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구루=오소영 기자] 포스코에너지가 한국동서발전, 지멘스, 베트남 쯩남그룹과 뀐랍II LNG 발전소 건설에 협력한다. 벤트레성 인민위원회와도 회동해 LNG 투자를 논의하고 베트남 시장을 적극 공략한다. 8일 업계에 따르면 포스코에너지는 지난달 18일(현지시간) 동서발전, 지멘스, 쯩남그룹과 뀐랍II LNG 발전소 공동 개발을 위한 양해각서(MOU)를 체결했다. 뀐랍II 사업은 당초 석탄화력 발전소로 추진됐었다. 포스코에너지는 응에안성 동호이 산업단지 인근에 약 25억 달러(약 3조2600억원)를 쏟아 1200㎿(600㎿X2기) 규모의 석탄화력 발전소를 지으려 했으나 현지 정부의 탄소 중립 기조에 따라 LNG로 방향을 틀었다. 베트남 산업무역부는 국가 전력개발 마스터플랜(이하 PDP) Ⅷ 초안에 LNG로의 전환을 담았다. 포스코에너지는 이번 협약을 토대로 사업성을 평가하고 파트너사들과 지분을 구체화한다. 뀐랍II 사업을 토대로 추가 수주를 추진해 베트남 LNG 발전 시장을 선점한다. 국제금융공사(IFC)에 따르면 베트남 전력 수요는 2030년까지 매년 평균 8% 증가할 전망이다. 베트남 정부는 안정적으로 전력을 공급하고 탄소 중립을 달성하고자 LNG에 주목하
[더구루=오소영 기자] 포스코에너지가 베트남 뀐랍II 석탄화력 발전소의 액화천연가스(LNG) 전환을 검토한다. 베트남 정부가 탈(脫)탄소 정책을 펼치고 석탄화력 의존도를 낮추기로 하며 포스코에너지도 사업 계획을 수정할 것으로 보인다. 베트남 산업무역부는 지난 25일(현지시간) 현지 국회 상임위원회에 제출한 국가 전력개발 마스터플랜(이하 PDP) Ⅷ 초안에 포스코에너지의 뀐랍II 석탄화력 발전사업을 LNG로 전환하는 방안을 담았다. 포스코에너지는 2016년 응에안성 지방정부와 뀐랍II 발전소 건설을 위한 양해각서(MOU)를 맺었다. 동남경제특구 내에 1200㎿(600㎿X2기) 규모의 석탄화력 발전소를 짓기로 하고 사업성 평가를 진행했으나 베트남 정부의 탄소 중립 정책에 제동이 걸렸다. 베트남 정부는 2050년까지 탄소 중립을 목표로 하고 있다. 이를 달성하고자 석탄화력의 발전 비중을 2030년 25~31%에서 2045년 약 10%로 줄인다. 1만4120㎿ 규모의 석탄화력 발전소도 폐쇄한다. 대신 1만4000㎿ 규모의 LNG, 1만2000~1만5000㎿ 규모의 재생에너지 발전소를 지어 전력 수요에 대응한다. 베트남 정부가 LNG·재생에너지로 눈을 돌리며 포스코에
[더구루=정예린 기자] 포스코에너지가 미국 수소연료전지 제조업체인 퓨얼셀에너지(FuelCell Energy)로부터 스택모듈을 공급 받았다. 법적 분쟁을 마무리하면서 수소연료전지 사업이 순항하고 있다. 14일 업계에 따르면 제이슨 퓨 퓨얼셀에너지 최고경영자(CEO)는 최근 개최한 작년 4분기(미국 회계연도 1분기) 실적발표 컨퍼런스콜에서 "이전 발표된 합의에 따라 포스코에너지의 자회사인 한국퓨얼셀에 당사 완제품 재고에 있는 6개의 모듈을 납품했다"고 밝혔다. 이어 "결산 계약에 따라 (한국퓨얼셀에 공급할) 8개 모듈도 생산할 계획"이라고 덧붙였다. 앞서 한국퓨얼셀은 퓨얼셀에너지로부터 오는 6월 30일 내 8개의 용융탄산염형(MCFC) 연료전지 스택모듈을 추가 구매하는 계약을 체결했다. 포스코에너지와 퓨얼셀에너지는 지난 2007년부터 MCFC 연료전지 사업에서 협력, 합작사 설립 등을 추진했으나 무산됐다. 이후 포스코에너지는 지난 2019년 연료전지 사업부문 자회사 한국퓨얼셀을 설립했다. 한국퓨얼셀 신설로 인해 양사 갈등은 법적 분쟁으로 비화됐다. 퓨얼셀에너지는 포스코에너지에 라이선스 계약 해지와 2억 달러 규모 손해배상을 청구했다. 포스코에너지는 퓨얼셀에너지가
[더구루=오소영 기자] 포스코에너지가 미국에서 퓨얼셀에너지(FCE)의 장부·기록물을 열람하고 증권법 위반 혐의를 조사할 권한을 달라고 요청했지만 기각될 전망이다. 현지 법원은 양사가 여러 건의 소송을 진행 중인 상황을 감안할 때 다른 목적으로 악용될 수 있다고 봤다. FCE는 13일 "델라웨어 형평법원이 자사의 장부와 기록물을 열람하게 해달라는 포스코에너지의 요청을 수용하지 않겠다는 입장을 냈다"고 밝혔다. 법원은 향후 최종 판결을 발표할 예정이다. 포스코에너지는 작년 8월 28일 FCE를 제소했다. 대출 지원을 받고자 회계 장부를 조작해 미국 증권법을 위반했다고 지적했다. 주요 주주로 위반 행위를 조사하고자 기록물을 보고 발췌할 수 있도록 해달라고 주장했다. 포스코에너지는 FCE의 지분 약 1%를 보유하고 있다. FCE는 열람 목적이 단순 조사를 넘어 FCE를 압박하고 다른 소송에서 우위를 점하고자 활용할 가능성이 높다고 지적했다. FCE는 "법원은 이번 소송이 포스코에너지가 지난 9개월 동안 FCE를 상대로 낸 7번째 법적 조치인 점을 고려해 열람 목적이 적절하지 않다고 봤다"고 설명했다. 제이슨 퓨 FCE 대표는 "부적절한 목적 방어를 근거로 기업의 장
[더구루=홍성일 기자] 인도 최대 배터리 제조사인 엑사이드 인더스트리(Exide Industries, 이하 엑사이드)가 현대자동차와 진행하는 전기차(EV)용 배터리 공동 개발 프로젝트가 순항하고 있다. 현대차는 엑사이드 뿐만 아니라 인도 배터리 제조사 다수로부터 '메이드 인 인디아' 배터리를 공급받아 현지 공급망 체계를 지속 강화한다는 목표다. [유료기사코드] 12일 업계에 따르면 엑사이드는 최근 진행된 투자자콜에서 "자회사인 엑사이드 에너지와 현대차의 계약에 따라 배터리 개발을 진행하고 있다"고 밝혔다. 현대차는 지난해 4월 엑사이드 에너지와 인도 전용 EV 배터리셀 현지화를 위한 전략적 업무협약(MOU)을 체결했으며, 12월에는 MOU의 연장선으로 구속력 있는 배터리 셀 공급 계약도 체결했다. 공시된 자료에 따르면 현대차 인도법인은 엑사이드 에너지로부터 계약서에 명시된 가격으로 배터리를 공급받는다. 엑사이드 에너지의 배터리 공급은 내년 초 본격화 될 것으로 전망된다. 엑사이드 에너지는 현재 벵갈루루에 리튬이온 배터리 셀 제조시설을 구축하고 있다. 엑사이드 에너지는 내년 1분기 중으로 해당 공장의 1단계 상업생산을 시작한다는 계획이다. 해당 공장의 1단계
[더구루=진유진 기자] 캐나다 광산기업 퍼스트 퀀텀 미네랄(First Quantum Minerals)이 파나마의 구리 광산 재가동에 대해 "조심스럽게 낙관적"이라는 입장을 내놨다. 이 광산은 한국광해광업공단(KOMIR)이 공동 투자한 사업으로, 지난 2023년 11월부터 1년 5개월째 가동이 중단된 상태다. [유료기사코드] 12일 관련 업계에 따르면 퍼스트 퀀텀은 코브레 파나마 광산 법인을 통해 파나마 정부를 상대로 제기했던 국제 중재 소송을 지난 달 자진 철회한 이후, 파나마 정부와의 협상 여건이 개선될 수 있다는 기대를 드러냈다. 최근 파나마 당국은 광산에 비축된 구리 정광 수출과 퍼스트 퀀텀이 운영 중이던 화력 발전소 재가동을 허용하는 방안을 두고 법적 논의를 시작했다. 호세 라울 물리노 파나마 대통령은 광산을 국가 자산으로 전환하는 새로운 민관 파트너십 모델을 검토 중이다. 그는 "광산 영구 폐쇄에는 최대 15년이 걸릴 수 있다"며 "우리가 이미 보유한 광산으로부터 파나마 국민이 최대한의 이익을 얻을 수 있도록 현명하게 대처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당초 환경 감사에서 시작된 광산 재검토는 재무적 측면까지 확대될 전망이다. BMO 캐피털 마켓의 매트 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