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구루=홍성일 기자] 소프트뱅크가 미국의 온라인 케이터링 플랫폼 '이지케이터(ezCater)'에 투자했다. 이지케이터는 15일(현지시간) 소프트뱅크 비전펀드 2가 주도한 시리즈 D-2 투자 펀딩을 통해 1억 달러(약 1180억원)를 조달했다고 밝혔다. [유료기사코드] 이번 펀딩에는 소프트뱅크 외에도 쿼드릴 캐피탈, GIC, 아이코닉 그로쓰, 인사이트 파트너스, 인버스 등이 참여했다. 이지케이터는 이번 펀딩을 통해 지금까지 총 투자금액을 4억2500만 달러(약 5030억원)로 늘렸다. 소프트뱅크 등의 투자를 유치한 이지케이터는 지난 2007년 보스턴을 기반으로 설립된 온라인 케이터링 플랫폼 업체다. 이지케이터는 현재 7만5000개 이상의 레스토랑·케이터링 업체와 연결돼 있으며, 소비자는 자신의 요구에 맞춰 케이터링 업체를 선정할 수 있다. 이지케이터는 지난해 코로나19 팬데믹으로 모임이 줄어들면서 매출이 85% 급감했지만 최근 위드코로나 전환과 배달 서비스 등을 통해 팬데믹 이전 매출 수준을 회복한 것으로 알려졌다.
[더구루=홍성일 기자] 물류자동화 로봇기업인 미국의 심보틱이 소프트뱅크 산하 기업인수목적회사(SPAC·스펙)와 합병을 통한 나스닥 상장을 추진한다. [유료기사코드] 심보틱은 13일(현지시간) 소프트뱅크 인베스트먼트 어드바이저 계열사가 설립한 스펙 'SVF 인베스트먼트 코프. 3'와 합병 계약을 체결했다고 밝혔다. 합병 완료는 2022년 상반기에 이뤄질 것으로 보이며, 합병 완료 후 Symbotic(SYM)으로 나스닥에서 거래된다. 심보틱의 가치는 48억 달러(약 5조 6740억원)에 달할 것으로 보이며 이를 바탕으로 7억 2500만달러(약 8570억)를 조달한다는 목표다. 7억2500만 달러에는 소프트뱅크 비전펀드2 약정 자본금 2억달러를 비롯해 월마트등 주요 투자자들을 대상으로 한 PIPE 보통주 거래 등이 포함된다. 이번 거래가 마무리되면 기존 지분 보유자들의 지분율도 조정된다. 릭 코헨 창업자는 전체 지분의 76%를 소유하게 되며 월마트가 9%, 기타 주주가 3%를 소유해 88%의 지분을 소유한다. 신규 투자자들은 12%를 소유하게 되는데 일반 주주가 6%, SVFC 계열이 5%, 기타 PIPE 투자자들이 1%를 소유하게 된다. 심보틱의 CEO와 CFO
[더구루=홍성일 기자] 소프트뱅크가 미국의 자율주행, 로보틱스 솔루션 개발업체 '로보틱스 리서치'에 투자했다. 로보틱스 리서치는 설립 이후 최초로 외부 자본을 조달하며 자율주행 솔루션 공급 역량을 강화한다. 로보틱스 리서치는 9일(현지시간) 시리즈 A 라운드 펀딩을 통해 2억2800만 달러(약 2680억원)를 조달했다고 밝혔다. [유료기사코드] 이번 투자 라운드는 소프트뱅크 비전 펀드2와 인라이트먼트 캐피탈, 라이다 전문업체 루미나 테크놀로지가 투자자로 참여했다. 특히 루미나 테크놀로지는 설립 이후 처음으로 외부 업체에 대한 전략적 지분 투자를 단행했다. 로보틱스 리서치는 이번 라운드를 통해 조달한 자금을 상업용 360도 자율주행 솔루션 'RR.AI'의 추가적인 연구개발과 시장 확대에 투입된다. 로보틱스 리서치는 현재까지 상업용 시장보다는 미국 정부를 상대로한 사업을 진행해왔다. 특히 미국 육군과 해군을 위한 자율주행 장비를 개발하는데 집중해왔다. 로보틱스 리서치 관계자는 "이번 투자는 미국 정부 고객을 위한 자율주행 솔루션 개발 성공을 반영한 것으로 향후 상업 고객 수요와 시장 확대에 필요한 자원을 마련할 것"이라며 "우리는 견고하며 안전하고, 신뢰할 수
[더구루=홍성일 기자] 소프트뱅크가 글로벌 인플루언서 마케팅 플랫폼인 LTK에 투자를 단행했다. 24일 업계에 따르면 소프트뱅크 비전펀드2는 LTK에 3억 달러(약 3570억원)를 투자했다. 소프트뱅크 비전펀드2는 LTK의 기업가치를 20억 달러로 평가했다. 이번 투자로 소프트뱅크 인베스트먼트 어드바이저의 투자 이사인 앙게라 두가 LTK의 이사회에 합류하게 됐다. LTK는 소프트뱅크 비전펀드2에서 유치한 자금을 추가적인 직원 고용과 자사의 플랫폼 글로벌 확장에 투입할 계획이다. LTK는 지난 2011년에 설립된 글로벌 인플루언서 마케팅 플랫폼으로 5000개 이상의 소매업체가 2021년 여름까지 인플루언서를 통한 콘텐츠, 마케팅 제작을 위해 10억 달러 이상을 투자했다. 소비자들도 패션, 뷰티, 피트니스 등 부문에 걸쳐 30억 달러 이상 구매를 진행했다. LTK 플랫폼은 현재 한국, 독일, 영국, 프랑스, 브라질, 호주, 중국 등에 사무실을 운영하고 있으며 전세계 100개국 이상에서 서비스되고 있다.
[더구루=홍성일 기자] 일본의 IT기업 소프트뱅크가 미국의 투자 핀테크 스타트업 '아토믹(Atomic)'에 베팅하며 핀테크 부문 투자를 확대했다. 15일 업계에 따르면 아토믹은 시리즈 A 라운드 펀딩을 통해 총 2500만 달러를 투자받았다. 아토믹은 지난달 13일(현지시간) 2200만 달러로 시리즈 A 라운드 펀딩을 마무리했다고 발표했던 바 있어 추가 투자가 진행된 것으로 보인다. 이번 펀딩은 QED 인베스터스와 안테미스가 공동으로 주도했으며 소프트뱅크와 Y콤비네이터가 투자자로 참여했다. 상세한 투자 금액 등은 공개되지 않았다. 이번에 소프트뱅크 등에 투자를 유치한 아토믹은 급여를 기반으로 손쉽게 투자할 수 있는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비스를 제공한다. 아토믹은 시민들의 급여를 손쉽게 기업에 투자할 수 있게 함으로서 모든 사람들의 부를 증가시키겠다는 목표를 가지고 있다. 아토믹은 이번에 투자 사실을 발표하면서 신규 앱도 출시했다. 아토믹은 향후 투자금을 바탕으로 추가 고용을 진행, 회사 규모를 빠르게 확장할 계획이다. 아토믹 관계자는 "핀테크나 은행이 고객과 재정관계를 맺기를 원한다며 플랫폼 경쟁력을 유지해야하고 투자를 진행해야 한다"며 "아토믹은 빠르게 진화하
[더구루=홍성환 기자] 사우디아라비아 미래 신도시 개발사업인 네옴(NEOM)의 사업비가 "최대 1경3000조원에 달할 것"이란 분석이 나왔다. 최초 추정 사업비와 비교해 거의 20배에 육박하는 수준이다. [유료기사코드] 17일 월스트리트저널 등에 따르면 네옴은 지난해 이사회에 제출한 감사보고서에서 사업비가 8조8000억 달러(약 1경2800조원)에 달할 것으로 추정했다. 사우디아리바아 연간 예산의 24배 수준으로, 최초 예상했던 사업비에서 크게 치솟은 수치다. 네옴 사업비는 최초 발표 당시 5000억 달러(약 720조원)로 예상됐다. 또 네옴은 "사업 전체를 완료하는 데 55년이 필요할 것"으로 내다봤다. 네옴은 사우디아라비아의 북서부 홍해 인근 사막에 건설되는 미래형 신도시 프로젝트로, '비전 2030'의 핵심 사업이다. 전체 면적은 서울의 44배인 2만6500㎢에 달한다. 네옴 핵심 프로젝트로는 △더라인 △옥사곤 등이 있다. 더라인 프로젝트는 총길이 170㎞ 규모의 초연결 커뮤니티 벨트 조성 사업이다. 지상은 보행자를 위한 친환경 공간으로 조성하고 철도, 도로 등 교통 인프라는 지하에 위치한다. 옥사곤은 바다 위에 팔각형 모양의 부유식 첨단산업단지를 조성
[더구루=홍성일 기자] AMD가 2월 개인용 데스크톱 중앙처리장치(CPU) 판매량에서 인텔을 압도한 것으로 나타났다. 인텔이 상품성을 강화한 신제품을 선보이지 못한다면 현재 추세가 상당기간 지속될 것이라는 전망이다. [유료기사코드] 17일 미국 아마존 CPU 리테일 보고서에 따르면 AMD CPU는 2024년 2월에만 총 4만9750개가 판매됐다. 반면 인텔 CPU는 5분의 1 수준인 9350개가 판매되는데 그쳤다. 베스트셀링 톱10 리스트에도 인텔 제품은 하나도 포함되지 않았다. 미국 아마존에서 2월에 가장 많이 판매된 CPU는 AMD 라이젠 7 9800X3D로 8000장 가량이 판매됐다. 그뒤를 라이젠 5 5600X를 필두로 △라이젠 7 9700X △라이젠 7 7700X △라이젠 5 5500이 이었다. 인텔 제품 중 가장 많이 판매된 제품은 코어 i7-12700KF로 1000여개가 판매돼 14위에 이름을 올렸다. 총 매출규모는 AMD CPU가 1446만27000달러(약 210억원), 인텔 CPU가 234만8959달러(약 34억원)였다. 인텔 데스크톱 CPU 판매량이 AMD에 크게 뒤처진 것은 지난해 10월 출시된 인텔 최신 데스크톱 CPU '코어 울트라 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