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구루=홍성환 기자] IBK기업은행이 인도네시아법인에 대한 실탄 충전에 나선다. 자본력을 강화해 공격적으로 영업을 확대하기 위한 행보로 풀이된다. IBK인도네시아은행은 19일(현지시간) 인도네시아 증권거래소(IDX) 공시를 통해 주당 100루피아의 액면가로 최대 138억1468만8390주의 신주를 발행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이날 종가 91.00루피아를 반영하면 1조2570억 루피아(약 1050억원)에 이르는 수준이다. IBK인도네시아은행은 내달 임시 주주총회를 열고 유상증자 안건을 처리할 예정이다. 이후 현지 금융당국 승인 절차를 걸쳐 내년 중으로 증자를 실시한다. 구체적인 발행가는 시장 상황을 고려해 결정할 계획이다. IBK인도네시아은행은 지난 2019년 설립 이후 매년 꾸준히 자본을 확충하고 있다. 올해도 1조2000억 루피아(약 1000억원)를 조달했다. <본보 2022년 7월 4일자 참고 : [단독] IBK기업은행, 인니법인에 900억 추가 출자> 기업은행은 앞서 지난 2019년 9월 아그리스은행·미트라니아가은행을 합병해 인도네시아법인을 공식 출범시켰다. IBK인도네시아은행은 지난해 약 140억원의 순손실을 기록했다. 전년 400억원 순손
[더구루=홍성환 기자] 신한은행이 아프리카금융공사(AFC)의 2100억원 규모 김치본드 발행을 지원했다. 우리 기업의 아프리카 인프라 시장 진출에 가속도가 붙을 전망이다. AFC는 우리나라 자본 시장에서 1억6000만 달러(약 2110억원) 규모로 자금 조달에 성공했다고 9일 밝혔다. 신한은행과 일본 미즈호은행이 공동 주관사로 채권 발행을 이끌었다. IBK기업은행과 한국수출입은행 등 우리 국책은행을 비롯해 △타이페이푸본상업은행 △화난상업은행 △대만협동은행 △중국수출입은행 등이 파이낸싱에 참여했다. AFC가 우리나라 시장에서 김치본드를 선보인 것은 이번이 두 번째로, 앞서 지난 2019년 1억4000만 달러(약 1850억원) 규모로 발행한 바 있다. 당시에도 신한은행이 주선했다. 김치본드는 외국 기업이나 국내 기업이 우리나라에서 달러화 등 외화 표시로 발행하는 채권을 말한다. 신한은행은 지난 2018년 아프리카 다자개발은행 가운데 한 곳의 김치본드 발행을 주관한 것으로 시작으로 아프리카 기관을 위한 채권 발행 업무를 잇따라 수행하고 있다. 이번 파이낸싱으로 우리 기업의 아프리카 인프라 시장 진출이 탄력을 받을 것으로 기대된다. 아프리카가 전 세계 새로운 시장으
[더구루=홍성환 기자] IBK기업은행이 최대 4100억원 규모로 자금 조달을 검토하고 있다. 미국 금리인상, 레고랜드 사태 등으로 최근 국내 자금시장이 경색된 가운데 해외 시장의 문을 적극 두드리는 모습이다. 10일 관련 업계에 따르면 기업은행은 최대 3억 달러(약 4100억원) 규모 신디케이트론(집단대출) 조달을 검토하고 있다. 이를 위해 일본계 투자은행(IB)인 미즈호은행과 논의를 진행해온 것으로 알려졌다. 최초제시금리(IPG)는 3개월물 미국 담보부 초단기 금리(Sofr)에 100bp(1bp=0.01%포인트)를 더한 수준으로 전해진다. 최근 국내외 금융시장 상황을 고려해 최종 금리를 제시할 전망이다. 이에 대해 기업은행 측은 "최근 글로벌 금융시장 불확실성 확대로 미즈호은행과 신디케이트론 관련 사항을 검토했다"며 "구체적인 진행 시기와 금액 등은 정해진 바 없으며, 시장 상황에 따라 탄력적으로 대응할 예정"이라고 말했다. 기업은행은 최근 해외 시장에서 적극적으로 자금을 조달하고 있다. 앞서 지난달에는 6억 달러(약 8250억원) 규모로 소셜본드 발행에 성공했다. 기업은행은 최근 단기물 선호 현상을 고려해 트렌치를 2년 고정금리부채권(FXD)으로 결정했다
[더구루=홍성환 기자] 인도네시아 천연고무 제조·유통 기업 부미 인다와 니아가(Bumi Indawa Niaga)가 IBK기업은행 인도네시아법인의 유상증자에 참여한다. 8일 인도네시아 증권거래소(IDX)에 따르면 부미 인다와 니아가는 IBK인도네시아은행 유상증자에 최대 176억 루피아(약 15억원)를 출자한다. 지분율은 약 0.6%다. 부미 인다와 니아가는 천연고무 제품을 제조·유통하는 기업으로 인도네시아 대표 한상 기업인 코린도그룹의 자회사다. 이번 유상증자 참여는 단순 투자 목적이다. IBK인도네시아은행은 1조2000억 루피아(약 1050억원) 규모 유상증자를 진행 중이다. 이달 중으로 증자를 완료할 예정이다. 기업은행은 지난 2019년 9월 아그리스은행·미트라니아가은행을 합병해 IBK인도네시아은행을 공식 출범했다. IBK인도네시아은행은 2023년까지 핵심자본을 5조4000억 루피아(약 4730억원)로 확대해 부쿠(BUKU) 3 등급 중대형 은행으로 도약한다는 목표를 세우고 있다.
[더구루=최영희 기자] 시스템 반도체 설계 및 반도체 소프트웨어 전문기업인 수퍼게이트㈜가 IBK캐피탈과 DA밸류인베스트먼트가 운용하는 IBK금융그룹 뉴딜 소부장 투자조합과 KB증권으로부터 35억 규모의 투자를 받았다고 20일 밝혔다. 수퍼게이트는 2018년 8월 설립한 시스템반도체설계 및 주문형반도체설계 전문 회사다. 시스템반도체 칩의 내재화로 경쟁력을 갖추려는 반도체 비전문기업 혹은 팹리스기업이 주요 고객이다. 수퍼게이트는 주문형 반도체 및 시스템반도체의 다양한 제품군에서 역량을 발휘하고 있다. 무선충전 주문형반도체, 인공지능 자율주행 시스템반도체, 동형암호 신뢰기반 보안 기술, 고성능 컴퓨팅 시스템반도체, 임베디드 인공지능 모델링, 시스템반도체 소프트웨어 등이 사업의 영역이다. IBK 금융그룹 뉴딜 소부장 투자조합과 KB증권은 담대하고 도전적인 수퍼게이트의 성격을 가감없이 보여주는 한국형 완전자율주행 프로세서 과제, 고성능 컴퓨팅 시스템반도체 과제 및 신뢰기반 보안 컴퓨팅 과제 등의 미래 지향적인 기술에 주목하고 있다. 수퍼게이트는 고성능 컴퓨팅 및 인공지능 분야에서 주목할 기업으로 프런티어 벤처기업 및 BIG3 기업에 선정된 바 있다. 심승필 수퍼게이트
[더구루=홍성환 기자] IBK기업은행이 내년 임원 임금을 정부 가이드라인에 맞춰 1.4% 올릴 예정이다. 다만 성과급 한도는 하향 조정했다. 20일 더구루 취재 결과 기업은행 이사회는 지난 2월 임원 기본 연봉을 1.4% 인상하는 안건을 승인했다. 이러한 인상률은 내년부터 적용된다. 이는 정부가 올해 공공기관 총인건비 인상률을 1.4%로 정한데 따른 것이다. 공공기관운영법상 기타공공기관인 기업은행은 정부의 공무원 임금 가이드라인을 적용받는다. 공공기관 인건비 인상률은 지난 2020년 2.8%였는데 지난해 코로나 19 고통 분담 차원에서 0.9%로 크게 낮췄고, 올해의 경우 상향 조정됐다. 기업은행은 또 임원의 성과급 최고 한도를 20%포인트 낮췄다. 일부 공공기관들이 과도한 성과급을 지급하고 있다는 비판에 따른 것으로 보인다. 앞서 지난해 윤종원 기업은행장 등 등기이사 2인의 보수총액은 7억1200만원으로 1인당 평균 보수액은 3억5600만원이었다. 한편, 기업은행은 올해 1분기 순이익 6597억원을 기록했다. 이는 전년 같은 기간보다 11.4% 증가한 수치다. 중기대출 잔액은 작년 말 대비 5조4000억원(2.6%) 증가한 209조3000억원으로 집계됐다.
[더구루=홍성환 기자] IBK기업은행이 인도네시아 진출 2년 만에 흑자 전환에 성공했다. 5일 관련 업계에 따르면 IBK인도네시아은행은 지난해 127억 루피아(약 11억원)의 순이익을 기록했다. 전년 1769억 루피아(약 150억원) 순손실에서 수익성이 크게 개선했다. 모기업인 기업은행의 자금 지원을 바탕으로 공격적으로 영업에 나서면서 이자이익이 급증했다. 지난해 순이자이익은 3070억 루피아(약 260억원)로 전년 1697억 루피아(약 140억원)보다 80% 늘었다. 작년 말 현재 대출잔액은 6조700억 루피아(약 5140억원)로 1년 전보다 19% 증가했다. 이에 따라 총자산은 14조2800억 루피아(약 1조2100억원)로 전년 동기 대비 45% 늘었다. IBK인도네시아은행은 영업 기반 강화를 위해 꾸준히 자본을 늘리고 있다. 앞서 지난해 7월 1조2400억 루피아(약 1050억원) 규모 유상증자를 진행했고, 올해도 자본확충을 실시할 예정이다. <본보 2022년 2월 16일자 참고 : 기업은행 인니법인 유상증자 주주총회 통과> 기업은행은 지난 2019년 9월 아그리스은행·미트라니아가은행을 합병해 IBK인도네시아은행을 공식 출범했다. IBK인도네
[더구루=홍성환 기자] IBK기업은행 인도네시아법인이 주주총회를 열고 유상증자 안건을 통과시켰다. IBK인도네시아은행은 지난 15일(현지시간) 열린 주주총회에서 최대 110억여주의 신주를 발행하는 안건이 승인됐다고 밝혔다. 이날 인도네시아 증권거래소(IDX)에 상장된 이 회사 주식의 종가(160루피아)를 반영하면 1조7600억 루피아(약 1500억원) 규모다. 이와 함께 정관 자본금을 2조8000억 루피아(약 2300억원)에서 3조8000억 루피아(약 3200억원)로 늘리는 안건도 처리했다. <본보 2022년 1월 18일자 참고 : 기업은행 인니법인, 내달 주총 열고 유상증자 안건 처리> 이번 유상증자는 인도네시아 금융당국의 자본 규제 강화에 따른 것이다. 인도네시아 금융감독청(OJK)은 올해 말까지 현지 모든 은행에 핵심자본을 3조 루피아(약 2500억원) 이상으로 확대할 것을 주문했다. 작년 말 기준 IBK인도네시아은행의 핵심자본은 2조9000억 루피아(약 2400억원) 수준으로, OJK의 권고치를 살짝 밑돈다. IBK인도네시아은행은 영업 기반 강화를 위해 꾸준히 자본을 늘리고 있다. 앞서 지난해 7월에도 1조2400억 루피아(약 1000억원)
[더구루=홍성환 기자] IBK기업은행 인도네시아법인이 내달 주주총회를 열고 유상증자 안건을 처리한다. IBK인도네시아은행은 17일(현지시간) 인도네시아 증권거래소(IDX) 공시를 통해 내달 11일 주주총회를 개최한다고 밝혔다. 주요 안건은 유상증자와 이사 선임, 정관 개정 등 세 가지다. IBK인도네시아은행은 인도네시아 금융감독청(OJK)의 자본 규제를 맞추기 위해 연내 유상증자를 실시할 방침이다. 최대 110억여주를 발행할 예정으로, 17일 종가(148루피아)를 반영하면 약 1조6200억 루피아(약 1350억원) 규모다. <본보 2021년 12월 14일자 참고 : [단독] 기업은행, 내년 인니법인에 최대 1700억 자본 확충> OJK는 현지 모든 은행에 올해 말까지 핵심자본을 3조 루피아(약 2500억원) 이상으로 확대할 것을 주문했다. 작년 말 기준 IBK인도네시아 은행의 핵심자본은 2조9000억 루피아(약 2420억원) 수준이다. IBK인도네시아은행은 영업 기반 강화를 위해 꾸준히 자본을 늘리고 있다. 앞서 지난해 7월 1조2400억 루피아(약 1000억원) 규모로 유상증자를 실시한 바 있다. 기업은행은 지난 2019년 9월 아그리스은행·미트
[더구루=홍성환 기자] IBK기업은행이 내년 인도네시아법인에 최대 1700억원 규모로 자본확충을 추진한다. 해외 사업 핵심 거점 국가인 인도네시아 시장 공략에 속도를 내기 위해서다. 14일 인도네시아 증권거래소(IDX)에 따르면 기업은행 인도네시아법인 IBK인도네시아은행은 내년 최대 109억2900만여주의 신주를 발행하는 유상증자를 실시할 계획이다. 지난 13일(현지시간) 종가(190루피아)를 반영하면 유상증자 규모는 2조765억 루피아(약 1720억원)에 이른다. IBK인도네시아은행은 영업 기반 강화를 위해 꾸준히 자본을 늘리고 있다. 앞서 지난 7월 1조2400억 루피아(약 1000억원) 규모로 유상증자를 실시한 바 있다. 지난해 2분기와 4분기에도 각각 7000억 루피아(약 580억원), 1조 루피아(약 830억원) 규모로 증자했다. <본보 2021년 7월 9일자 참고 : 기업은행, 인니법인 1000억 실탄 충전 완료> IBK인도네시아은행은 2023년까지 핵심자본을 5조4000억 루피아(약 4500억원)로 확대해 부쿠(BUKU) 3 등급 중대형 은행으로 도약한다는 목표를 세우고 있다. 인도네시아 은행은 자산 규모에 따라 부쿠 1~4 등급으로
[더구루=홍성환 기자] IBK기업은행 인도네시아법인의 적자 폭이 올해 들어 많이 줄어든 것으로 나타났다. 8일 관련 업계에 따르면 IBK인도네시아은행의 1~3분기 누적 순손실은 20억4400만 루피아(약 2억원)로 전년 같은 기간 975억3000만 루피아(약 80억원)의 순손실을 낸 것과 비교해 수익성이 크게 개선했다. 1~9월 순이자 이익은 2354억5000만 루피아(약 200억원)로 지난해 동기 대비 91.1% 증가했다. 기타 영업이익은 740% 증가한 848억3200만 루피아(약 70억원)를 기록했다. 9월 말 기준 예금잔액은 5조5090억 루피아(약 4680억원)로 올해 들어 13.1% 증가했고, 대출잔액은 5조6490억 루피아(약 4700억원(로 10.7% 늘었다. 총자산은 29.6% 증가한 12조7260억 루피아(약 1조590억원)였다. 기업은행은 지난 2019년 9월 아그리스은행·미트라니아가은행을 합병해 인도네시아법인을 설립한 이후 꾸준히 자본을 늘리며 영업 기반을 다지고 있다. 지난 9월 1조2400억 루피아(약 1030억원) 규모 자본 확충을 완료했다. <본보 2021년 7월 9일자 참고 : 기업은행, 인니법인 1000억 실탄 충전 완료
[더구루=홍성환 기자] IBK기업은행 인도네시아법인이 유통 주식 수 확대를 위해 자사주 일부를 매각했다. 7일 인도네시아 증권거래소(IDX)에 따르면 IBK인도네시아은행은 KGI증권에 보유 주식 일부를 매각했다고 공시했다. 구체적인 매각 주식 규모와 금액은 공개하지 않았지만 전체 발행 주식의 0.91% 수준인 6억9187만6100주를 판 것으로 알려졌다. 매각금액은 1176억 루피아(약 100억원) 수준으로 전해진다. 인도네시아 증권당국은 현지 상장 기업에 일정 수준 이상의 유통 주식을 유지하도록 권고하고 있다. 기업은행은 지난 2019년 9월 아그리스은행·미트라니아가은행을 합병해 인도네시아법인을 설립한 이후 꾸준히 자본을 늘리며 영업 기반을 다지고 있다. 앞서 지난 6월 1조2400억 루피아(약 1000억원) 규모 유상증자를 완료했다. <본보 2021년 7월 9일자 참고 : 기업은행, 인니법인 1000억 실탄 충전 완료> 이는 '부쿠(BUKU) 3 등급' 중대형 은행 도약을 위한 자본 확충 전략의 일환이다. IBK인도네시아은행은 오는 2023년까지 핵심자본을 5조4000억 루피아(약 4500억원)로 확대해 부쿠(BUKU) 3 등급을 획득한다는 목
[더구루=홍성일 기자] PCI 익스프레스(PCIe) 기능이 없는 USB3 표준으로 AMD 그래픽처리장치(GPU)를 작동할 수 있는 기술이 공개됐다. 새로운 GPU 연결 기술은 윈도우와 리눅스 뿐 아니라 애플 실리콘 컴퓨터에서도 사용이 가능해, AMD GPU의 활용성이 향상될 것으로 전망된다. [유료기사코드] 13일 업계에 따르면 AMD 그래픽처리장치(GPU) 소프트웨어 개발기업 타이니 코프(Tiny Corp)는 USB3 표준으로 AMD 외장 GPU를 작동시키는데 성공했다. 타이니 코프는 17세에 아이폰을 해킹한 천재 해커 조지 호츠(George Hotz)가 설립한 스타트업이다. 조지 호츠는 AMD가 좋은 칩을 생산하고 있지만 소프트웨어 지원이 부실해 시장의 선택을 받지 못하고 있다며 타이니 코프를 설립했다. 타이니 호프는 현재 AMD의 사용성을 향상시킬 다양한 소프트웨어를 개발하고 있다. 타이니 코프가 USB3 표준을 기반으로 한 GPU 연결 기술을 개발한 이유는 애플 실리콘 기반 맥(Mac) PC에 AMD GPU를 연결시키기 위해서다. 기본적으로 외장 GPU를 작동하기 위해서는 PCle 슬롯이나 PCle 터널링을 지원하는 썬더볼트/USB4 인터페이스를 이용
[더구루=홍성일 기자] 말레이시아의 월간 그래픽처리장치(GPU) 수입 규모가 역사상 최고치를 경신했다. 미국 정부가 대중국 반도체 제재를 강화한 가운데 말레이시아가 'GPU 밀수 우회로'가 되고 있다는 분석이다. [유료기사코드] 13일 말레이시아 정부가 공개한 자료에 따르면 4월 말레이시아 GPU 수입규모가 27억4000만 달러(약 3조8680억원)를 기록했다. 이는 역대급 기록을 세운 3월(19억6000만 달러, 약 2조7650억원) 결과를 뛰어넘은 것이다. 말레이시아의 GPU 수입 규모는 올해 들어 급증하기 시작했다. 1월 11억2000만 달러(약 1조5825억원)를 수입하며 전년동기 대비 700% 가량 증가한 것. 올해 수입량이 급증하면서 연간 누적 수입 규모도 단 4개월만에 지난해 수치를 뛰어넘었다. 말레이시아의 지난해 GPU 수입액은 48억7700만 달러(약 6조8940억원)이었으며, 올해 1월부터 4월까지 누적 수입액은 64억5000만 달러(약 9조1164억원)를 기록했다. 기업별로는 엔비디아 GPU가 가장 많이 수입됐다. 말레이시아는 올해 2월부터 4월까지 엔비디아 GPU를 53억3000만 달러(약 7조5371억원)어치 수입했다. 이 기간 엔비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