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구루=홍성환 기자] 한화 건설부문이 짓고 있는 영종도 인스파이어 복합엔터테인먼트 리조트의 오픈이 초읽기에 들어갔다. 14일 미국 카지노 기업 모히건(Mohegan) 등에 따르면 현재 영종도 인스파이어 복합엔터테인먼트 리조트의 공사 진행률은 89% 수준이다. 오는 4분기 외국인 전용 카지노를 제외한 대부분의 복합 리조트 시설을 개장할 계획이다. 레이 피널트(Ray Pineault) 모히건 최고경영자(CEO)는 지난주 실적 발표 후 컨퍼런스콜에서 "리조트 건설을 완료하고 개장·운영을 하기 위한 충분한 유동성을 보유하고 있다"면서 "애초 목표대로 리조트를 오픈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한다"고 밝혔다. 이어 "카지노 허가를 받기 위해선 우선 호텔과 비게임 시설을 열고 당국의 평가를 받아야 한다"면서 "카지노 오픈 시기를 특정할 수는 없지만 최대한 이른 시일 내에 허가를 얻을 것으로 기대한다"고 강조했다. 인스파이어 복합리조트는 인천공항 제2터미널 서편 제3국제업무지구 430만㎡ 부지에 4단계에 걸쳐 동북아 최대 규모의 복합리조트를 조성하는 사업이다. 1단계 사업으로 외국인 전용 카지노와 5성급 최고급 호텔, 다목적 공연장(아레나) 등이 들어선다. 한화 건설부문이
[더구루=홍성환 기자] 미국 카지노 기업 모히건(Mohegan)이 인천 영종도 복합리조트 프로젝트에 신규 자금을 투입한다. 올해 말 개장을 목표로 개발에 속도를 높일 방침이다. 모히건은 영종도 인스파이어 복합엔터테인먼트 리조트 프로젝트의 성공적인 수행을 위해 최대 1850억원의 신규 자금을 투자하기로 했다고 27일 밝혔다. 모히건 측은 "이는 리조트 사업의 완공을 보장하기 위한 것으로 필요에 따라 한국 자회사에 자본금을 제공할 것"이라며 "올해 3분기까지 최대 1550억원을 투입하고, 개발비가 초과할 경우 300억원 한도 내에서 추가로 출자할 것"이라고 전했다. 인스파이어 복합리조트는 인천공항 제2터미널 서편 제3국제업무지구 430만㎡ 부지에 4단계에 걸쳐 동북아 최대 규모의 복합리조트를 조성하는 사업이다. 1단계 사업으로 외국인 전용 카지노와 5성급 최고급 호텔, 다목적 공연장(아레나) 등이 들어선다. 올해 4분기 오픈할 예정이다. 한화 건설부문이 시공을 담당하고 있다. 한화호텔앤드리조트가 5성급 호텔 3개 동의 위탁운영을 맡는다. 서울과 주요 수도권에서 차량으로 1시간 내외, 동북아시아 주요 도시들로부터 3시간 내외(비행시간 기준) 거리에 위치해 접근성이
[더구루=홍성환 기자] ㈜한화 건설부문과 미국 카지노 기업 모히건(Mohegan)이 인천 영종도 인스파이어 복합엔터테인먼트 리조트 사업과 관련해 자금 조달에 나섰다. 올해 하반기 개장을 목표로 사업에 속도를 높이는 모습이다. 모히건은 미국 증권거래위원회(SEC) 공시를 통해 한화와 인스파이어 리조트 사업에 대한 1000억원 규모 무보증 후순위 전환사채 발행을 합의했다고 10일 밝혔다. 이번 협약에 따라 양사는 우선 500억원어치 전환사채를 발행했고, 이어 오는 3월 말까지 나머지 500억원을 발행할 예정이다. 금리는 5.5% 고정금리로 만기는 오는 2032년 12월 30일이다. 사채 발행일로부터 5년(60개월) 이후 보통주로 전환할 수 있다. 인스파이어 복합리조트는 인천공항 제2터미널 서편 제3국제업무지구 430만㎡ 부지에 4단계에 걸쳐 동북아 최대 규모의 복합리조트를 조성하는 사업이다. 1단계 사업으로 외국인 전용 카지노와 5성급 최고급 호텔, 다목적 공연장(아레나) 등이 들어선다. 올해 4분기 오픈할 예정이다. 한화 건설부문이 시공을 담당하고 있다. 한화호텔앤드리조트가 5성급 호텔 3개 동의 위탁운영을 맡는다. <본보 2022년 11월 3일자 참고
[더구루=홍성일 기자] 스위스 로잔연방공과대학교(EPFL) 연구팀이 초파리 연구로 차세대 로봇 기술을 개발하고 있다. EPFL 연구팀은 초파리 연구로 주변 환경을 파악해 스스로 학습할 수 있는 로봇을 개발할 수 있을 것으로 보고있다. [유료기사코드] 3일 업계에 따르면 파반 람디아(Pavan Ramdya) 박사가 이끄는 EPFL 신경공학 연구팀은 로봇공학에 활용하기 위해 노랑초파리의 신경계를 연구하고 있다. 람디아 박사를 필두로 14명으로 구성된 연구팀은 2017년부터 초파리 신경계 연구를 진행해왔으며, 초파리 뇌를 역공학해 로봇 공학에 활용할 수 있는 모델링을 개발하는 것으로 목표로 하고 있다. 연구팀은 지난해 초파리가 앞으로 걷고, 더듬이 손질을 하고, 뒤로 걸을 때 뉴런이 어떻게 신호를 전달하는지를 보여주는 영상을 공개하기도 했다. 파반 람디아 박사가 초파리의 뇌를 연구하기로 한 배경은 초파리의 뇌가 너무 단순하거나 복잡하지 않기 때문이다. 람디아 박사는 "뉴런이 더 단순한 동물도 있지만 그만큼 배울 것이 없다. 반면 파리는 다리를 이용해 걷고, 몸을 닦고, 장애물을 움직인다"며 "연구하기에 충분히 단순하면서도 많은 정보를 제공할 수 있는 점에서 파리는
[더구루=홍성일 기자] 텍스트 만으로 로봇을 설계할 수 있는 생성형 인공지능(AI) 기술이 등장했다. 연구팀은 컴퓨터와 3D프린터, 아이디어만 있으면 누구나 로봇을 설계·제작할 수 있는 시대가 열릴 것으로 전망했다. [유료기사코드] 3일 업계에 따르면 듀크대학교 연구팀은 텍스트2로봇(Text2Robot)이라는 생성형 AI 플랫폼을 공개했다. 연구 내용은 논문 사전 공개 사이트 '아카이브(arXiv)'에 공개됐다. 텍스트2로봇은 말 그대로 생성형 AI에 자연어 프롬프트를 입력하면 로봇을 설계해주는 AI모델이다. 연구팀에 따르면 이용자가 자신이 만들고 싶은 로봇에 대한 설명을 텍스트로 입력하면, AI모델은 이를 인식해 3D 렌더링 이미지를 만든다. 이후 AI모델은 이미지화 된 로봇 본체에 실제 작동에 필요한 부품을 배치한다. 연구팀은 실제 텍스트2로봇 모델로 '개구리 로봇'을 설계·제작하고 실제 작동하는 모습까지 담은 영상을 공개하기도 했다. 연구팀은 추가 개발을 통해 휴머노이드 등 다양한 형태의 로봇을 만들 수 있도록 기술을 고도화한다. 현재 텍스트2로봇은 4족보행 로봇만 제작할 수 있다. 연구팀 관계자는 "텍스트2로봇 기술은 로봇 제작의 새로운 가능성을 열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