일 투자전문매체 인베스팅닷컴에 따르면 모건스탠리는 SNT모티브 투자 의견을 '비중확대(Overweight)'로 상향 조정했다. 12개월 목표주가도 '3만2000원'에서 '4만5000원'으로 높였다. 모건스탠리는 "내년부터 매출·영업이익 성장 가속화와 방산 부문의 매출 기여도 확대가 예상된다"면서 "자동차 부품과 방산 모두 내년부터 신규 수주를 통해 성장 기반을 다질 것으로 예상되며, 회사의 성장 궤도에 큰 변화를 가져올 것"이라고 설명했다. 이어 "회사 전체 영업익에서 방산이 35% 이상을 기여할 수 있을 전망"이라며 "국가 안보 우려가 확대됨에 따라 글로벌 방산 기업의 주가가 재평가되고 있음을 고려할 때 SNT모티브도 재평가를 받을 것"이라고 밝혔다. SNT모티브는 SNT그룹 계열사다. 자동차 부품과 방산 제품을 주력으로 한다. 자동차 주력 제품은 엔진 및 파워트레인 이다. 방산에서는 총기류를 생산한다. 16일 현재 이 회사 주가는 3만5100원으로 올해 들어서만 70% 넘게 뛰었다.
[더구루=홍성일 기자] 인공지능(AI), 자동차, 로보틱스, 재생에너지의 발전이 질화갈륨(Gan) 전력 장치 시장의 성장을 이끌 것으로 전망됐다. 이들 산업이 요구하는 고성능, 고효율, 소형화라는 과제를 해결할 소재로 질화갈륨이 주목받으면서, 관련 시장이 폭발적으로 성장할 것이라는 분석이다. [유료기사코드] 14일 시장조사업체 트렌드포스에 따르면 글로벌 질화갈륨 전력 장치 시장은 2024년 3억9000만 달러(약 5390억원)에서 2030년 35억1000만 달러(약 4조8500억원)로 9배 가까이 성장할 것으로 예상됐다. 이 기간 연평균 성장률(CAGR)은 44%에 달할 것이라는 전망이다. 질화갈륨은 실리콘의 물리적 한계를 극복한 제품이다. 질화갈륨 반도체는 실리콘 반도체 대비 내구성이 우수해 고온·고전압을 견딜 수 있다. 에너지 변환 효율도 높아 소형화에 유리하다. 실제로 실리콘 반도체와 비교해 같은 성능의 반도체 크기를 3분의 1수준으로 줄일 수 있다. 이에 질화갈륨 반도체는 전기차, 신재생에너지, 데이터센터, 로봇 분야 등에서 발생하는 고성능 전력 부품 수요에 적합한 차세대 소재로 꼽히고 있다. 질화갈륨 전력 장치 시장 성장의 가장 강력한 동력은 AI
[더구루=길소연 기자] 영국이 차세대 원자력 발전 건설 속도를 높이기 위해 원전 규제 개편에 착수한다. 원자력 프로젝트 승인 속도를 높이고 지나치게 느리고 복잡한 시스템을 개편해 비용 절감 효과를 기대한다. [유료기사코드] 14일 업계에 따르면 영국 원자력규제청(ONR)은 원전 규제 관련 문제점을 인정하며 관행 개선에 나선다. ONR은 업계 이해 관계자들과 협의를 거쳐 올 연말까지 최종 권고안을 도출할 계획이다. 권고안은 규정을 간소화하고, 절차를 현대화하며, 높은 안전 기준을 유지하는 동시에 운영 효율성을 개선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규제 개편은 행정 규제 비용을 25% 감축하고, 현재 허가된 8개 부지 외에도 잉글랜드와 웨일즈 전역에 원자력 발전소 건설을 허용하는 완화된 정부 개혁도 포함된다. 키어 스타머 영국 총리는 지난 2월 장기 국가계획으로 원전 규제를 대폭 완화하겠다며 8개로 제한됐던 원전 부지 제한 규정을 폐지했다. 마이크 피너티 ONR 최고경영자(CEO)는 "규제 개편을 위해 그룹과 지속적인 논의를 진행하고 있다"며 "원자력 부문 성장을 방해하는 규제 관련 과제를 인정하고 관행을 개선할 것"이라고 약속했다. ONR이 원전 규제 개편에 나서는 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