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구루=길소연 기자] 대우조선해양이 2026년 인도 예정인 4척의 액화천연가스(LNG) 운반선 건조 슬롯에 대한 관심이 뜨겁다. 26일 업계에 따르면 대우조선은 기존 선호 LNG 고객들에게 최소 한 개의 슬롯을 제공할 계획이다. 슬롯 경쟁 선주는 일본 소유주 미쓰이 OSK 라인(MOL)과 안젤리쿠시스 그룹, 마란 가스 마린트 등이다. MOL은 슬롯에 관심을 보이지만 마란은 미지수다. 오늘날 신조선 선가가 척당 2억5000만 달러(약 3568억원)의 강력한 가격을 선보이기 때문이다. 대우조선이 나머지 두 슬롯에 대해 마케팅하고 있는지 여부는 불분명하다. 하지만 다른 LNG 운송선사들과 마찬가지로, 이 야드에는 조기 인도 선단을 위해 줄을 서고 있다. 대우조선은 노르웨이 선사 ADS마리타임으로부터 수주한 LNG 운반선 2척의 계약 해지를 통보했다. 계약 당사자가 계약 조건을 이행하지 못한 탓이다. <본보 2022년 10월 12일 참고 대우조선, LNG선 2척 건조계약 해지> 선박은 선주사인 ADS마리타임이 인도 받아 2027년부터 해당 선박을 멕시코 서부 LNG 수출 기지에 투입할 예정이었다. 그러나 수주 계약 취소로 멕시코 LNG 수출 기지 투입이
[더구루=길소연 기자] 프랑스 테크닙이 내년 상반기에 러시아 아크틱(Arctic) 액화천연가스(LNG)-2 프로젝트를 종료한다. 지멘스와 토탈 앞서 철수를 선언한 만큼, 러시아 정부의 북국 LNG 개발사업에도 차질이 발생할 전망이다. [유료기사코드] 26일 업계에 따르면 테크닙은 2023년 상반기 동안 노바텍 플래그십 LNG 프로젝트 종료 계획을 최종 확정했다. 테크닙의 사업 철수로 아크틱 LNG-2를 소유한 러시아 에너지 회사인 노바텍은 주요 서부 건설, 기술 파트너를 모두 잃었다.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 이후 테크닙은 이 프로젝트에서 노바텍과 계속 협력할 계획이었다. 당시 아르노 피에통(Arnaud Pieton) 테크닙 에너지 최고경영자(CEO)는 "회사가 러시아에서 새로운 비즈니스 벤처를 추구하지 않지만 프로젝트와 관련된 계약상의 의무를 계속 이행할 것"이라고 말했다. 그러나 이후 강화되는 제재에 회사 입장이 점차 바뀌더니 프로젝트 철수를 최종 결정했다. 테크닙이 떠나기 전 이미 많은 회사들이 프로젝트 종료를 결정했다. 독일의 지멘스(Siemens)와 프랑스의 토탈(Total)을 포함해 유럽에서 가장 큰 산업·에너지 대기업이 철수했다. 노바텍은 또 아
[더구루=길소연 기자] 호주 노동당 정부가 내년 국방 예산 중 한화디펜스 호주 자주포 획득 사업(Land 8116)에 13억 호주 달러(약 1조1000억원)를 배정했다. 26일 업계에 따르면 호주 노동당 정부는 이번 회계연도에 국방비로 486억9900만 달러(약 69조6600억원)을 지출할 계획이다. 특히 한화디펜스가 참여한 호주 자주포 획득사업의 총 예산은 13억 호주 달러(약 1조850억원)이며 2022~2023년에는 2억4400만 달러(약 3491억원)가 소요될 예정이다. 리처드 말스(Richard Marles) 호주 부총리 겸 국방부장관은 "2022-2023 예산이 선거 공약을 이행하고 국가를 지원하고 우리 지역의 안정과 번영을 촉진하기 위한 국방부의 준비와 능력을 강화했다"고 말했다. 예산 보고서에 따르면 호주 신호국(Australian Signals Directorate)에 대한 자금을 포함하는 통합 국방 자금은 2023-2024년에 521억6200만 달러, 2024-2025년에 542억3200만 달러, 2025-2026년에 565억5400만 달러로 증가한다. 호주 정부는 육군 현대화 노력의 일환으로 'LAND 8116' 자주포 도입 사업을 추진해
[더구루=길소연 기자] 폴란드가 보병전투장갑차(IFV) '레드백' 도입을 검토하는 가운데 레드백 시연회 영상이 공개됐다. 26일 업계에 따르면 폴란드 제18 기계화사단은 국산 한화 AS21 레드백 보병전투차의 현장시험을 실시했다. 영상과 사진은 18 기계화사단의 소셜네트워크서비스(SNS)를 통해 공개됐다. 시험은 노비 뎀바의 훈련장에서 새로운 중보병 전투 차량의 실전 테스트로 진행됐다.한국식 장비는 현재 제19기계화여단이 사용하고 있다. 다양한 현장 조건에서 시험하며 주야간 실사격과 정지상태와 기동상태에서의 실전시험을 포함된다. 사단 공보부는 "AS21 레드백 중보병 전투차량의 시험 운행이 계속되고 있다"며 "제19기계화여단 장병들의 임무 중 하나는 어려운 지형 조건에서 장비의 통제 가능성을 점검하는 것"이라고 말했다. 마리우시 브와슈차크 폴란드 부총리 겸 국방부장관도 자신의 소셜미디어 계정을 통해 자체 개발 장갑차 '보르숙(BORSUK)'의 보완수단으로 한국 IFV 'AS-21'을 고려하고 있다고 밝혔다. 그러면서 제 18 기계화사단에서 AS21 레드백 테스트에 돌입했다고 알렸다. <본보 2022년 10월 21일 참고 한화디펜스 레드백 폴란드서 담금질
[더구루=길소연 기자] 대한항공이 일본 나고야 중부국제공항 재취항에 따라 라운지를 오픈한다. 일본으로 향하는 하늘길 빗장을 열리자 라운지를 다시 여는 것이다. 26일 업계에 따르면 대한항공은 코로나 사태로 폐쇄됐던 나고야 중부국제공항 국제선 회원을 위한 'KAL 라운지'를 부분 리뉴얼해 11월부터 재개한다. 라운지 이용은 항공사와 제휴 신용카드사 회원으로 제한된다. 나고야 공항은 지난 2020년 4월부터 2022년 6월까지 세관, 이민 및 검역(CIQ) 시설을 폐쇄했다. 이로 인해 국제 비즈니스 항공기 착륙 횟수는 코로나19 이전에 증가하는 추세였지만 부과된 제한으로 인해 작년에는 도착이 3회로 줄어들었다. 그러다 6월에 CIQ가 재개된 이후 국제 비즈니스 항공기가 12대 증가했다. 나고야 공항에는 9000피트 활주로가 있으며 민간 항공기 승객은 항공기에서 불과 200피트 거리에 있는 비즈니스 항공 전용 터미널을 통해 처리되고 CIQ 검사실을 거쳐 차량 주차장까지 도착할 수 있다. 대한항공은 일본이 한국인의 무비자(사증 면제) 입국을 허용하면서 인천~나리타·오사카를 기존 주 7회에서 14회로 증편했다. 인천~후쿠오카는 14일부터 주 3회 일정으로 운항을 재개
[더구루=길소연 기자] 두산에너빌리티 체코 자회사 두산스코다파워가 태국에 증기터빈을 수주했다. 태국 시장을 넘어 아시아 시장 공략을 확대한다. 26일 업계에 따르면 두산스코다파워는 태국 라용성에 새로 건설되는 증기발전소에 20MW 증기터빈 발전기를 공급한다. 계약서에 따르면 두산스코다파워는 기어박스와 발전기가 있는 단일 케이스 증기 터빈을 인도한다. 증기 터빈은 74MW의 증기 가스 사이클 시설의 일부이며, 새로운 산업 구역에 증기와 약간의 전기를 공급할 것이다. 초과 전력은 태국 발전청(EGAT)이 운영하는 송전망에 공급될 것이다. 발전소는 오는 2024년 1월 가동을 시작해 송전망에 연결할 예정이다. 이번 수주는 두산스코다파워의 태국 첫 계약으로 EPC 시공사인 태국 기업 TTCL, EGCO와 2년간의 집중적인 협상 끝에 체결됐다. 두산스코다파워 아시아 지역 영업팀은 "태국은 조직, 역사, 사고방식 면에서 다른 나라와 매우 다르다"며 "태국 고객이 요구한 터빈의 품질과 설치된 장비의 전체 수명 동안 고품질 서비스의 가용성을 포함해 프로젝트를 안정적으로 구현할 수 있는 능력을 확신할 수 있다"고 말했다. 특히 태국 발전소의 터빈 수출은 두산스코다파워의
[더구루=길소연 기자] 글로벌 에너지 기업 로열 더치 쉘(Royal Dutch Shell, 이하 쉘)이 카타르가 추진하는 액화천연가스(LNG) 프로젝트의 두 번째 국제 파트너로 합류했다. [유료기사코드] 26일 업계에 따르면 쉘은 지난 23일(현지시간) 카타르 도하에서 국영 에너지 기업인 카타르에너지와 NFS(North Field South) LNG 사업에 참여하는 서명식을 개최했다. 쉘은 이번 투자를 통해 NFS 프로젝트에 9.375%의 참여 지분을 얻는다. 벤 반 뷰어든(Ben van Beurden) 쉘 최고경영자(CEO)는 "NFS 프로젝트에 참여함으로써 쉘과 카타르에너지의 전략적 파트너십이 더욱 깊어지게 된 것을 기쁘게 생각한다"며 "LNG는 에너지 시스템의 신뢰성을 보장하는 데 핵심적인 역할을 하고 있으며 카타르에너지에 대한 우리의 투자는 에너지 전환과 에너지 안보를 지원할 것"이라고 말했다. 쉘에 앞서 프랑스 대형 에너지 기업 토탈이 지난 9월 카타르 가스전 확대 개발에 15억 달러(약 2조1000억원)를 추가 투자했다. 이는 지난 6월 노스필드 이스트 프로젝트에 20억 달러(약 2조8000억원)를 투자에 이은 추가 투자다. 이로써 토탈은 노스필드
[더구루=길소연 기자] 마사회가 지역사회 안전망을 강화한다. 마사회는 안전관리단과 과천시종합자원봉사센터가 지난 21일 과천시종합자원봉사센터 교육장에서 '지역사회 안전망 강화 위한 소외계층 지원' 업무협약을 체결했다고 26일 밝혔다. 마사회 안전관리단은 산업재해, 안전관리, 보건관리 등 사업장 내 안전보건업무 수행을 통해 전방위적 안전사고 예방과 관리를 책임지는 특별부서다. 마사회는 안전관리단이 보유한 전문역량을 사업장에 그치지 않고 활동범위를 외부로 확장해 지역사회의 안전강화에 나선다. 마사회는 과천시종합자원봉사센터와의 업무협약을 체결하고 지역사회 내 체계적인 안전관리가 필요한 복지시설, 독거노인, 기초생활수급자, 소상공인 등을 대상으로 방문안전점검 및 예방활동을 펼칠 계획이다. 양 기관은 △지역 소재 소상공인 대상 안전컨설팅 지원 △지역사회 내 안전망 구축을 위한 재능기부 △지역사회 내 소외계층 및 복지시설 안전점검 관리 등 지역사회 안전망 강화 활성화에 적극 협력 등 업무 협약을 체결했다. 장유진 마사회 안전관리단장은 "마사회의 전문적인 안전역량을 통해 ‘'역사회 중대재해발생 Zero'가 실현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해 지원하겠다"고 밝혔다.
[더구루=길소연 기자] 미국 에어택시 제조업체 아처 에비에이션(Archer Aviation, 이하 아처)이 2025년 전기 수직 이착륙 항공기(eVTOL) 250대 생산한다는 청사진을 공개했다. [유료기사코드] 25일 업계에 따르면 아처 에비에이션은 2025년에 약 250대의 eVTOL를 만들고 다음 해에 생산량을 늘리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아담 골드스타인(Adam Goldstein) 최고경영자(CEO)는 "첫 해에는 항공기 250대, 2년차에는 500대, 3년차에는 650대, 그 다음에는 연간 약 2000대까지 늘릴 것"이라고 말했다. 아처는 2024년 말까지 조종사와 4인승 항공기인 '미드나잇(Midnight)'을 인증을 목표로 하고 있다. 미국 연방항공청(FAA)은 미래형 항공기에 대한 인증 규칙을 작성하는 중이다. <본보 2022년 10월 17일 참고 'UAM 대표주자' 아처, 양산형 수직이착륙기 내달 첫 공개> 빌 피터슨(Bill Peterson) 해외 시장분석기업 JPM(JPMorgan) 애널리스트는 "항공기 생산 측면에서 아처 모델에서 2025년까지 250대를 예상한다"고 "1년 전에 스팩(SPAC)주에서 예상했던 것만큼 시간이
[더구루=길소연 기자] 종합물류기업 한진의 첫 중량물운송 전용 선박이 사고 후 프랑스 로리앙에 견인됐다. 25일 업계에 따르면 한진은 중량물운송 전용선 '한진 파이오니어(HANJIN PIONEER)호는 지난 21일(현지시간) 저녁 비스케이 만(Bay of Biscay)에서 풍력 터빈 블레이드를 실은 화물을 싣고 중국에서 수에즈와 몰타를 거쳐 독일 쿡스하벤으로 향하던 중 조향 장애를 겪었다. 이후 프랑스 비상 견인 선박 'ABEILLE BOURBON'이 개입해 한진 파이오니어를 예인했고, 선박은 23일 아침에 도착해 로리앙에 정박했다. 23일에 예인된 선박은 24일에도 같은 위치에 있는 것으로 확인됐다. 그동안 한진은 전용선박 도입을 통해 안정된 운송능력을 확보함으로써 종합물류 선도 기업으로서 경쟁우위를 더욱 확고히 했다. 그러나 이번 조향 사고로 경쟁력이 떨어진다. 사고 선박은 지난 2010년 전남 신안중공업 조선소에서 한진의 중량물 전용선박인 '한진 파이오니어(HANJIN PIONEER)'호로 진수된 선박이다. △플랜트 △건설기자재 △기계품 등 중량물 운반선인 '한진 파이오니어' 호는 '물류산업의 개척자'라는 뜻을 지닌다. 파이오니어호 길이 146m, 폭
[더구루=길소연 기자] 일본 최대 전기로 제강업체인 동경제철이 동국제강 부산공장에서 전기로 열연강판에 컬러를 입혀 판매할 전망이다. 25일 업계에 따르면 니시모토 리이치(西本理一) 동경제철 대표는 판매처 다변화에 따라 올 하반기 동국제강 부산공장에서 전기로 열연강판의 가공 과정을 거친다. 니시모토 리이치 대표는 동국제강과의 협업에 대해 "동국제강과 파트너십이 잘 진행되고 있어 일본 기업의 해외 거점에 제품 공급에 합의할 수 있을 것"이라며 "동국제강 부산공장에서 아연도금강판(GI)와 컬러 강판을 공급하도록 할 것"이라고 말했다. 다만 동경제철의 열연강판 가공이 당장 이뤄지는 건 아니다. 동국제강이 열연강판에 도금재를 입힐지, 컬러를 입힐지 그리고 가공품을 판매할지는 협의 중이다. 동국제강 관계자는 "전기로 열연강판에 컬러를 입힐지 말지는 테스트 과정을 거쳐야 한다"며 "이는 동경제철과 협의 중으로, 판매처 다변화를 위해 논의중"이라고 밝혔다. 동경제철과 동국제강이 전기로 열연 협업은 전부터 협의해왔다. 동국제강과 동경제철은 지난 1995년부터 제품, 원료, 기술 분야에서 비정기적으로 교류해왔다. 특히 철스크랩을 재활용해 철강제품을 만드는 전기로 사업의 경쟁력
[더구루=길소연 기자] 현대로템이 폴란드 수출형 K2흑표(블랙팬서) 전차 변속기를 위해 독일 기업과 손을 잡는다. 25일 업계에 따르면 현대로템은 지난 23일 독일 렝크(RENK) 그룹 계열사 영국 호스트만 디펜스(Horstman Defence)와 변속기 공급 계약을 체결했다. 현대로템이 렝크와 계약을 맺고 렝크가 다시 호스트만 부품을 받는다. 이는 호스트만 디펜스 공식 트위터를 통해 알려졌다. 현대로템은 폴란드 K2 전차 인도 프로그램을 위해 2023~2025년에 인도 예정인 197개의 동력 전달 시스템을 주문했으며, 2026년 이후에는 800개를 추가로 인도할 수 있는 옵션을 주문했다. 폴란드는 지난 8월 26일 기본 계약에 따라 현대로템의 K2 탱크 180대를 33억7000만 달러(약 4조8400억원)에 주문했으며, 여기에는 다른 800대의 K2PL 전차와 라이센스 생산을 위한 기술 이전이 포함된다. 첫 10대의 전차는 올해 해상으로 폴란드로 인도될 예정이다. 호스트만(Horstman)은 독일 렝크의 계열사로 K9용 유기압식 현수장치(HSU, Hyropneumatic Suspension Unit)를 설계한 업체다. 유기압식 현수장치는 토션바 스프링 현수
[더구루=홍성일 기자] 대만 전자제품 위탁생산(EMS) 기업 위스트론(Wistron)이 엔비디아(NVIDIA)의 인공지능(AI) 서버 생산을 위해 미국 제조 시설 건설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엔비디아는 위스트론, 폭스콘 등과 손잡고 미국 AI 인프라 구축 프로젝트를 진행한다. [유료기사코드] 24일 업계에 따르면 제프 린(Jeff Lin) 위스트론 최고경영자(CEO)는 최근 개최된 연례 주주총회에서 "내년 중 미국 텍사스주 댈러스 공장을 준공하고 블랙웰(Blackwell) 아키텍처 기반 AI 서버 생산을 시작할 것"이라고 밝혔다. 위스트론 댈러스 공장은 엔비디아의 대대적인 미국 AI 인프라 구축 사업에 따라 건설된다. 엔비디아는 지난달 최대 5000억 달러(약 690조원)를 미국 AI 인프라 구축에 투자할 것이라고 밝혔다. 엔비디아는 AI 인프라 구축 사업에 필요한 슈퍼컴퓨터 등을 미국에서 생산하겠다고 밝히며 폭스콘, 위스트론과 협력할 것이라고 전했다. 이에 따라 폭스콘도 텍사스주 휴스턴에 새로운 공장을 건설하고 있다. 폭스콘 휴스턴 공장에서는 반도체 칩 테스트, 모듈 통합 작업 등이 진행된다. 위스트론은 엔비디아 외에 미국 내 추가 고객사 확보에도 나섰다.
[더구루=김은비 기자] 전기차 스타트업 리비안(Rivian)이 차세대 전기 SUV ‘R2’를 통해 본격적인 생산 혁신에 나선다. 핵심은 배선 길이의 획기적인 축소다. 리비안은 기존 R1 모델 대비 R2에서 배선을 대폭 축소하며 차량 경량화와 원가 절감이라는 '두 토끼 잡기'에 나섰다. [유료기사코드] 24일 업계에 따르면 RJ 스캐린지 리비안 최고경영자(CEO)는 자신의 엑스(X, 옛 트위터)에 "전면부 배선 설계도 변경을 통해 R2의 배선 하네스를 R1 대비 약 20kg 경량화 시켰다"고 밝혔다. 리비안은 약 3.2km(2마일) 배선 하네스 경량화 외에도 인라인 커넥터 수는 60% 줄였으며 전자 제어 장치(ECU) 수 역시 기존 17개에서 7개로 감소시켰다. 스캐린지 CEO는 “R2에 적용된 배선 하네스는 네트워크 아키텍처와 존별 ECU를 기반으로 설계돼, 공장 내 설치 편의성을 높이고 전체적인 시스템을 간소화한 것이 특징"이라며 "이를 통해 전선, 클립, 접속 횟수가 크게 줄어들며 생산성과 정비 효율성이 동시에 향상됐다"고 밝혔다. 리비안은 전기 모터 인버터 역시 효율화했다. 기존 R1S, R1T에 쓰이던 ‘엔듀로(Enduro)’ 유닛보다 부품 수를 4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