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구루=정예린 기자] 중국 빅테크 기업 '텐센트'와 '알리바바'가 인공지능(AI) 기술 투자 성과로 올 2분기 실적과 주가를 동시에 끌어올렸다. AI 전략이 실질적 수익과 시장 평가로 이어질 수 있음을 입증, 향후 AI 기반 서비스와 결제 혁신 확대가 기업 경쟁력과 생태계 성장에 직접적인 영향을 줄 것으로 전망된다. 10일 중국전문가포럼(CSF)에 따르면 텐센트와 알리바바는 AI 도입으로 핵심 사업 성장을 견인했다. 텐센트는 지난 2분기 광고와 게임 부문에서 전년 대비 각각 20%, 20% 이상 성장했고, 알리바바는 클라우드 부문에서 전년 대비 26% 성장하며 AI 활용이 수익성 개선에 기여했다. 실적 발표 직후 주가도 큰 폭으로 상승했다. 텐센트는 홍콩 증시에서 4년 내 최고치인 600홍콩달러를 기록하며 연내 41% 상승했다. 알리바바는 8월 29일 일일 최고 상승률 13%를 기록하며 연내 주가가 거의 두 배로 뛰었다. 이는 투자자들이 AI 전략의 성장 잠재력을 긍정적으로 평가한 결과로 분석된다. 세부 실적을 살펴보면, 텐센트는 2분기 전체 매출 1600억 위안, 마케팅 서비스 수익 400억 위안을 기록했다. 게임 부문에서는 '왕자영요', '평화정영' 등
[더구루=김은비 기자] 알리바바가 인턴 모집 직군의 절반 이상을 인공지능(AI)과 관련한 이들로 뽑는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 취임 이후 미·중 간 반도체 전쟁이 격화, 중국이 AI 인재 확보에 일찌감치부터 속도를 내는 모습에 업계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더구루=홍성환 기자] 중국 최대 전자상거래 기업 알리바바의 디지털 기술 부문 계열사 알리바바 클라우드가 약 4조원에 달하는 대규모 자금 조달에 착수했다. 기업공개(IPO)가 탄력을 받을 것으로 기대된다.
[더구루=홍성환 기자] 미국과 중국 간 갈등이 심화하는 와중에도 많은 미국 헤지펀드가 중국 최대 전자상거래 기업 알리바바 주식을 대거 매집했다. 1일 블룸버그 및 관련 업계에 따르면 미국 대형 헤지펀드 무어캐피탈은 지난 1분기 미국 증시에 상장된 알리바바 미국주식예탁증서(ADR) 196만5668주를 매수했다. 3월 말일 종가(102.18달러)를 반영하며 2억90만 달러(약 2650억원)에 달하는 규모다. 다른 유명 헤지펀드인 써드포인트도 1분기 알리바바 ADR 132만6450주를 매수하며 폴트폴리오에 새롭게 추가했다. 3월 말일 종가 기준 1억3550만 달러(약 1790억원) 수준이다. 인베스트넷에셋매니지먼트는 188만3022주(1억9240만 달러·약 2540억원)를 샀다. 영화 '빅쇼트'의 주인공 마이클 버리가 이끄는 사이언에셋매니지먼트는 알리바바 ADR 5만주를 추가 매수하며 보유 주식을 10만주로 두 배 확대했다. 사이언에셋 포트폴리오에서 알리바바 주식 비중은 9%에 달한다. 알리바바는 올해 1분기 매출이 2082억 위안(약 38조6230억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2% 증가했다. 순이익은 235억1600만 위안(약 4조3620억원)으로 지난해 162억4
[더구루=홍성일 기자] 인도네시아 최대 테크기업 고투(GoTo)가 아부다비 투자청(ADIA)로 부터 투자를 유치하며 기업공개(IPO)에 청신호가 켜졌다. 21일 업계에 따르면 고투는 ADIA로부터 4억 달러(약 4700억원)를 유치하는데 성공했다. 이번 투자는 ADIA가 최초로 동남아시아 테크 기업에 대한 대규모 투자를 진행했다는 점에서 눈길을 끌고 있다. 고투는 올해 초 인도네시아 역사상 최대 규모의 인수합병으로 탄생한 회사다. 자동차 공유 플랫폼 회사인 '고젝(Gojek)'이 전자상거래 업체인 '토코피디아(Tokopedia)'한 것이다. 두 회사의 합병으로 고젝이 운영하던 고페이와 금융서비스, 차량호출, 음식 배달, 전자 상거래 등이 통합된 슈퍼 앱이 탄생하기도 했다. 고투는 이번 ADIA의 투자 유치를 통해 내년으로 예정된 미국 증시 상장에 탄력을 받게 됐다. 고투의 기업가치는 최대 300억 달러(약 35조 2200억원)으로 평가받고 있다. 고투는 이를 통해 최대 20억 달러(약 2조 3500억원)의 자금을 조달하겠다는 계획이다. ADIA 관계자는 "고토에 대한 이번 투자는 빠르게 성장하고 있는 동남아시아 디지털 경제 시장에 대한 우리의 투자 목적과 일
[더구루=정예린 기자] 마이크로소프트(MS)가 소프트웨어 불법 복제를 방지하기 위해 블록체인 기술을 도입한다. 이더리움 네트워크를 채용, 새로운 블록체인 기반 인센티브 시스템을 공개했다. 17일 업계에 따르면 마이크로소프트 연구팀은 최근 '아르고스: 불법 복제 방지 캠페인을 위한 완전히 투명한 인센티브 시스템'이라는 제목의 논문을 공개했다. 알리바바, 카네기멜론대학교(CMU)와의 공동연구 결과로 이더리움 블록체인 기술을 활용, 콘텐츠 불법 복제를 신고하는 제보자를 보호하고 인센티브를 제공하는 시스템을 제안한다. 제보자는 '아르고스'라고 명명된 이 시스템을 통해 익명으로 윈도우 운영 체제와 마이크로소프트 오피스 프로그램 등 콘텐츠 불법 복제를 신고하고 확인 절차를 거친 후 인센티브를 대가로 받을 수 있다. 워터마크 알고리즘이 아르고스 시스템의 핵심이다. 확인 절차 '유출 증명'에서 불법 복제된 콘텐츠의 역추적을 가능케하고 제보자의 신원도 보호해준다. 동일한 건에 대해 반복적으로 신고해 부당 이득을 취하는 일도 사전에 방지한다. 연구팀은 이더리움 네트워크를 통해 제보자에 인센티브를 제공한다. 가장 거래가 활발해 이더리움을 선택했다는 설명이다. 연구팀은 암호화 작
[더구루=선다혜 기자] 중국의 최대 전자상거래 기업인 알리바바가 자율주행트럭 개발에 나섰다. 최종 소비자에게 제품을 배송하는 마지막 단계를 일컸는 '라스트 마일(Last Mile)' 솔루션을 확보하는 차원이다. 11일 업계에 따르면 알리바바는 자회사를 통해 무인으로 상품을 배달하는 자율주행 트럭을 개발한다. 특히 알리바바는 오는 2022년까지 자율주행 트럭 1000대 투입, 상용화한다는 방침이다. 앞서 지난해 알리바바는 무인택배가 가능한 물류로봇 '샤오만루'도 출시한 바 있다. 샤오만루는 한 번 충전으로 100km 운행이 가능하며, 매일 택배 500건을 배송한다. 알리바바의 자율주행트럭 개발은 중국 정부 정책과 '라스트 마일' 솔루션을 직접 확보하기 위한 것으로 업계는 보고 있다. 미래 이커머스 핵심 경쟁력이 '라스트 마일'로 좁혀지고 있기 때문이다. '라스트 마일'은 '마지막 1마일 내외의 최종 구간'을 뜻하는 것으로 이커머스 업계에서는 '최종 소비자에게 제품을 배송하는 마지막 단계'를 가리킨다. 특히 라스트 마일은 물류 비용 절반 이상을 차지, 사람이 아닌 자율주행이나 로봇으로 대체하면 막대한 수익을 얻을 수 있는 구조다. 알리바바가 노리는 사업 영역은
[더구루=오소영 기자] 호주 코어리튬이 중국 야화리튬에 이어 간펑리튬과 리튬 공급 계약을 해지했다. 자체 판매를 통해 광산 재개에 필요한 자금을 조달한다.
[더구루=김예지 기자] 인도 정부가 인공지능(AI) 산업의 급성장에 따른 데이터센터의 전력 수요 증가에 대응하기 위해 소형모듈원자로(SMR, Small Modular Reactor) 도입을 적극 검토 중이다. 안정적이고 탄소 배출이 없는 전력 공급을 목표로 하는 이번 검토는 인도의 국가 데이터센터 정책의 핵심 과제로 자리 잡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