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구루=정예린 기자] 미국 전고체 배터리 스타트업 '스파크즈(Sparkz)'가 신설하는 기가팩토리 부지를 확정했다. 생산기지를 잇따라 확보하며 배터리 양산 체제 구축에 나선다. 12일 스파크즈에 따르면 회사는 지난달 31일(현지시간) 웨스트버지니아주 테일러 카운티에 위치한 48만2000제곱피트 규모 시설을 인수, 이 곳에 배터리 기가팩토리를 구축한다고 발표했다. 올 3월 신공장 건설 프로젝트를 공식화한지 다섯달 만이다. <본보 2022년 3월 23일 참고 스파크즈, '코발트 프리' 전고체 배터리 기가팩토리 설립> 해당 시설은 지난 2009년까지 유리 공장으로 사용돼 왔다. 스파크즈는 내년 초 건물 모델링을 시작할 예정이다. 누출을 방지하고 습도를 관리하기 위해 특수 바닥, 벽 패널, 공기 여과 시스템 등을 설치한다. 올 연말 약 20명의 직원을 시작으로 풀가동시 350명을 채용할 계획이다. 생산 인력 양성에도 공을 들인다. 전미탄광노조와 협력해 해고된 광부들을 교육, 기가팩토리 완공 후 생산라인에 투입한다. 스파크즈는 신공장에서 광업, 농업, 배송용에 중점을 둔 오프로드·상업용 차량 시장을 위한 배터리를 제조할 계획이다. 산지브 말호트라 스파크즈
[더구루=정예린 기자] 미국 전고체 배터리 스타트업 '스파크즈(Sparkz)'가 기가팩토리를 건설한다. 정부 지원에 힘입어 코발트를 사용하지 않는 전고체 배터리 상용화에 속도를 낸다.
[더구루=오소영 기자] 미국 전고체 배터리 스타트업 스파크즈(Sparkz)가 캘리포니아에 파일럿 플랜트를 구축했다. 코발트를 사용하지 않은 전고체 배터리를 테스트하고 상용화에 나선다. 12일 업계에 따르면 스파크즈는 캘리포니아주 리버모어에 배터리 파일럿 공장을 열었다. 코발트를 사용하지 않은 코발트 프리 양극재를 활용, 전고체 배터리 시제품을 생산할 계획이다. 스파크즈는 파일럿 공장을 활용해 배터리 연구에 박차를 가할 계획이다. 스파크즈가 개발한 코발트 프리 배터리는 리튬인산철(LFP) 제품 대비 에너지밀도가 두 배 높은 것으로 알려졌다. 초기 연구에서 코발트를 사용한 배터리에 맞먹는 에너지밀도와 수명 주기를 보였다. 제조 비용은 약 40% 절감이 기대된다. 코발트는 고가의 희귀 금속으로 전기차 시장의 확대와 함께 몸값이 치솟고 있다. 지난 4일 기준 t당 7만720달러로 전년 동기 대비 56.5% 뛰었다. 제조 비용 상승이 우려되면서 업계는 코발트 프리 양극재에 주목하고 있다. 여기에 고체 전해질을 사용해 안전성과 에너지 밀도를 강화하는 전고체 배터리 기술까지 결합하며 스파크즈는 현지 정부로부터 높은 기술력을 인정받았다. 스파크즈는 지난해 캘리포니아 에너지
[더구루=진유진 기자] 노르웨이 육상양식업체 '새먼 에볼루션(Salmon Evolution)'이 유럽 가공업체 '밀라렉스(Milarex)'와 손잡고 이탈리아 시장에 본격 진출했다. 지속가능한 수산물 수요가 급증하는 가운데, 동원산업이 투자한 새먼 에볼루션이 유럽 내 육상 양식 연어 상용화에 속도를 낼 계획이다.
[더구루=홍성일 기자] 세계 3위 반도체 위탁생산(파운드리) 기업 글로벌파운드리(GlobalFoundries, GF)가 독일 공장 증산을 공식화했다. 글로벌파운드리는 증산을 통해 유럽 자동차 반도체 공급 문제를 해결한다는 목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