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구루=정예린 기자] LG에너지솔루션이 마세라티가 연내 출시할 첫 전기차에 배터리를 공급한다. 양사 간 파트너십이 공식적으로 확인된 것은 이번이 처음으로, 향후 수주 물량은 더 늘어날 전망이다. 14일 업계에 따르면 마세라티의 전기 스포츠카 '그란투리스모 폴고레(GranTurismo Folgore)'에는 LG에너지솔루션의 파우치형 배터리셀로 구성된 92.5kWh급 배터리팩이 장착된다. LG에너지솔루션은 폴란드 공장에서 생산한 배터리를 마세라티의 이탈리아 공장에 납품한다. 그란투리스모 폴고레에 탑재된 배터리셀은 포르쉐 최초 순수 전기 스포츠카 '타이칸'에 쓰인 것과 같은 제품이다. 1회 완충시 약 250마일(약 402km)을 주행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타이칸의 주행 가능 거리(222마일)보다 소폭 길다. 800볼트(최대 270kW) 충전 시스템을 지원해 급속 충전기 사용시 18분 안에 20%에서 80%까지 충전이 가능하다. 마세라티는 스텔란티스 산하 고급차 브랜드다. 지난해 전동화 전략을 발표하고 전기차 제품군에 '폴고레'라는 이름을 붙였다. 오는 9월 그란투리스모 폴고레 미국 출시를 시작으로 오는 2025년까지 그레칼레, 그란카브리오 GT, 콰트로포
[더구루=윤진웅 기자] 마세라티가 하이엔드 스포츠카 'MC20'의 컨버터블 버전 'MC20 스파이더 로드스터'를 출시한다. 22일 업계에 따르면 마세라티는 오는 25일 'MC20 스파이더 로드스터 쇼'를 통해 해당 모델 출시를 공식화한다. 티저 이미지를 공개한 지 약 4개월 만이다. 앞서 마세라티는 지난 1월 티저 이미지를 공개한 바 있다. 하늘색 배경에 구름을 연상하게 만드는 불규칙한 흰색의 넣어 주목을 받았었다. 당시에는 모델명이 따로 정해지지 않은 상태였다. 컨버터블 버전으로 제작된 이 차는 하드톱과 소프트톱 두 가지로 출시될 예정이다. 하드톱 사양의 경우 리어 데크 부분이 새롭게 다듬어져 ‘쿠페 사양’과 차이를 뒀다. 특히 마세라티가 설계하고 생산한 V6 3.0리터 '네튜노(Nettuno)' 엔진과 8단 듀얼 클러치 변속기가 탑재된다. 최대 630마력, 730Nm 토크 성능을 발휘할 것으로 예상된다. 다만 오픈 톱 사양인 만큼 예상치보다 성능이 낮을 가능성이 있다. 실내와 파워트레인, 주행 성능 등에 대한 구체적인 내용은 행사를 통해 공개한다는 방침이다. 한편 마세라티는 MC20 스파이더 로드스터에 이어 전기차 모델을 출시할 계획이다.
[더구루=윤진웅 기자] 마세라티가 플래그십 스포츠카 MC20의 컨버터블 버전 'MC20 카브리오'의 외관이 담긴 사진을 공개했다. 25일 업계에 따르면 마세라티는 최근 MC20 카브리오의 사진을 공개했다. 이는 첫 번째로 완성된 프로토타입 모델이다. 온로드 테스트를 앞두고 마세라티가 공식 사진 촬영을 진행했다. MC20 카브리오는 지난해 그란카브리오가 단종된 이후 마세라티가 처음 선보이는 컨버터블 모델이다. 이날 공개된 MC20 카브리오는 버튼 하나로 쿠페와 컨버터블로 변신이 가능한 하드톱 방식의 접이식 루프가 탑재됐다. 이음새를 최소화하고 경량화에 초점을 맞춰 쿠페 디자인을 최대로 살린 것이 특징이다. 포뮬러 원(F1)의 기술을 빌려 탄생한 V6 3.0ℓ 터보 네튜노 엔진은 최고출력 630마력, 최대토크 74.4㎏f·m의 성능을 발휘한다. 변속기는 8단 듀얼 클러치(DCT)로만 제공되며 오직 후륜구동 버전으로만 판매된다. 최고속도는 325㎞, 제로백은 2.9초다. 차체는 탄소섬유로 제작된 CFRP 모노코크 방식이 적용됐다. 가벼운 소재를 적극 활용해 공차중량은 1500㎏로 마력당 무게비는 2.33㎏에 불과하다. 루프를 삭제한 MC20 카브리오에서 탄탄한 강
[더구루=홍성일 기자] 인도 정부가 IT서비스 기업 HCL그룹과 대만 제조업체 폭스콘(Hon Hai Technology Group)의 합작 반도체 웨이퍼 공장 설립을 허가했다. 새로운 웨이퍼 공장 건설로 '메이크 인 인디아' 정책과 폭스콘의 탈중국화가 탄력을 받는 모양새다. [유료기사코드] 18일 업계에 따르면 인도 반도체미션(ISM)은 HCL그룹과 폭스콘의 370억6000만 루피(약 6040억원) 규모 합작 반도체 웨이퍼 공장 건설을 승인했다. 인도 정부의 성명에 따르면 HCL-폭스콘 합작 반도체 웨이퍼 공장은 인도 북부 우타르프라데시 주 주와르 공항 인근에 들어선다. 상업 생산은 2027년부터 시작되며, 월 웨이퍼 2만장, 디스플레이 드라이버 칩 3600만개를 생산할 예정이다. 이번 승인으로 인도 반도체 산업 생태계 확장에 속도가 붙게 됐다. 나렌드라 모디 총리는 집권 이후 메이크 인 인디아 정책을 펼치며, 아시아 생산 거점이 되겠다는 목표를 제시했다. 특히 전자 제품 시장 경쟁력을 강화하기 위해 자체 반도체 역량 확보에 주력해왔다. 또한 미국·중국 간 무역전쟁이 격화되면서 '새우 신세'가 된 폭스콘의 탈중국화 속도로 빨라질 것으로 전망된다. 폭스콘은 트
[더구루=홍성환 기자] 대만 반도체 회사 글로벌웨이퍼스가 미국 최초 300㎜(12인치) 실리콘 웨이퍼 공장의 문을 열었다. [유료기사코드] 18일 관련 업계에 따르면 글로벌웨이퍼스는 지난 15일(현지시간) 미국 텍사스에 300㎜ 실리콘 웨이퍼 공장을 준공했다. 글로벌웨이퍼스는 이 공장 건설과 관련해 반도체 및 과학법(칩스법)에 따라 4억600만 달러(약 5700억원)의 보조금을 받았다. 웨이퍼는 반도체 칩 생산의 기초 토대가 되는 핵심 소재다. 반도체 전공정(Front-End) 전 과정은 웨이퍼 표면 위에서 이뤄지며 웨이퍼 품질이 전체 수율에 절대적 영향을 미친다. 웨이퍼는 단순 재료가 아닌 기술과 품질이 집약된 고부가 소재로 평가받는다. 300㎜ 실리콘 웨이퍼는 일본 신에츠화학과 한국 SK실트론, 글로벌웨이퍼스 등 5개 주요 기업이 글로벌 시장 80%를 장악하고 있다. 한편, 미국 텍사스주는 반도체 제조의 새로운 중심지로 떠오르고 있다. 기업을 운영하는 비용이 적게 들고, 규제가 엄격하지 않기 때문이다. 실제로 삼성전자도 텍사스에서 반도체 공장을 짓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