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구루=오소영 기자] 중국 탄산리튬과 수산화리튬 가격이 1년 사이 70% 이상 하락했다. 전기차 시장이 둔화되는 가운데 중국 리튬 업체들의 공격적인 투자로 공급 과잉 국면에 들어섰다는 분석이 나온다. 25일 코트라 베이징무역관과 시장조사기관 윈드에 따르면 중국 탄산리튬 가격은 이달 2주차 기준 톤(t)당 15만6460위안(약 2800만원)을 기록했다. 불과 1년 전 56만 위안(약 1억100만원)을 넘었던 가격은 올해 6월 30만 위안대(약 5400만원)로 떨어지더니 이달 들어 반토막이 났다. 수산화리튬도 마찬가지다. 지난해 11월 56만160위안(약 1억190만원)까지 오른 가격은 이달 2주차에 14만3960위안(약 2600만원)으로 급락했다. 가격이 떨어진 배경은 수요 둔화에 있다. 중국자동차공업협회에 따르면 중국 신에너지차 판매량은 2021년 157.5%, 2022년 95.6%의 상승률을 기록했다. 하지만 올해 분위기는 다르다. 올해 성장률은 30~40%에 불과할 전망이다. 이는 차량용 배터리 생산에도 영향을 미치고 있다. 올해 1~9월 중국 차량용 배터리 생산량 증가율은 44.9%로 작년(176.2%)의 3분의 1 수준이다. 배터리 생산이 위축되며
[더구루=오소영 기자] LG화학이 고용량 전기차 배터리 핵심 원료인 '수산화리튬'의 공급사를 추가했다. 안정적인 수급 체계를 구축해 배터리 소재 사업의 경쟁력을 높인다. 야화그룹은 전액 출자 자회사인 야화리튬이 LG화학과 수산화리튬 일수화물 구매 계약을 체결했다고 7일(현지시간) 밝혔다. 계약 기간은 2023년부터 2026년까지며 공급량은 3만t이다. 가격은 공개되지 않았다. 야화리튬은 전 세계 수산화리튬 생산능력의 9%를 차지하는 세계 3대 수산화리튬 업체다. 2025년까지 리튬 제품의 생산량을 10만t 이상으로 확대하겠다는 목표로 설비 투자를 강화하고 있다. 중국 BYD와 미국 테슬라, 독일 BMW·폭스바겐과 거래했고 작년 11월 SK온과 공급 계약도 체결했었다. <본보 2022년 11월 3일 참고 [단독] SK온, 中 야화그룹과 수산화리튬 공급 계약…배터리 핵심 원료 확보> LG화학은 야화리튬과의 계약을 토대로 안정적으로 원재료를 조달하고 양극재 사업에 드라이브를 건다. LG화학은 배터리 소재 사업을 미래 먹거리로 삼고 투자를 확대하고 있다. 특히 하이니켈 양극재 사업을 중점적으로 추진해 수산화리튬 수요는 더욱 증가할 전망이다. 수산화리튬은
[더구루=오소영 기자] SK온이 중국 야화그룹의 자회사 야화리튬(雅化锂业)으로부터 전기차 배터리 핵심 원재료인 수산화리튬을 대량 확보했다. 안정적인 원재료 수급을 통해 고성능 배터리 생산능력을 강화한다. 야화리튬은 SK온의 자회사 SK온 상하이와 수산화리튬 공급 계약을 체결했다고 지난 1일(현지시간) 밝혔다. 계약 기간은 내년부터 2025년까지며 물량은 2만t~3만t이다. 야화리튬은 중국 간펑리튬, 미국 앨버말과 함께 세계 3대 수산화리튬 업체다. 한국광해광업공단에 따르면 야화리튬은 2020년 기준 글로벌 수산화리튬 생산능력의 9%를 차지하고 있다. 올해 신규 생산라인을 가동해 2만t을 확보했으며 연말 2단계 개발이 완료되면 3만t이 추가될 전망이다. 2025년까지 리튬 제품의 생산능력을 10만t 이상으로 키운다는 목표다. BYD와 테슬라, 폭스바겐, BMW 등을 고객사로 두고 있다. SK온은 야화리튬과의 계약을 통해 배터리 원재료를 안정적으로 수급한다. 수산화리튬은 니켈 함유량이 80% 이상인 하이니켈 양극재의 주원료로 쓰인다. 전기차 주행거리를 향상시키고자 하이니켈 양극재의 인기가 높아지며 수산화리튬 수요도 증가하고 있다. 한국무역협회에 따르면 수산화리튬
[더구루=진유진 기자] 노르웨이 육상양식업체 '새먼 에볼루션(Salmon Evolution)'이 유럽 가공업체 '밀라렉스(Milarex)'와 손잡고 이탈리아 시장에 본격 진출했다. 지속가능한 수산물 수요가 급증하는 가운데, 동원산업이 투자한 새먼 에볼루션이 유럽 내 육상 양식 연어 상용화에 속도를 낼 계획이다.
[더구루=홍성일 기자] 세계 3위 반도체 위탁생산(파운드리) 기업 글로벌파운드리(GlobalFoundries, GF)가 독일 공장 증산을 공식화했다. 글로벌파운드리는 증산을 통해 유럽 자동차 반도체 공급 문제를 해결한다는 목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