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구루=길소연 기자] 캐나다 비트코인 채굴업체 디지호스트(Digihost)가 '트럼프 수혜주'로 평가 받는 미국 첨단 원자력 에너지기업 나노 뉴클리어에너지(NANO Nuclear Energy, 이하 나노 뉴클리어)의 원자력 기술을 도입한다. 암호화폐 채굴 공장에 원자력 기술을 적용해 운영 안정성을 보장하는 동시에 탄소 배출 없는 지속가능한 에너지를 확보한다. [유료기사코드] 9일 업계에 따르면 디지호스트는 최근 나노 뉴클리어와 뉴욕주 노스 토나완다에 있는 암호화폐 채굴 공장에 원자력 기술을 도입하는 업무협약(MOU)를 체결했다. 이들의 파트너십은 디지호스트의 뉴욕 북부에 위치한 60메가와트(MW) 용량의 가스발전소를 무탄소 에너지로 전환을 목표로 한다. 원자력은 재생에너지와 동일한 안전성을 보이면서 전주기동안 탄소배출이 가장 적은 에너지원으로 꼽힌다. 양측은 암호화폐 공장에 첨단 원자로 기술을 도입함으로써 기존 인프라를 대체해 안정적인 기저 부하를 제공하는 동시에 탄소 중립 목표 달성을 기대하고 있다. 디지호스트는 오는 2031년을 목표로 나노 뉴클리어의 원자력 기술 허가와 배치한다는 계획이다. 이를 위해 디지호스트는 포괄적인 현장 평가를 수행하고, 단계적
[더구루=길소연 기자] 한화와 수소 생산에 협력하고 있는 미국 수소기업 유틸리티(Utility)가 국내 에너지기업 GH EnA와도 손을 잡는다. 바이오가스를 활용해 청정 수소를 생산, 한국 수소 경제 목표 달성에 기여한다. 8일 업계에 따르면 유틸리티는 GH EnA와 바이오가스를 활용해 수소를 생산하는 하이젠(H2Gen) 프로젝트를 공동 개발하는 계약을 체결했다. GH EnA는 프로젝트 개발을 주도하고, 유틸리티가 H2Gen 원자로와 기술 및 상업적 지원을 제공한다. H2Gen 원자로는 유틸리티의 독점적인 엑제로(Electroless Coupled Exchange Reduction Oxidation, eXERO) 기술을 기반으로 한다. 엑제로는 수증기를 고온에서 전기분해해 고순도 수소를 생산하는 기술이다. 전기를 사용하지 않아 저비용·저탄소 공정 구현이 가능하다. 양사의 계약은 한국의 H2Gen 수소 플랜트 구축 프로젝트에 적용된다. H2Gen 프로젝트는 초기 춘천, 태백, 홍천, 속초, 양양, 고성, 인제 등에서 상업용 운송, 버스, 승용차 등 대형 차량에 동력을 공급하는 수소를 생산할 예정이다. 이번 협약은 한국의 수소 경제 로드맵을 지원하기 위한 전략적
[더구루=길소연 기자] HD현대미포는 벨기에 가스전문 운송선사인 엑스마(Exmar)로부터 수주한 암모니아 이중연료추진 중형 가스운반선(MGC) 2척을 명명했다. HD현대미포는 신조선 인도를 시작으로 엑스마에서 추가 수주한 중형 암모니아추진선도 성공적으로 건조해 차세대 친환경 선박 건조시장을 선도한다는 계획이다. 8일 업계에 따르면 HD현대미포는 지난 6일 울산 HD현대미포에서 4만6000㎥급 액화석유가스(LPG) 운반선 명명식을 개최했다. △샹파니(CHAMPAGNY) △쿠셰벨(COURCHEVEL)로 명명된 선박은 1분기 말까지 선사에 순차적으로 인도된다. 선박은 길이 190m, 너비 30.4m, 높이 18.8m 규모에 화물창 3기를 탑재해 LPG, 암모니아 등 최대 4만6000㎥의 액화가스를 운반할 수 있다. 이날 명명식에는 선박의 대모와 관계자들은 참석해 선박 운항을 기념하며, 안전 운항을 기원했다. 윤희성 한국수출입은행장도 참석해 선박 탄생을 축하했다. 수출입은행은 K-조선의 경쟁력을 확보하고자 선박금융을 지원해오고 있다. 올해는 전년 보다 1조원 늘어난 12조원을 지원한다. 엑스마는 2021년부터 암모니아추진선 건조사를 물색해왔다. 이듬해 HD현대미포에
[더구루=길소연 기자] HD현대가 정기선 HD현대 수석부회장이 직접 챙겨온 세계 최대 가스 전시회인 가스텍(Gastech)에 올해도 참가한다. 정 수석부회장은 전시회에서 선박의 탈탄소화와 디지털 트랜스포메이션 분야의 선도적인 기술력을 선보이며 '친환경 선박' 영업에 나설 전망이다. 8일 업계에 따르면 HD현대는 오는 9월 9~12일(현지시간) 이탈리아 밀라노에서 열리는 '가스텍 전시회 및 컨퍼런스 2025'에 참가한다. 가스텍은 가스, 액화천연가스(LNG), 수소 및 에너지 산업을 지원하는 최대 규모의 전시회이다. 에너지 분야 리더, 정책 입안자, 혁신가가 LNG, 수소, 기후 기술, 저탄소 솔루션 등의 미래를 형성하기 위해 포럼도 진행된다. HD현대는 올해 가스텍에서 HD한국조선해양, HD현대중공업, HD현대미포, HD현대삼호, HD현대마린솔루션, HD현대일렉트릭 등과 함께 종합 전시 부스를 구성한다. 부스에는 액화천연가스(LNG)운반선, 부유식 저장·재기화 설비(FSRU), 액화이산화탄소 운반선 등 HD현대의 친환경 선박 모형을 전시할 예정이다. 가스텍은 정 수석부회장이 직접 챙길 정도로 애정을 보이고 있는 전시회이다. 정 수석부회장을 비롯해 영업, 연구
[더구루=길소연 기자] HD현대건설기계가 인도 건설장비 엑스포 참가로 시장 점유율 확대에 나선다. 최철곤 HD현대건설기계 대표이사 사장이 인도를 HD현대건설기계의 미래로 선택한 만큼 인도 시장에서 고객사를 발굴하고, 수요 대응으로 인도 건설장비 시장을 선점한다. 7일 업계에 따르면 HD현대건설기계는 19일~22일(현지시간)까지 인도 엑스포 센터에서 열리는 '바랏 건설기계 엑스포(BharatConstructionEquipmentExpo)'에 참가한다. 바랏 건설기계 엑스포는 인도 건설 중장비 전시회이다. 올해는 중장비 전시, 시연 외 사용자 부서와 기관과의 대화형 세션, 건설장비 제조 및 공급망 정상회담, 산학 교류 등이 이뤄진다. HD현대건설기계는 전시회에서 부스를 꾸려 인도 맞춤형 중장비를 선보인다. 인도는 HD현대건설기계의 새로운 성장축으로 주목받는 시장이다. 인도는 나렌드라 모디(Narendra Modi) 총리의 3연임 확정 이후 정부 주도의 '국가 인프라 구축사업'이 계획대로 진행되면서 HD현대건설기계의 제품 수요가 꾸준히 증가하고 있다. HD현대건설기계도 인도를 새로운 성장 거점으로서의 삼고 사업 강화에 나서고 있다. 연이은 엑스포 참가로 고객사를
[더구루=길소연 기자] 미국 에어택시 제조업체 조비 에비에이션(Joby Aviation, 이하 조비)이 미국 연방항공국(FAA) 인증 프로그램의 최종 단계에 진입했다. FAA의 형식 검사 승인 마지막 테스트로, 인증 취득시 연내 전기 수직이착륙 항공기(eVTOL) 상용화 목표를 달성한다. [유료기사코드] 7일 업계에 따르면 조비는 캘리포니아 마리나에서 FAA 유형 검사 승인(Type Inspection Authorization, TIA)에 따라 테스트를 실시했다. 조비 시뮬레이터에 FAA 규격 비행 데크를 사용해 비행 안전 요소를 평가했다. 이번 테스트는 FAA 승인 인적 요인 인증 계획에 따라 수행됐다. FAA 규정에 맞는 하드웨어를 사용하는 FAA 조종사 4명이 3일간 다양한 예상 비행 조건에서 조종사의 작업 부하, 비행 갑판의 물리적 인체 공학 및 항공기 안전의 인적 요인을 측정했다. TIA 테스트는 항공기가 상업적 여객 운항을 시작할 수 있는 유형 인증 프로세스의 마지막 단계로 간주된다. FAA 시험 조종사가 항공기의 성능과 안전성을 직업 검증한 단계이다. 조비는 올해 제작 중인 최초의 FAA 규정 준수 항공기로 TIA 비행 테스트를 목표로 한다. 이
[더구루=길소연 기자] 인도가 애플과 삼성전자 등 전자제품 제조업체에 30억 달러(약 4조원)의 보조금을 지원하고 관세를 인하한다. 인도에 전자제품 제조 공장 설립을 유치하기 위한 '인센티브' 전략이다. 인도는 대대적인 제조산업 육성책을 통해 인도 내 생산을 대폭 확대한다는 방침이다. [유료기사코드] 7일 블룸버그통신에 따르면 인도 정부는 전자 부품 제조업체에 대한 최소 2300억 루피(약 4조원)의 신규 보조금과 수입 관세 인하를 검토하고 있다. 생산 연계 인센티브(Production Linked Incentive, PLI) 제도에 따라 애플과 삼성전자 등과 같은 글로벌 기업이 인도에 생산 시설을 설립하거나 확장하도록 유도한다. 보조금 지급 대상은 마이크로프로세서, 메모리, 스토리지, 다층 인쇄 회로 기판, 카메라 렌즈를 포함한 모듈, 리튬 이온 셀 등이 포함된다. 이들 부품은 현재 대부분 중국에서 수입되고 있다. 인센티브 지급 최종 결정은 인도 내각에서 내릴 예정이다. 승인될 경우 다음달 발표될 정부의 차기 예산에 세부 사항이 포함될 가능성이 크다. 인도 정부가 애플과 삼성전자 등 스마트폰 제조업체에 보조금을 지원하는 건 이들의 공급망 확보를 도와 인도
[더구루=길소연 기자] 베트남이 최대 24억 달러(약 3조5000억원) 규모의 석유·가스 프로젝트를 진행한다. 탄소 기반 화력 발전에 대한 의존도를 줄이기 위해 지속 가능한 에너지 개발에 나서면서 베트남 '역사상 최대 규모'로 LNG 발전-가스 복합 프로젝트가 추진된다. [유료기사코드] 6일 베트남 하띤성 인민위원회에 따르면 인민위원회는 최근 베트남 총리와 산업무역부에 베트남 국영 베트남석유가스그룹(Petro Vietnam·PVN)의 발전자회사 PV전력(PVPowe)이 투자한 붕앙3(Vung Ang III) LNG 화력 발전소 프로젝트 시행에 동의해 달라는 문서를 제출했다. 베트남 국가전력계획(VIII)에서 진행이 느리거나 시행이 불가능한 가스 발전 프로젝트를 대체하기 위해 붕앙3 LNG 화력 발전소 프로젝트가 보고된 것이다. 총리가 붕앙3 발전사업 프로젝트를 승인하면 즉시 구현된다. 인민위원회는 작년부터 국가전력계획에 따라 국가의 전력 수요를 충족하기 위해 붕앙3 발전사업을 추진해왔다. 붕앙3 발전사업은 베트남 하띤에 위치한 열 프로젝트이다. 당초 화력발전소로 추진되다 탈석탄과 탄소중립에 따라 LNG-가스 발전소로 건설된다. 2030년 이전 용량은 1500
[더구루=길소연 기자] 국내에서 가장 많은 해상풍력발전기 설치선(WTIV) 수주 실적을 가진 한화오션이 다시 한번 WTIV의 생산 기술력을 입증했다. 친환경 선박의 설계부터 조립, 도장, 진수 등 첨단 기술을 적용해 모든 공정을 마치고 시운전까지 나서면서 품질 경쟁력을 높인다. WTIV는 해상풍력 발전기를 바다로 운반해 설치하는 데 사용되는 특수 선박이다. 6일 업계에 따르면 한화오션이 카델러(Cadeler, 옛 에네티)로부터 수주한 WTIV는 지난해 말 해상 시운전에 돌입했다. 선주에게 정식 인도 전 시운전을 통해 배의 성능을 측정하고 안정성을 점검하는 것이다. 시운전을 마친 WTIV은 올해 초 인도될 예정이다. 카델러 관계자는 "한화오션에서 건조한 WTIV가 현재 해상 시운전을 진행중"이라며" 이는 프로젝트를 실현하기 위해 참여한 모든 사람의 헌신과 협력에 대한 증거"라고 밝혔다. 이번 WTIV는 한화오션이 지난 2021년 카델라로부터 수주했다. 길이 148m 폭 56m 규모 설비로, 15MW(메가와트)급 대형 해상풍력발전기 5기를 한 번에 실을 수 있는 해상풍력발전기 설치선이다. 수심 65m까지 발전기 설치가 가능하다. 한화오션은 해당 선박을 지난 6월
[더구루=길소연 기자] 중국산 저가 철강제품 물량공세로 시름하던 국내 철강업계가 추가 관세로 견제에 나선다. 저가를 앞세운 중국의 과잉 공급으로 국내 철강 산업의 불공정한 경쟁 상황이 발생하자 대책 마련에 나선 것이다. 6일 철강업계에 따르면 정부는 중국산 강판에 추가 관세를 부과할 계획이다. 중국산 저가 강판이 국내 철강시장을 교란하자 무역 구제 조치로 대응한다. 현대제철은 지난달 산업통상자원부 무역위원회에 중국산과 일본산 열연강판 대상 반덤핑(AD) 조사를 신청했다. 무역위원회는 신청인 자격과 덤핑 관련 증거에 대한 검토를 거쳐 2개월 안에 조사 개시 결정 여부를 결정할 예정이다. 산업 피해조사에 착수하면 예비판정과 함께 정부에 잠정 덤핑 방지 관세 부과를 요청할 계획이다. 앞서 무역위는 현대제철이 5개월 전 제소한 중국산 후판에 대해서도 산업 피해조사를 실시했다. 이르면 이달 중 예비판정과 함께 잠정 덤핑 방지 관세 부과를 요청할 방침이다. 열연강판은 쇳물을 얇게 펴 만든 철판 형태의 반제품이다. 자동차구조용, 강관용, 고압가스용기용 등으로 제조돼 자동차·건설·조선·파이프·산업기계 등 산업 전반에 걸쳐 사용된다. 현대제철이 수입산 강판을 대상으로 AD
[더구루=길소연 기자] 한국선급(KR)이 전략기획, 경영, 검사, 기술, 사업, 협약, 연구본부를 각각 총괄하고 있는 7명의 전무이사 직위를 부사장으로 승진하는 인사를 단행했다. 영업 효율성과 대외신뢰도 강화가 핵심이다. 6일 한국선급에 따르면 윤성호 전략기획본부장은 수석본부장 겸 수석부사장으로, 최원준 경영본부장, 윤부근 검사본부장, 김연태 기술본부장, 이영석 사업본부장, 김경복 협약본부장, 김대헌 연구본부장은 부사장으로 각각 임명됐다. 이번 조치는 최고경영자인 회장이 수입 창출을 위한 대외영업 활동을 최우선으로 하고, 수석본부장은 회장 직무를 보좌하며 경영 내실화를 통해 향후 경기 침체 등 리스크에 대비하기 위한 전략이다. KR은 이를 통해 영업과 대외협력의 효율성을 한층 더 높이고, 고객사의 기대에 능동적으로 대응할 계획이다. 이밖에도 KR은 부산지부장에 진중광 상무를, 울산지부장에 김창수 상무로 임명하는 인사도 함께 실시했다.
[더구루=길소연 기자] HD현대미포가 프랑스 선사 CMA CGM을 위해 건조한 피더 컨테이너선이 스페인 항구에 첫 기항했다. CMA CGM의 북유럽 피더 서비스에 투입된 것으로 친환경선으로 탈탄소 항로 구축에 기여한다. 피더 서비스는 소규모 지역 항구와 주요 허브 항구 간에 화물을 운송하도록 설계된 단거리 항로이다. 3일 항만운송 매체 토도로지스티카에 따르면 LNG로 구동되는 2000TEU급 컨테이너선 'CMA CGM 신트라'(Sintra)가 스페인 산타 크루즈 데 테네리페(The Port of Santa Cruz de Tenerife, TCT) 항구에 입항했다. CMA CGM 신트라호는 HD현대미포가 2021년에 CMA CGM로부터 7300억원에 수주한 2000TEU급 LNG 추진 컨테이너선 10척 중 8번째 선박이다. 지난해 10월 말 명명식 후 부산에서 출항해 AURAF3 서비스를 통해 유럽으로 향했다. <본보 2021년 11월 18일 참고 현대미포, '7300억 규모' 피더 컨테이너선 10척 수주 가능성> 신조선은 길이 204m, 너비 29m, 높이 18m 규모로 선박의 유체 역학 및 공기 역학적 성능을 향상시켜 건조됐다. 액화천연가스(LN
[더구루=홍성일 기자] 춤추는 '옵티머스'를 선보였던 테슬라가 새로운 영상을 공개했다. 테슬라는 이번 영상을 통해 옵티머스가 일상 생활 영역에서 어떻게 사용될 수 있는지 선보였다. [유료기사코드] 테슬라 옵티머스팀은 21일(현지시간) 엑스(X, 옛 트위터)를 통해 "난 하루종일 춤만 추는 게 아니다"라며 새로운 옵티머스 영상을 게재했다. 댄스로 주목받은지 일주일여만에 새로운 영상을 업로드한 것이다. 해당 영상에는 옵티머스 휴머노이드가 쓰레기를 버리고, 책상을 정리하는 모습 등이 포함됐다. 또한 페이퍼 타올을 뜯거나 국자를 들고 냄비를 뒤적이는 모습도 등장한다. 테슬라는 댄스 영상으로 옵티머스의 하반신 운동 성능을 선보인 데 이어 옵티머스의 상체, 특히 손과 팔이 정밀하게 제어되는 모습을 보여줬다. 테슬라 옵티머스는 이전부터 손가락 제어 능력 면에서는 타 안드로이드보다 앞서있다는 평가를 받았다. 테슬라는 옵티머스가 단일 신경망을 사용해 다양한 임무를 수행했다고 소개했다. 그러면서 옵티머스는 1인칭 화면으로 촬영된 영상을 통해 학습을 진행했다고 전했다. 업계 관계자는 "테슬라가 옵티머스의 댄스 외에도 다양한 임무를 수행할 수 있다는 것을 보여줬다"며 "특히 1인
[더구루=홍성일 기자] 마이크로소프트(MS)가 차세대(10세대) 엑스박스(Xbox) 콘솔에 글로벌 게임 플랫폼 스팀(Steam)을 통합할 것이라는 주장이 제기됐다. MS가 차세대 엑스박스를 'TV에 연결된 게임용 PC'로 정의하고 기존 콘솔에는 없던 유연성을 제공할 것이라는 분석이 나온다. [유료기사코드] 22일 MS 전문매체인 윈도우센트럴에 따르면 MS는 밸브·에픽게임즈 등과 엑스박스-PC 게임플랫폼 통합 방안을 논의하고 있다. 제즈 코든(Jez Corden) 윈도우센트럴 편집장은 "엑스박스가 밸브를 포함한 PC 게임 스토어 운영사와 구현방안을 두고 논의 중"이라며 "테스트 단계에 있다는 소문도 있지만 그 부분에 대해서는 회의적"이라고 밝혔다. 스팀의 차세대 엑스박스 통합설은 필 스펜서(Phil Spencer) MS 게이밍 최고경영자(CEO)의 발언에서 시작됐다. 필 스펜서 CEO는 지난해 4월 진행된 엑스박스 팟캐스트에서 "엑스박스에서 에픽게임즈 스토어와 itch.io와 같은 서드파티 PC 게임 스토어에 접속할 수 있기 바란다"고 전했다. 필 스펜서의 발언이 공개된 이후 사라 본드(Sarah Bond) 엑스박스 사장의 "한 세대만의 가장 큰 기술적 도약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