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구루=최영희 기자] 펄어비스 주가가 이틀째 곤두박질치고 있다. 28일 오전 9시 9분 기준 펄어비스 주가는 전일보다 8.36% 하락한 6만8000원을 기록 중이다. 검은사막 모바일의 중국 서비스 실적이 당초 기대에 미치지 못하면서 실망 매물이 쏟아지고 있기 때문으로 풀이된다. 증권가도 목표가를 내렸다. 이날 이베스트증권은 펄어비스에 대해 ‘검은사막 모바일 중국’의 기대에 훨씬 못 미치는 부진한 흥행 성적을 반영해 실적 전망치를 하향했다. 목표주가는 9만7000원으로 25% 하향했다.
[더구루=최영희 기자] 국내 1위 게이밍기어(Gaming Gear) 전문기업 앱코가 펄어비스의 ‘검은사막’ 공식 라이선스 게이밍기어 제품을 출시한다고 17일 밝혔다. 이번에 출시하는 ‘검은사막’ 에디션은 앱코와 펄어비스가 공동으로 제작한 △검은사막 BI(Brand Identity) 및 아트웍을 활용한 게이밍 키보드 △검은사막 BI를 활용한 게이밍 마우스다. 11월 25일 펄어비스 스토어를 통해 국내를 포함한 전 세계에 동시 판매할 예정이며, 출시를 기념해 11월 25일부터 12월 3일까지 할인 판매 프로모션도 계획하고 있다. 앱코 관계자는 “펄어비스와 공동 제작한 검은사막 게이밍기어 정식 에디션은 펄어비스 스토어를 통해 이달 중 글로벌 시장에 동시 판매하고, 이후 네이버쇼핑, 옥션, 지마켓, 11번가 등 국내 오픈마켓 전체 입점은 물론 해외 B2B(기업간거래) 판매 확대로 판로를 넓힐 것”이라고 말했다. 이어 “검은사막이 전 세계적으로 인기를 끌고 있는 가운데 공식 게이밍기어 런칭에 대한 관심도 매우 높아지고 있다”며 “펄어비스와 마케팅 및 판매 부문에서도 꾸준한 협력을 이어 나가기로 한 만큼 지속적인 시너지를 발휘하겠다”고 밝혔다. 검은사막은 전 세계 15
[더구루=홍성일 기자] 중국 연구기관이 자국산 그래픽처리장치(GPU)를 기반으로 인간 뇌 속 뉴런의 상호작용을 모방한 차세대 인공지능(AI) 모델 개발에 성공했다. 미국의 고성능 반도체 수출 통제에 맞서 중국이 기술 자립을 위한 이정표를 세웠다는 평가다. [유료기사코드] 13일 업계에 따르면 중국과학원 자동화연구소가 세계 최초로 스파이킹신경망(Spiking Neural Network, SNN) 대형 모델 '순시(瞬悉) 1.0'를 개발했다. 연구팀은 순시 1.0 모델의 훈련부터 추론까지 전 과정을 중국에서 생산된 GPU 플랫폼에서 완료했다고 소개했다. 연구팀은 순시 1.0 70억 매개변수 버전의 경우에는 오픈소스로 공개했으며 760억 파라미터 버전은 테스트 URL를 게재해 이용해 볼 수 있도록 개방했다. 스파이킹신경망 기술은 인간 두뇌의 작동 방식을 모방한 차세대 인공 신경망이다. 기존 인공 신경망이 연속적인 값을 주고 받는 것과 달리 스파이킹신경망은 뉴런과 뉴런이 신호를 전달받는 것과 같이 '스파이크(spike)'라는 순간적인 전기 신호의 형태로 정보를 전달하고 처리한다. SNN은 스파이크의 시간과 빈도를 통해 정보를 인코딩한다. 그런만큼 정보를 전달하는 과
[더구루=홍성일 기자] 중국의 휴머노이드 로봇이 단순 전시와 공연 무대를 넘어 라이브커머스, 유통, 자동차 제조 등 실제 산업 현장에 투입되고 있다. 휴머노이드가 기존 로봇의 한계를 뛰어넘어 산업 현장의 체질 자체를 바꾸기 시작했다는 평가다. [유료기사코드] 13일 코트라 베이징무역관 따르면 올해 중국 휴머노이드 로봇 시장 규모는 전년 대비 두 배에 가까이 성장해 53억 위안(약 1조 원)에 달하고, 2028년에는 387억 위안(약 7조5600억 원)까지 급성장할 것으로 전망됐다. 이러한 성장은 실제 산업 현장에서의 활약으로 증명되고 있다. 로봇 기업 유니트리는 동영상 플랫폼 더우인에서 휴머노이드 로봇 'G1'을 쇼호스트로 내세워 단 5분 만에 128만 위안(약 2억5000만원) 매출을 올렸다. 상하이의 신푸테크 역시 단독으로 라이브 방송을 진행하는 휴머노이드 로봇을 선보이며 콘텐츠 제작의 새로운 가능성을 열었다. 의료 유통 분야에서는 갈봇(GALBOT)의 로봇이 베이징 시내 10여 개 매장에서 24시간 근무하며 5000종의 상품을 자율적으로 관리, 포장, 출고하고 있다. 특히 갈봇은 자체 개발한 AI 모델을 탑재해 로봇 대회에서 원격 조종에 의존한 경쟁자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