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구루=길소연 기자] 두산에너빌리티가 일본 종합상사 마루베니와 함께 베트남 해상풍력발전 개발에 나선다. 화력발전 의존도가 높은 베트남의 '2050년 탄소 배출 제로 목표 달성'을 위해 친환경 에너지 발전 비중을 확대하는데 동참한다. 1일 업계에 따르면 두산에너빌리티 베트남법인(이하 두산비나)은 지난달 29일(현지시간) 마루베니와 '베트남 해상풍력 개발 협력' 양해각서(MOU)를 체결했다. 이날 MOU 협약식에는 김효태 두산비나 법인장과 세이지 카와무라(Seiji Kawamura) 마루베니 아시아 태평양지역 영업 이사가 참석했다. 양사는 베트남에서의 해상풍력 관련 협력 가능성과 타당성을 공동으로 연구할 예정이다. 두산비나는 베트남 해상풍력 개발을 위해 꽝응아이성 쭝꿧 경제특구에 위치한 100㎡ 규모의 산업단지에서 풍력발전기 모노파일과 해상풍력단지용 부품 등을 생산할 계획이다. 마루베니는 베트남의 다른 역량 있는 기업들과 협력을 확대해 베트남의 경제 성장과 해상 풍력 산업 발전에 기여한다. 김효태 두산비나 법인장은 "두산비나는 2050년까지 순배출량 제로를 달성하겠다는 베트남 정부의 COP26 회의 공약 이행에 적극 동참할 것"이라며 "이번 MOU는 앞서 덴마
[더구루=길소연 기자] 두산에너빌리티 베트남법인 두산비나가 베트남 꽝남성 국제 항구 추라이(Chu Lai)에 대형 크레인을 인도했다. 크레인은 5만DWT 화물선에 대한 서비스를 제공하며 추라이 항구의 선적과 하역 능력을 높여준다. 20일 업계에 따르면 두산비나는 베트남 꽝남성 누이타인현에 위치한 추라이 항구에 갠트리 크레인(RMQC) 2기를 공급했다. STS 크레인이로도 불리는 갠트리 크레인은 선박에서 해안으로 화물을 이동하는 항만 운영에 필수적인 장비이다. 인도된 크레인은 시간당 총 리프팅 용량이 60회전인 크레인이다. 추라이(Chu Lai) 항구의 생산성과 화물 서비스를 높여준다. 두산비나는 추라이 항구에 인도한 크레인을 공장에서 완성하지 않고 처음으로 항구 현장에서 제작해 설치했다. 부이 민 쭉(Bùi Minh Trúc) 쯔엉하이 국제물류 유한책임회사 최고경영자(CEO)는 "두산비나의 크레인을 현장에서 설치, 가동해 많은 비용이 절감됐다"며 "2기의 크레인으로 선적과 하역 생산성이 3~4배 증가했다"고 말했다. 두산비나는 베트남에서 초대형 크레인을 공급하며 경쟁력을 인정받고 있다. 베트남 제마링크항과 추라이 항구 외 싱가포르 PSA, 인도 JNPT 및
[더구루=길소연 기자] 두산에너빌리티 베트남법인 두산비나가 일본 아이에이치 중공업(이시카와지마, 이하 IHI)로부터 화력발전소 설비 공급능력과 품질인증을 받았다. 25일 업계에 따르면 IHI는 두산비나에 코로나19 팬데믹 속에서도 반퐁 1(Van Phong 1) 화력 발전소의 장비를 예정대로 공급해 품질과 능력을 인정하는 인증서를 수여했다. 두산비나 측은 지난 24일 인증서를 공개했다. IHI는 두산비나의 주요 고객사이다. 현재 양사는 베트남 중부 칸화(Khanh Hoa)성에 VP1 건설을 위해 협력하고 있다. 철골 구조, 상부 인클로저 프레임과 석탄 벙커 등 3개의 상품 계약을 체결했다. 김효태 두산비나 대표는 "IHI의 인증은 두산비나의 제품 품질과 브랜드, 명성이 점점 더 확고해지고 있음을 증명한다"며 "좋은 품질의 제품을 만들어 일정에 맞춰 협력사에 납품하기 위해 최선을 다하고 있다"고 말했다. 두산비나는 일본업체로부터 작년에도 인증서를 받았다. 앞서 지난해 11월 두산비나는 일본 미쓰비시중공업으로부터 폐기물 에너지 보일러 제품의 최고 공급업체라는 인증을 받았다. 두산비나가 인증서를 받은 건 화력발전소 장비를 예정대로 공급하는 품질과 용량을 인정 받아
[더구루=길소연 기자] 두산에너빌리티(옛 두산중공업)의 베트남법인 두산비나가 해수 담수화 플랜트에 5000만원을 투자한다. 담수화 플랜트 유지보수를 위한 것으로 두산에너빌리티의 ESG(환경·사회적 책무·기업지배구조 개선) 경영이 확대된다. 5일 업계에 따르면 두산비나는 베트남 리손(Ly Son)섬의 주민을 위해 해수 담수화 플랜트의 유지관리를 위해 10억 동(약 5000만원)을 지출했다. 다가오는 여름 리손 섬 주민들에게 일상 생활에 필요한 깨끗한 물을 공급할 수 있도록 안빈(An Binh)섬 코뮌에 있는 2개의 해수 정화장 유지 관리를 지원한 것이다. 해수담수화기 계통 정비·교체·보수 종합점검을 운영 8년 만인 지난 2020년 9월 완료한 뒤 현재까지 투입전력 부족과 염분 축적 막힘으로 장기간 가동되지 않아 다수의 장비·기계가 파손됐다. 또 비활성과 염분 축적으로 인한 필터 막힘으로 인해 연결 실패가 발생했다. 이로 인해 섬 주민들이 물 공급에 어려움을 겪었다. 특히 건기에는 물 부족 현상이 자주 발생했다. 매년 건기인 4월부터 9월까지는 수처리 시설 덕에 주민들의 물 공급에 어려움이 해소됐다. 두산비나는 엔지니어와 작업자 일행을 파견해 8개의 손상된 필터
[더구루=정예린 기자] 일본 반도체 장비업체 '도쿄일렉트론(Tokyo Electron)'이 TSMC 현지 공장 인근에 연구 거점을 구축한다. TSMC와의 기존 파트너십을 기반으로 차세대 1나노미터(nm) 반도체 장비 개발을 가속화하며 현지 협업을 강화할 전망이다.
[더구루=김은비 기자] 포드가 미국 내 전기차 배터리 공장을 폐쇄하지 않겠다는 입장을 재확인했다. 전기차 수요 둔화로 일부 생산 설비가 유휴화됐음에도 불구, 짐 팔리 포드 최고경영자(CEO)가 직접 나서 “공장을 폐쇄하지 않고 재활용 방안을 모색하겠다”고 쐐기를 박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