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더구루=정예린 기자] 테슬라의 가정용 에너지저장장치(ESS) 신제품 '파워월(Powerwall)3'가 모습을 드러냈다. 전작과 달리 LFP(리튬인산철) 배터리를 채택한 것으로 관측되며 테슬라가 LFP 대세화에 불을 지피고 있다.
[더구루=정예린 기자] 테슬라의 가정용 에너지저장장치(ESS) 신제품 '파워월(Powerwall)3'가 모습을 드러냈다. 전작과 달리 LFP(리튬인산철) 배터리를 채택한 것으로 관측되며 테슬라가 LFP 대세화에 불을 지피고 있다.
[더구루=길소연 기자] 유럽 최대 방산 기업인 영국의 BAE시스템즈(BAE Systems)와 미국의 거대 방위산업체인 록히드마틴, 미국 항공우주 기업 'L3해리스(Harris)' 등 글로벌 군수업체들이 아시아 시장에 진출하기 위해 일본을 거점으로 활용한다. [유료기사코드] 9일 업계에 따르면 글로벌 방산업체들이 일본 시장으로 발판을 마련하고 있다. BAE시스템즈는 지난해 일본에 자회사 설립했고, 연내 아시아 총괄 기능을 말레이시아에서 일본으로 이전 예정이다. 영국은 일본과 협력을 강화하고 있다. BAE 시스템즈는 일본·영국·이탈리아 3국이 추진하는 차세대 전투기 공동 개발계획인 '글로벌 전투항공 프로그램(GCAP)'의 핵심 기업이다. 전투기 개발 프로그램에 참여하는 미쓰비시(三菱)중공업 등과 협력을 강화하고, 일본 법인 직원을 늘리고 있다. 록히드마틴은 올해 아시아 총괄 거점을 싱가포르에서 일본으로 이전했다. 일본에서 한국과 대만을 관할한다. 지금까지는 동남아시아 국가를 중점적으로 담당해왔지만, 북한의 미사일 발사, 대만 사태 위험 등 동북아시아 긴장이 고조되는 상황 때문이다. L3해리스는 지난해 무인기(드론)·전자전 등 새로운 수요에 대응하기 위해 일본 법
[더구루=길소연 기자] 러시아가 극동 연해주에 새 조선소를 건설한 전망이다. 현지에서 신규 선박을 건조할 조선소가 부족하다는 지적이 나오면서 건설 가능성이 높아진다. [유료기사코드] 9일 러시아 매체 프리마미디어(Primamedia)에 따르면 극동 연해주 지역에 게잡이 등 어업 선박 건조를 위한 새로운 조선소가 건설될 수 있다. 러시아 내 벌크선, 유조선, 여객선 외 어선까지 다양한 새로운 선박을 건조할 조선소가 부족하다는 의견이 여러 곳에서 제기됐기 때문이다. 연해주 조선소 건설 필요성은 러시아 국영 조선회사 조선통합공사(United Shipbuilding Corporation, USC)가 주장했다. USC는 2007년 러시아 연방 대통령령에 따라 설립된 국영 조선소다. 안드레이 코스틴(Andrei Kostin) USC 이사회 의장은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과의 회담에서 민간 함대를 갱신하기 위한 조선 역량이 부족하다는 주제로 논의했다"며 "신조선을 건조하기에 용량도 부족하고 기술도 충분하지 않아 조선소 현대화를 포함해 신규 조선소를 건설하는 것도 필요하다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그는 "오늘날 벌크선, 유조선, 어선, 여객선 등 모든 유형의 선박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