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구루=길소연 기자] 아프리카 첫 심해용 부유식 액화천연가스 생산설비(FLNG)를 성공적으로 건조한 삼성중공업이 또 다시 모잠비크에서 대형 계약 수주를 예고하고 있다. FLNG는 해상에서 천연가스를 채굴하고 액화·저장·하역까지 가능해 '바다 위 LNG플랜트'로 불린다. 육상플랜트에 비해 투자비가 적고 친환경적이며 이동이 쉽다는 장점이 있다. 25일 관련 업계에 따르면 모잠비크 제4해상광구 가스전 개발 사업권을 보유한 엑손모빌이 이곳에 추가로 투입할 FLNG 발주를 위해 건조협상을 진행하고 있다. 협상 대상자는 제4해상광구에 첫 번째로 배치된 FLNG인 '코랄 술'(Coral Sul)를 수주한 삼성중공업·테크닙·JGC 컨소시엄이다. 코랄 술 FLNG는 이들 3개 업체가 컨소시엄을 구성해 지난 2017년 6월 이탈리아 에너지기업 에니(ENI)로부터 수주한 해양플랜트다. 삼성중공업은 선체 설계에서 시운전까지 전 공정과 톱사이드 생산 설계, 제작을 담당했으며, 자체 수행한 금액만 25억달러에 달하는 초대형 공사다. 코랄 가스전을 포함한 제4해상광구는 ENI와 미국 엑손모빌, CNPC의 합작사인 로부마 벤처가 지분 70%를, 한국가스공사·포르투갈 갈프 에네르지아·모
[더구루=길소연 기자] 인도네시아발 액화천연가스(LNG) 운반선이 몰려온다. 인도네시아가 한국과 에너지 협력을 추진하고 있는 만큼 국내 조선소들의 수주가 기대된다. 25일 업계에 따르면 인도네시아 국영 에너지기업 페르타미나는 30억 달러(약 4조원)를 투자, 선단 확충과 현대화를 추진한다. 페르타미나는 LNG 운반선을 확보하고 유조선과 액화석유가스(LPG) 운반선의 선령을 낮춘다는 계획이다. 위스누 산토소(Wisnu Santoso) 페르타미나 이사는 "선박을 교체하는 데 큰 투자를 할 것"이라며 "우리 함대의 평균 선령을 20년 정도에서 향후 5년~15년으로 줄이고 싶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오염이 적은 연료 수요가 증가할 것으로 예상해 LNG 운송을 검토하고 있다. 그는 또 "조선소가 최대 용량에 있으며 높은 수요로 인해 새 선박을 건조하는 데 비용이 많이 들 수 있음을 인정한다"며 "경제적 가치가 있는 한 중고 제품을 구매할 수 있다"고 전했다. 당초 페르타미나는 23척의 선박을 교체하기 위해 7년에 걸쳐 40억 달러를 투자하겠다는 계획을 세웠다. 그러다 30억 달러로 하향 조정했다. 당시에는 LNG 운반선의 야망이 없었다. 페르타마나가 LNG 운반선 시
[더구루=길소연 기자] 현대미포조선 베트남 자회사 현대베트남조선이 1144억원 규모의 석유화학제품선(PC선) 2척을 수주한다. 25일 업계에 따르면 현대베트남조선은 싱가포르 선사의 EPS(East Pacific Shipping)로부터 8600만 달러 규모의 5만DWT급 PC선 2척을 수주했다. 신조선은 2025년 인도할 예정이다. 현대베트남조선의 수주로 EPS가 주문한 PC선은 총 6척으로 늘어났다. 나머지 4척은 중국의 뉴타임즈쉽빌딩(New Times Shipbuilding)에서 건조되고 있다. 이들 4척은 2025년 인도될 예정이다. EPS는 유조선, 건화물선, 컨테이너선 부문에서 큰 입지를 확보하고 있다. 200척 이상의 선박을 통제하며 이중 연료 선박은 74척이다. PC선은 16척 있다. PC선은 정제유, 원료 등 운송 및 산업공정에 필요한 필수 화물을 운송하는 선박이다. EPS는 최근 친환경 연료 선박 건조로 탈탄소화를 앞당기 위해 암모니아 추진선을 발주하기로 했다. 현대중공업에 암모니아 이중 연료 가스 운반선을 발주하기 위해 싱가포르 해양항만청(MPA), 미국해운국(ABS) 등과 암모니아 이중 연료 가스 탱커에 대한 양해각서(MOU)를 체결했다.
[더구루=길소연 기자] 한화에어로스페이스가 노르웨이에 수출하는 K9 자주포에 프랑스 탈레스그룹 산하 방산업체 탈레스의 레이더를 장착할 전망이다. 25일 업계에 따르면 노르웨이 국방물자국(FMA)은 지난 23일(현지시간) 탈레스 그라운드 마스터(Ground Master) 200 멀티 미션 콤팩트(Multi Mission Compact) 레이더(GM200 MM/C) 3대를 추가 도입했다. 이는 노르웨이가 네덜란드와의 정부 간 계약 이행으로 탈레스로부터 3대의 새로운 이동식 포병 위치 레이더를 추가 획득했다. 앞서 노르웨이는 지난해 5월 탈레스와 GM200 MM/C 레이더 5대와 3대의 추가 시스템 옵션 계약을 체결했었다. 계약 금액은 7700만 유로(약 1065억원). 이번에 추가한 3대와 지난해 계약한 5대까지 총 8대의 레이더는 노르웨이 국군에 2025년 말까지 인도될 예정이다. GM200 MM/C 레이더는 2분 이내에 배치할 수 있을 정도로 신속한 전술적 이동성에 적합한 팔레타이징 시스템이다. 전자동 레이더는 △C-RAM(Counter-Rocket, Artillery, and Mortar) △무인항공기(UAV, Unmanned Aerial Vehicle)
[더구루=길소연 기자] 현대두산인프라코어가 북미시장 공략을 위해 신제품을 출시, 라인업을 강화한다. 25일 업계에 따르면 현대두산인프라코어 북미는 5 시리즈 모델을 지속적으로 업데이트해 차세대 7 시리즈 휠 굴착기를 출시했다. 신제품은 △DX140W-7 △DX190W-7 △DX210W-7 등이다. 차세대 휠 굴착기는 이전 모델보다 높은 굴착력과 연비를 특징으로 한다. 작업 현장에서 어려움을 겪는 작업자들을 돕기 위해 스마트 기술을 갖추고 있다. 조엘 에스칼란테(Joel Escalante) 현대두산인프라코어 수석 제품 전문가는 "현대두산 굴착기는 고객이 어떤 일이 있어도 대처할 수 있는 장비 기능을 갖췄다"며 "새로운 휠 굴착기를 통해 고객은 강력한 굴착과 더 많은 기동성을 달성하는 동시에 연료 소비를 줄일 수 있다"고 말했다. 이어 "추가 편의 기능으로 굴착기 운전실을 개선했으며 작업 현장을 더 잘 볼 수 있도록 전방위 모니터 카메라 시스템을 제공한다"고 덧붙였다. 새로운 굴착기는 소유자가 전면 도저 블레이드로 재료를 채우거나 굴착 시 장비를 안정시키도록 장비의 차대를 쉽게 구성할 수 있는 모듈식 설계를 갖추고 있다. 고속도로와 도로 개발, 건축, 제조 작업
[더구루=길소연 기자] 한국항공우주산업(KAI)이 경찰 임무용 헬기인 '참수리(KUH-1P)' 2대를 경찰청에 조기 납품했다. 25일 관련 업계에 따르면 KAI는 지난달 14일 경찰헬기 참수리(KUH-1P) 2대를 서울경찰청과 부산경찰청에 인도했다. KAI는 지난 2020년 8월 조달청과 경찰헬기 참수리 2대(9~10호기) 납품 계약을 맺었다. 계약 금액은 471억원. 내년 2월까지 납품할 예정이었으나 4개월 앞당겨 조기 납품했다. 참수리는 수리온을 기반으로 통합방위, 대테러, 교통관리 등 경찰 임무 수행에 적합하도록 개발·개조된 헬기다. 항공영상 무선전송장치, 전기광학 적외선 카메라, 탐조등 등이 장착돼 실시간 현장 확인과 지휘 통제가 가능한 게 특징이다. 이번에 인도한 참수리에는 △재난안전통신망(LTE 무전기) △응급의료장비(EMS KIT) △혹서기 환자후송을 위한 냉방장치가 새롭게 탑재돼 경찰 임무 범위를 확대한다. 헬기는 현지 항공대에서 교육비행과 안정화 기간을 거쳐 임무에 투입될 예정이다. 경찰청은 2011년 참수리 2대 계약을 시작으로 지금까지 총 12대를 구매했으며, 현재 10대가 경찰청에 인도돼 운용 중이다. 경찰청은 다년간 참수리 헬기 운영을
[더구루=길소연 기자] 한국마사회는 지난 17일 서울경마장에서 유관기관 합동 화재대피훈련과 소화기·소화전·심폐소생술 교육훈련을 실시했다고 24일 밝혔다. 이번 훈련은 정기환 마사회 회장의 주관 하에 유관기관과 협력업체 임직원들이 함께하는 국민참여형 훈련으로 진행됐다고 마사회는 설명했다. 마사회는 안전훈련 기간(14일∼25일) 중 더 많은 국민들이 재난상황을 체험하고 대처할 수 있도록 다양한 훈련 프로그램들을 준비했다. △말 전염병 대응훈련 △재난대피훈련 △국민참여형 소방 및 응급조치 실습 △재난상황가정 도상훈련 등을 시행했다. 또 주말이면 많은 고객들이 밀집하는 지사와 경마공원의 안전을 위해 회장을 포함한 전체 임원진이 직접 점검활동에 나섰다. 정 회장은 "전문적인 안전역량과 면밀한 점검활동을 통해 사업장 내 재난안전과 산업안전의 사각지대가 발생되지 않도록 노력하겠다"고 밝혔다.
[더구루=길소연 기자] 액화천연가스(LNG) 운반선의 신조선 외 중고선 구매 가격도 오르고 있다. 러시아와 우크라이나 전쟁 이후 LNG 수요가 크게 늘면서 중고선 매입이 크게 증가한 탓이다. 24일 업계에 따르면 러시아 선주인 소브콤플로트(Sovcomflot, SCF 그룹)는 관리하는 2년 된 LNG 운반선에 대한 판매 협상이 진행 중이다. 구매자가 17만4100CBM급 SCF 라 페루즈(La Perouse, 2020년 건조)를 확보하기 위해 2억8000만 달러(약 3750억원)에서 2억8200만 달러(약 3770억원) 가격 협상을 진행중이다. 구매자는 레바논, 리비아, 터키, 그리스에 기반을 둔다. 라 페루즈는 프랑스 에너지 대기업인 토탈 에너지에 대한 7년 전세 계약에 따라 하루에 6만 달러 미만의 요금으로 건조됐다. 글로벌 선사들은 주로 선대 확충을 위해 중고선을 매입한다. 스위스 메디터레이니언 쉬핑(Mediterranean Shipping Company, MSC)이 선복량 증대를 위해 새로운 지역 서비스를 업그레이드하거나 시작하기 위해 중고선 구매를 하고 있다. <본보 2022년 10월 15일 참고 '해운공룡' MSC, 선대 확충…중고선 구매&g
[더구루=길소연 기자] 한국수자원공사가 법정 분쟁에 휘말린 미국 조지아 '넨스크라(Nenskra) 수력발전' 사업을 재개한다. 24일 업계에 따르면 박재현 수자원공사 사장은 지난달 말부터 이달 15일까지 시드니, 호니아라, 이집트 샤름 엘셰이크, 조지아 등 4곳을 방문해 사업현장을 점검했다. 특히 박 사장은 지난 10일부터 15일까지 조지아를 방문해 넨스크라 수력발전사업 IA(실시협약) 개정을 협상했다. 그는 조지아 방문 시 정대수 조지아 한국 대사 대리와 면담을 갖고 넨스크라 사업 실시협약 개정추진 관련 지원 요청했다. 또 넨스크라 사업 현장을 방문해 댐 예정지와 TBM 등 설비 현장점검을 실시했다. 이라클리 가리바슈빌리 조지아 총리와도 만나 실시협약 개정 협상을 이달말 마무리하고, 사업재개 하기로 합의했다. 당초 넨스크라 수력발전은 2020년 준공 예정이었으나 주민 반대와 금융 계약 차질 등으로 늦어졌다. 각종 악재로 수년째 지연되다 조지아 정부가 계약 해지 의향을 통보한 데 이어 시공 업체와의 계약까지 타결돼 사업 추진 자체가 불투명해졌다. 그러나 수자원공사의 실시협약 개정 추진으로 사업이 재개된다. 넨스크라 수력발전 사업은 스와네티 지역 넨스크라강 일
[더구루=길소연 기자] 현대두산인프라코어의 굴적식 덤프트럭(ADT)이 시간이 지나도 잔존가치가 최고인 것으로 평가받았다. 24일 업계에 따르면 현대두산인프라코어는 최근 북미 건설장비 전문 정보업체 '이큅먼트워치'(EquipmentWatch)가 주관한 '2022 HRV(Highest Retained Value) 어워드'에서 현대두산의 ADT가 최고 유보 가치상을 수상했다. 현대두산의 최신 세대 ADT는 DA30-7와 DA45-7 스테이지 V(Stage V) 호환 모델이다. DA30-7과 DA45-7의 적재량은 각각 28t과 41t이다. DA30-7은 276kW(375HP)의 출력을 제공하는 스테이지(Stage) V 호환 DC09 9리터 디젤 엔진으로 구동된다. DA45-7은 출력이 368kW(500HP)인 DC13 13리터 디젤 엔진으로 구동된다. DA30-7와 DA45-7 모델은 회전 링 뒤에 관절 힌지를 배치해 최대 조향 관절 동작 중에도 전방 차축에 동일한 중량 분배를 제공한다. 연약한 지면, 고르지 않은 표면, 매우 가파른 경사, 타이트한 회전 등 어려운 조건에 적합하다. 베카 넴스트스베리제(Beka Nemstsveridze) 현대두산인프라코어 ADT
[더구루=길소연 기자] 현대제뉴인(현대중공업그룹 건설기계부문 중간지주회사) 계열사인 현대건설기계가 필리핀 시장을 공략을 가속화한다. 필리핀 현지 지점을 통해 유지 보수 서비스와 부품 조달이 더 쉽고 빨라질 전망이다. 23일 업계에 따르면 현대건설기계(HCE)는 새로운 공인 딜러로 건설장비 제조업체 회사 에이스(ACE Heavy Equipment Corporation, 이하 ACE)를 선택해 영업망을 넓혔다. ACE는 EEC(Excelucent Equipment Corporation)와 ACDC(Advancement of Commerce for Development Corporation) 합작 회사이다. EEC와 ACDC는 모두 수십 년 동안 현지 건설 산업에 참여해 왔다. EEC는 10년 이상 HCE의 유통 서비스에 종사해 왔으며, ACDC는 맘자르그룹(MAMSAR Group of Companies)을 통해 38년 동안 민간·정부 부문에서 프로젝트를 수행해 왔다. ACE는 현대건설기계와의 파트너십에 따라 EEC는 필리핀 루손(Luzon), 센트럴 비사야스(Central Visayas)의 HCE 대리점에 주력하고 ACDC는 민다나오(Mindanao)와 비사야스
[더구루=길소연 기자] 사우디아라비아 국영석유회사 아람코(Aramco)가 해상 유전 8곳을 개발한다. 아람코의 장기 계약(LTA) 프로그램에 참여하고 있고 현지 합작 조선소를 운영하는 한국조선해양의 수혜가 기대된다. [유료기사코드] 23일 업계에 따르면 사우디 아람코는 사우디 아라비아에서 가장 큰 유전 중 일부를 포함하는 장기 계약(LTA) 프로그램에 따라 8개의 엔지니어링, 조달, 건설 및 설치(EPCI) 계약을 추진하고 있다. 이 프로젝트들은 아람코가 국제 계약 대기업들과 맺은 LTA의 일부이며 내년 1분기까지 발표할 가능성이 높다. 입찰은 이미 5개의 주요 EPCI 업체가 11월에 입찰서를 제출했다. 아람코는 가장 큰 유전 일부의 생산 잠재력을 확장하는 한편 생산 프로필을 유지하는 데에도 지출을 확대하기 위해 주요 LTA 프로젝트에 대한 투자를 강화했다. 아람코는 2027년까지 하루 최대 지속가능한 생산능력을 현재 1200만 배럴에서 1300만 배럴로 확대할 예정이다. LTA 목록은 10개의 EPCI 대기업으로 구성됐다. 주요 입찰자는 △미국 맥더멋 △UAE 아부다비 NPCC △이탈리아 사이펨 △인도 라센 앤 토브로 △영국 서브시세븐 △영국 람프렐 △네
[더구루=홍성일 기자] 세계 최대 전자상거래 기업 아마존(Amazon)이 로봇 기술과 인공지능(AI)을 결합해 미국 스마트 물류 시스템 표준을 정립하고 있다. 물류 효율성이 기업 경쟁력의 핵심으로 떠오르면서, 아마존의 행보가 업계 전반에 걸쳐 큰 영향을 미치고 있다는 평가다. [유료기사코드] 25일 코트라 로스앤젤레스무역관 보고서에 따르면 아마존의 스마트 물류 시스템은 미국 연방정부가 제정한 '인프라 투자 및 일자리 법(IIJA, Infrastructure Investment and Jobs Act)' 등과 맞물려 미국 물류 산업 전반의 지능형 전환을 이끌고 있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아마존은 지난 2012년 로봇 기술 스타트업 '키바 시스템(Kiva Systems)' 인수를 기점으로 물류센터 자동화를 본격화했다. 현재는 △프로테우스(Proteus) △카디널(Cardinal) △스패로(Sparrow) 등 다양한 첨단 로봇과 AI 기반 소프트웨어를 통해 물류 처리 속도와 정확성, 비용 효율성을 극대화하고 있다. 2022년 공개된 프로테우스는 사람과 동일한 공간에서 충돌 없이 자율주행하며 카트를 운반하는 완전 협업형 로봇이다. 카디널은 머신러닝 기반 비전 시스템
[더구루=홍성일 기자] 대만 전자제품 위탁생산(EMS) 기업 위스트론(Wistron)이 엔비디아(NVIDIA)의 인공지능(AI) 서버 생산을 위해 미국 제조 시설 건설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엔비디아는 위스트론, 폭스콘 등과 손잡고 미국 AI 인프라 구축 프로젝트를 진행한다. [유료기사코드] 24일 업계에 따르면 제프 린(Jeff Lin) 위스트론 최고경영자(CEO)는 최근 개최된 연례 주주총회에서 "내년 중 미국 텍사스주 댈러스 공장을 준공하고 블랙웰(Blackwell) 아키텍처 기반 AI 서버 생산을 시작할 것"이라고 밝혔다. 위스트론 댈러스 공장은 엔비디아의 대대적인 미국 AI 인프라 구축 사업에 따라 건설된다. 엔비디아는 지난달 최대 5000억 달러(약 690조원)를 미국 AI 인프라 구축에 투자할 것이라고 밝혔다. 엔비디아는 AI 인프라 구축 사업에 필요한 슈퍼컴퓨터 등을 미국에서 생산하겠다고 밝히며 폭스콘, 위스트론과 협력할 것이라고 전했다. 이에 따라 폭스콘도 텍사스주 휴스턴에 새로운 공장을 건설하고 있다. 폭스콘 휴스턴 공장에서는 반도체 칩 테스트, 모듈 통합 작업 등이 진행된다. 위스트론은 엔비디아 외에 미국 내 추가 고객사 확보에도 나섰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