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구루=김형수 기자] 농심이 일본 시장을 겨냥한 신라면 김치 마케팅에 팔을 걷어붙였다. 소비자 접점 확대, 할인 행사 등을 통해 신라면 김치를 오리지널 신라면의 뒤를 잇는 '제2의 메가 브랜드'로 육성하고 현지 시장 내 입지를 강화한다는 전략이다. 4일 업계에 따르면 농심은 일본 나가노현에 자리한 '류오 마운틴 리조트'(竜王マウンテンリゾート) 내 소라 테라스 카페에서 신라면 김치 기반 콜라보 메뉴를 판매한다. 오는 31일까지 류오 마운틴 리조트 스키장을 찾는 고객들에게 신라면 김치를 선보여 K-라면을 알린다는 계획이다. 농심은 류오 마운틴 리조트와 손잡고 '유키야마 토마토 신라면 김치'를 개발했다. 신라면 김치에 토마토 페이스트, 올리브 오일, 생(生) 햄 등의 재료를 더해 이탈리아 파스타 같은 풍미를 살린 이색 메뉴다. 치즈 베이스의 휘핑크림을 라면 위에 올려 설산의 이미지를 표현했다. 신라면에 참깨 페이스트, 미소 된장, 라유 등을 추가한 '탄탄 신라면'도 준비했다. 소라 테라스 카페 매장 한쪽에 홍보 공간도 마련했다. 신라면 김치, 신라면 등 제품 이미지와 '매운 것은 즐겁다!'(辛いってたのしい!)등의 문구를 활용해 제작한 홍보물을 게시하고 제품을 진
[더구루=김형수 기자] 오리온이 베트남 감자 재배농가와의 동행을 지속하며 기업의 사회적 책임 실현에 앞장서고 있다. 지역 농민, 정부 등과 협력해 겨울철 감자 재배법을 개발, 현지 농가에 짭짤한 겨울철 수익을 제공하고 있다. 3일 업계에 따르면 베트남 꽝닌성 띠엔옌현 동하이(Dong Hai) 지역에 있는 오리온 베트남 계약 재배 농가들은 지난달 말 대서양 품종 감자를 수확했다. 22.8헥타르 규모의 대규모 감자밭이 있는 동하이 지역 농민들이 대서양 품종 감자를 수확하는 것은 지난해에 이어 올해로 두번째다. 농민들은 헥타르당 18톤가량의 대서양 감자를 수확했다. 대서양 감자 가격이 킬로그램당 8000동(약 430원)인 것을 감안하면 농민들은 생산 비용을 제외하고 헥타르당 약 4000만동(약 220만원)의 수익을 챙긴 것으로 추산된다. 수확된 감자는 전량 오리온에서 사들였다. 오리온의 지원을 통해 지역 농민들은 여름철 농사 이후 겨우내 놀리던 밭에서 대서양 품종 감자를 재배함으로써 겨울철 소득을 챙길 수 있게 됐다. 오리온이 베트남 농가를 비롯해 베트남농업아카데미(Vietnam Academy of Agriculture), 지역 정부 등과 손잡고 겨울철 대서양 품
[더구루=김형수 기자] 빙그레가 인도네시아에서 SNS 기반 쇼핑몰 틱톡숍 입점으로 유통망 확장에 나섰다. 오프라인을 넘어 온라인 유통망을 확대해 로컬 소비자들과의 접점을 확대한다는 계획이다. 2일 업계에 따르면 빙그레는 인도네시아 틱톡숍에 △바나나맛우유 △꽃게랑 등 대표 제품을 판매한다. 쇼피(Shopee), 라자다(Lazada) 등 기존 현지 대형 온라인쇼핑몰에 더해 SNS기반 라이브커머스 채널로 유통망을 넓혔다. 이번 인도네시아 틱톡숍 입점으로 빙그레의 로컬 소비자층이 확대될 전망이다. 대외경제정책연구원(KIEP) 조사 결과 지난해 연말 기준 틱톡의 인도네시아 내 액티브유저(활성 사용자) 숫자는 1억2500만명에 달하는 것으로 집계됐다. 2억7000만명의 전체 인구 가운데 절반에 가까운 사람들이 틱톡을 사용하고 있는 셈이다. 특히 틱톡은 숏폼 콘텐츠 트렌드에 힘입어 현지 젊은이들을 중심으로 선풍적 인기를 끌고 있는 것으로 분석된다. 두터운 이용자층에 힘입어 틱톡의 인도네시아 사업은 활기를 띠고 있다. 지난 2022년 기준 틱톡 플랫폼 내 인도네시아 전자상거래 시장 비율은 5%를 기록했다. 현지 진출 1년 만에 거둔 성과다. 빙그레는 인도네시아 판로 확대와
[더구루=김형수 기자] 블루에이프런(Blue Apron), 투헬로프레시(2HelloFresh), 선바스켓(Sun Basket) 등의 업체가 미국 밀키트 시장에서 두각을 나타내고 있다. 1인 가구 증가 등에 힘입어 밀키트 수요가 늘어난 가운데 이들 업체가 다양한 소비자 니즈를 겨냥한 제품과 서비스를 선보인 것이 성과로 이어진 것으로 분석된다. 2일 인도 시장조사기관 아드로이트 마켓 리서치(Adroit Market Research)에 따르면 오는 2030년 미국 밀키트 시장 규모는 644억달러(약 85조7360억원)에 달할 전망이다. 향후 6년간 연평균 15%에 달하는 높은 성장세를 이어나갈 것이란 예상이다. 1인 가구·맞벌이 가구 증가, 코로나19 판데믹을 계기로 확산된 재택근무 제도 등이 시장 성장 요인으로 꼽힌다. 개인의 필요, 취향 등에 따라 원하는 메뉴를 간편하게 조리해서 먹을 수 있다는 점도 장점으로 거론된다. 코트라는 현지 밀키트 시장을 주도하는 업체로 블루에이프런, 투헬로프레시, 선바스켓 등을 선정했다. 이들 업체는 소비자들의 다양한 취향을 겨냥한 밀키트 구독 서비스를 선보이고 있다. 블루에이프런은 셰프가 직접 개발한 레시피를 고품질 재료로 구성된
[더구루=한아름 기자] 농심이 태국에서 커스터마이징 마케팅을 강화, 현지 홈족(주로 집에서 시간을 보내는 이들) 잡기에 나선다. 자신의 입맛에 맞춰 새로운 레시피를 개발하는 소비자들이 많아지는 추세에 대표 제품인 신라면을 활용해 소비자들의 개성과 취향에 맞추겠다는 계획이다. 농심 태국법인은 1일 인스타그램 등 사회관계망서비스(SNS)를 통해 신라면 쩨파이(Jayfai) 컬래버레이션을 활용한 다양한 요리를 소개했다. 신라면 쩨파이 컬래버레이션은 농심이 지난해 11월 현지 유명 쉐프인 쩨파이와 협업해 개발된 태국 전용 제품이다. △신라면 똠얌 △신라면 볶음면 똠얌 총 두 제품으로 구성됐다. 농심은 신라면 볶음면 똠얌을 활용한 피자·전 두 가지 요리를 소개했다. 피자 도우 위에 신라면 볶음면 똠얌을 올리고 새우와 치즈, 고수 등을 첨가한 후 오븐에 돌리면 된다. 전은 썰은 양배추와 계란, 신라면 볶음면 똠얌을 섞은 후 프라이팬에 구우면 된다. 신라면의 매운 맛과 태국 똠얌 특유의 새콤한 맛이 조화를 이룬다고 회사측은 설명했다. 또한 새우나 치즈, 계란 등 재료가 추가되면서 고급스러운 풍미를 낼 수 있다는 점 또한 강조했다. 농심은 소비자들의 의견을 모아서 새로운
[더구루=한아름 기자] 동원F&B가 프리미엄 발효유 브랜드 ‘덴마크 하이(Hej!)’를 론칭, 극내 발효유 시장 경쟁력 제고에 나섰다. 덴마크 하이는 토탈 유가공 브랜드 ‘덴마크’의 서브 브랜드다. 낙농강국 덴마크의 유산균과 다양한 기능성 원료를 함유한 프리미엄 제품들을 지속 선보인다는 계획이다. 동원F&B는 29일 프리미엄 발효유 브랜드 덴마크 하이 액상 발효유 제품 ‘덴마크 하이 요구르트’를 출시했다. 덴마크 하이 요구르트는 덴마크산 유산균 포함 100억 CFU(보장균수)를 보증해 장 건강에 도움을 줄 수 있다고 회사측은 설명했다. 제품에는 GC녹십자웰빙이 개발한 호흡기 특허 유산균이 들어있다. 면역 기능에 필요한 아연과 뼈 형성에 필요한 칼슘, 비타민D도 함유돼있다. 당 함량이 액상 발효유 판매 상위 3개 제품의 평균 대비 35% 이상 적어 남녀노소 모두 부담 없이 즐길 수 있다는 점도 장점이다. 동원F&B는 덴마크 드링킹 요구르트·덴마크 슈퍼바이오틱스 등의 인기로 지난해 국내 드링킹 시장 1위를 기록한 만큼 액상 발효유 시장에서 경쟁력을 끌어 올린다는 방침이다. 동원F&B 관계자는 “이번 신제품은 낙농업 강국 덴마크의 검증
[더구루=김형수 기자] 다니엘 마티슨(Dan Mathieson) 제스프리 최고경영자(CEO)가 미국 베리류 과일 전문기업 드리스콜스(Driscoll’s)에 새 둥지를 튼다. 드리스콜스가 제스프리 성장을 견인한 다니엘 CEO 영입을 통해 미국 시장 내 경쟁력 제고에 나선 것으로 분석된다. [유료기사코드] 드리스콜스는 29일 다니엘 마틴슨 CEO를 미국 사장으로 발탁했다. 드리스콜스는 다니엘 CEO가 미국 사업의 △전략 수립 △재무 등 현지 사업 전반을 진두지휘하게 된다고 전했다. 드리스콜스는 지난 1944년 설립됐다. 딸기를 비롯해 블랙베리, 라즈베리, 블랙베리 등 베리류 과일을 전문적으로 취급하고 있다. 북미, 호주, 유럽, 중국 등 전세계 22개국에서 사업을 펼치고 있다. 드리스콜스는 다니엘 CEO가 제스프리에서 근무하며 쌓은 노하우가 드리스콜스 미국 사업 성장의 발판이 될 것이라고 기대하고 있다. 그는 지난 2017년부터 7년 동안 제스프리 CEO로 활동하며 경영 능력을 입증했다 실제 다니엘의 진두지휘로 제스프리는 급성장을 성과를 이뤄냈다. 지난 2017년 23억달러(약 3조700억원) 수준이었던 제스프리 매출은 지난 2022년 40억달러(약 5조3400
[더구루=김형수 기자] 농심이 일본에서 유엔 세계식량계획(이하 WFP)과 손잡고 2년 연속 레드컵 캠페인을 펼치며 기업의 사회적 책임 실현에 앞장선다. 캠페인 규모를 확대해 개발도상국 학교 급식 지원에 더 큰 힘을 보탠다는 방침이다. 농심 일본법인 농심 재팬은 29일 지난해에 이어 올해도 WFP가 전개하는 레드컵 캠페인에 동참한다고 밝혔다. 레드컵 캠페인은 WFP가 지난 2011년 글로벌 기아 퇴치를 위해 시작했다. 해당 캠페인을 통해 지난해까지 총 2600만명에 달하는 개발도상국 학생들에게 급식을 지원했다.<본보 2023년 11월 30일 참고 농심, 일본서 유엔세계식량계획 ‘레드컵 캠페인’ 동참...기아 퇴치 앞장> 다음달 1일부터 기존 2종이었던 레드컵 캠페인 대상 상품을 5종으로 늘리고 지원 규모를 확대한다는 계획이다. 신라면 봉지면 번들(3입), 신라면 용기면에 더해 신라면 김치 용기면, 신라면 김치 봉지면 번들(3입), 신라면 블랙 봉지면 번들(3입) 등을 캠페인 대상 상품에 추가할 예정이다. 농심 재팬은 레드컵 캠페인 대상 상품이 1개 판매될 때마다 0.1엔(약 1원)을 모아 WFP에 전달한다는 방침이다. 레드컵 캠페인 대상 상품 패키지
[더구루=김형수 기자] 뉴질랜드 키위업체 제스프리가 올해 1억9300만 트레이(1트레이당 약 3.5kg)의 출하량 목표를 내걸었다. 지난해 부진을 딛고 올해 재도약에 시동을 걸겠다는 계획이다. 글로벌 시장 성장과 작황 호조 등에 힘입어 키위 수요가 늘어날 것이란 장밋빛 전망도 나온다. [유료기사코드] 제스프리는 28일 올 글로벌 키위 출하량 규모를 전년대비 45% 증가한 1억9300만 트레이로 올려 잡았다. 지난해 부진을 딛고 키위 출하량이 반등할 것이란 예측이다. 지난해 제스프리 글로벌 키위 출하량은 지난해 1억3300만 트레이로 지난 2021년 대비 24% 감소했다. 코로나19 판데믹, 노동력 부족 등의 영향으로 분석된다. 건강, 웰니스에 대한 소비자 인식 제고가 글로벌 키위 수요 증대로 이어질 것이라는 기대감도 커졌다. 키위에는 일일 권장 섭취량의 117%에 해당하는 비타민C, 21%에 해당하는 식이섬유가 들어있다. 소화, 면역, 심장 건강 등에 도움을 주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단박에 글로벌 키위 시장도 성장할 것으로 전망된다. 미국 시장조사기관 글로벌 인포메이션(Global Information) 조사결과 오는 2026년 글로벌 키위 시장 규모는 2
[더구루=김형수 기자] 일본 담배업체 JT가 궐련형 전자담배 플룸X를 내세운 글로벌 사업 확대에 본격 드라이브를 건다. 플룸X 판매국가를 대폭 늘리고 글로벌 궐련형 전자담배 시장 '만년 꼴찌'를 탈출하겠다는 계획이다. [유료기사코드] 마사미치 테라바타케(Masamichi Terabatake) JT그룹 사장은 지난 13일(현지 시간) 플룸X 진출국을 오는 2026년까지 40개국으로 확대하겠다는 비전을 제시했다. 플룸X는 △체코 △그리스 △헝가리 △일본 △카자흐스탄 등 13개국(지난해 기준)에서 판매되고 있다. 플룸X 진출국을 향후 2년간 3배 넘게 늘리겠다는 것이다. JT는 지난 2021년 플룸X를 출시했다. 기기 표면 버튼을 없앤 차세대 디자인을 적용하고 신규 가열 기술 히트플로우(HEATFLOW)를 활용해 사용자 경험을 개선했다. 블루투스로 스마트폰과 연동 시 배터리 잔량 확인, 기기 잠금 등도 할 수 있다. 마사미치 테라바타케 사장은 "오는 2026년까지 플룸X를 중심으로 한 비연소 제품군 글로벌 사업에 우선순위를 두고 사업을 전개할 계획"이라면서 "비연소 제품군 글로벌 영토 확장, 매출 확대에 주력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플룸X 마케팅을 지속적으로 펼치
[더구루=한아름 기자] 풀무원이 독일 푸드테크 기업과 손잡고 버섯 균사체를 기반으로 한 미래 식품 개발을 본격화한다. 풀무원이 미래 성장 동력으로 내세운 비건 사업에 경쟁력을 더하고 해외 시장을 개척해 글로벌 비건 시장을 선점하겠다는 계획이다. 앞서 풀무원은 2021년 '식물지향 기업'을 선언하고 시장 공략에 나섰다. 독일 인피니트루츠(Infinite Roots·옛 머쉬랩(Mushlabs))은 27일 풀무원과 전략적 파트너십 계약을 체결했다. 이번 계약으로 양사는 국내 소비자의 취향을 고려한 대체육을 공동 연구한다. 구체적으로 전통 한식 요리를 기반으로 한 제품을 개발하겠다는 게 핵심이다. 인피니트루츠는 지난 2018년 독일에 설립된 푸드테크 기업이다. 버섯 균사체 관련 특허를 보유하고 있다. 균사체는 버섯 뿌리에 해당하는 부분으로 △베타글루칸 △폴리페놀 △아미노산 등 영양소가 집중돼 있다. 이를 기반으로 배양육과 건강기능식품 등을 개발할 수 있다. 물 사용량과 탄소 배출량도 90% 이상 줄일 수 있어 친환경 미래 유망 식품으로 주목받고 있다. 이 때문에 지난달 5800만달러(약 772억4000만원) 규모의 시리즈B 라운드 투자 유치에 성공하기도 했다. 풀무
[더구루=한아름 기자] KGC인삼공사 건강기능식품 '코어셀렉트'(Koreselect)가 미국 건강기능식품 시장에서 제품력을 인정받았다. 2022년 미국에 코어셀렉트 론칭한 지 2년 만에 현지 시장에 성공적으로 안착했다는 평가가 나온다. KGC인삼공사는 현지화 전략을 앞세워 맞춤형 홍삼과 고품질을 알리고 건강기능식품 한류를 일으키겠다는 각오다. 27일 미국 과학 잡지 디스커버 매거진(Discover Magazine)에 따르면 코어셀렉트 아슈와간다·마그네슘·로디올라 캡슐(Ashwagandha Stress Support Capsules With Rhodiola & Magnesium)이 보충제 톱16에서 7위를 차지했다. 코어셀렉트는 쓴맛에 익숙하지 않은 미국 소비자를 위해 액상형 스틱이나 캡슐 형태 제품이다. 코어셀렉트는 △혈액순환 촉진 △ 체력 증진 △면역력 강화 △인지 능력 강화 △염증 완화 등에 도움을 줄 수 있다고 회사측은 설명했다.검증된 천연 솔루션인 식물 기반으로 만들어졌으며 6년산 홍삼만 사용된다. 인공 착색료와 향료, 방부제, 유제품, 생선, 계란, 견과류 등은 포함돼있지 않다. 전 제품 모두 GMO 프리, 카페인 프리, GMP 품질 보증받았
[더구루=오소영 기자] 미국 리튬 스타트업 '에너지엑스(EnergyX)'가 내달 호주 판테라 리튬(Pantera Lithium)의 자회사 데이토나 리튬(Daytona Lithium) 인수를 마무리한다. 판테라 리튬 주주들의 높은 지지를 확인했으며 실사도 마쳤다. 빠르게 인수 작업을 끝내고 리튬 자산을 추가해 생산량을 늘린다. [유료기사코드] 18일 판테라 리튬에 따르면 최근 주총에서 데이토나 리튬을 에너지엑스에 매각하는 안건을 의결했다. 압도적인 찬성표로 안건을 통과시키며 주주들의 강한 신뢰를 확인했다. 재무와 법률, 기술 실사를 모두 마친 상태로 내달 초 거래를 완료할 것으로 전망했다. 데이토나 리튬은 미국 아칸소주 스맥오버 지층(Smackover Formation·텍사스부터 플로리다까지 넓게 퍼진 석회암 지대) 일대에서 리튬 개발 사업을 진행하고 있다. 약 3만5000에이커(약 1억4163만9975㎡) 규모의 부지에 광권을 보유했다. 에너지엑스는 '론스타 프로젝트(Project Lonestar)'와 시너지를 낼 수 있다고 보고 데이토나 리튬 인수를 추진했다. 지난 7월 판테라 리튬과 4000만 호주달러(약 370억원)에 지분을 인수하기 위한 구속력 있는
[더구루=홍성일 기자] 중국판 뉴럴링크(Neuralink)로 불리는 뇌-컴퓨터 인터페이스(BCI) 스타트업 '브레인코(BrainCo)'가 차세대 로봇 손을 공개했다. 브레인코는 인간의 손처럼 정교한 작업이 가능한 '덱스터러스 핸드'를 통해 체화 지능(Embodied Intelligence) 분야로 사업을 확장한다는 목표다. [유료기사코드] 18일 업계에 따르면 브레인코는 지난 16일 차세대 바이오닉 덱스터러스 핸드 제품인 '레보2 핸드(Revo2 Hand, 이하 레보2)'를 선보였다. 브레인코는 레보2에 대해 의수 개발을 통해 쌓아온 전문성을 바탕으로 개발됐다며 체화 지능 분야 확장을 위한 토대가 될 것이라고 설명했다. 체화 지능은 실제 환경과 상호작용하고 행동할 수 있는 인공지능(AI)를 말한다. AI가 단순히 정보를 처리하는 것을 넘어 로봇이나 장치에 통합돼 주변 환경을 감지하고, 이해할 수 있게 된다는 의미다. 레보2는 성인 여성의 손과 비슷한 16cm 길이에, 무게는 383g으로 업계 평균보다 20% 가량 가볍다. 그러면서도 50N(뉴턴)의 강력한 파지력으로 사무실 생수통에 해당하는 20kg 무게의 물체도 들어 올릴 수 있다. 또한 0.1mm의 서브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