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구루=길소연 기자] 공작기계 솔루션 전문기업 ㈜디엔솔루션즈(DN Solutions, DN솔루션즈)가 유럽시장을 공략하기 위해 독일에 연구개발(R&D) 센터를 구축한다. 독일에 판매법인이 있지만 R&D센터를 설립해 DN솔루션즈의 유럽시장 공략 과정에서 거점 역할을 할 것이라는 관측이다. 10일 업계에 따르면 DN솔루션즈는 오는 11월 독일 도마겐(Dormagen)에 유럽 최초의 R&D센터를 오픈한다. DN솔루션즈는 R&D센터를 통해 유럽시장 자체 서비스를 제공하고, 향후 유럽지사까지 개설할 것으로 알려졌다. 현재 유럽 시장에는 딜러가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네덜란드에서는 도만(Dorman)으로, 벨기에에서는 제르몽(Germond)으로 DN솔루션즈의 공작기계가 판매되고 있다. 김원중 DN솔루션즈 대표는 "과거 모회사인 DN오토모티브가 유럽 엔지니어들의 역량과 결합해 독일에 R&D센터를 개관해 경험을 쌓아왔다"며 " DN솔루션즈가 독일에 자체 R&D센터를 개설하는 이유"라고 말했다. 이어 "R&D센터는 하노버 공작기계박람회에서 선보인 5축 수직형 머시닝센터(DVF 5000)와 같이 새로운 제품 개발과 디지털
[더구루=길소연 기자] 한화에어로스페이스가 폴란드와 신형 차세대 자주포를 개발하는 방안을 검토한다. 폴란드가 운용하는 자주포 크랩(KRABB) 보다 더 넓은 작전 범위와 탄약, 반포 사격 등으로 방어 능력을 향상시킨다. 폴란드 현지 싱크탱크인 폴리티카 인사이트(Polityka Insight)는 8일(현지시간) 한화에어로스페이스가 폴란드 국영 방산기업 후타 스탈로바 볼라(Huta Stalowa Wola, HSW)와 자주포 '크랩 SPH 155'을 공동 개발한다고 밝혔다. 우크라이나 전쟁에서 운용되는 폴란드의 155mm 자주포 크랩을 바탕으로 신형 자주포를 제조한다. 신형은 '크랩2(KRABB 2)', '크랩3(KRABB 3)'으로 불릴 전망이다. 한국과 폴란드가 공동개발에서 직면한 가장 큰 과제는 자주포의 작전 범위를 늘리는 것이다. 폴란드 크랩 자주포의 작전 사거리는 약 40km이다. 한화에어로스페이스 K9 자주포의 작전사거리도 약 40㎞이다. 폴리티카 인사이트는 신형 자주포의 사거리를 늘리는 방법으로는 포병 추진 시스템을 통합하는 것이라 밝혔다. 엔진과 변속기를 업그레이드하면 더 많은 출력과 효율성을 제공할 수 있어 자주포가 더 먼 거리를 이동하고 이전에는
[더구루=길소연 기자] 폴란드에서 드론이 점차 다양한 산업 분야에서 활용되면서 시장 규모가 확대되고 있다. 폴란드 드론 시장은 동유럽은 물론 세계의 핵심 시장으로 부상하면서 한국 기업의 진출에 속도가 붙을 전망이다. 9일 폴란드 연구재단 미크로마크로(Fundacja Mikromakro)와 폴란드 국영연구소 우카시에비치항공연구소(Fundacja Mikromakro i Łukasiewicz-Instytut Lotnictwa) 보고서에 따르면 올해 폴란드 드론 시장의 매출은 2560만 달러에 이를 것으로 전망된다. 2023~2028년 연평균 성장률은 4.3%로 예상된다. 폴란드 100대 드론 기업 중 84%의 매출이 300만 즈워티(약 9억원) 미만이며, 4%의 기업이 300만~1000만 즈워티(약 9억~30억원) 사이를 기록하는 것으로 나타난다. 나머지 6%의 기업의 매출은 1000만~2000만 즈워티(약 30억~60억원), 나머지 6%의 기업 매출이 2000만~8000만 즈워티(원화 약 60억~240억 원)로 보고되고 있다. 이는 폴란드 드론 시장에는 아직 중소기업들이 주로 많이 활동하고 있음을 의미한다. 폴란드 드론 시장은 빠르게 성장하고 있다. 폴란드 민간
[더구루=길소연 기자] 북대서양조약기구(NATO·나토) 회원국인 불가리아가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 이후 서방 무기를 구매하고 있다. 2004년부터 구소련 무기에 대한 의존도가 높았지만 불가리아의 흑해 해안에서 고폭탄을 탑재한 드론 파편이 발견되면서 무기 구매를 서두르고 있다. 7일 업계에 따르면 불가리아는 우크라이나 전쟁 발발 이후 다수의 서방 무기 제조 업체들과 27억 달러(약 3조 6490억원) 상당의 무기 구매 계약을 체결했다. 불가리아는 러시아 위협 증대에 대응해 무기 전력을 개선하고 있다. 불가리아는 지난달 18일 흑해 연안에서 드론 잔해로 의심되는 물체가 발견했다. 해당 드론에는 82mm 박격포탄이 실린 것으로 알려졌다. 불가리아 국방부는 특수부대를 투입해 드론에 부착된 폭발물을 처리했다. 드론 처리 후 국경 지역 경계를 강화하고 있다. 니콜라이 덴코프(Nikolai Denkov) 불가리아 총리는 "누구도 흑해 도시에 접근하지 못하도록 해안경비대를 위한 미사일을 구매하기 시작했다"며 "러시아의 호전성(好戰性)은 우크라이나가 러시아의 유일한 목표가 아닐 수 있음을 시사한다"고 말했다. 불가리아는 올 초부터 무기 체계 현대화를 추진해왔다. 불가리아군
[더구루=길소연 기자] HD현대건설기계의 지게차 해외 판매법인인 현대머티리얼핸들링이 HD현대사이트솔루션-머티리얼핸들링으로 사명을 변경한다. 6일 업계에 따르면 현대머티리얼핸들링은 HD현대사이트솔루션-머티리얼핸들링(HDHyundai Xitesolution-Material Handling)으로 사명을 바꾼다 첨단 소재 취급 장비 제조의 글로벌 리더로서 자리매김하고자 함이다. 현대머티리얼핸들링은 브랜드 리뉴얼에 따라 모든 장비에 새로운 사명과 로고, 브랜딩 색상 등의 디자인을 입혀 업데이트한다. 새 로고는 고객의 효율성과 생산성을 돕기 위해 새로운 혁신과 방법을 찾아 앞으로 나아가겠다는 HD현대의 의지를 담았다. 루이스 바이어스(Lewis Byers) 현대머티리얼핸들링 북미 사업 최고운영책임자(COO)는 "현대머티리얼핸들링이 변경하는 새 사명과 이미지는 혁신에 대한 HD현대의 의지와 미래에 대한 메시지를 보여준다"고 밝혔다 현대머티리얼핸들링은 미국 조지아 주 노크로스에 본사를 두고 있으며 미국과 캐나다 전역의 166개 지역에 56개의 딜러를 보유하고 있다.
[더구루=정예린 기자] HD현대일렉트릭이 미국 저전압 전동기 시장 공략에 나선다. 현지 부품사 '월드와이드 일렉트릭(World Electric)'과의 독점 파트너십을 청산하고 자체 유통망을 넓힌다. 6일 HD현대일렉트릭에 따르면 회사는 최근 월드와이드 일렉트릭과의 저전압 전동기 독점 유통 파트너십을 종료했다. 비독점 파트너십으로 전환해 향후에도 전동기 사업을 공동 추진할 예정이다. HD현대일렉트릭 관계자는 "미국 시장 내 저변을 확대하기 위해 이같은 결정을 내렸다"며 "앞으로도 월드와이드 일렉트릭과 대리점 사업 등 기존에 하던 사업을 계속 이어갈 것"이라고 밝혔다. 월드와이드 일렉트릭은 HD현대일렉트릭의 저전압 전동기 판매 대리점 역할을 해왔다. 미국에서 HD현대일렉트릭 제품을 구매하는 정식 루트는 월드와이드 일렉트릭을 통하는 것 뿐이었다. 독점 파트너십 종료를 계기로 HD현대일렉트릭의 현지 판매망이 더욱 다변화돼 시장 입지를 강화할 수 있는 계기가 될 것으로 기대된다. HD현대일렉트릭은 2017년 4월 HD현대중공업에서 분할 신설됐다. 변압기, 차단기, 회전기 등 전력기기 제조사다. HD현대일렉트릭의 제품은 전력 공급 단계에 따라 크게 △전력기기 △배전기기
[더구루=길소연 기자] 올해 '기업공개(IPO) 대어'로 꼽힌 두산로보틱스가 세계 협동로봇(Cobot)시장에서 주요 키플레이어로 꼽혔다. 6일 글로벌시장조사기관 베리파이드 마켓 리서치(Verified market research)에 따르면 글로벌 협동로봇산업 규모는 오는 2030년 168억달러(약 22조6800억원) 규모에 달할 전망이다. 연평균 성장률도 40%에 달한다. 협동로봇은 효율성, 안전 및 산업 운영 향상에 중점을 두면서 다양한 산업 분야에서 없어서는 안 될 존재가 됐다. 협동로봇 시장에서 가장 눈에 띄는 기업은 두산로보틱스다. 또한 △덴마크 유니버설로봇(Universal Robots) △일본 화낙(Fanuc) 대만 테크맨 로봇(Techman Robot) △스위스 ABB, 중국 아우보 로보틱스(AUBO Robotics) △일본 야스카와(YASKAWA) △독일 쿠카(KUKA) △미국 프리사이스 오토메이션(Precise Automation) △독일 리싱크트로보틱스 (Rethink Robotics) 등도 주요 플레이어로 부각됐다. 2015년에 출범한 두산로보틱스는 주요 사업 영역인 최고 품질의 협동로봇을 기반으로 다양한 솔루션 패키지와 플랫폼 소프트웨어
[더구루=길소연 기자] 한화에어로스페이스가 투자한 이스라엘의 항공 기술 스타트업 인피니돔(infiniDome)이 영국에 이어 미국에서도 무인항공기(UAV) 보호 솔루션을 시연한다. 6일 업계에 따르면 인피니돔은 오는 9일부터 11일까지 미국 워싱턴DC 워싱턴 컨벤션센터에서 열리는 미국 육군전시회(AUSA 2023 Annual Meeting & Exposition)에 참가해 무인기 보호 솔루션을 선보인다. AUSA 전시회는 미 육군협회가 주관하는 세계 최대 규모의 지상군 분야 방산전시회다. 세계 최대인 미국 시장을 노리는 전 세계 방산 기업들이 매년 관심을 보이고 있다. 우리 정부도 K9 자주포, 천궁Ⅱ, 현궁, 전술지대지유도무기 등 주력 상품에 대한 무기체계 영상을 만들어 각 정부나 기업들에 배포하는 방안을 논의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인피니돔은 AUSA에서 부스 #556를 마련해 자사 솔루션의 라이브 데모를 전시하고 수행할 예정이다. 위성측위시스템(Global Navigation Satellite System, GNSS)을 전파 방해로부터 보호하는 최신 고급 제품인 항재밍 솔루션 'GPSDome2'도 선보인다. 전시회 방문객들은 인피니돔 부스에서 진
[더구루=길소연 기자] 한화비전이 와이즈넷 통합관리 시스템(Video Management System, 이하 VMS)에 인공지능(AI) 안면 인식 기능을 탑재한다. 한화비전은 AI 안면인식 기능으로 엑스포나 박람회장과 같은 곳에서 개인의 출입을 통제하는 동시에 실종자 추적을 신속하게 수행하는 등 감시 기능을 강화한다. 6일 업계에 따르면 한화비전은 와이즈넷 웨이브(Wisenet WAVE)의 영상관리시스템(VMS)에 AI 기반 안면 인식 기술의 선두주자인 대만 사이버링크(CyberLink)의 안면 인식 API 플랫폼 '페이스미(FaceMe®)'를 통합한다. 영상관리 플랫폼 와이즈넷 웨이브 사용자는 페이스미를 통해 차단 목록에 있는 개인 감지, 실시간 경고, 직원 접근 제어 기능, 최적화된 얼굴 검색 기능으로 기존 스마트 보안과 접근 제어 인프라를 손쉽게 업그레이드할 수 있다. 한화비전의 와이즈넷 웨이브 VMS는 영상과 음성 분석 기능을 활용하면서 한화 CCTV 카메라의 영상 감시를 모니터링, 녹화, 관리하는 영상 관리 시스템이다. 안면 인식 API 플랫폼 '페이스미(FaceMe®)'는 얼굴 인식 결과의 비디오 타임라인 표시를 통해 사람을 쉽게 찾을 수 있다.
[더구루=길소연 기자] 두산밥캣이 미국 조경장비 브랜드 '라이언'을 리브랜딩해 북미 조경장비 시장을 공략한다. 라이언을 '밥캣' 브랜드로 통합해 인지도를 높이고 사업 기회를 발굴한다. 5일 업계에 따르면 두산밥캣은 내년에 잔디 표면처리 장비 라이언을 리브랜딩해 출시한다. 밥캣의 글로벌 브랜딩 전략에 따라 라이언에 밥캣의 상업용 이미지를 입힌다. 라이언 제품 라인은 조경장비 브랜드 제품을 제조하는 미국 위스콘신주 존슨 크릭에 위치한 두산밥캣 제조시설에서 생산된다. <본보 2023년 6월 19일 참고 밥캣, 美 위스콘신 리노베이션 완료 …근무환경 개선> 밥캣 브랜드로 전환된 라이언 장비는 내년에 새로운 휴대용 전력·자재 취급 브랜드와 함께 두산밥캣의 광범위한 글로벌 딜러 네트워크를 통해 판매된다. 두산밥캣은 지난 2019년 미국 조경장비 전문업체인 쉴러 그라운드 케어로부터 제로 턴 모어(Zero-turn Mower, 승용식 잔디깎기) 사업인 밥캣(BOBCAT), 스타이너(Steiner), 라이언(Ryan) 등 3개 브랜드를 약 8200만 달러에 인수했다. 라이언은 75년 이상 잔디 재생 장비를 제조해 왔으며 조경 및 토양 관리 전문가를 위한 통풍기,
[더구루=길소연 기자] 현대로템이 미국 캘리포니아 고속철도 사업을 참여한다. 오는 2030년 개통을 목표로 하는 캘리포니아 고속철도 사업은 열차 제공 뿐만 아니라 유지 관리 등 종합적인 서비스가 필요하다. 5일 업계에 따르면 현대로템은 지난달 6일(현지시간) 캘리포니아 고속철도청(California High-Speed Rail Authority)이 주최한 고속철 사업 관련 온라인 사전 입찰 설명회에 참여했다. 이번 사전 입찰 설명회에는 프랑스 알스톰과 독일 지멘스도 참여했다. 사전 입찰 설명회는 공식 입찰 전 사전 설명하는 단계다. 열차 계약 입찰 예정자에게 필수적인 행사는 아니다. 설명회 참여 업체 외 다른 회사들도 11월 중순 마감일까지 제안요청서를 제출할 수 있다. 현대로템 관계자는 "입찰 공고가 떴고, 온라인 사전 입찰 설명회에 참석했다"며 "캘리포니아 고속철 사업에 입찰 참여를 검토 중"이라고 밝혔다. 앞서 캘리포니아 고속철도청은 지난 8월 6대의 고속열차 차량 공급업체 입찰에 관심이 있는 회사에 대한 자격 요청서를 발표했다. 자격 요청에는 6대의 열차 세트를 추가로 구매할 수 있는 옵션과 30년간의 유지보수 계약 등이 포함됐다. 캘리포니아 고속철도
[더구루=길소연 기자] 베트남 정부가 중국산 풍력타워의 반덤핑 조사에 나선다. 베트남에서 풍력타워를 제조해온 씨에스윈드(CS WIND) 등 베트남 타워 제조업체의 요청에 따라 반덤핑 조사에 나선다. 4일 업계에 따르면 베트남 산업무역부는 지난달 25일(현지시간) 중국에서 수입되는 풍력 타워 제품이 시장가격보다 낮게 판매돼 반덤핑 관세 부과에 대한 조사를 착수한다. 베트남 산업무역부는 시행령 제10/2018/ND-CP 제7조 4항에 따라 완전하고 유효한 면제 요청을 접수한 날로부터 45일 이내에 무역구제 면제 적용에 대한 결정을 내린다. 조사 대상 제품은 HS코드 7308.20.11와 7308.20.19로 분류된다. 이 제품은 풍력 발전기의 부품으로 수입되는 경우 HS코드 8502.31.10과 8502.31.20가 된다. 베트남 산업무역부는 조사를 개시한 후 관련 당사자에게 설문지를 보내 혐의를 분석하고 평가하기 위한 정보를 수집할 예정이다. 산업무역부는 예비 조사 결과에 따라 피해를 유발하는 덤핑 관행이 지속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임시 반덤핑 조치를 적용할 수 있다. 베트남 산업무역부는 "공식 조사를 완료하고 발표하기 전에 관련 당사자가 제공한 정보를 검토
[더구루=오소영 기자] 폴란드가 고속철도 사업 입찰을 조만간 시작한다. 대규모 예산을 편성하고 '바르샤바-우쯔(Warsaw–Łódź)' 구간의 입찰 추진을 시사했다. 신공항과 주요 도시를 연결할 철도망 구축에 본격 돌입하면서 현대로템의 참여도 주목된다. [유료기사코드] 17일 폴란드 신공항사(Centralny Port Komunikacyjny, 이하 CPK)에 따르면 내년부터 3년 동안 약 100건의 입찰을 추진한다. 내년에만 400억 즈워티(약 15조4100억 원) 상당 입찰에 나선다. 입찰 규모는 1분기 약 70억 즈워티(약 2조6900억 원), 2분기 약 200억 즈워티(약 7조7000억 원), 3분기 약 30억 즈워티(약 1조1500억 원), 4분기 약 100억 즈워티(약 3조8500억 원)로 전망된다. 가장 이목을 끄는 입찰은 바르샤바-우쯔 고속철도 사업이다. 이 사업은 약 480㎞ 고속철도를 깔아 폴란드 신공항과 수도인 바르샤바, 우쯔, 포즈난을 잇는 Y자형 고속철도의 구간 중 하나다. CPK는 완공 후 바르샤바와 우쯔의 이동 시간이 약 70분에서 40분으로 줄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바르샤바에서 신공항까지 이동 시간은 20분 이내로 단축된다. C
[더구루=오소영 기자] 싱가포르 인공지능(AI) 인프라 회사 'SUPX(Super X AI Technology Limited)'가 중국 항저우중헝전기(杭州中恒电气, 이하 중헝전기)와 초고압직류송전(HVDC) 합작사를 출범한다. 중국 주요 기업들을 고객사로 둔 중헝전기의 HVDC 기술을 활용해 세계 시장에 진출한다. AI 데이터센터로 확산되는 HVDC 수요를 공략한다는 계획이지만 주요국들의 '탈(脫)중국' 기조가 걸림돌이 될 것으로 보인다. [유료기사코드] 17일 선전증권거래소에 따르면 SUPX의 자회사 '슈퍼엑스 AI 솔루션(Super X AI Solution Limited)'은 에너벨파워(Enervell Power)와 합작사 '슈퍼엑스 디지털 파워(SuperX Digital Power Pte. Ltd.)'를 설립한다. 신설 합작사는 싱가포르 상업지구인 메이플트리 비즈니스 시티에 위치한다. 총투자액은 200만 싱가포르 달러(약 20억 원)로, 글로벌 데이터센터 시장을 겨냥해 HVDC 사업을 전개하는 역할을 한다. 지분은 △슈퍼엑스 AI 솔루션 40% △에너벨파워 20% △중헝전기 특수관계인 20% △싱가포르 주주(ONG CAI PING와 JOVAIL) 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