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구루=오소영 기자] 캐나다 폐배터리 재활용 회사 '리사이클'(Li-Cycle)이 미국 5대 은행 US뱅코프(Bancorp)를 비롯해 주요 은행·자산운용사로부터 대규모 투자를 획득했다. 친환경적인 재활용 기술로 성장성을 높이 평가받고 있다. [유료기사코드] US뱅코프는 지난 11일(현지시간) 미국 증권거래위원회(SEC)에 제출한 투자 보고서(13F)에서 "지난 3분기 약 3만5000달러(약 4200만원) 상당의 리사이클 주식 3000주를 취득했다"고 밝혔다. 세계 최대 자산운용사 블랙록도 같은 분기 653만4000달러(약 78억원)의 주식을 매입했다. 미국 △L&S어드바이저(58만5000달러·약 7억190만원) △퍼스트 호리즌 어드바이저(15만3000달러·약 1억8350만원) △어드바이저 그룹 홀딩스(14만7000달러·약 1억7630만원) △TCTC 홀딩스(13만3000달러·약 1억5950만원)도 리사이클의 투자자 명단에 올랐다. 2016년 설립된 리사이클은 폐배터리를 재활용해 핵심 원재료를 95% 이상 회수하는 기술을 개발했다. 추출 과정에서 분진이 발생하지 않고 폐수를 100% 재활용하는 친환경적인 '습식 방식'으로 주목을 받았다. 작년 말 LG
[더구루=오소영 기자] 캐나다 폐배터리 재활용 회사 '리사이클'(Li-Cycle)이 핀란드 기계 회사로부터 뉴욕 폐배터리 재활용 시설에 활용할 장비를 공급받는다. [유료기사코드] 25일 업계에 따르면 리사이클은 멧소아웃텍(Metso Outotec)과 장비 공급 계약을 체결했다. 모듈식 용매 추출 플랜트를 포함해 망간과 니켈, 코발트 등 배터리 원재료를 회수할 수 있는 장비를 공급받는다. 계약액은 공개되지 않았으며 이달 주문에 반영됐다. 리아시클은 핀란드 회사에서 받은 장비를 뉴욕 로체스터 공장에 설치할 계획이다. 리사이클은 최근 뉴욕주 로체스터 이스트맨 산업단지에 약 4억8500만 달러(약 5750억원)를 쏟아 폐배터리 재활용 허브를 건설하겠다고 발표했다. 허브는 스포크(Spoke) 시설에서 만든 검은 가루 형태의 블랙 매스를 가져와 망간과 니켈, 코발트 등 배터리 원재료를 추출하는 시설이다. <2021년 12월 16일 참고 'LG 베팅' 리사이클, 뉴욕 배터리 재활용 허브 투자 확대> 리사이클은 이번 계약으로 장비를 확보하고 허브 구축에 속도를 낸다. 폐배터리 처리량을 늘려 재활용 시장을 본격 공략한다. 시장조사업체 가이드하우스 인사이트는 폐배터
[더구루=오소영 기자] 캐나다 최대 배터리 재활용 회사 리사이클이 뉴욕에 리튬과 니켈 등 핵심 원료를 추출하는 공장을 짓는다. 당초 계획보다 용량을 40% 확장하며 북미 배터리 재활용 시장을 공략한다. [유료기사코드] 16일 업계에 따르면 리사이클은 뉴욕주 로체스터 이스트맨 산업단지에 폐배터리 재활용 허브를 건설한다. 약 4억8500만 달러(약 5750억원)를 투자해 연내 착공한다. 2023년 시운전이 목표다. 리사이클은 캐나다 엔지니어링 회사 해치(Hatch Ltd)를 엔지니어링·조달·건설·프로젝트 관리(EPCM) 파트너사로 선정했다. 리사이클은 신공장을 기존 스포크(Spoke) 시설과 통합해 운영한다. 스포크는 폐배터리를 해체해 플라스틱과 구리, 알루미늄 등으로 분리하는 시설이다. 남은 물질은 잘게 갈아 검은 가루 형태의 블랙 매스(Black Mass)로 만든다. 허브는 블랙 매스를 가져와 리튬과 니켈 등 배터리 원료를 추출한다. 당초 계획한 용량(2만5000t)보다 40% 이상 증가한 3만5000t의 블랙 매스를 처리한다. 리사이클은 이번 투자로 연간 약 22만5000대에 탑재된 배터리를 처리할 수 있을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재활용 수요에 대응하며 미
[더구루=윤진웅 기자] 캐나다 폐배터리 재활용 회사 '리사이클'(Li-Cycle)이 영국 전기 상용차 회사 '어라이벌'(Arrival)이 사용한 전기차 배터리를 재활용하는 방안을 구상 중이다. 3일 업계에 따르면 리사이클은 최근 어라이벌과 전기차용 배터리 재활용을 위한 파트너십을 체결했다. 미국과 유럽 지역에서 운행하는 어라이벌 전기차의 리튬 이온 배터리를 재활용하기 위해서다. 아직 구체적인 재활용량에 대해선 알려지지 않았다. 어라이벌 밴의 생산이 내년 3분기로 계획된 만큼 재활용 배터리가 발생하기까지 수년이 걸리기 때문이다. 양사는 그때까지 우선 전기차 배터리 공급망 효율성 개선을 위한 연구·개발에 나선다는 계획이다. 단순히 배터리 재활용에 그치지 않고 좀 더 건설적인 협력을 이뤄나가겠다는 것. 디펜 소메이야(Deepen Somaiya) 어라이벌 부사장은 "전기차의 지속 가능성을 보장하는 것은 어라이벌에 매우 중요한 요소"라며 "리사이클과 협력을 통해 배터리 재활용을 더욱 발전시켜 전기차 산업의 지속 가능성을 촉진하겠다"고 말했다. 폐배터리 재활용 시장은 전기차 보급과 함께 급속도로 커지고 있다. 시장조사기관 SNE리서치에 따르면 글로벌 전기차 배터리 리사
[더구루=오소영 기자] 미국 코크그룹이 캐나다 폐배터리 재활용 회사 리사이클에 투자한다. 전기차 시대가 다가오며 폐배터리 재활용 시장에 눈독을 들이고 있다. 30일 업계에 따르면 코크 인베스트먼트의 자회사 코크 스트레티직 플랫폼(Koch Strategic Platforms, 이하 KSP)은 리사이클이 발행한 1억 달러(약 1180억원) 상당의 전환 사채를 매입한다. 리사이클은 2016년 캐나다 온타리오에 설립된 폐배터리 재활용 회사다. 니켈과 리튬, 코발트 등을 95% 이상 회수할 수 있는 기술을 개발했으며 지난달 뉴욕증권거래소에 상장됐다. KSP는 이번 투자로 리사이클의 폐배터리 재활용 기술 상용화를 지원한다. 리사이클은 뉴욕주 로체스터 1억7500만 달러(약 2030억원)를 투자해 2만5000t의 처리 능력을 갖춘 폐배터리 재활용 공장을 짓는다. 연말 착공할 예정이다. 코크 그룹의 엔지니어링 계열사 코크 엔지니어드 솔루션즈(Koch Engineered Solutions, 이하 KES)와 KES의 자회사 옵티마이즈드 프로세스 디자인즈(Optimized Process Designs)가 공장 건설에 협업한다. 전기차 배터리 사용량이 늘어나면서 폐배터리 재활용
[더구루=오소영 기자] 캐나다 폐배터리 재활용 회사 리사이클(Li-Cycle)이 미국 뉴욕증권거래소(NYSE)에 상장됐다. 6700억원 이상 조달해 폐배터리 상용화에 속도를 낸다. 13일 업계에 따르면 리사이클은 11일(현지시간) 기업인수목적회사(SPAC·스팩)인 페리닷(Peridot Acquisition Corp)과 합병을 통해 뉴욕증권거래소에 상장됐다. 종목 기호는 'LICY'로 기업 가치는 15억5000만 달러(약 1조8030억원)로 추정된다. 파이프(PIPE) 투자에는 미국 자산운용사 누버거버먼 펀드(Neuberger Berman Funds)와 프랭클린 템플턴(Franklin Templeton), 카르넬리안 에너지 캐피탈(Carnelian Energy Capital), 아부다비의 국부펀드인 무바달라 캐피탈(Mubadala Capital)이 참여했다. 리사이클은 약 5억8000만 달러(약 6740억원)를 조달했다. 폐배터리 재활용 기술 연구와 상용화에 자금을 쓸 계획이다. 리사이클은 뉴욕주 로체스터 1억7500만 달러(약 2030억원)를 쏟아 폐배터리 재활용 공장 건설도 추진하고 있다. 2만5000t의 처리 능력을 갖춘 공장으로 연말 착공이 예상된다.
[더구루=홍성일 기자] 마이크로소프트(MS)의 급여 지침이 공개됐다. MS에서 근무하는 신입 엔지니어의 연봉이 8만3000달러(약 1억1500만원)부터 시작되는 것으로 확인됐다. [유료기사코드] 31일 경제전문매체 비즈니스 인사이더에 따르면 MS는 레벨 57(초급 엔지니어) 직원에게 8만3000달러부터 12만4600달러(약 1억7320만원) 범위에서 급여를 지급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번 내용은 비즈니스 인사이더가 MS의 급여지침을 공개하면서 알려졌다. 공개된 자료에 따르면 MS의 엔지니어는 레벨 57부터 70까지 직원 등급을 분류해 관리하고 있다. 레벨57부터 59까지는 초급 엔지니어를 뜻하며, 레벨 63부터는 선임엔지니어급이다. 레벨 65에 도달하면 수석엔지니어로 분류되고 레벨 68은 파트너가 된다. 최종적으로 레벨 70에 도달하면 특출난 엔지니어(Distinguished engineers)가 돼 상당한 대우를 받는다. 선임엔지니어가 되면 기본 연봉은 14만5000달러(약 2억원)부터 시작되며, 수석엔지니어는 17만2800달러(약 2억4000만원)부터 연봉이 시작된다. 최고 등급인 레벨 70에 도달하면 기본 급료는 25만2000달러(약 3억5000만
[더구루=정예린 기자] 미국 엔비디아가 개발 중인 ARM 기반 칩 'N1X'가 윈도우 11 환경에서 작동하는 모습이 벤치마크를 통해 처음 확인됐다. 완성된 제품은 아니지만, ARM 칩이 윈도우에서 실제 구동된 첫 사례로 인텔과 AMD가 주도하는 노트북용 칩 시장에 도전할 기반을 마련했다는 평가가 나온다. [유료기사코드] 31일 미국 IT 전문 매체 '톰스하드웨어'에 따르면 엔비디아가 개발 중인 ARM 기반 시스템온칩(SoC) 'N1X'가 그래픽 성능 측정을 위한 벤치마크 프로그램 '퍼마크(FurMark)' 데이터베이스에서 포착됐다. 해당 테스트는 윈도우 11 환경에서 진행됐으며, N1X는 720p 기준 4286점을 기록했고 평균 프레임은 71이었다. 벤치마크 점수는 RTX 2060과 같은 구형 그래픽카드보다 낮았지만, 이번 GPU 성능 테스트가 주목받는 이유는 따로 있다. 중앙처리장치(CPU)와 그래픽처리장치(GPU)가 하나로 통합된 시스템온칩(SoC) 구조로 개발되고 있는 N1X가 윈도우 11 환경에서 정상 작동한 첫 사례이기 때문이다. 그동안 ARM 아키텍처는 주로 스마트폰과 태블릿용으로 쓰였고, 윈도우 운영체제를 공식 지원하는 ARM 칩도 일부 퀄컴 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