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구루=오소영 기자] KCC글라스 인도네시아 직원들이 공장 가동 한 달 만에 노동조합 설립을 추진하고 있다. 화학·에너지·광산업 분야 노조인 'FSP KEP(Federasi Serikat Pekerja Kimia, Energi dan Pertambangan)'와 회동해 가입을 검토했다. 7일 FSP KEP 중앙집행위원회(DPP FSP KEP)에 따르면 KCC글라스 인도네시아법인 근로자 13명으로 구성된 대표단은 지난 4일(현지시간) 인도네시아 중부 바탕산업단지에서 수난다르(Sunandar) 총회장, 조직 관리를 총괄하는 자이누딘(Zainudin) 의장 등 FSP KEP 노조 간부와 만났다. FSP KEP는 인도네시아 3대 노조 중 하나인 인도네시아전국근로자조합총연맹(KSPSI)의 하위 조직으로 1973년 설립됐다. 화학(Kimia)과 에너지(Energi), 광산(Pertambangan) 산업 노동자들의 권리 보호와 근로 환경 개선에 앞장서고 있다. 대표단은 이날 회의를 통해 FSP KEP 가입을 논의했다. 노조 의무와 기능, 법적 근거 등을 질의하고, FSP KEP와 협력해 노사 관계에 대한 지식을 쌓고 직원들에 도움이 되고 싶다는 의사를 전했다. FSP
[더구루=오소영 기자] KCC글라스가 인도네시아에서 대규모 인력 확보에 나섰다. 올해 하반기 양산을 시작하는 신공장에 채용 인력을 투입한다. 약 1500개의 일자리 창출이 예상된다. 16일 인도네시아 바탕시 구인구직 플랫폼 '바탕 커리어(Batang Career)'에 따르면 KCC글라스 인도네시아 법인은 이날 기준 25개 채용 공고를 올렸다. 회계와 인사, 생산, 전기, 물류 등 다양한 직군에서 인력을 뽑는다. 합격자는 인도네시아 공장에 근무하게 된다. KCC글라스는 2021년 3억 달러(약 4000억원)를 투자해 바탕 산업단지 내 49만㎡(약 14만8000평) 부지에 유리공장을 착공했다. 건물을 다 지어 설비 반입을 앞두고 있다. 시험 생산을 거쳐 하반기부터 양산을 시작할 예정이다. 연간 약 43만8000톤(t)의 건축용 판유리를 생산해 동남아시아에 판매한다. KCC글라스는 양산을 앞두며 인력 채용을 진행하고 있다. 이번 투자로 약 1500명을 뽑을 것으로 예상된다. 향후 단계적으로 증설을 추진, '종합 유리 클러스터'로 키울 예정인 만큼 일자리 창출 효과는 상당할 것으로 기대된다. KCC글라스는 신공장을 해외 시장 공략의 전진기지로 활용한다. 중국과 인도
[더구루=오소영 기자] 인도네시아 중부 자바 주정부가 조코 위도도 대통령에 항만 건설을 거듭 요청했다. LG에너지솔루션과 KCC 등 현지에 공장을 짓는 해외 기업들의 물류를 지원하려면 기존 항구로는 역부족이라고 판단해서다. 간자르 프라노우(Ganjar Pranowo) 인도네시아 중부 자바 주지사는 8일(현지시간) 인베스터 데일리와의 인터뷰에서 "조코 위도도 대통령, 교통부와 항만 건설 문제를 논의했다"며 "새 항구 개발 혹은 기존 항구 확장 등 인프라를 확대하는 방안을 검토했다"고 밝혔다. 프라노우 주지사는 항구의 필요성을 거듭 말했다. 그는 "바탕 산업단지 개발에 있어 항구는 매우 중요하다"며 "도로, 철도, 공항 등 이전에 건설된 인프라와 결합돼 교통 효율성을 창출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이어 "KCC글라스 인도네시아는 동남아시아 최대 유리 회사가 될 것이며 LG와 네슬라 등도 투자할 예정이다"라며 "그럼에도 항구가 아직 없다"고 지적했다. 해외 기업들의 투자 일정과 항구 건설에 최소 3년이 걸린다는 점을 고려하면 중앙 정부가 빨리 결단을 내려야 한다는 게 프라노우 주지사의 설명이다. 기존 항구를 확장할 시 스마랑 소재 항구 활용이 유력하다. 바탕 산업
[더구루=홍성일 기자] 생성형 인공지능(AI) 스타트업 앤트로픽(Anthropic)이 AI가 인류 경제 시스템에 미칠 영향을 연구하기 시작했다. 앤트로픽은 이번 기회를 통해 AI 도입으로 발생할 문제에 대한 대응책도 마련한다는 목표다. [유료기사코드] 1일 엔트로픽에 따르면 '앤트로픽 경제 미래 프로그램(Anthropic Economic Futures Program)'을 개시한다. 앤트로픽은 해당 프로그램을 통해 AI가 경제에 미칠 영향을 연구하고, 발생한 문제에 대응하기 위한 정책 개발을 지원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구체적으로 AI가 도입되면서 노동 시장에서 발생할 일자리 문제와 글로벌 경제 시스템의 변화 등을 상세하게 연구할 예정이다. 또한 이를 토대로 발생할 부작용을 예측해 대응 방안도 제시한다. 앤트로픽 경제 미래 프로그램은 △연구비 지원 △포럼 개최 △장기 데이터 생성·공급 등을 중심으로 운영된다. 앤트로픽은 연구자들이 AI가 미칠 영향을 조사할 수 있도록 지원금과 파트너십 등을 제공하고, 실제 데이터에 기반해 AI의 영향을 연구할 수 있도록 포럼을 마련한다. 또한 정기적으로 앤트로픽 경제 지수(Anthropic Economic Index)를 기반으로
[더구루=홍성환 기자] 미국 에어택시 제조업체 조비 에비에이션(Joby Aviation)이 내년 아랍에미리트(UAE)에서 도심항공교통(UAM) 서비스를 출시할 계획이다. [유료기사코드] 조비는 1일 "두바이에서 전기 수직이착륙 비행체(eVTOL) 유인 비행 테스트를 성공적으로 완료했다"고 밝혔다. 조비는 내년 UAE 두바이에서 첫 에어택시 운행을 목표로 하고 있다. 이를 위해 두바이 도로교통청(RTA), 두바이 민간항공청(GAA), UAE 민간항공청(GCAA) 등과 협력 중이다. 이 회사는 6년 간 두바이에서 독점적으로 에어택시 서비스를 운영할 수 있는 권리를 확보한 상태다. 조비는 두바이 국제공항과 인공섬 팜 주메이라, 두바이 마리나, 두바이 다운타운 등 네 곳에 거점을 마련한다. 현재 버티포트(수직이착륙장) 건설 공사가 진행 중이다. 조벤 비버티 조비 설립자 겸 최고경영자(CEO)는 "UAE는 글로벌 시장 진출에 있어 중요한 발판"이라고 강조했다. 조비는 UAM에 활용되는 전기항공기의 최장 비행 기록을 보유하고 있으며, 미국 연방항공국(FAA)의 상업 비행용 허가인 G-1 인증을 획득한 UAM 기체 제조 분야 글로벌 선도기업이다. 조비가 개발 중인 eV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