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구루=오소영 기자] 중국 간펑리튬과 캐나다 리튬아메리카스가 아르헨티나산 리튬 수출에 성공했다. 리튬 부국인 아르헨티나에서 사업 보폭을 넓히고 배터리 핵심 원재료인 리튬 시장을 잡는다. [유료기사코드] 9일 아르헨티나 광업사무국에 따르면 간펑리튬과 리튬아메리카스는 아르헨티나 후후이에 위치한 카우차리 올라로즈(Cauchari-Olaroz) 염호에서 추출한 탄산리튬을 처음 수출했다. 간펑리튬은 46.7%%, 리튬아메리카스 44.8%, 아르헨티나 국영기업 헴세(JEMSE) 8.5%의 지분을 나눠 갖고 염호 개발을 추진했다. 지난 7월 아르헨티나에서 세 번째, 후후이 지역에서 두 번째로 생산에 돌입했다. 올해 1만t을 생산할 것으로 예상된다. 점차 생산량을 늘려 40년 동안 연간 4만t의 리튬을 확보할 계획이다. 간펑리튬과 리튬아메리카스는 첫 수출국을 언급하지 않았으나 중국 또는 태국일 가능성이 높다. 주요 주주인 간펑리튬은 생산물량의 약 60%를 받기로 한 것으로 알려졌다. 태국 에너지 대기업 방착그룹(Bangchak Corporation)도 리튬아메리카스와 자금 지원 대가로 1단계 생산물량의 약 20%를 구매하기로 합의했다. 방착그룹은 2017년 리튬아메리카스
[더구루=정예린 기자] 미국 'ABTC(American Battery Technology Company)'가 수산화리튬 제조 시설을 짓는다. 인플레이션감축법안(IRA)에 힘입어 당국으로부터 보조금도 확보, 건설 프로젝트에 속도를 낸다. [유료기사코드] 9일 ABTC에 따르면 회사는 최근 미국 에너지부(DOE)로부터 네바다주에 상업용 규모 수산화리튬 공장을 건설하기 위해 5700만 달러(역 761억원)의 보조금을 확보했다고 발표했다. 1억1500만 달러(약 1536억원)를 투자하고 150개의 신규 일자리를 창출한다. 신공장은 ABTC의 첫 수산화리튬 생산 시설이다. ABTC가 네바다주 토노파 인근 빅 스모키 밸리(Big Smoky Valley)에서 진행중인 '토노파 플랫츠(Tonopah Flats)' 리튬 프로젝트에서 확보한 탄산리튬을 정제해 수산화리튬으로 재탄생시킨다. 토노파 플랫츠 리튬 프로젝트는 ABTC가 미국 토지관리국(BLM)이 관리하는 약 1만340에이커 토지에 걸쳐 517개의 광석 채굴권 100%를 확보해 개발하는 사업이다. 지난 2021년 지질 탐사를 시작해 시추 프로그램 등 탐사를 실시했다. 탐사 작업을 바탕으로 올 2월 발간된 리튬 매장량 추
[더구루=오소영 기자] 독일 폭스바겐이 전고체 배터리의 양산 시기를 단정 짓기 이르다고 봤다. 기술적 어려움으로 양산에 시간이 걸리지만 파트너사인 미국 퀀텀스케이프와 협력을 지속하겠다는 의지를 내비쳤다. 8일 독일 자동차 전문지 에디슨에 따르면 카이 그뤼니츠 폭스바겐 브랜드 개발 이사회 멤버는 전고체 배터리의 개발 현황에 대해 "여전히 진행 중이며 좋은 파트너십을 갖고 있다"며 "아직 공급 시기는 확정되지 않았다"고 전했다. 전고체 배터리는 액체 대신 고체 전해질을 활용한다. 화재 위험을 줄이고 에너지밀도를 향상해 차세대 배터리로 꼽히지만 기술적 어려움으로 대량 양산된 사례는 아직까지 없다. 폭스바겐은 퀀텀스케이프의 지분 20%를 취득해 전고체 배터리 개발에 뛰어들었다. 퀀텀스케이프는 작년 12월 24층 멀티레이어 기반 전고체 배터리 A샘플을 개발했다. 최근 5암페어아워(Ah)급 용량을 가진 전고체 배터리 출하에도 성공했다. 폭스바겐에 전달한 것으로 추정된다. <본보 2023년 7월 27일 참고 퀀텀스케이프, 전고체 배터리 공급 임박…주가 폭등> 이처럼 개발은 순조롭게 진행되고 있으나 상용화 시기를 확정하기에는 이르다는 게 폭스바겐의 판단이다. 그
[더구루=정예린 기자] 삼성SDI가 헝가리에서 전기차 배터리 연구개발(R&D)에 대한 정부 보조금을 확보했다. 기술 혁신을 통해 제품 성능과 생산성을 개선하고, 글로벌 핵심 거점 기지로서 헝가리 공장 역할을 강화한다. 페테르 시야르토 헝가리 외교통상부 장관은 7일(현지시간) "정부는 삼성SDI의 225억 포린트(약 830억원) 규모 R&D 투자에 55억 포린트(약 203억원) 보조금을 지원할 것"이라며 "이는 헝가리 정부의 재정 지원으로 실현된 역대 최대 규모의 R&D 투자로 수십 개의 고부가가치 일자리를 창출할 것"이라고 밝혔다. 시야르토 장관은 "삼성SDI는 헝가리에서 두 번째로 큰 기업이자 직원 6000명을 고용하고 있는 회사로서 헝가리 경제 성장에 기여하고 있다"며 "전기차 배터리와 자동차 산업 분야 교육을 제공하고 있는 국내 대학과의 협력도 더욱 강화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삼성SDI의 R&D 예산은 기존 괴드 공장 투자 발표 당시 포함돼 있던 계획이다. 현지 생산시설에 첨단 기술 기반 신공법 등을 선제적으로 적용, 배터리 용량·안전성 등은 물론 공정 생산성까지 개선하는 게 주요 목표다. 괴드 공장에서 검증된 새로운 기술
[더구루=오소영 기자] 삼성SDI와 스텔란티스가 미국 모리스시트메탈(Morris Sheet Metal, 이하 MSM)과 합작공장 건설에 협업한다. 내후년 가동을 목표로 공사에 잰걸음을 보이고 있다. 8일 미국 알파인4홀딩스에 따르면 자회사 MSM은 삼성SDI와 스텔란티스가 미국 인디애나주에 짓는 배터리 합작공장 건설에 참여한다. 생산 장비와 냉난방 공조(HVAC) 시스템의 설치를 지원한다. 수주액은 510만 달러(약 70억원)다. 1992년 설립된 MSM은 인디애나주에 본사를 둔 회사다. 알파4홀딩스의 자회사인 퀄리티 서퀼 어셈블리와 일렉제트의 소규모 전고체 배터리 생산시설 건설에 참여한 경험이 있다. 켄트 윌슨 알파4홀딩스 최고경영자(CEO)는 "모리스의 전문 지식은 매우 귀중하다"며 "MSM이 흥미롭고 새로운 분야에서 사업을 확장하고 있다는 사실에 진심으로 감사하다"고 밝혔다. 삼성SDI와 스텔란티스는 현지 업체를 참여시켜 지역 경제 활성화에 기여하고 공장 건설에 박차를 가한다. 양사는 작년 5월 합작법인 설립 계약을 체결했다. 인디애나주 코코모시에 25억 달러(약 3조3300억원)를 투자해 연간 23GWh 규모로 전기차 배터리 셀·모듈 공장을 구축한다.
[더구루=정예린 기자] 호주 '진달리 리소스(Jindalee Resources·이하 진달리)'의 리튬 광산 개발 프로젝트가 순항하고 있다. 상업 생산에 돌입할 경우 파트너사인 포스코의 북미 리튬 공급망도 한층 강화될 전망이다. [유료기사코드] 7일 진달리에 따르면 회사는 지난 5일(현지시간) 진행한 투자자 발표에서 '맥더밋 칼데라(McDermitt Caldera)' 프로젝트 2차 시추 작업을 다음달 개시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지난 6월 사전 타당성 조사(PFS)에 착수했으며, 내년 6월까지 마무리한다는 목표다. 진달리는 작년 진행한 1차 시추 작업에서 탄산리튬 등가물(LCE) 매장량이 1000ppm 등급 기준 2150만t에 이른다는 사실을 확인했다. 기존 추정치인 1330만t에서 62% 증가한 수치다. 진달리는 현재 62개의 시추 구멍을 뚫어 매장량을 검증하고 있다. 멕더밋 칼데라는 오리건주와 네바다주의 국경 도시인 멕더밋 서쪽에 위치한 리튬 광산을 채굴하는 프로젝트다. 진달리는 멕더밋 칼데라 프로젝트가 미국 최대 규모의 리튬 탐사·개발 프로젝트라고 보고 있다. 최종 개발 허가를 받으면 오리건주에서 이뤄지는 첫 리튬 광산 채굴 프로젝트다. 포스코홀딩스는 지난
[더구루=오소영 기자] 미국 배터리 스타트업 '아워넥스트에너지(Our Next Energy, 이하 ONE)'가 오만 투자청(OIA)의 투자를 받았다. 중동으로 글로벌 영토를 확장하면서 파트너스 엠플러스의 수주 기회도 확대될 전망이다. [유료기사코드] OIA는 6일(현지시간) ONE에 지분 투자를 단행했다고 밝혔다. 세부 투자액은 공개하지 않았으나 소수 지분을 매수한 것으로 알려졌다. 지분 투자를 계기로 오만에서 에너지 저장과 배터리 제조 관련 사업 협력도 모색한다. OIA의 투자는 석유 중심의 경제 구조를 탈피하려는 현지 정부의 의지와 밀접한 연관이 있다. 오만 정부는 석유·가스 산업에 대한 의존도를 낮추고자 2050년 탄소 중립을 선언하고 에너지 전환을 추진하고 있다. 전기차 보급에도 적극적이다. 오만은 지난 7월 1일부터 전기차 구매 시 차량 등룍 수수료와 관세를 100% 면제하는 인센티브를 도입했다. 2030년까지 신규 등록 승용차의 약 35%인 7000대의 전기차를 도입한다는 목표다. 현지 정부의 전기차 보급 정책과 맞물려 OIA의 관련 투자도 활발하다. 미국 배터리 소재 회사 '그룹14 테크놀로지(Group14 Technologies)'와 미국 폐배
[더구루=김도담 기자] 커민스와 다임러, PACCAP 등 굵직한 전기차 관련 기업들이 미국에 배터리 생산시설을 합작투자한다. 조 바이든 정부의 보조금 정책을 활용한다. [유료기사코드] 로이터통신은 커민스, 다임러 트럭 앤 버스 US 홀딩, PACCAR의 탄소배출 제로 사업부인 엑셀레라가 6일(현지시간) 미국 내 배터리 셀 생산을 촉진하기 위해 합작회사를 설립했다고 보도했다. 이들 3사는 합작사 지분 30%를 각각 소유한다. 또 이 합작사는 상업용 전기 트럭에 탑재될 리튬인산철(LFP) 배터리 기술 제품군을 중심으로 생산할 예정이다. 상대적으로 비용이 저렴하고, 낮은 에너지 밀도와 저온에서의 성능저하 약점을 꾸준히 개선한 LFP 배터리는 테슬라외 현대자동차, 토요타, 포드 등이 적극적으로 적용하면서 수요가 늘고 있다. 이에 이들 3사는 21GWh 규모 공장을 건설하기 위해 최대 30억 달러(약 4조원)을 투자할 계획이다. 이번 합작에는 LFP 배터리 제조기업인 이브 에너지도 10%의 지분을 투자해 기술 파트너 역할을 한다. 마틴 다움(Martin Daum) 다임러 트럭 CEO는 "이번 합작 투자는 다임러 트럭을 넘어서는 규모의 경제를 가능하게 할 것"이라며 기
[더구루=정등용 기자] 인도네시아의 니켈 공급에 차질이 빚어지면서 니켈 가격도 급등세를 보이고 있다. 일부 니켈 채굴 업체의 부패 혐의가 영향을 미쳤다는 분석이다. 7일 맥쿼리 리서치(Macquarie Research) 보고서에 따르면 최근 인도네시아 니켈 채굴 업체들이 생산을 중단하면서 스테인리스강(SS)의 원료가 되는 니켈 중간 제품인 니켈 선철(NPI)의 생산 감소 우려도 커지고 있다. 이에 니켈 광석 가격은 톤당 10~12달러 상승했으며, 니켈 선철 생산 비용도 t당 1000달러(약 130만원) 증가할 가능성이 높다. 세계 최대 스테인리스강 생산국인 중국의 니켈 선철 가격은 t당 1만4400달러(약 1900만원)로 최저치를 기록한 이후 최근 t당 800달러(약 100만원) 상승했다. 인도네시아의 니켈 공급 중단 현상이 벌어지고 있는 데에는 일부 채굴 업체들의 부패 혐의가 원인이 됐다. 인도네시아 에너지광물자원부(ESDM)는 부패 혐의가 드러난 업체들에 대해 니켈 채굴 면허 발급을 중단할 계획인 것으로 알려졌다. 맥쿼리는 인도네시아의 니켈 공급 중단으로 인해 기업들이 필리핀에서 t당 3만8850달러(약 5200만원)에 니켈 광석을 수입하게 될 것이라고
[더구루=오소영 기자] 독일 벌칸에너지가 리튬 공장 건설 허가를 받았다. 오는 4분기 시운전에 돌입하고 이미 시범 생산에 돌입한 리튬 추출 플랜트와 시너지를 내 수산화리튬을 양산한다. 벌칸에너지는 6일(현지시간) 독일 프랑크푸르트 회흐스트 석유화학 단지에서 짓는 중앙 리튬 전기분해 최적화 플랜트(Central Lithium Electrolysis Optimisation Plant)에 대한 건축 허가를 획득했다고 발표했다. 이 공장은 염화리튬 화합물을 전기분해해 수산화리튬으로 전환하는 시설이다. 벌칸에너지는 테스트를 마친 여러 장치를 현장에서 조립·연결하는 방식으로 생산시설을 짓는다. 4분기 시운전에 돌입할 예정이다. 벌칸에너지는 지난달 신공장 인근에 염화리튬을 추출하는 리튬 추출 최적화 플랜트(Lithium Extraction Optimization Plant)의 시운전에 착수했다. 10월까지 완료하고 상업운전을 시작한다. 벌칸에너지는 두 공장 운영에 필요한 재원도 조달한다. 생산량 확대와 잠재 엔지니어링 업체를 검토하는 가교 연구와 환경사회영향평가(ESIA)를 완료하고 1단계 투자를 위한 부지 패키지를 확보한 후 11월부터 프로젝트 파이낸싱(PF)을 시작한
[더구루=정예린 기자] 롯데케미칼이 말레이시아 자회사인 LC타이탄 지분을 매각할 수 있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대내외 불확실성에 따른 업황 회복 지연으로 실적 개선이 더딘 탓이다. LC타이탄 주가 역시 상장 대비 80% 이상 하락하며 투자자들의 고민을 가중시키고 있다. 말레이시아 경제지 '디엣지말레이시아'는 지난 6일(현지시간) "어려운 사업 환경으로 인해 롯데케미칼의 LC타이탄 투자와 관련해 민영화부터 지분 매각까지 여러 이야기가 나오고 있다"고 보도했다. LC타이탄은 롯데케미칼이 2010년 말레이시아 최대 석유화학사인 타이탄케미칼을 인수하며 출범했다. 동남아 핵심 사업장으로 2017년 말레이시아 증권거래소에 상장됐다. 폴리에틸렌(PE), 폴리프로필렌(PP) 등을 주로 생산한다. 롯데케미칼은 LC타이탄 지분 75.86%를 가진 대주주다. 말레이시아 최대 신탁 관리 회사 ASNB(Amanah Saham Nasional Berhad)와 공무원연금 운영기관인 KWAP(Kumpulan Wang Persaraan Diperbadankan)이 각각 2.45%, 1.07%의 지분을 보유하고 있다. LC타이탄 실적은 작년 2분기부터 5분기 연속 내리막길을 걷고 있다. 지난
[더구루=오소영 기자] 한화큐셀의 자회사 한화큐셀 조지아(Hanhwa Q cells Georgia, Inc.)가 노르웨이 REC실리콘으로부터 태양광 패널 원재료인 폴리실리콘을 받는다. 조지아 공장 증설로 늘어나는 폴리실리콘 수요에 대응한다. 6일(현지시간) REC실리콘에 따르면 자회사 REC솔라그레이드실리콘은 한화큐셀 조지아와 폴리실리콘 공급 계약을 체결했다. 공급 기간은 10년. 계약 규모는 약 30억 달러(약 4조원)로 추산된다. REC실리콘은 미국 워싱턴주 모지스레이크 공장에서 'FBR(Fluidized Bed Reactor) 공법'으로 생산한 폴리실리콘을 공급한다. FBR을 적용하면 전력 소비량이 줄고 원가 절감에 용이하다. REC실리콘은 첫 5년 동안 최저와 최저가를 모두 고려해 가격을 매긴다. 이후 5년은 최저·고가를 반영하지 않는다. 한화큐셀 조지아는 폴리실리콘 공급 대가로 상당한 계약금을 선지급한다. 이를 통해 모지스레이크 공장의 재가동을 지원한다. 모지스레이크 공장은 미·중 무역 분쟁 여파로 2019년부터 가동이 중단됐다. 중국이 미국산 폴리실리콘을 대상으로 보복성 관세를 부과하며 REC실리콘의 폴리실리콘 사업은 어려워졌다. 태양광 산업이 성
[더구루=정예린 기자] 중국 주요 IT 기업들이 엔비디아의 차세대 인공지능(AI) 칩 '블랙웰 B30'에 대해 대규모 선주문을 확정한 것으로 나타났다. 고성능 대신 가격 효율에 초점을 맞춘 제품임에도 불구하고 수요가 급증하며, 중국 AI 시장에서 엔비디아의 존재감이 더욱 커지고 있다. [유료기사코드] 14일 IT 팁스터 '주칸로스레브(Jukanlosreve)'가 인용한 산업계 노트에 따르면 엔비디아는 최근 중국 내 대형 고객들로부터 수십만 개 단위의 B30 칩 주문을 확보했다. 이들 물량은 대부분 오는 8~9월 사이 인도될 예정이다. 중국 인터넷 기업 A는 지난달 말 약 10억 달러(약 1조3800억원) 규모의 선주문 계약을 체결한 것으로 전해진다. 기업 B는 3분기 자본 지출 확대에 맞춰 B30 칩 30만 개를 추가 주문할 계획이며, 납품은 9월로 예정돼 있다. 기업 C도 B30 칩 확보에 나선 것으로 알려졌지만 구체적인 물량과 일정은 확인되지 않았다. B30은 미국의 대중국 수출 규제를 피하기 위해 설계된 중국 전용 AI 칩이다. 고대역폭메모리(HBM) 대신 최신 GDDR7 D램을 채택해 제조 단가와 전력 소비를 줄였으며, 성능은 엔비디아의 중국향 AI
[더구루=홍성일 기자] 퀄컴이 인도에서 구글, 삼성전자와의 새로운 확장현실(XR) 협업 방안을 발표할 수 있다는 전망이 나왔다. 인도 XR 시장 공략을 위한 내용이 될 것이라는 분석이 나온다. [유료기사코드] 14일 업계에 따르면 퀄컴은 오는 21일(현지시간) 인도 뉴델리에서 XR 데이를 개최한다. 퀄컴은 이날 행사를 통해 스냅드래곤 프로세서를 기반으로 한 차세대 스마트 안경, 공간 컴퓨팅, 몰입형 경험 분야 기술을 선보인다. XR 기술은 증강현실(AR)과 가상현실(VR), 혼합현실(MR)을 포괄하는 개념이다. 행사에서는 퀄컴과 XR 분야 개발자, 파트너사 간의 새로운 협업 내용도 발표될 예정이다. 이에 퀄컴이 구글, 삼성전자와의 새로운 협업 내용을 발표할 것이라는 전망이 나오고 있다. 퀄컴과 구글, 삼성전자는 지난 2023년 2월 XR '삼각동맹'을 체결했다. 그리고 지난해 12월 프로젝트 무한(Project Moohan)을 선보였다. 프로젝트 무한은 삼성전자의 하드웨어, 구글의 OS(안드로이드 운영체제), 퀄컴의 '스냅드래곤 XR2+ 2세대' 등 각사의 강점을 모은 것이 특징이다. 삼성전자, 구글, 퀄컴이 공동 개발한 XR 플랫폼 '안드로이드 XR’을 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