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구루=김은비 기자] 기아가 중국 자동차 시장에서 6개월 연속 월간 판매 2만대 이상 판매하는 등 상승세를 이어가고 있다. 올 들어 누적 판매 역시 16만대를 돌파, 반등하고 있다. 10일 기아에 따르면 중국 합작법인 위에다기아는 지난달 중국 시장에서 2만974대를 판매했다. 6개월 연속 2만대 이상을 달성했다. 올 들어 8월까지 누적 판매는 16만5036대로, 전년 동기 대비 7% 증가했다. 8월 누적 생산은 전년 동기 대비 9.5% 상승한 16만3270대, 엔진 수출은 전년 동기 대비 11.6% 증가한 8만3719대로 집계됐다. 업계는 기아가 중국 시장에서 약진하는 배경으로 MPV·SUV 라인업 강화와 옌천공장 성장 가시화를 꼽는다. 최근 출시한 2026년형 카니발은 글로벌 베스트셀링 MPV로서 3열 공간, 안전·편의 사양, 안정적인 주행 성능을 앞세워 패밀리카와 비즈니스 수요를 동시에 흡수하고 있다. 특히 수출 부문이 높은 성장세를 보여 옌청 공장은 중국 내수와 글로벌 수출 핵심 기지로 자리잡았다는 평가다. 실제로 2018년 이후 누적 47만7000대 이상을 수출했으며 호주·멕시코·사우디 등 89개국으로 공급망을 확대하며 위에다기아의 안정적인 성장 동
[더구루=정예린 기자] 방위사업청과 국방기술품질원이 폴란드 국영 방산그룹(PGZ) 산하 로소막(Rosomak) 생산시설을 찾아 기아의 소형전술차량 'KLTV(현지명 레그완)' 현지화 과정을 직접 확인했다. 기술 이전과 맞춤형 생산이 본격화되는 가운데, 양국 방산 협력이 확대되고 추가 수출 기반이 마련될 것이라는 기대가 나온다. 9일 로소막에 따르면 방극철 방위사업청 기반전력사업본부장과 신상범 국방기술품질원장 등 우리 정부 대표단은 지난 4일(현지시간) 시미아노비체 실롱스키에 위치한 로소막 본사를 방문했다. 폴란드 국제방위산업전시회(MSPO) 2025 참석을 계기로 마련된 일정인 것으로 전해진다. 이번 방문은 한국 측 요청으로 성사됐으며, 기술 경험 교류와 생산 역량 확인을 목적으로 진행됐다는 게 로소막 측 설명이다. 방 본부장과 신 원장은 폴란드군 요구사항에 따라 개조되는 KLTV의 현지화 상황을 직접 점검했다. 앞서 기아와 로소막은 지난 8월 서울에서 2023년 체결한 KLTV 400대 공급 계약의 후속 부속 합의안에 서명했다. 계약에는 단계적 기술 이전과 폴란드 내 부품 생산, 특수 모델 개발 추진이 포함돼 있다. <본보 2025년 8월 29일 참고
[더구루=김은비 기자] 기아 ‘K4’가 라틴아메리카 지역 신차 안전도 평가에서 최고 등급을 획득했다. 성인·어린이 보호 모두 90% 안팎의 높은 안전성 점수를 기록, 충돌 안전성과 첨단 보조 기능 우수성을 입증되면서 중남미 시장에서 판매 확대가 기대된다. 3일 라틴 NCAP에 따르면 기아 K4는 라틴아메리카 신차 안정성 평가 프로그램에서 최고 등급인 별 5개(★★★★★)를 받았다. 지난해 ‘K3’로 최고 등급을 받은 데 이어 기아는 자사 차량 라인업에 최고 안전 등급 모델을 추가하게 됐다. 이 프로그램에서 별은 차량의 안전도를 평가하는 척도로 최저 1개부터 최고 5개까지 부여된다. 이번 평가는 △전면·측면·기둥 충돌 △경추 손상 △보행자 충격 △전자식 주행안정화장치(ESC) △자율 긴급제동(AEB) △시티·인터시티·보행자 대응 △속도 보조 시스템(SAS) 등 다양한 항목을 대상으로 진행됐다. K4는 △성인 탑승자 보호 91.87% △어린이 보호 90.38% △보행자·도로 이용자 보호 77.10% △안전보조 시스템 84.30%의 안전성을 달성했다. K4는 6개 에어백과 ESC를 기본 탑재했으며 ADAS는 선택 사양으로 제공된다. 라틴 NCAP은 K4가 정면 충
[더구루=김은비 기자] 현대자동차가 지난달 중국 BYD에 밀려 글로벌 자동차 시장에서 5위로 밀렸다. 기아는 10위를 수성했다. 30일 업계에 따르면 현대차는 지난달 글로벌 시장에서 27만2700대를 판매, 브랜드 순위 5위에 올랐다. 이는 상반기 대비 한 계단 하락한 순위다. 기아는 같은 기간 21만1200대를 판매해 10위를 기록했다. 글로벌 1위는 72만900대를 판매한 토요타가 차지했다. 폭스바겐와 포드는 각각 37만7700대와 30만3900대를 판매, '톱3'를 차지했다. 이어 △BYD(27만5700대) △ 현대차(27만2700대) △혼다(26만4000대) △스즈키(23만3100대) △닛산(22만2900대) △쉐보레(21만5300대) △기아(21만1200대) 순으로 '톱10'에 이름을 올렸다. 현대차는 SUV 중심 라인업과 북미·유럽 시장에서의 안정적인 수요가 실적을 뒷받침했다. 중국 시장 부진에도 불구하고 신형 전기차와 하이브리드 모델의 판매 호조로 글로벌 톱5 자리를 지켜낸 것으로 분석된다. 기아 역시 내수보다 수출 비중을 높이며 글로벌 판매량을 방어했다. 스포티지·셀토스 등 인기 SUV가 판매를 이끌었다는 분석이다. 업계는 현대차·기아가 전기차
[더구루=정예린 기자] 기아가 폴란드에 공급하는 소형전술차량 'KLTV(Korean Light Tactical Vehicle)'의 현지 생산과 맞춤형 개발 체제가 본격화된다. 폴란드 국영 기업과의 파트너십 확대를 기반으로 기아는 방산 수요에 보다 신속하게 대응하고, 장기적인 현지 생산 기반과 맞춤형 수출 경쟁력을 강화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29일 폴란드 국영 방산그룹(PGZ) 자회사 로소막(Rosomak)에 따르면 기아와 로소막은 지난 25일(현지시간) 서울 모처에서 2023년 체결한 KLTV 400대 공급 계약의 후속 부속 합의안에 서명했다. 이는 기존 계약에 포함된 기술 이전과 현지화 약속을 구체화한 것이다. 현지명 '레그완(Legwan)'으로 불리는 기아 KLTV 4×4 플랫폼은 폴란드군 요구사항에 맞춰 개조된다. 로소막은 부품 생산의 단계적 현지 이전과 특수 모델 개발을 병행하며, 맞춤형 생산과 기술 역량 강화를 본격 추진한다. 지난 2023년 기본 계약 당시 폴란드군은 약 12억 즈워티 규모로 400대 레그완 구매를 확정했다. 기아와 로소막은 2030년까지 공급을 완료한다는 계획을 세웠다. 작년까지는 국내 생산을 통해 초기 물량을 공급했고,
[더구루=김은비 기자] 기아가 캐나다에서 노후 주택 거주 전기차(EV) 이용자의 충전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현지 에너지 기술 기업과 손잡았다. 인공지능(AI) 기반 적응형 에너지 관리 시스템(EMS)을 활용해 충전 편의성을 확보할 수 있게 됐다. 기아는 캐나다 시장에서 노후 주택을 비롯한 가정에서의 충전 인프라 불안을 해소해 전기차 보급을 확대할 수 있는 방안을 지속 마련한다는 방침이다. 28일 기아에 따르면 캐나다법인은 전기차 에너지 관리 전문기업 ‘베어리어블그리드 어댑티브 파워(Variablegrid Adaptive Power)’와 파트너십을 체결했다. 양사는 전력 용량이 충분하지 않은 노후 주택에서도 전기차를 원활하게 충전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이번 파트너십을 맺었다. 일반적으로 가정에서 쓰는 표준 충전 방식인 레벨2(240V) 충전기를 설치하려면 전기 패널을 증설하는 고가의 공사가 필요하다. 베어리어블그리드의 AI 기반 적응형 EMS는 실시간 전력 사용량을 모니터링하고 가정 내 여유 전력에 맞춰 EV 충전 속도를 자동으로 최적화한다. 이를 통해 이용자는 별도의 대규모 전기 공사 없이도 안정적으로 가정 내 충전을 할 수 있다. 댄 래퍼티 베어리어블그리
[더구루=김은비 기자] 현대자동차·기아가 중국 시장 공략을 위해 각각 엘란트라 하이브리드와 2026년형 카니발을 내달 동시 투입한다. 현대차·기아는 친환경차와 중형 MPV를 내세워 중국 자동차 시장을 본격 공략하고 있다. 24일 업계에 따르면 현대차 중국 합작사 베이징현대는 최근 항저우·선전에서 엘란트라 하이브리드 신차를 공개했다. 연말까지 3500대를 판매한다는 목표다. 엘란트라 하이브리드는 신차는 1.6L GDi 엔진, 6단 DCT, 전기모터를 조합한 TMED 하이브리드 시스템을 탑재했다. 전기모드 주행거리는 85km, 종합 주행거리는 1000km 이상에 달해 도심 통근부터 장거리 여행까지 다양한 주행 환경을 아우를 수 있다. 배터리는 고온·침수 등 극한 환경 테스트를 거쳐 안정성을 확보했으며, 실내 공간을 침해하지 않는 배치로 실용성까지 살렸다. 기아는 내달 1일 2026년형 카니발 중국형 모델을 공식 출시한다. 기아는 최신 글로벌 디자인 대신, 중국 소비자 선호도가 입증된 2021년형 스타일을 유지하는 전략을 선택했다. 대형 크롬 그릴, 직선형 차체 라인, 듀얼 전동 슬라이딩 도어, 일체형 테일램프 등 기존 디자인 요소를 강화해 안정적인 수요를 확보하
[더구루=김은비 기자] 기아 고성능 전기차 EV6 GT가 이탈리아 슈퍼카 브랜드 페라리 푸로산게(Purosangue)와의 드래그 레이스에서 압도적인 성적을 거뒀다. 최고출력 725마력 V12 엔진을 장착한 푸로산게를 상대로 EV6 GT는 5전 4승을 기록하며 전동화 시대의 성능 우위를 입증했다. 24일 온라인 자동차 플랫폼 '카와우'(Carwow) 따르면 기아 EV6 GT가 1/4마일(약 402m) 직선 가속 레이스에서 페라리 푸로산게를 5전 4승으로 승리했다. EV6 GT가 승리한 배경은 609마력의 전기 파워트레인과 즉각적인 토크 응답력이 자리했다. 전기차 특유의 즉각적이고 직선적인 토크 전달은 가속 구간 초반에서 압도적 우위를 발휘했다. EV6 GT는 무게가 더 무거움에도 불구하고, 강력한 모터 출력과 전자식 사륜구동 시스템 덕분에 초반부터 치고 나가며 우세를 점했다. 반면 푸로산게는 고회전 V12 특유의 매력을 뽐내며 후반 가속에서 격차를 줄였지만, 결승선 통과에는 역부족이었다는 분석이다. EV6 GT가 유일하게 패배한 경우는 수동 모드 전환 등 인위적 제약이 가해졌을 때뿐이었다. 업계는 이번 대결을 통해 고가의 슈퍼카가 아니더라도 압도적인 가속감을
[더구루=김은비 기자] 현대자동차그룹가 미국 J.D.파워가 올해 실시한 '신차 기술 만족도 조사(TXI)' 상위권을 싹쓸이하며 독주했다. 제네시스는 5년 연속 프리미엄을 포함한 전체 1위에 올랐다. 현대차는 대중 브랜드 6년 연속 1위를, 기아는 2위를 차지했다. 현대차그룹은 이번 조사를 통해 기술 리더십이 다시 입증됐다는 평가다. 22일 J.D.파워에 따르면 현대차는 올해 '신차 기술 만족도 조사(TXI)' 대중(Msss) 브랜드 부문에서 1000점 만점에 493점을 획득, 6년 연속 1위를 차지했다. 기아는 474점으로 2위에 올랐다. 제네시스는 캐딜락(526)과 링컨(523), BMW(511)를 제치고 538점을 기록, 프리미엄 부문과 전체 1위를 차지했다. 5년 연속이다. TXI 조사는 2025년형 신형 모델을 구입하고 90일 이상 소유한 소비자 7만6230명을 대상으로 지난해 7월부터 올해 5월까지 진행됐다. 조사는 △편의성 △최신 자동화 기술 △에너지 및 지속가능성 △인포테인먼트 및 커넥티비티 등 4가지 카테고리에 포함된 40개 기술에 대한 만족도를 1000점 척도로 물어 신기술 혁신 수준과 사용 편의성을 평가한다. TXI 조사는 JD파워 주요 기
[더구루=정예린 기자] 현대자동차그룹이 영국 왕립예술대학(Royal College of Art, RCA)과의 10년간 협력을 2년 연장하며 차별화된 디자인 역량 확보에 나선다. 차세대 디자인 인재 육성과 혁신 프로젝트를 통해 글로벌 트렌드와 기술 변화를 빠르게 반영, 미래 모빌리티 시장 경쟁력을 대폭 강화할 것으로 기대된다. 현대차·기아 영국법인은 지난 20일(현지시간) 런던 RCA 배터시 캠퍼스 열린 서명식에서 RCA와의 파트너십을 오는 2027년까지 연장하는 갱신 계약을 체결했다고 발표했다. 현대차그룹은 이번 협력을 통해 학제간 연구와 산업 경험을 연결하고, 모빌리티·디자인·기술 분야 혁신을 촉진할 계획이다. 파트너십 10주년을 맞은 올해, 현대차그룹과 RCA는 이번 협약을 통해 기존 프로그램을 강화하고 새로운 연구 이니셔티브를 도입한다. 주요 프로그램에는 △현대차·기아 디자인·혁신 프로젝트 △인텔리전트 모빌리티 MA(Intelligent Mobility MA) 방문 디자인 펠로우십 △전문가 개발 워크숍 △현대차·기아 어워드 등이 포함된다. 이들 프로그램은 학생들에게 실제 산업 과제와 연결된 창의적 프로젝트 경험을 제공하고, 교수진과 산업 전문가 간 협업
[더구루=김은비 기자] 기아가 이달 말부터 유럽 생산기지 슬로바키아공장에서 전기차 ‘EV4’를 생산한다. 현지 생산을 통해 공급망 대응 속도를 높이고 보조금 혜택까지 확보, 유럽 전기차 시장 공략에 나선다. 북미 전기차 판매 위축을 유럽에서 만회한다는 전략이다. 19일 업계에 따르면 기아는 이달 말부터 슬로바키아 질리나 공장에서 EV4 생산에 돌입한다. EV4는 질리나 공장에서 처음으로 생산하는 전기차 모델이다. 기아는 지난해 전기차 전용 생산 라인 구축했으며, 내달부터 유럽시장에 EV4 출고한다. 기아는 전기차 현지 생산을 통해 유럽 내 수요 변화에 신속히 대응하는 한편 전기차 보조금 수혜를 노린다. 프랑스·영국 등은 차량·배터리 생산지까지 고려해 전기차 보조금 지급 여부를 결정하고 있다. . EV4를 생산하는 기아 질리나 공장은 유럽 전동화 전진지기로 거듭날 전망이다. 지난 2007년 상업 생산을 시작한 질리나 공장의 연산 규모는 30만대에 달한다. 기아는 내년 질리나 공장에서 EV2도 생산할 예정이다. EV2는 EV3·4보다 크기가 작고 가격이 합리적인 엔트리급 전기 SUV다. 길이 약 4000mm로, 높은 실내 공간 활용성이 특징이다. 가격은 2만89
[더구루=김은비 기자] 현대자동차가 베트남 자동차 시장에서 추락하고 있다. 지난달 판매량이 3000여 대에 그쳐 전년 대비 30% 이상 급감했다. 현재차의 부진이 이어지면서 결국 토요타에 이어 포드에도 밀려 3위에 그쳤다. 18일 베트남자동차제조업협회(VAMA)와 현대차에 따르면 베트남 합작사 현대탄콩(TC MOTOR)은 지난달 현지 시장에서 3601대를 판매, 포드(4139대)에 밀려 순위 3위에 그쳤다. 이는 전년 동월(5329대) 대비 32.4% 급감한 수치다. 올 들어 줄곧 하락세가 이어지는 양상이다. 다만 올해(1~7월) 누적 판매량은 2만7805대를 기록, 2위를 유지했다. 이는 전년 동기(3만3169대) 대비 16.1% 감소한 수치다. 지난달 현대차 모델별 판매량은 △투싼(508대) △엑센트(504대) △크레타(414대)△싼타페(280대) △그랜드 i10(263대) △스타게이저(198대) △베뉴(169대) △커스틴(118대) △팰리세이드(105대) △아반떼(51대) 순으로 나타났다. 토요타는 지난달 베트남 시장에서 6841대(렉서스 173대 포함)를 판매, 1위를 지켰다. 야리스 크로스(1259대)와 비오스(1213대) 등 주력 모델이 전체 판매
[더구루=홍성일 기자] 러시아 드론 기업이 일론 머스크의 저궤도(LEO) 위성 통신 서비스 스타링크(Starlink)를 이용할 수 있는 대형 드론을 개발했다. 우크라이나 군의 후방을 타격하는 장비로 운용될 가능성이 크다는 분석이다. [유료기사코드] 10일 업계에 따르면 러시아 드론기업 KB 발키리야(KB Valkyriya)는 최근 전시회에서 RD-8 드론을 공개했다. KB 발키리야는 해당 드론이 스타링크와도 연결되기 때문에 우크라이나에서 러시아군의 드론 운용에 도움이 될 것이라고 소개했다. 이번에 공개된 RD-8은 날개폭이 3.8m이며 내연기관과 전기모터 2개가 결합된 하이브리드 동력 시스템을 갖추고 있다. 최대 이륙중량은 정찰형일 경우 30kg, 모선형일 경우 35kg이다. 비행가능 시간은 각각 최대 4.5시간, 3시간이다. 최대 고도는 3km이며 항속거리는 최대 150km다. 순항속도는 80km/h, 최대속도는 200km/h다. RD-8은 목적에 따라 각각 3kg의 탄두를 장착한 FPV 드론 2대를 탑재하거나 30배 망원 카메라와 열화상 카메라를 장착할 수 있다. 이외에도 KB 발키리야는 RD-7, RD-10, RD-12 등 다양한 드론 시리즈를 출시했으
[더구루=홍성일 기자] 현대자동차그룹 자회사 미국 보스턴다이내믹스의 4족 보행 로봇 '스팟(Spot)'이 미국에서 경찰특공대로 변신했다. 보스턴다이내믹스의 스팟이 적용 범위를 빠르게 확장하고 있는 모양새다. [유료기사코드] 10일 업계에 따르면 루이지애나주 레이크찰스 경찰은 스팟을 새로운 SWAT(Special Weapons And Tactics) 다목적견으로 도입했다. 스팟은 정찰, 화학물질 탐지 등 특수 임무에 투입된다. 레이크찰스 경찰은 이전부터 스팟을 도입해 운용하고 있었다. 지난해 8월에는 지역 행사를 통해 공개한 바 있다. 공개된 자료에 따르면 레이크찰스 경찰에 투입된 스팟은 1개의 팔과 360도 감시가 가능한 카메라가 장착돼 있다. 팔에는 물건을 집을 수 있도록 집게형태의 손이 연결됐다. 스팟은 해당 손과 팔을 통해 문도 열고 진입할 수 있다. 또한 스팟은 4개의 다리를 통해 걷고, 앉고, 기어가기 등이 가능하다. 지난달 보스턴다이내믹스가 공개한 영상에 따르며 상부에 별도의 장비가 장착되지 않은 스팟은 사이드플립(옆돌기), 백플립(뒤돌기) 등이 가능하다. 조종 편의성도 높였다. 이번에 공급된 스팟은 휴대용 게임기와 같은 형태의 컨트롤러로 조정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