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구루=김형수 기자] 캐나다 최대 규모의 대마초 업체로 꼽히는 헥소(HEXO)가 대규모 손실을 내며 적자로 전환했다. [유료기사코드] 헥소는 2022년 회계연도 순매출이 지난해 같은 기간에 비해 54.40% 증가한 1억9110만3000 캐나다달러(약 1938억원)로 집계됐다고 10일(현지시간) 밝혔다. 지난해 5월 '48노스 캐나비스'와 8월 '레데칸'을 연달아 인수하면서 몸집을 키웠기 때문이다. 내실 있는 성장을 했다고 보기는 힘들다. 2022회계연도 전체 순손실은 10억5628만5000 캐나다달러(약 1조712억원)에 달한다. 2021회계연도에는 1억3429만3000 캐나다달러(약 1362억원)의 순이익을 냈으나 올해는 적자를 본 것이다. 헥소는 일반, 관리, R&D, 판매, 마케팅, 프로모션 등의 순매출 대비 비용이 전년 동기에 비해 32% 늘어났다고 설명했다. 찰리 보우맨(Charlie Bowman) 헥소 최고경영자(CEO)는 "캐나다 대마초 시장에서의 입지를 공고히하기 위한 변화를 만드는 데 집중한 시기"였다"면서 "장기적 성장을 위한 포지셔닝에 필요한 조치를 취했다"고 말했다. 시장의 반응은 싸늘하다. 미국 투자업체 제프리 파이낸셜 그룹(
[더구루=김형수 기자] 취임 100일을 맞는 캐나다 대마초 업체 헥소(HEXO Corp.)의 수장이 고강도 사업 재정비에 칼을 빼들었다. 나스닥 퇴출 위기에서 벗어나려는 움직임으로 해석된다. [유료기사코드] 8일 캐나다 경제매체 BNN블룸버그에 따르면 찰리 보우맨(Charlie Bowman) CEO는 헥소의 비용 구조의 재설정을 추진하며 수익을 내기 위해 여러 시도를 하고 있다. 매분기 수백만 달러 규모의 손실을 이어나가며 나스닥 상장 위험에 처한 회사의 활로를 모색하고 나선 것이다. 헥소에게 주어진 시간은 내년 1월23일이다. 지난달 말 나스닥이 최소 입찰가 규정 준수를 위한 유예기간을 180일 연장해주면서 기회가 생겼다. 내년 1월23일 이전에 헥사 보통주 입찰 가격이 적어도 연속되는 10영업일 동안 한 주당 1달러(약 1300원) 이상으로 마감되는 경우 관련 조건을 충족시킨 것으로 간주된다. 지난해 8월9일 3.84달러(약 5000원)였던 주가는 이후 지속적인 하락세다. 지난 5일 헥소 주가는 0.21달러(약 270원)로 94.53% 급락했다. 반년 만에 주가를 5배가량 올려놓지 않으면 헥소 주식은 나스닥 퇴출 대상 명단에 이름을 올리게 된다. 나스닥
[더구루=김형수 기자] 캐나다 대마초 시장을 이끄는 쌍두마차로 꼽히는 틸레이 브랜즈(Tilray Brands·이하 틸레이)와 헥소(HEXO Corp)가 힙을 합쳐 경쟁력 강화에 나선다. 북미를 넘어 글로벌 시장을 겨냥하고 있다. [유료기사코드] 14일 업계에 따르면 틸레이는 헥소가 HT 인베스트먼트 MA LLC를 대상으로 발행한 선순위 담보 전환채권(Senior Secured Convertible Notes)을 인수 거래를 마무리지었다. 이번 거래 대금은 1억5500만 달러(약 2031억원)에 이른다. 해당 선순위 담보 전환채권은 1억7370만 달러(약 2276억원)의 현재 원금 잔액이 남아있으나 체결금액원금(Outstanding Principal Balance)에 대한 10.8% 할인이 반영됐다. 틸레이는 헥소 주식 1주당 전환 가격이 0.4 캐나다 달러(약 400원)라고 전했다. 틸레이는 헥소 보통주식 약 48%를 손에 넣을 수 있는 권리를 지니고 있다. 틸레이와 헥소는 상업 계약도 체결했다. 해당 계약은 △상대방을 위해 제3자 업체로서 생산 및 가공 완료 △헥소는 캐나다와 미국을 제외한 국제시장에서 틸레이에서 대마초 제품 소싱 △특정 시설 최적화 활동,
[더구루=김형수 기자] 캐나다 최대 규모의 대마초 업체 가운데 하나인 헥소(HEXO)가 보통주 판매를 통한 자금 조달에 나선다. ATM프로그램을 통해 얻은 순수익을 영업 자본 및 운영 활동을 위한 자금으로 사용할 계획이다. [유료기사코드] 4일 업계에 따르면 헥소는 회사 자본금 가운데 최대 4000만 달러(약 504억원)에 상당하는 보통주를 발행 및 판매할 수 있도록 하는 ATM 주식 프로그램(At-the-Market Equity Program·이하 ATM프로그램)을 운영한다. 헥소의 재량에 따라 수시로 대중을 대상으로 보통주를 판다는 계획이다. ATM프로그램에 따라 판매되는 모든 보통주는 토론토증권거래소(Toronto Stock Exchange), 나스닥 자본시장(NASDAQ Capital Markets)을 비롯해 헥소 보통주가 상장돼 거래되는 미국과 캐나다의 인정된 시장을 통한 거래를 통해 이뤄진다. ATM프로그램에 따라 이뤄지는 보통주 분배는 지난 2일 헥소가 캐나다 최대 규모의 독립 자산운용업체 캐너코드 제뉴이티(Canaccord Genuity)와 체결한 지분 분배 계약 조건에 따라 이뤄진다. ATM프로그램을 통해 배포되는 보통주의 양과 시기는 헥소의
[더구루=김형수 기자] 캐나다 최대 규모의 대마초 업체 가운데 하나인 헥소(HEXO)가 운영 효율화를 목적으로 캐나다 온타리오주에 있는 공장을 닫기로 했다. 공장 폐쇄로 인한 인력구조조정도 불가피해 보인다. [유료기사코드] 25일 업계에 따르면 헥소는 캐나다 온타리오주 벨빌(Belleville)에 자리한 공장을 폐쇄하기로 결정했다. 벨빌 공장에 설치된 제조 기계 및 장비는 다른 공장으로 이전될 예정이다. 헥소는 생산 및 출하에 영향이 없도록 세워진 계획에 따라 오는 7월까지 이전 작업을 마무리한다는 방침이다. 이에 따라 230여명의 직원이 일자리를 잃게 됐다. 헥소는 커리어 카운셀링, 전환 서비스를 제공하며 벨빌 공장 폐쇄의 영향을 받게 된 직원들과 협력하고 있다고 전했다. 벨빌 공장은 지난 2020년 6월 캐나다 보건부(Health Canada) 건조 대마초, 대마초 추출물, 국소용 대마초, 식용 대마초 등 대마초 관련 제품 판매에 대한 수정 라이센스를 회득한 곳이다. 라이센스 수정에 따라 제품 범위가 대마초 음료로 확대됐다. 이후 헥소의 캐나다 내 대마초 제품 생산 및 유통의 주요 거점으로 활용됐다. 헥소는 벨빌 공장 폐쇄 및 장비 이전을 통해 네트워크를
[더구루=김형수 기자] 캐나다 대마초 시장에서 선두를 다투는 틸레이 브랜즈(Tilray Brands·이하 틸레이)와 헥소(HEXO Corp)가 협력하기로 했다. [유료기사코드] 7일 업계에 따르면 틸레이는 헥소와의 상업 및 금융 파트너십 체결을 통해 캐나다 대마초 시장 점유율 상위 2개 업체의 점유율을 하나로 묶고, 각각의 지위를 공고히하는 것에 더해 생산 효율성을 제고하는 전략을 펼치기로 했다. 이번 계약에 따라 틸레이는 헥소가 HT 인베스트먼트 MA LLC를 대상으로 발행한 2억1100만 달러(약 2586억원) 규모의 선순위 담보 전환채권(Senior Secured Convertible Notes)을 인수한다. 해당 선순위 담보 전환채권은 틸레이가 헥소 주식 1주당 0.9 캐나다달러(약 868원) 가격으로 전환 권리를 행사할 수 있도록 수정될 예정이다. 이에 따라 틸레이가 손에 쥐게 될 헥소의 지분은 37%에 달할 전망이다. 재정적 압박을 받는 헥소에 틸레이가 대규모 투자를 단행하는 것이다. 헥소는 최근 몇 달 동안 계속되는 손실, 부진한 주가 등으로 어려움을 겪고 있었다. 지난달 말 0.6 달러(약 735원) 아래로 떨어진 주가를 1달러(약 1226원)
[더구루=김다정 기자] 캐나다 대마초 업체 헥소(HEXO)가 마리화나 시설을 폐쇄하고, 대규모 구조조정에 돌입한다. 13일 관련 업계에 따르면 헥소는 최근 생산 간소화를 위해 인수한 시설 3곳을 폐쇄하고, 약 155명의 직원을 해고할 예정이다. 이는 올해 약 12억 캐나다 달러에 달하는 인수합병에 따른 통합 계획의 일환이다. 오는 2022년 1월1일부터 온타리오주 시설을 폐쇄될 예정이며, 스텔라튼 노바 스코샤 시설은 내년 2월 28일 문은 닫는다. 이번 시설 폐쇄로 인해 155명의 근로자가 영향을 받을 것으로 보인다. 이들 중 일부는 ㄷ른 시설로 재배치될 수도 있다. 이번 대규모 구조조정 조치는 헥소가 실적 부진의 영향으로 최고경영자(CEO)를 교체한 지 한 달 만에 나왔다. 지난달 세바스티앙 생루이스(Sébastien St. Louis) 전 CEO는 투자자들의 사임 요구로 인해 대표 자리에서 물러났다. 헥소는 새 CEO로 포장 제품 산업 임원인 스코트 쿠퍼(Scott Cooper)를 임명했다. <본보 2021년 10월 28일자 참고 '대마초 대장주' 헥소 CEO 전격 교체…실적부진 영향> 생루이스는 헥소가 캐나다에서 가장 큰 대마초 생산자 중 하
[더구루=김다정 기자] 캐나다 대마초 업체 헥소(HEXO)가 전략적 조직 개편의 일환으로 최고경영자(CEO)를 전격 교체했다. 28일 업계에 따르면 세바스티앙 생루이스(Sébastien St. Louis) 헥소 CEO는 헥소 투자자들이 사임을 요구하면서 대표 자리에서 물러나 회사를 떠나게 됐다. 최고 운영 책임자(COO)인 도널드 코트니(Donald Courtney)도 사임했다. 헥소는 새 CEO로 포장 제품 산업 임원인 스코트 쿠퍼(Scott Cooper)를 임명했다. 코트니는 후임자를 찾을 때까지 COO로 남는다. 생루이스는 헥소가 캐나다에서 가장 큰 대마초 생산자 중 하나로 성장하는 데 도움을 준 인물이다. 하지만 최근 대마초 회사를 인수하기 위해 과도한 빚을 지자 투자자들은 지난 9월 CEO를 비판하는 서한을 보냈고 결국 퇴출됐다. 올해 초 헥소는 현금과 주식으로 9억2500만 캐나다 달러(약 8772억원)자금을 조달해 아르비브(Arviv)와 레데칸(Redecan)의 주요 주주가 됐다. 이어 48노스(48North)와 제나비스(Zenabis)를 각각 5000만 캐나다 달러(약 474억원), 2억3500만 캐나다 달러(약 2229억원)에 인수했다. 두
[더구루=김다정 기자] 최근 전세계적인 의료용 및 기호용 대마 사용 합법화 추세에 따라 캐나다 대마초 업체 '헥소'(HEXO)가 나스닥 상장에 속도를 내고 있다. 17일 업계에 따르면 헥소는 오는 23일(현지시간) 장 마감 이후 나스탁 이전 상장이 유력하게 점쳐진다. 아직 나스닥의 승인이 필요하지만 'HEXO' 기호로 상장돼 다음달부터 나스닥에서 거래될 전망이다. 모든 투자자의 주식은 뉴욕증권거래소(NYSE)에서 나스닥으로 자동 이전된다. 헥소의 공동 설립자이자 최고경영자(CEO)인 세바스티앙 생루이스는 성명을 통해 "나스닥으로 이전 상장함으로써 수익성을 향한 경로에서 더 큰 비용 절감을 통해 주주 가치를 창출하는 동시에 선도적인 글로벌 거래소에서 동료들과 합류할 수 있게 됐다"고 말했다. 미국에서 공개적으로 거래되는 대마초 회사 중 하나가 된 헥소는 기업 규모가 성장함에 따라 베테랑 브랜딩 전문가 발레리 말론을 신임 최고 상업 책임자(chief commercial officer·CCO)로 영입했다. 사업 확장 드라이브가 증가하자 헥소는 마케팅 전문가를 영입해 공격적으로 시장 확대를 추진하려는 전략을 펼칠 계획이다. 미국에서는 30개 이상 주가 이미 의료용
[더구루=오소영 기자] 미국 육군이 현대자동차그룹의 자회사 보스턴다이내믹스의 로봇개 '스팟(SPOT)'을 시험 운용했다. C5ISR 센터 주도로 진행된 지뢰 제거 임무에 스팟을 배치해 실전 적용을 검증했다. 그동안 미 육군은 고스트로보틱스의 로봇개 비전60을 주로 활용해왔다. 미 육군은 비전60에 소총을 장착해 드론 방어 임무를 부여하는 테스트를 진행하기도 했다. 미래 전장의 패러다임 변화를 불러올 군사용 로봇의 도입이 더욱 다양화, 가시화되고 있는 양상다. [유료기사코드] 28일 미 육군과 군사 전문 엑스(X) '더딜디스트릭' 등에 따르면 미 전투능력개발사령부(DEVCOM) 예하 C5ISR 센터는 최근 버즈니아주 포트 밸부아에서 지뢰 제거 임무에 보스턴다이내믹스의 스팟을 투입했다. 고급 센서, 인공지능(AI) 기반 제어 시스템, 드론을 연동해 원격으로 스팟을 제어했다. 효율적으로 지뢰를 탐지하고 제거할 가능성을 확인했다. C5ISR 센터는 미 DEVCOM 예하 10개 조직 중 하나다. 지휘(Command)와 통제(Control), 통신(Communications), 컴퓨터(Computers), 사이버(Cyber), 정보(Intelligence), 감시(Su
[더구루=김은비 기자] 포르쉐가 최고경영자(CEO) 교체 절차에 착수했다. 현직 CEO이자 폭스바겐그룹 수장을 겸임하고 있는 올리버 블루메가 포르쉐 경영 일선에서 한발 물러나 모회사인 폭스바겐 성장에 집중할 전망이다. [유료기사코드] 28일 업계에 따르면 포르쉐·피에히 가문과 폭스바겐 감독이사회, 노조 측은 블루메 후임 인선을 두고 막바지 논의를 진행 중이다. 후보군은 내부 경영진과 외부 전문경영인을 동시에 검토하고 있으며 올해 가을 최종 확정 뒤 내년 초 공식 교체가 이뤄질 것으로 전해졌다. 블루메 퇴진 배경에는 ‘겸임 체제’가 자리한다. 그는 지난 2022년 9월 포르쉐 기업공개(IPO) 직후부터 그룹과 브랜드 CEO를 동시에 맡아왔지만, 이중 리더십이 두 회사 모두의 전략 실행력을 저하시켰다는 비판이 꾸준히 제기됐다. 실제 포르쉐 주가는 상장 직후 폭스바겐 시가총액을 넘어섰으나, 블루메가 취임한 2022년 이후 45% 가까이 떨어졌다. 여기에 중국 내 수요 둔화, 전동화 전략 지연, 미국의 수입차 관세 변수 등 복합 위기까지 겹쳤다. 이로 인해 포르쉐의 올해 2분기 영업이익은 전년 대비 91.2% 급감하며 상장 후 최악의 성적표를 기록했다. 포르쉐의 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