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구루=길소연 기자] 영국 경쟁 당국이 대한항공과 아시아나항공의 합병을 검토한다. 경쟁국들의 검토가 다소 장기화되면서 내년 합병이 마무리될 전망이다. 19일 업계에 따르면 영국 규제 기관인 경쟁시장청(CMA)은 지난 16일(현지시간) 대한항공·아시아나항공 기업결합에 대한 공식 조사를 시작했다고 밝혔다. CMA는 1단계 결정을 위한 기한을 11월 14일로 설정하고 검토에 기업결합 심사 착수했다. 앞서 대한항공은 임의신고국가인 호주 경쟁·소비자위원회(ACCC)로부터 아시아나항공 인수와 관련해 조건없는 기업결합 승인을 받았다. ACCC는 대한항공과 아시아나항공의 인수·합병은 시드니 노선에 직항편을 운항하는 두 개의 항공사 간 결합에 대한 사안이지만, 콴타스항공과 젯스타가 조만간 해당 노선을 운항할 계획이기 때문에 양사간 기업결합과 상관없이 효과적인 경쟁이 이뤄질 것이라고 판단했다. 대한항공은 지난 2020년 11월 아시아나항공과의 인수합병(M&A) 추진을 결정했다. 이후 지난해 1월 공정거래위원회에 기업결합 신고서를 제출했고, 약 1년여 만인 올해 2월 조건부 승인을 받은 이후 M&A 관련 필수적 선결 조건인 해외 경쟁당국의 기업결합심사 절차를 진
[더구루=길소연 기자] 액화천연가스(LNG) 운반선 건조에 뛰어든 중국 조선소가 연간 최대 30척의 신조선을 생산할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 LNG 운반선 건조 강국인 한국 조선소를 바짝 추격한다. 18일 업계에 따르면 중국 조선소는 LNG 운반선 건조에 대한 중국 관심이 급증함에 따라 향후 몇 년 내 20~30척의 LNG 운반선을 생산할 수 있을 것으로 전망한다. 실제 장난조선소, 대련조선소(DSIC), 양즈장조선 등 3개 조선소가 제품 목록에 LNG 운반선을 추가했다. 이미 CMH 하이먼(Haimen)으로도 알려진 CMHI 장수(Jiangsu)가 LNG 운반선 설계를 준비했으며, 프랑스의 격납 시스템 설계자 GTT와 협력해 멤브레인 유형 화물 탱크 건설에 대한 라이센스를 확보하고 있다. 중국 최초 대형 LNG 운반선 건조 조선소인 후둥중화조선은 수년 동안 수주서를 늘리고 있다. 올 한해에만 LNG 운반선 36척을 수주했다. 후둥중화의 경우 현재 LNG 운반선 발주잔량이 30척 이상 규모로, 신조선을 수주한다 해도 2028년은 돼야 인도가 가능하다. 장난조선소는 애드녹(ADNOC)L&S를 위한 LNG 운반선 시리즈 건조에 여념이 없다. 아부다비국영석유
[더구루=길소연 기자] 인도 항공사가 여객 수요 회복에 따라 고용을 재개하고 있다. 코로나19 발발 후 유·무급 휴직, 해고 등으로 인원 감축을 해오다 상당한 수 고용에 복귀한다. [유료기사코드] 17일 업계에 따르면 인도 항공사는 조종사와 객실 승무원 등 다양한 직책에 대한 인력을 늘리고 있다. 승객 증가로 다양한 부서에서 직원의 필요성을 깨닫고 채용을 진행한다. 올 초 타타그룹에 매각된 에어 인디아는 △아메다바드 △뭄바이 △구와하티 △고아 등 다양한 도시에서 객실 승무원 대상 현장 면접을 실시하고 있으며, 에어버스 A320 기단의 수석 조종사와 보잉 777 항공기 조종사도 찾고 있다. 여기에 회사의 다양한 직책에 대한 MBA 졸업생도 모집 중이다. 에어 인디아는 국영 항공사였으니 타타그룹 지주회사 타타선즈(Tata Sons)가 에어인디아를 재인수하면서 나렌드라 모디 인도 총리가 추진한 항공사 민영화 계획이 빛을 발했다는 평가다. <본보 2021년 10월 10일 인도 2위 기업 타타그룹, 에어인디아 항공사 인수 유력> 에어아시아 인디아(AirAsia India)는 델리, 벵갈루루, 푸네, 럭나우에서 객실 승무원을 위한 채용 캠페인을 시작했으며,
[더구루=길소연 기자] '스페이스X 대항마'로 꼽히는 미국 민간우주기업 로켓랩(Rocket Lab)이 로켓 화물 배송 프로젝트에 참여한다. [유료기사코드] 17일 업계에 따르면 로켓랩은 우주항공기업 '시에라 스페이스'(Sierra Space)와 함께 로켓이 빠른 화물 배송에 사용될 수 있는지 탐구하기 위해 미국 국방부(DOD)와 별도의 계약을 체결했다. 로켓랩은 일렉트론(Electron)과 뉴톤(Neutron) 로켓으로, 시에라 스페이스 드림 체이서(Dream Chaser)로 참여한다. 드림 체이서는 자율주행이 가능해 조종사가 필요 없는 왕복선이다. 최대 30회까지 재사용이 가능하다. 이번 협정은 정부와 스타트업과 같은 민간 기업의 비정부 기관 간 연구개발(R&D) 작업을 촉진하는 수단인 공동 연구개발 협정(CRADA) 형태로 맺어졌다. CRADA는 DOD의 지원을 받는 기관인 미국 교통 사령부(USTRANSCOM)에 있다. 이번 계약에 따라 시에라 스페이스와 군은 지상 화물과 인력 수송을 위한 극초음속 우주 운송을 위해 드림 체이서 비행기를 사용해 공동으로 탐색할 예정이다. 로켓랩은 군대와 협력해 화물 운송에 로켓 발사체를 사용, 조사한다. 피터 벡
[더구루=길소연 기자] 미국 4위 항공사 유나이티드항공(United Airlines)이 전기 수직 이착륙항공기(eVTOL)를 사들인데 이어 브라질 이브(Eve Holding)에 두 번째 대규모 투자를 단행한다. 탄소 배출을 줄이기 위해 eVTOL 개발 투자를 확대한다. [유료기사코드] 17일 업계에 따르면 유나이티드항공은 아처 항공(Archer Aviation)에 대한 eVTOL 구매 보증금 지불에 이어 이브 에어 모빌리티에 1500만 달러(약 207억원)를 투자했다. 해당 계약에는 eVTOL 조건부 구매 계약도 포함됐다. 구매 계약서에는 4인승 eVTOL 총 200대가 적용되며, 200대 추가 구매 옵션이 포함됐다. 유나이티드는 2026년 이브 항공기가 처음으로 인도될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eVTOL은 헬리콥터처럼 수직으로 이착륙하며 전기를 동력으로 해 탄소 배출을 줄이면서 혼잡한 고속도로를 피해 승객들을 빠르게 이동할 수 있도록 돕는다. 이번 협약에는 유나이티드와 이브 간 도시항공이동성(UAM) 생태계의 개발, 사용에 대한 연구 등 협력적 파트너십 요소도 포함된다. 마이클 레스키넨(Michael Leskinen) 유나이티드항공 사장은 "이브와의 계약은
[더구루=길소연 기자] 선복량 기준 세계 1위 해운 선사인 스위스 MSC는 선박에 국제 선박 인증기관인 노르웨이선급협회(DNV)이 롤링 방지 기술을 적용한 최초의 선박 소유자가 된다. DNV의 솔루션 채택으로 주요 선박 손실을 막는다. [유료기사코드] 17일 업계에 따르면 MSC는 지난 7일(현지시간) 함부르크에서 열린 '함부르크 조선 해양 박람회(SMM2022)'에서 선급 협회 DNV와 약 100척의 선박에 새로운 DNV 압연 방지 시스템(Anti-Roll Assist)과 ARCS(Anti-Roll for Containerships) 클래스 표기법 구현 계약을 체결했다. SMM2022는 2년마다 독일 함부르크에서 열리는 독일 최대 규모의 국제 무역 박람회이다. SMM은 항만기자재와 설비, 선박엔전 세계의 해양 산업 전문가들이 모든 부문의 혁신에 대한 완전한 개요를 얻을 수 있다. DNV는 세계 최고의 국제 해양 무역 박람회 후원사다. MSC는 SMM2022에서 체결한 계약으로 애플리케이션을 설치한 최초의 회사이자 세계 최초로 파라메트릭 또는 동기식 압연으로 인한 컨테이너 손실을 방지하기 위해 선박 전용 도구를 구현한다. 계약은 1800~2만4000TEU 선
[더구루=길소연 기자] 머스크 그룹 계열 예인특수선(AHTS) 운항업체 머스크 서플라이 서비스(Maersk Supply Service, 이하 MSS)가 선대 전반에 바이오 연료 옵션을 출시한다. 운영 선박의 탄소 배출 감축을 위해 바이오 연료를 사용한다. [유료기사코드] 17일 업계에 따르면 MSS는 새로운 제품인 에코 오프쇼어(ECO Offshore)가 기존의 화석 연료를 대체하면서 동일한 성능을 제공하는 지속 가능한 바이오 연료인 수소 처리된 식물성 오일(HVO)을 사용하기로 했다. HVO는 재생 가능한 폐기물 지질을 처리하여 화석 자원 없이 생산할 수 있는 디젤과 같은 연료이다. 저탄소 옵션을 사용하면 탈탄소화 목표를 달성할 수 있다. 디젤 연료와 같은 화학적, 물리적 특성을 가지고 있지만, 화석이 없는 구성과 저탄소 함량은 디젤과 차별화돼 지속 가능한 연료 옵션을 찾는 사람들에게 매력적이다. 작년에 네덜란드의 친환경 기술 스타트업인 더 오션 클린업(The Ocean Cleanup)과 협력해 앵커 핸들러인 머스크 텐더(Maersk Tender)에서 성공적인 바이오 연료 시험을 수행했다. 시험은 6주간의 용선 기간 동안 실시했으며, 38.95미터톤(mt)
[더구루=길소연 기자] 미국 제조업체 제너럴일렉트릭(GE)이 특허 침해로 미국에서 초대형 풍력 발전기인 할리에이드 X(Haliade-X) 터빈 제조와 판매를 하지 못한다. 17일 업계에 따르면 보스턴 연방법원은 지난 7일(현지시간) GE가 지멘스 가메사의 특허를 침해했다고 판단, 미국에서 할리에이드 X 풍력 터빈 제조·판매하는 것을 금지했다. 윌리엄 영(William Young) 보스턴 연방지법 판사는 "지멘스 가메사가 특허 침해를 당해 GE로부터 시장 점유율 상실 등 회복할 수 없는 피해를 입었기 때문에 (판매) 금지 조치를 내릴 자격이 있다"고 말했다. 이어 "GE가 지멘스 가메사에 로열티를 지불하면 매사추세츠와 뉴저지 해안에서 기존 프로젝트를 위한 터빈을 계속 만들고 운영할 수 있도록 허용한다"며 "(로열티 지불 시) GE는 특허 설계를 할 수 있다"고 덧붙였다. GE가 침해한 특허 기술은 풍력 터빈의 기능을 위한 핵심 요소를 제공해 더 큰 모터를 허용하고 터빈이 고장날 가능성을 낮춘다. 이들의 소송은 지난 2020년부터 시작됐다. 지메스 가메사는 매사추세츠에서 GE의 할리에이드-X 터빈이 풍력 터빈 기술에 대한 특허를 침해했다고 주장하며 GE를 고소했
[더구루=길소연 기자] 카자흐스탄이 대규모 석유와 가스 공급을 준비한다. 카자흐스탄 정부 예산이 대부분 석유·가스 회사 세금으로 충당하는 데 광구 탐사와 개발 확대로 정부 재정과 국가 경제가 늘어날 전망이다. 18일 업계에 따르면 카자흐스탄 에너지부는 최근 임대 경매 플랫폼을 제공하는 고스레스트르(Gosreestr) 정부 웹사이트에 새로운 소유자가 유망한 지역을 찾고 있으며 이미 카스피해의 해안과 얕은 수역에 위치한 유전과 가스전을 발견했다고 게시했다. 현재 카자흐스탄은 두개의 국영 기업에 독점적으로 제공될 23개를 포함해 107개의 석유·가스 광구에 대한 탐사와 개발 라이센스를 재할당하거나 판매할 계획이다. 국영 기업은 카즈무네이가스(KazMunayGas)와 카자흐가스(Qazaqgas)이다. 카자흐스탄 국가에서 4번째로 큰 석유 생산업체 국영 카즈무네이가스와 가스 파이프라인 운영업체 카자카즈에는 23개 블록에서 지질 정보를 검토한 후 면허 조건과 탐사 약속을 협상하기 위해 부처와 직접 대화를 시작할 것을 요청했다. 이들 국영 기업에 지정될 23개의 블록에는 카자흐스탄의 카스피해 해역에서 1700㎢ 이상을 차지하는 칼람카스 모어(Kalamkas-more)와
[더구루=길소연 기자] 일본 에너지 스타트업 '파워X'(powerX Inc)가 세계 최초로 전기 운반선을 개발한다. 전기와 지속 가능한 바이오디젤 연료로 구동되는 선박으로 재생 에너지 가속화를 기대한다. 17일 대한투자무역진흥공사(코트라) 일본 도쿄무역관이 낸 보고서에 따르면 일본의 에너지 스타트업 '파워X'가 배로 전기를 운반하는 전기 운반선을 개발한다. 파워X는 해상 풍력 발전으로 생산된 전력을 해저 케이블에 의존하지 않고 축전지가 탑재된 전기 운반선으로 수송함으로써 재생 에너지의 폭발적인 보급을 지향하고 있다. 파워X의 전기 운반선 모델 'Power ARK 100'은 선체 길이가 약 100m, 그리드 스케일 배터리를 100TEU 탑재해 220MWh(일반 가정 약 2만2000세대의 1일 전기 사용량)의 축전 능력을 갖출 것으로 기대된다. 특히 해저 케이블의 경우 1km 부설할 때마다 1~2억엔(약 9억7000만원~19억원) 비용이 드는 반면, 파워X에서 만든 전기 운반선 건조비는 한 척당 30억 엔(약 293억원) 정도로 추산돼 총 비용으로 환산했을 때는 선박이 더 저렴하다. 또 선박으로 전기를 수송하기 때문에 더 강한 바람이 불어 큰 발전량이 기대 가능
[더구루=길소연 기자] '스페이스X 대항마'로 꼽히는 미국 민간우주기업 로켓랩(Rocket Lab)이 30번째 일렉트론(Electron) 로켓을 발사했다. [유료기사코드] 로켓랩은 15일(현지시간) 30번째 일렉트론 로켓을 우주로 발사, 레이더 위성을 지구 궤도로 보냈다. 일렉트론 로켓은 전날 오후 4시 38분 뉴질랜드 북섬 마히아 반도에 있는 로켓랩 발사 단지 1의 패드 B에서 이륙했다. 로켓은 일본 지구 영상 회사 신스펙티브(Synspective)의 전용 임무 로켓으로 150번째 위성 발사체가 된다. 위성은 지구의 대기 조건과 밤낮에 상관없이 우주에서 지구 표면의 밀리미터 수준의 변화를 감지할 수 있는 이미지를 전달한다. 로켓랩은 2020년 12월과 2022년 2월에 Strix 인공위성을 성공적으로 업그레이드했다. 로켓랩은 "30번째 일렉트론 로켓을 발사했다"며 "로켓 발사로 150번째 위성이자 300번째 러더퍼드 엔진을 우주로 보냈다"고 말했다. 로켓랩은 지난 4월 기준 112번째 우주발사체 일렉트론 로켓을 발사했다. 로켓랩이 배치한 위성 수가 총 112개로 늘어난 셈이다. <본보 2022년 4월 9일 참고 '우주기업' 로켓랩, 112번째 위성 발
[더구루=길소연 기자] 케이조선(옛 STX조선해양)이 캐나다·홍콩 선주사 시스팬(Seaspan)으로부터 수주한 액화천연가스(LNG) 이중 연료 컨테이너선 4척의 건조 계약이 취소된다. 케이조선이 계약의 일부 조건을 지키지 못하면서 파기됐다. 15일 업계에 따르면 케이조선은 시스팬으로부터 수주한 7700TEU급 LNG 이중연료추진식 컨테이너선 4척이 계약 취소로 최종 수주에 실패했다. 시스팬이 컨테이너선 4척을 건조하는 계약에서 5억2000만 달러(약 7270억원)를 파기했으며 법적 청구가 뒤따를 수 있다고 경고했다. 시스팬은 케이조선이 거래 조건을 충족하지 못했다고 말한 것 외에는 계약을 파기한 이유를 설명하지 않았다. 시스팬은 "상대방이 이행하지 않는 계약의 특정 조건 때문에 계약은 무효됐다"며 "신조 계약에 대해 상대방을 상대로 소송을 제기할 권리를 유보했다"고 말했다. 케이조선은 시스팬과 7700TEU급 LNG 이중연료추진식 컨테이너선 4척에 대한 건조 계약을 논의해왔다. 선가는 척당 1억2000만 달러 이상으로 추정된다. 대형 정기선 사업자인 Meditarian Shipping Co(MSC)가 용선사로 지명됐다. <본보 2022년 4월 15일 참
[더구루=홍성일 기자] 대만 전자제품 위탁생산(EMS) 기업 위스트론(Wistron)이 엔비디아(NVIDIA)의 인공지능(AI) 서버 생산을 위해 미국 제조 시설 건설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엔비디아는 위스트론, 폭스콘 등과 손잡고 미국 AI 인프라 구축 프로젝트를 진행한다. [유료기사코드] 24일 업계에 따르면 제프 린(Jeff Lin) 위스트론 최고경영자(CEO)는 최근 개최된 연례 주주총회에서 "내년 중 미국 텍사스주 댈러스 공장을 준공하고 블랙웰(Blackwell) 아키텍처 기반 AI 서버 생산을 시작할 것"이라고 밝혔다. 위스트론 댈러스 공장은 엔비디아의 대대적인 미국 AI 인프라 구축 사업에 따라 건설된다. 엔비디아는 지난달 최대 5000억 달러(약 690조원)를 미국 AI 인프라 구축에 투자할 것이라고 밝혔다. 엔비디아는 AI 인프라 구축 사업에 필요한 슈퍼컴퓨터 등을 미국에서 생산하겠다고 밝히며 폭스콘, 위스트론과 협력할 것이라고 전했다. 이에 따라 폭스콘도 텍사스주 휴스턴에 새로운 공장을 건설하고 있다. 폭스콘 휴스턴 공장에서는 반도체 칩 테스트, 모듈 통합 작업 등이 진행된다. 위스트론은 엔비디아 외에 미국 내 추가 고객사 확보에도 나섰다.
[더구루=김은비 기자] 전기차 스타트업 리비안(Rivian)이 차세대 전기 SUV ‘R2’를 통해 본격적인 생산 혁신에 나선다. 핵심은 배선 길이의 획기적인 축소다. 리비안은 기존 R1 모델 대비 R2에서 배선을 대폭 축소하며 차량 경량화와 원가 절감이라는 '두 토끼 잡기'에 나섰다. [유료기사코드] 24일 업계에 따르면 RJ 스캐린지 리비안 최고경영자(CEO)는 자신의 엑스(X, 옛 트위터)에 "전면부 배선 설계도 변경을 통해 R2의 배선 하네스를 R1 대비 약 20kg 경량화 시켰다"고 밝혔다. 리비안은 약 3.2km(2마일) 배선 하네스 경량화 외에도 인라인 커넥터 수는 60% 줄였으며 전자 제어 장치(ECU) 수 역시 기존 17개에서 7개로 감소시켰다. 스캐린지 CEO는 “R2에 적용된 배선 하네스는 네트워크 아키텍처와 존별 ECU를 기반으로 설계돼, 공장 내 설치 편의성을 높이고 전체적인 시스템을 간소화한 것이 특징"이라며 "이를 통해 전선, 클립, 접속 횟수가 크게 줄어들며 생산성과 정비 효율성이 동시에 향상됐다"고 밝혔다. 리비안은 전기 모터 인버터 역시 효율화했다. 기존 R1S, R1T에 쓰이던 ‘엔듀로(Enduro)’ 유닛보다 부품 수를 4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