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구루=홍성환 기자] 하나대체투자자산운용이 최근 매각이 무산된 미국 워싱턴DC 소재 미국 나사(NASA·항공우주국) 본사 건물의 약 3600억원 규모 리파이낸싱을 완료했다. 16일 관련 업계에 따르면 하나대체투자자산운용은 미국 금융사 메시로우(Mesirow)로부터 2억7500만 달러(약 3600억원) 규모의 신규 대출을 받았다. 대출 금리는 5~6% 수준으로, 대출 기간은 오는 2028년까지다. 하나대체투자자산운용은 이를 기계약금 반환과 기대출 상환 등에 사용했다. 나사 본사는 전체면적 5만6300㎡ 규모의 9층짜리 빌딩이다. 미국 연방정부 관련 기관이 밀집한 워싱턴DC 사우스웨스트 연방센터에 위치해 있다. 나사가 지난 1992년부터 30년간 본사로 사용 중으로 오는 2028년 8월까지 장기 임대 계약을 맺고 있다. 하나대체투자자산운용은 지난 2017년 이 건물을 3억6000만 달러(약 4700억원)에 인수했다. 당시 이 건물을 기초자산으로 공모펀드(하나대체투자나사부동산1)를 조성했다. 펀드를 설정하고 5년 후 매각을 목표로 했다. 이에 올해 초 매각 작업에 착수, 지난 3월 미국 부동산 투자사 오팔홀딩스와 매매 계약을 체결했다. 하지만 미국 금리 인상으로
[더구루=오소영 기자] 하나대체투자자산운용이 미국 부동산 회사 비전 프로퍼티스(Vision Properties)와 뉴저지 소재 상업용 빌딩을 매입했다. 15일 업계에 따르면 하나대체투자자산운용은 비전 프로퍼티스와 뉴저지주 저시시티 허든가 70번지 빌딩을 3억 달러(약 3590억원)에 샀다. 이 빌딩은 43만1281ft²(약 1만2120평) 규모로 12층짜리다. 해안가에 위치하며 페리, 철도, 주간고속도로, 경전철이 인근에 있어 교통 인프라가 우수하다. 225대 이상 주차할 수 있는 개조된 주차장과 아트리움 로비를 갖췄고 공용 복도와 지붕 모두 업그레이드됐다. 빌딩 소유주는 덴마크연금펀드(PFA)와 미국 부동산 회사 스피어 스트릿 캐피탈의 합작사였다. 이들은 2019년 건물 매입한 후 개조에 2000만 달러(약 230억원) 이상 지출했다. 현지 온라인 증권사 TD에머리트레이드와 연방주택대출은행, 영국 소프트웨어 회사 피데사, 이탈리아 럭셔리 브랜드 구찌 등이 세입자로 입주해있다. 하나대체투자자산운용과 비전 프로퍼티스는 알파자산운용의 자문을 받아 부동산 거래를 마쳤다. 판매자 주관사로는 현지 부동산 서비스 회사 쿠시먼앤웨이크필드가 나섰다. 하나대체투자자산운용은
[더구루=홍성환 기자] 하나대체투자자산운용이 미국 수도 워싱턴DC에 소재한 미국 나사(NASA·항공우주국) 본사 건물 매각에 착수했다. 4일 관련 업계에 따르면 하나대체투자자산운용은 최근 나사 본사 건물 매각을 결정하고 글로벌 종합 부동산 서비스 회사인 쿠시먼앤드웨이크필드를 주관사로 선정해 원매자 찾기에 나선 것으로 알려졌다. 나사 본사는 전체면적 5만6300㎡ 규모의 9층짜리 빌딩이다. 미국 연방정부 관련 기관이 밀집한 워싱턴DC 사우스웨스트 연방센터에 위치해 있다. 나사가 지난 1992년부터 30년간 본사로 사용 중으로 오는 2028년까지 임대 계약을 맺고 있다. 앞서 하나대체투자자산운용은 지난 2017년 한국투자증권과 컨소시엄을 구성해 이 건물을 3억6000만 달러(약 4300억원)에 인수했다. 당시 이 건물을 기초자산으로 공모펀드(하나대체투자나사부동산1)를 조성했다. 펀드를 설정하고 5년 후 매각을 목표로 했다. 나사가 장기 임차하고 있는만큼 안정적인 수익이 예상돼 투자자들로부터 큰 관심을 받을 것으로 예상된다. 실제로 이 건물의 기본 임대료는 1억7000만 달러(약 2000억원)에 이르는 것으로 전해진다. 하나대체투자자산운용은 부동산·대체투자 전문
[더구루=홍성환 기자] 하나대체투자자산운용이 미국 뉴저지주(州) 소재 다국적 제약사 노보노디스크 미국 본사 사옥의 리파이낸싱(재융자)을 완료했다. 18일 관련 업계에 따르면 독일 최대 은행 도이체방크는 뉴저지 프린스턴 바이오헬스케어 클러스터에 위치한 노보노디스크 본사 건물에 대해 2억1100만 달러(약 2500억원) 규모 대출을 실행했다. 이 빌딩은 2013년 재건축한 전체면적 6만7921㎡ 규모, 9개 건물이 연결된 사무실 건물이다. 하나대체투자산운용은 지난 2016년 당시 하나금융투자·미래에셋증권·현대차증권 등과 함께 전문사모형 부동산펀드를 조성해 이 건물을 3억500만 달러(약 3600억원)에 인수했다. 1700억원은 직접 투자하고 나머지는 대출로 조달했다. 리파이낸싱을 주선한 쿠시먼앤드웨이크필드는 "이 자산은 시장에서 최고 품질의 건물 가운데 하나로 임차인과 금융기관의 지속적인 노력으로 리파이낸싱과 관련해 경쟁력 있는 조건이 조성됐다"고 설명했다. 이 건물은 임차 중인 노보노디스크는 1923년 설립된 덴마크의 글로벌 제약사다. 당뇨병에 특화돼 있다. 2019년 기준 22조원이 넘는 매출을 냈으며 당뇨병 치료에 쓰이는 다양한 인슐린 제품군을 갖추고 있다
[더구루=오소영 기자] 카자흐스탄이 첫 원전 건설에 돌입했다. 러시아 로사톰과 손잡고 현장 조사를 시작했다. 1년 이상 조사한 결과를 바탕으로 최종 위치를 선정하고 본격적으로 건설을 시작한다. [유료기사코드] 러시아 관영 통신 타스 통신 등 외신에 따르면 로사톰은 지난 8일(현지시간) 카자흐스탄 알마티주 울켄에서 원전 사업 착수 행사를 열었다. 알마사담 사트칼리예프 카자흐스탄 원자력청장과 알렉세이 리카체프 로사톰 최고경영자(CEO) 등이 참석했다. 로사톰은 첫 단계로 엔지니어링 조사에 착수한다. 깊이 30~120m에 시추공 50개를 뚫어 토양 샘플링 작업을 수행한다. 암석의 종류와 분포를 포함하는 지질학적인 상태, 지하수 흐름 특성, 부지 인근 지진 발생 가능성 등을 파악한다. 조사 기간은 약 18개월로 추정된다. 로사톰은 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원전의 최종 위치를 결정할 예정이다. 로사톰 측은 "이 조사를 통해 국내외 표준을 준수하고 환경·기술적 위험을 최소화하며 미래 원전의 효율적인 설계를 위한 기반을 마련할 수 있을 것"이라고 밝혔다. 로사톰은 러시아형 가압수형 원자로 VVER-1200 2기를 건설할 계획이다. 140억∼150억 달러(약 19조4000억∼
[더구루=홍성일 기자] 인도로 대기업들의 글로벌 역량 센터(Global Capability Centers, GCC)가 속속 모여들고 있다. 인도가 콜센터와 같은 백오피스(Back-office) 업무를 넘어 인공지능(AI), 연구개발(R&D), 데이터 분석 등 첨단 기술 개발을 이끄는 혁신 허브로 변모하고 있는 모양새다. [유료기사코드] 15일 코트라 뭄바이무역관의 작성한 보고서에 따르면 인도에는 지난 5년간 400개 이상의 GCC와 1100개 이상의 유닛이 신설됐다. 2025년 기준 인도 내 GCC는 1750개, 유닛은 2975개가 넘게 운영되고 있다. 매출 규모는 2024년 기준으로 646억 달러(약 90조원)이며 190만 명이 넘는 전문인력이 근무하고 있다. 지역별로는 벵갈루루가 875개 이상의 센터를 보유하고 있으며 델리와 수도권 지역이 465개, 푸네에서 360개가 넘는 센터 운영되고 있다. 글로벌 기업의 GCC가 인도로 모여드는 이유는 다국어와 다문화 역량을 갖춘 숙련된 인재를 저렴한 비용으로 대규모 확보할 수 있기 때문이다. 실제로 인도에 GCC를 설립할 경우 주요 선진국 대비 운영 비용을 40%에서 최대 70%까지 절감할 수 있다. 여기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