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구루=오소영 기자] 한국수력원자력이 이끄는 '팀코리아'가 3월 두코바니 원전 본계약 체결을 앞두고 막바지 협상에 매진하고 있다. 루카시 블체크 체코 산업통상부 장관의 방한 일정이 마무리된 직후 프라하로 떠났다. 원전 컨퍼런스에 참석하고 현지 정부·발주처와 만난다. 24일 체코 산업통상부와 한국원자력산업협회 등에 따르면 팀코리아는 이번 주 체코 프라하를 찾는다. 황주호 한수원 사장을 비롯해 한국전력, 두산에너빌리티, 대우건설 등 업계 관계자들이 동행한다. 팀코리아 대표단은 25일(현지시간) 프라하 클라리온 콩그레스 호텔에서 열린 '체코-한국 원자력 산업 컨퍼런스'에 참석한다. 이번 행사는 두코바니 신규 원전 사업의 성공적인 이행을 위해 양국 산업계의 협력을 다지는 자리로, 한국원자력산업협회(KAIF)와 체코전력산업협회(CPIA)가 주최한다. 한수원은 이날 두코바니 사업의 현지화 전략에 대해 발표할 계획이다. 대표단은 현지 정부, 발주처 체코전력공사(CEZ) 자회사 두코바니Ⅱ 원자력발전사(EDUⅡ)와도 회동할 것으로 보인다. 내달 목표인 본계약 체결을 위한 협상을 이어간다. 팀코리아는 작년 7월 두코바니 원전 건설의 우선협상대상자로 선정됐다. 이후 총괄과 설
[더구루=오소영 기자] 한화시스템이 한국항공우주산업(KAI)가 주도하는 기뢰 제거 임무 헬기 개발에 동참한다. 미국 3대 항공우주 회사 '노스롭그루먼(Northrop Grumman)'과 소해헬기에 필요한 핵심 장비 개발에 협력한다. 24일 노스롭그루먼에 따르면 이 회사는 한화시스템과 한국형 소해헬기 사업에 협력하기 위한 양해각서(MOU)를 체결했다. 이번 MOU는 지난 2023년 10월 노스롭그루먼과 KAI가 체결한 파트너십의 연장선이다. KAI는 2030년까지 전력화를 목표로 소해헬기 개발을 추진하고 있다. 노스롭그루먼으로부터 소해헬기에 탑재되는 레이저기뢰 탐색장비(Airborne Laser Mine Detection System, 이하 ALMDS)의 엔지니어링·제조·개발(EMD)를 지원받기로 했다. 이어 한화와 협력해 ALMDS 관련 장비를 개발한다. ALMDS는 레이저를 쏴서 바다 위나 물속에 있는 기뢰를 찾아내는 장비다. 주야간 작전 수행이 가능하며 뛰어난 탐색율과 정확한 위치 정보를 자랑한다. 노스롭그루먼은 앞서 미 해군과 일본 해상자위대에 ALMDS를 공급한 바 있다. 한국으로 사업 보폭을 넓히며 한국 방산 기업들과 협력을 강화하고 있다. 한화시스
[더구루=오소영 기자] 스페인 방산·항공우주 회사 인드라(Indra) 수장이 중동 최대 방산 전시회에서 'K방산' 기업들과 연이어 만났다. 한화에어로스페이스, 현대로템, 기아 경영진과 방산·항공 분야에서 협력을 논의했다. 세계 방산 시장에서 활약하고 있는 국내 주요 기업들을 파트너로 삼고 유럽을 넘어 해외로 영토를 확장한다는 구상이다. 24일 인드라에 따르면 앙헬 에스크리바노 루이스(Ángel Escribano Ruiz) 회장은 지난 17~21일(현지시간) 아랍에미리트(UAE) 수도 두바이에서 열린 'IDEX 2025'에서 한화에어로스페이스와 현대로템, 기아 전시관을 둘러봤다. 지난달 말 취임 후 처음으로 세계적인 방산 전시회를 찾으며 한국 방산 기업들과도 인사를 나눈 것이다. 한화에어로스페이스 부스에서는 오계환 중동법인장을 접견해 K9 자주포와 레드백 전차 등을 살폈다. 마이클 쿨터 한화에어로스페이스 해외사업 총괄 대표이사 내정자, 사이먼 험프리 비즈니스 개발 및 전략 담당 부사장과도 인사를 나누고 방산 협력을 논의했다. 아울러 현대로템 전시관을 방문해 중동형 K2 전차를 살피고 별도의 미팅룸에서 이정엽 디펜스솔루션사업부장(부사장)과 이야기를 나눴다. 김익
[더구루=오소영 기자] 한화오션이 세계 1위 발전소·선박용 엔진 제조사인 독일 만에너지솔루션즈(MAN Energy Solutions)에 액화천연가스(LNG)운반선용 엔진을 발주했다. ME-GA 엔진을 받아 LNG운반선 4척에 탑재한다. 만에너지솔루션즈의 선진 기술과 결합해 LNG선 시장에서 영향력을 강화한다. 23일 만에너지솔루션즈에 따르면 이 회사는 한화오션으로부터 17만4000㎥ 규모 LNG운반선용 ME-GI 엔진 주문을 받았다. ME-GI는 디젤과 LNG, 두 연료를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엔진이다. 한화오션이 주문한 5G70ME-GI Mk10.5는 2행정 ME-GA로 선박용 배기가스 재순환 장치와 통합된다. 탄소 배출량을 줄이고 연료 효율성을 향상시킬 것으로 기대된다. 만에너지솔루션즈는 현재까지 890개 이상의 ME-GI 엔진을 공급했다. 110척이 넘는 LNG운반선에 탑재하며 품질을 인정받았다. 한화오션은 만에너지솔루션즈와 협력해 LNG운반선 품질을 높이고 친환경 선박 수주를 늘린다. LNG운반선은 대당 3000억원 이상인 고부가가치 선박이다. 유럽에서 석탄화력 발전소를 대체하는 발전용 수요가 늘고, 미국과 호주에서 LNG 투자를 적극적으로 추진
[더구루=오소영 기자] HD현대중공업이 일본 최대 해운사 '오션네트워크익스프레스(Ocean Network Express, 이하 ONE)'에 메탄올·암모니아를 연료로 활용할 수 있는 첫 선박을 인도했다. 에너지 절약과 스마트 기술을 인정받고, 친환경 선박 시장에서 두각을 나타낸다. 22일 ONE에 따르면 이 회사는 지난 14일 HD현대중공업 울산조선소에서 1만3800TEU(1TEU=40피트짜리 표준 컨테이너 1대)급 컨테이너선 'ONE 스파클(ONE Sparkle)'호 명명식을 개최했다. ONE은 2022년과 2023년 두 차례에 걸쳐 HD현대중공업·일본 니혼조선소(Nihon Shipyard·NSY)에 각각 10척씩 주문했었다. 총 20척 중 첫 선박이 이번에 인도됐다. HD현대중공업이 건조한 원 스파클호는 메탄올 또는 암모니아 연료로 전환할 수 있다. 에너지 절감 장치를 탑재했고, 선박의 성능을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하고 최적화할 수 있는 스마트 기술을 갖췄다. 항만에 정박해 있는 동안 육상의 전력망으로부터 전력을 공급받아 디젤 발전기를 가동할 필요도 없다. 국적은 싱가포르며 ONE과 씨스팬 코퍼레이션의 합작사 원씨솔루션즈에서 운영·관리를 맡는다. ONE은 25
[더구루=오소영 기자] 삼성전자가 이스라엘 '뉴프로(Newpor)'를 현지 유통사로 선정했다. 판매 네트워크를 넓혀 이스라엘에서 선두 브랜드의 위치를 각인한다. 22일 시장조사기관 마켓앤텔 어드바이저에 따르면 삼성전자는 뉴프로와 유통 파트너십을 체결했다. TV와 냉장고, 세탁기, 식기세척기 등 삼성 전자제품에 대한 수입·유통을 뉴프로에 맡긴다. 뉴프로는 1986년 설립된 이스라엘 뉴팬(Newpan)의 자회사다. 뉴팬은 테팔과 캐논, 하이얼, 드롱기 등 글로벌 전자제품 회사 25개를 파트너사로 뒀다. 이스라엘 전자상거래 플랫폼 '라스트 프라이스'도 인수하며 사업 영역을 확장하고 있다. 삼성전자는 뉴프로의 현지 네트워크망을 활용해 이스라엘에 제품을 공급하고 현지 시장을 공략한다. 지난 2023년 10월 팔레스타인 무장단체 하마스의 이스라엘 침공으로 전쟁이 발발하며 현지 시장은 급격히 얼어붙었다. 삼성의 해외 투자 전문 자회사인 삼성넥스트는 텔아비브 소재 이스라엘 지사를 폐쇄했다. <본보 2024년 4월 11일 참고 삼성넥스트, 이스라엘서 철수…투자금 회수 리스크↑> 올해 들어 이스라엘과 하마스가 1단계 휴전에 합의하며 그나마 나아지고 있다. 조만간 2
[더구루=오소영 기자] 효성중공업의 인도법인이 인도 대형 변압기 제조사에 변압기를 주문했다. 내년 1분기까지 받아 인도 스태콤 프로젝트에 투입한다. 고속 경제 성장으로 전력 설비 투자가 확대되고 있는 인도 시장 공략에 전력투구한다. 21일 인도국립증권거래소(NSE)에 따르면 효성T&D 인디아는 최근 TARIL(Transformers And Rectifiers (India) Limited)과 변압기 구매 계약을 체결했다. 계약 규모는 16억6450만 루피(약 280억원), 인도 기간은 내년 3월까지로 추정된다. TARIL은 인도에서 두 번째로 큰 변압기 제조사다. 1994년 설립됐으며 인도 구자라트 인근 공장 3곳에서 전력 변압기와 저전압용 배전 변압기, 특수 변압기 등을 생산하고 있다. 작년 11월 방향성 전기강판 전용 가공센터를 보유한 '포스코-포겐엠프'와 지분 투자를 위한 텀시트(Term Sheet)를 체결한 바 있다. 원재료부터 변압기 완제품까지 수직계열화를 구축하려는 목적이다. 효성T&D 인디아는 이번 계약으로 확보한 변압기를 인도 스태콤 프로젝트에 활용한다. 스태콤은 발전기에서 생산된 전기를 사용처에 전달할 때 손실되는 전력을 최소화
[더구루=오소영 기자] 이우현 OCI홀딩스 회장이 미국 태양광 사업 확대에 본격 시동을 걸었다. '텍사스 1위 태양광 사업자'로 자리 잡은 OCI에너지가 이스라엘 회사와 손잡고 260㎿ 규모 텍사스 태양광 발전사업을 추진한다. 텍사스에서 얻은 자신감을 토대로 미국 전역으로 발자국을 넓히며 장밋빛 미래를 그리고 있다. OCI에너지는 20일(현지시간) 아라바 파워와 '프로젝트 선로퍼(Project SunRoper)' 수행을 위한 합작투자 계약을 체결했다고 밝혔다. OCI에너지와 아라바 파워는 텍사스주 와튼 카운티에 260㎿ 규모 태양광 발전소를 건설한다. 연내 착공할 계획으로, 완공 후 미국에서 가장 전력 수요가 높은 지역에서 핵심 청정에너지 공급원으로서 중요한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된다. 2007년 설립된 아라바 파워는 미국과 이스라엘을 주 무대로 태양광 사업을 하는 회사다. 현재까지 570㎿ 규모 발전소를 지었고, 269.5㎿ 규모 발전사업을 개발 중이다. OCI와도 2021년 태양광 발전 사업권을 인수하며 인연을 맺었다. 당시 텍사스주 유밸디 카운티 소재 200㎿ 규모 태양광 발전소를 짓는 '프로젝트 선레이'를 샀다. 이 발전소는 작년 9월 가동에 돌입했다
[더구루=오소영 기자] 조현상 부회장이 이끄는 HS효성이 분사 후 처음으로 세계 최대 타이어 전시회에 참가한다. 그룹의 핵심 성장동력인 '타이어코드'를 홍보하고, 유럽과 북미 등 주요국 고객사들에 판매를 확대한다. 21일 업계에 따르면 HS효성첨단소재는 내달 3~6일 독일 하노버에서 열리는 '타이어 테크놀로지 엑스포 2025(Tire Technology Expo 2025)'에 부스를 꾸린다. 타이어 테크놀로지 엑스포는 타이어 시장의 최신 기술을 공유하고 네트워크를 다지는 연례행사다. 2000년부터 매년 독일에서 개최돼 올해 25주년을 맞았다. 240여 개 업체들이 전시관을 채우고, 업계 선도 기관·기업 출신인 약 165명 연사가 참석한다. HS효성첨단소재는 효성첨단소재 시절인 지난 2020년 처음으로 참가했다. 올해 두 번째 참가며, 효성그룹에서 분사된 이후로는 첫 참가다. 주력 제품인 폴리에스터(PET) 타이어코드와 스틸코드, 리사이클 제품 등을 선보이고, 글로벌 고객사들과 만날 계획이다. 타이어코드는 타이어 형태를 잡아주고 타이어에 부여되는 하중을 견뎌 편안한 승차감을 보장하는 핵심 소재다. 스틸코드는 얇은 와이어 여러 개를 합쳐 놓은 소재로 타이어가 충
[더구루=오소영 기자] 한국항공우주산업(KAI)이 말레이시아에 내년 10월께 경공격기 'FA-50M' 4대를 인도할 수 있다는 전망이 제기됐다. 지난해 양산에 돌입한 후 진척률 50%를 돌파한 것으로 알려졌다. 예상보다 빠른 진행 속도로 현지 공군을 만족시키며 추가 수출에도 청신호가 켜졌다. [유료기사코드] 21일 디펜스시큐리티아시아와 GBP에어로스페이스앤디펜스 등 외신에 따르면 KAI의 말레이시아 FA-50M 사업 진척률은 50%를 돌파했다. 지난달 말 48%에 도달했다는 소식이 전해진 후 약 한 달 만의 성과다. 익명의 소식통은 현지 매체를 통해 "약속한 일정보다 빠르게 진행되고 있다"고 전했다. KAI는 지난 2023년 2월 말레이시아와 FA-50 18대를 수출하는 9억2000만 달러(약 1조3000억원) 규모의 계약을 체결했다. 작년부터 본격 양산에 돌입했으며, 내년에 순차 인도한다는 목표다. KAI의 빠른 양산 속도에 현지에서는 인도 시기와 규모에 대한 기대감도 높아지고 있다. KAI가 내년 10월 FA-50M 4대를 공급할 수 있다는 추측이 제기된다. 앞서 다툭 세리 모하메드 칼레드 노르딘(Datuk Seri Mohamed Khaled Nordin
[더구루=오소영 기자] 한화에어로스페이스 경영진이 중동 최대 방산 전시회에서 이집트 군사생산부와 만나 방산 협력을 논의했다. 하반기 국산엔진을 단 K9 자주포의 인도를 앞두고 상호 협력을 강화하고 중동 시장에서 사업 기회를 발굴한다. 21일 이집트 군사생산부에 따르면 모하메드 살라 엘딘 무스타파(Mohamed Salah El-Din Mustafa) 장관은 지난 17일(현지시간)부터 닷새간 아랍에미리트(UAE) 아부다비에서 열리는 국제 방산 전시회 'IDEX 2025'에서 안장혁 해외사업총괄을 비롯해 한화에어로스페이스 관계자와 회동했다. 무스타파 장관은 한화의 전시 부스를 찾아 여러 대공방어 무기체계를 살폈다. 별도로 마련된 미팅룸에서 이야기도 나눴다. 이집트에서 도입하는 K9 자주포 사업 현황을 듣고 향후 협력 방안을 검토했다. 한화에어로스페이스는 지난 2022년 2월 독일 판처하우비체와 미국 M109A6 등을 제치고 이집트 자주포 사업을 수주했다. 현지 정부와 2조원 규모의 K9 자주포, K10 탄약운반차, K11 사격지휘장갑차 등 패키지 계약을 체결했다. 당시 역대 K9 자주포 계약 중에서는 최대 규모였다. 이집트 수출이 성사되기까지 시련도 있었다. 기존
[더구루=오소영 기자] 인도네시아가 해군 전투력을 강화하며 새 항공모함 건조를 추진한다. 여러 함정을 수출하며 실력을 입증한 HD현대·한화오션도 잠재 파트너로 거론된다. 폴란드에 이어 인도네시아 시장에서 양사가 맞붙을 가능성이 제기된다. 21일 조나자카르타와 아미레코그니션(armyrecognition) 등 외신에 따르면 무하마드 알리 인도네시아 해군참모총장은 지난 6일(현지시간) "항공모함 도입을 검토하고 있다"며 "전쟁이 아닌 군사 작전 수행을 위해 (항공모함이) 필요하다"고 밝혔다. 인도네시아는 해양 안보를 강화하고자 노후화된 함대의 현대화를 추진하고 있다. 튀르키예로부터 고속 미사일 초계함 여러 척을 인도받고, 이탈리아에 프리깃함 2척 건조를 요청했다. 이탈리아 국영조선소 핀칸티에리(Fincantieri)에서 건조한 프리깃함을 확보할 것으로 전망된다. 또한 일본으로부터 동칼리만탄 소재 발릭파판 해군기지에 주둔할 두 척의 초계함 제안도 받았다. 새 초계함을 통해 신수도 누산타라 주변의 경계를 강화할 수 있게 됐다. 항공모함도 구매 목록에 올리면서 여러 방안을 검토하고 있다. △중국 항공모함 개조 △현지 국영조선소 PT PAL 활용 △해외 조선소와의 협력
[더구루=오소영 기자] 그리스가 한국의 잠수함과 전투기, 군용 차량까지 아우르는 '방산 풀 패키지' 확보를 검토하고 있다. 장보고-III(KSS-III) 잠수함부터 유무인복합운용체계(MUM-T), 군용 차량 공동까지 육·해·공 전력 전반에서 파트너십을 모색한다. 폴란드와 루마니아 등에서 인정받은 'K방산'이 유럽에서 존재감을 강화하고 있다. [유료기사코드] 11일 이카티메리니(Ekathimerini)와 아미나(AMYNA) 등 그리스 외신에 따르면 그리스 당국은 한화오션의 KSS-III 잠수함 구매를 모색하고 있다. 한화와 협상을 시작하는 단계로 그리스는 품질을 호평한 것으로 전해졌다. 세부 조건으로 현지 조선소를 활용하고 현지 방산업체의 참여율 25%를 보장해 줄 것을 요청하고 있다. 그리스 당국은 한국항공우주산업(KAI)과 MUM-T 개발 협력도 희망하고 있다. 현지에서는 한국형 KF-21 전투기와 함께 운용할 무인기 개발을 추진하며 로열 윙맨(Loyal Wingman)과 연계해 활용할 수 있는 방안이 거론됐다. 로열 윙맨은 유인 전투기의 지휘 아래 정찰과 적 대공사격 흡수 등 위험한 임무를 수행하는 무인전투기다. 호주 공군의 F/A-18 전투기, F-35
[더구루=홍성일 기자] 대만 글로벌웨이퍼스(GlobalWafers)가 애플의 미국 반도체 공급망 구축 프로젝트에 참가한다. 애플의 6000억 달러(약 830조원) 규모 미국 제조업 투자 프로그램(American Manufacturing Program, AMP)가 본격화되는 모양새다. [유료기사코드] 11일 업계에 따르면 글로벌웨이퍼스 미국법인(GlobalWafers America LLC, GWA)은 7일(현지시간) 애플과 12인 실리콘 웨이퍼 공급 파트너십 계약을 체결했다. GWA는 계약에 따라 텍사스 셔먼공장에서 생산된 12인치 실리콘 웨이퍼를 애플의 반도체 생산 파트너사에 공급한다. 웨이퍼 생산 원재료는 코닝 헴록 세미컨덕터 등 미국 내 기업에서 공급받는다. GWA 텍사스 셔먼공장은 지난 5일 공식 가동을 시작했으며, 구축에는 35억 달러(약 4조8500억원)가 투입됐다. 애플에 따르면 GWA에서 생산되는 웨이퍼는 애리조나주 피닉스에 위치한 TSMC 공장과 텍사스 셔먼에 위치한 텍사스 인스트루먼트(TI) 공장으로 공급된다. 해당 공장에서는 이를 토대로 미국과 글로벌 시장에서 판매될 아이폰·아이패드용 칩을 생산한다. 이번 계약으로 애플은 향후 4년간 6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