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구루=김도담 기자] 엔비디아가 생성 AI 플랫폼 확장 및 인재 양성을 위해 인도에서 광폭 행보를 이어가고 있다. [유료기사코드] 엔비디아는 20일(현지시간) 인도 인포시스와 파트너십을 맺고, 인포시스가 생성 AI 애플리케이션 및 솔루션을 통해 생산성을 향상할 수 있도록 지원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양사는 '엔비디아 엑설런스 센터'를 설립, 5만명에 달하는 인포시스 임직원이 엔비디아의 AI 교육과 인증을 받을 수 있도록 할 계획이다. 또 엔비디아의 엔터프라이즈 생태계를 인포시스의 AI 솔루션 '토파즈'에 도입하기로 했다. 아울러 △3D 워크플로우 △디자인 협업 △디지털 트윈 △월드 시뮬레이션 등 기업 사용 사례를 위한 솔루션 개발을 중심으로 디지털 애플리케이션 확장에도 협력한다. 양사는 △5G △사이버 보안 △에너지 전환과 같은 분야에서 AI 기반 솔루션을 공동 개발하고 있다. 젠슨 황 엔비디아 CEO는 "생성 AI가 기업 생산성 향상의 차세대 물결을 주도할 것"이라며 "인포시스와 고객사가 맞춤형 애플리케이션과 솔루션을 구축할 수 있도록 돕고, 관련 전문 인력도 양성하겠다"고 말했다. 난단 닐레카니 인포시스 회장 역시 "인포시스 토파즈의 강점과 엔비디아의 핵
[더구루=길소연 기자] 카타르가 100억 달러(약 13조원)에 달하는 40척의 액화천연가스(LNG) 운반선 2차 발주에 나선다. 1차 수주전과 같이 한국과 중국 조선업계가 치열한 수주 경쟁을 벌일 것으로 보인다. [유료기사코드] 21일 업계에 따르면 카타르 국영 에너지기업 카타르에너지(QatarEnergy)는 한국과 중국 조선소에서 27만㎥급 초대형(Q-MAX) LNG 운반선 15척을 발주할 계획이다. 거래는 올해가 끝나기 전 마무리 될 것으로 보인다. 카타르에너지는 지난 6월부터 40여척 규모의 카타르발 LNG 운반선 2차 발주 관련 공식 회의(kick-off meeting)를 시작했다. <본보 2023년 7월 7일 참고 카타르發 LNG선 40척 하반기 발주…韓 수주물량은?> 카타르가 발주하려는 선박은 큐맥스(Q-Max) LNG 운반선이다. 'Q'는 카타르를 나타내고, 'Max'는 카타르 LNG 터미널에 도킹할 수 있는 최대 선박 크기를 나타낸다. 27만㎥급 초대형 LNG운반선으로 세계에서 가장 크다. 보통 LNG운반선은 17만4000㎥이 대부분이다. 선가는 17만4000㎥급이 한국에서 척당 2억6000만 달러, 중국에서 2억3500만 달러에 달
[더구루=홍성일 기자] 삼성전자가 투자한 인공위성 기반 통신서비스 기업 'AST 스페이스모바일(이하 AST)'이 위성 기반 5G 통신 기술을 시현하는데 성공했다. AST는 별도의 장비없는 위성 통신을 구현함으로써 5G 통신 기술의 완성도를 높이고 있다. [유료기사코드] AST는 19일(현지시간) 일반 스마트폰과 인공위성간 5G 음성·데이터 통신에 최초로 성공했다고 밝혔다. AST는 이번 테스트에선 갤럭시 S22를 사용했다. AST는 별도의 개조없이 일반적인 스마트폰과 인공 위성 5G 통신망을 연결하는 것에 집중하고 있다. AST는 지난 4월 일반 스마트폰을 사용해 최초의 우주 기반 음성 통화를 성공했으며 6월에는 다운로드 속도 10Mbps를 넘어섰다. 이번 테스트는 8일(현지시간) 미국 하와이 마우이에서 스페인 마드리드에 있는 보다폰 엔지니어에게 전화를 거는 형태로 진행됐으며 파트너사인 보다폰, AT&T, 노키아 등이 참여했다. AST는 AT&T스펙트럼과 블루워커3 테스트 위성을 통해 통신망을 구축했다. AST는 6월부터 파트너사들과 함께 음성, 4G 영상 통화, 5G 광대역 연결을 포괄하는 테스트 프로그램을 진행하고 있으며 현재 다운로드 속도
[더구루=김도담 기자] 연료 자동차 시장의 강자 토요타가 앞선 생산 시설을 기반으로 테슬라 추격에 속도를 낸다. [유료기사코드] 라틴아메리카 테크 전문매체인 테크넷(Techenet)은 19일(현지시간) '토요타, 앞선 생산 기술로 테슬라에 도전한다'는 제목의 기사를 통해 토요타가 기존 완성차 시장에서 쌓은 생산기술을 활용해 3년 내 160만대의 전기차를 생산할 것이라고 밝혔다. 토요타는 최근 기가캐스팅, 자율조립라인, 완성차 운반로봇 등 최신 기술을 활용한 차세대 전기 자동차 생산 라인을 공개했다. 이 생산 라인은 자동차 조립 속도를 높이고, 운반 등 제반 비용을 크게 절감할 수 있다. 기가캐스팅 기법은 금속 용접 등으로 기존 24시간이 소요되던 차량 생산을 4분으로 획기적으로 줄일 수 있다. 기존에 금속부품을 용접하는 방식을 벗어나 거대한 하나의 금속판을 틀에 넣어 주조하는 방식으로 2020년 테슬라가 차량에 이를 처음으로 도입했다. 최근 현대자동차 등 완성차 기업들도 기가캐스팅 도입을 위한 준비와 검토에 나서고 있다. 기가캐스팅 기법은 차량 조립 속도를 높일 뿐 아니라 기존 방식보다 철강 사용량을 줄이고, 생산비용 역시 30% 가량 줄일 수 있다. 토요타
[더구루=오소영 기자] 브라질 광산기업 발레가 인도네시아 니켈 제련소 건설에 90억 달러(약 12조원)를 투입한다. 세 개의 제련소를 건설해 배터리 광물 시장 주도권을 쥔다는 복안이다. [유료기사코드] 20일 CNBC인도네시아 등 외신에 따르면 아드리안샤 차니아고 발레 인도네시아 부사장은 지난 14일(현지시간) 인도네시아 수도 자카르타에서 열린 인프라스트럭처 포럼에서 "3개 프로젝트에 90억 달러를 투자한다"고 전했다. 이어 "바호도피 (니켈) 제련소 건설 허가 진행률은 약 80%이고 포말라는 50%"라며 "초기 작업이 빠르게 진행되고 있다"고 부연했다. 발레는 남슬라웨시 소로와코와 남동슬라웨시 포말라, 중앙슬라웨시 바호도피에 제련소 건설을 추진하고 있다. 모두 연내 착공할 예정이다. 소로와코에서 연간 7만5000t, 바호도피에서 7만3000t의 니켈을 생산한다. 포말라 시설은 두 정제소보다 많은 연간 12만t의 생산능력을 갖춘다. 이 제련소는 발레와 미국 포드, 중국 화유코발트가 공동으로 건설한다. 투자비는 45억 달러(약 6조660억원). 발레는 11월 착공해 2026년부터 상업운전을 시작한다. 고온고압 하에서 니켈 등 유가금속을 회수하는 고압침출공법(H
[더구루=길소연 기자] 필리핀이 한국산 군함 도입을 꾀하고 있다. 한국산 군함으로 해군 전력을 강화하하는 한편 시스템 운영과 유지보수도 고심하고 있다. [유료기사코드] 19일 업계에 따르면 필리핀 해군은 2028년까지 한국으로부터 수상 초계함, 초계함, 호위함 등 최소 12척의 함정을 도입한다는 계획이다. 필리핀 해군 해양전투사령부(OCF)는 "2028년까지 자산이 100% 증가한 8~9척의 함정을 추가로 보유하게 될 것"이라며 "이들 함정은 모두 한국에서 건조된다"고 밝혔다. 필리핀은 군 현대화 프로그램(RAFPMP)을 통해 군사력을 현대화하고 있다. 남중국해에서 영토 확장을 꾀하는 중국 해군의 위협에 직면하자 호라이즌 사업을 3차례 진행해 대공전, 대함전, 대잠전이 가능한 미사일 호위함을 6척 확보하고 대함전과 대잠전이 가능한 초계함 12척을 확보한다는 계획이다. 호라이즌(Horizon) 1 사업을 통해 HD현대중공업의 호세 리잘급 호위함 2척을 인도 받았다. 호세 리잘급은 필리핀 해군이 최초로 인도 받은 현대적 성능을 갖춘 전투함이다. 호라이즌 2 사업에서는 HD현대중공업에서 호세 리잘급보다 더 큰 덩치의 HDC-3100 초계함(Corvette) 2척과
[더구루=정예린 기자] 대만 최대 석유화학기업 '타이쑤치예(台塑企業·포모사 플라스틱 그룹, 이하 타이쑤)'가 전고체 배터리 시장에 출사표를 던졌다. 대규모 투자를 통해 생산기지를 건설하는 한편 주요 대학과 손잡고 기술 개발에 속도를 낸다. [유료기사코드] 16일 타이쑤에 따르면 자회사 '타이쑤신지능(台塑新智能·포모사 플라스틱 뉴 인텔리전스)'은 지난 13일(현지시간) 2억2000만 대만달러(약 91억3000만원)를 쏟아 전고체 배터리 시범 생산라인을 구축한다고 발표했다. △전극·전해액 준비 △소프트팩 배터리 조립 △배터리 테스트 등 3가지 축을 중심으로 상용화 기반을 마련한다. 타이쑤신지능은 대만 밍즈과학기술대학교 그린에너지센터와 산학협력을 추진키로 했다. 오는 2027년까지 4년간 전고체 배터리 관련 프로젝트를 진행한다. 양측은 대량 양산을 위한 제조 공정을 개발하고 배터리 전문 연구개발(R&D) 인재를 육성하는 데 뜻을 함께한다. 이를 통해 장기적이고 안정적인 전고체 배터리 생태계를 확보, 차세대 배터리 시장을 선점한다는 방침이다. 전고체 배터리는 양극과 음극 사이 이온이 오가는 길인 전해질을 고체로 만들어 사용하는 제품이다. 액체 전해질을 쓰는
[더구루=홍성환 기자] 싱가포르 증권형 토큰 발행(STO·Security Token Offerings) 플랫폼 ADDX가 중동·아프리카로 사업 영토를 확장한다. 글로벌 시장 진출에 박차를 가하는 모습이다. [유료기사코드] ADDX는 걸프협력회의(GCC) 및 중동·북아프리카(MENA·메나) 시장에 진출할 계획이라고 14일 밝혔다. 이를 통해 전략적인 성장 자본의 효율적인 배분을 촉진하고 자금 조달 기회를 모색하는 민간 기업과 투자자 간 격차를 해소한다는 방침이다. 이와 함께 아시아·태평양과 메나 지역 간 경제적 연계를 강화하고 걸프·중동·북아프리카 지역 투자자에게 아시아 전역 기업에 대한 투자 기회를 확대할 것으로 기대했다. ADDX는 싱가포르 ICHX테크가 2017년 설립한 STO 플랫폼이다. 블록체인과 스마트 계약 기술을 활용해 디지털 증권의 발행·거래를 지원한다. 기존 싱가포르 외에 유럽, 호주 등의 지역으로 서비스 확대를 추진하고 있다. ADDX는 사모 시장의 진입장벽을 낮추기 위해 사모펀드를 지속해서 토큰화하고 있다. KB증권과 한화자산운용이 이 회사에 투자했다. <본보 2022년 11월 15일자 참고 : [단독] 한화자산운용 이어 KB증권, 싱
[더구루=김도담 기자] 베트남 최대기업인 빈그룹의 자동차 자회사 빈패스트가 동남아시아 전기차 시장을 잡기위해 인도네시아에 천문학적인 자금을 투입합니다. [유료기사코드] 블룸버그통신은 13일(현지시간) 빈패스트가 3만~5만대 규모의 전기차를 생산할 수 있는 공장을 2026년까지 완공하기 위해 2억 달러(약 2660억원)을 투입하는 것을 포함해 중장기적으로 12억 달러(약 1조5950억원)을 인도네시아에 투자할 것이라고 보도했다. 지난달 15일 미국 나스닥에 상장한 빈패스트는 상장 자금을 바탕으로 공격적인 사업 확장에 나서고 있다. 이미 베트남에서 운영중인 하이퐁 공장에 이어 미국 노스캐롤라이나에 2025년 양산을 시작하는 생산기지를 마련했다. 이에 이어 인도네시아에 3공장까지 마련, 본격적인 전기차 경쟁에 뛰어든다는 목표다. 특히 인도네시아는 전기차 배터리의 핵심 부품 인 니켈 함량이 높아 전기차 제조사들이 주목하는 지역이다. 시장성 역시 높다. 동남아시아 지역 자동차 소유자 비중이 빠르게 늘고 있으며, 상대적으로 가격이 저렴한 빈패스트의 차량이 이 지역 소비자들에게 매력적일 수 있다는 분석이다. 빈패스트는 상장 직후 북미와 프랑스·독일·네덜란드 등 유럽에 대
[더구루=오소영 기자] 일본 파나소닉이 2029년까지 드론·로봇용 전고체 배터리를 선보인다. 다양한 분야로 공급처를 점차 확대하고 차세대 배터리 시장을 선점한다. [유료기사코드] 니케이아시아 등 일본 매체에 따르면 오가와 타츠오(Ogawa Tatsuo) 파나소닉홀딩스 최고기술책임자(CTO)는 12일(현지시간) "2029년까지 소형 드론과 공장 로봇용 전고체 배터리를 생산하겠다"고 전했다. 이어 "초기에는 산업용으로 활용하지만 점차 자동차에 적용할 가능성이 있다"고 덧붙였다. 전고체 배터리는 배터리 양극과 음극 사이에서 전자를 전달하는 전해질을 액체 대신 고체로 쓴다. 리튬이온 배터리보다 화재 위험이 적고 에너지밀도가 높으며 수명이 길어 '꿈의 배터리'로 불린다. 일본에서는 토요타가 1990년대 선제적으로 기술 개발에 착수했다. 2027년까지 전고체 배터리를 탑재한 전기차를 상용화한다는 포부다. 글로벌 배터리 기업인 LG에너지솔루션과 삼성SDI, SK온, 중국 CATL도 전고체 배터리 개발에 가세했다. 파나소닉은 2020년 토요타와 합작사를 세워 전고체 배터리 개발을 추진했다. 자동차 탑재까진 시간이 걸리므로 드론·로봇 시장을 우선 공략해 차세대 배터리 시장에
[더구루=오소영 기자] 일본 니콘이 중국에 노광장비 수출 재개를 추진한다. 반도체 장비 시장의 '큰 손'인 중국을 놓쳤을 때 손실이 크다고 판단했다. 네덜란드의 빈자리를 일본이 메꾸며 중국은 장비 수급에 대한 우려를 덜게 됐다. [유료기사코드] 12일(현지시간) 오프위크(OFweek) 등 중국 매체에 따르면 니콘은 중국에 노광장비 수출을 재개하는 방안을 검토하고 있다. 중국은 니콘의 최대 수요처다. 지난해 전체 매출의 28%를 올렸다. 미국의 장비 수출 통제 압박에 네덜란드가 백기를 들며 한동안 수혜를 입었었다. 미국은 작년 10월 중국을 겨냥해 첨단 반도체와 장비 수출 통제를 발표했고 동맹국인 네덜란드에 동참을 요청했다. 네덜란드 정부는 미국의 눈치를 보며 노광장비 수출 중단을 검토했다. 세계 1위 노광장비 회사인 네덜란드 ASML은 작년 하반기 미국 내 직원들에게 중국 고객을 대상으로 서비스를 중단하라는 지침을 내렸다. 니콘은 중국 시장에서 ASML의 대안으로 꼽혔다. 중국 반도체 업체들은 작년 하반기 노광장비 27대를 구매했는데 21대가 일본 장비였다. 이중 니콘이 공급한 장비가 가장 많았다. 하지만 일본도 수출 통제 여파를 비껴가지 못했다. 일본은 미
[더구루=홍성일 기자] 닌텐도가 2024년 출시할 것으로 전망되는 스위치의 차기모델에 삼성전자 8나노 공정에서 생산된 엔비디아 암페어 아키텍처 기반 SOC가 탑재될 가능성이 거론돼 눈길을 끌고 있다. [유료기사코드] IT팁스터인 케플러_L2는 12일(현지시간) 영미권 최대 커뮤니티인 깃허브의 자료를 들어 엔비디아가 암페어 아키텍처를 기반으로 한 커스텀 SOC 2종을 개발했으며, 해당 SOC가 닌텐도 스위치 2에 장착될 가능성이 있다고 전했다. 해당 SOC는 T234와 T239라는 이름이 붙었으며 엔비디아의 깃허브 '오픈-GPU' 섹션에서 발견됐다. 암페어 아키텍처는 2020년 5월 14일 발표됐으며 RTX30 시리즈에 적용됐다. 암페어 아키텍처 기반 GPU는 전문가용은 TSMC의 7나노 공정, 소비자용은 삼성전자의 8나노 공정에서 생산됐다. 해당 SOC가 장착된다면 현재 스위치 2와 관련해 4K 60프레임으로 다양한 게임이 실행되고 레이트레이싱 및 엔비디아의 DLSS 기술이 완벽하게 지원된다는 루머도 신빙성을 얻게된다. 또한 암페어 아키텍처가 적용된만큼 광선 재구성(Ray Reconstruction, RR) 기술이 적용된 DLSS 3.5가 적용될 수 있을 것
[더구루=홍성일 기자] 애플이 혼합현실(MR) 헤드셋 비전 프로(Vision Pro)에 차세대 데이터 처리 칩셋을 장착할 것이라는 전망이 나왔다. 애플이 2나노미터(nm) 공정 기술을 앞세워 비전 프로의 판매량을 증가시키려 한다는 분석이 나온다. [유료기사코드] 19일 대만 경제매체 대만 커머셜타임스에 따르면 TSMC는 내년에 2nm 공정에서 애플의 A20과 A20프로, M6, R2 칩 등을 생산할 예정이다. A20과 A20프로는 아이폰, M6은 맥북, 비전프로 등에 장착되는 프로세서다. R2칩은 비전 프로에 장착된 R1의 차세대 프로세서다. M2칩과 함께 비전 프로의 핵심 역할을 수행하는 R1칩은 12개의 카메라와 5개의 센서, 6개의 마이크로 입력되는 데이터를 빠르게 처리해, 이용자의 눈 앞에 실시간으로 표시하는 역할을 맡고있다. R1 칩은 입력된 데이터를 단 12밀리초 이내에 처리해 디스플레이에 표시한다. 이는 인간이 눈을 깜빡하는 시간의 8분의 1에 불과한 시간이다. TSMC 2nm 공정에서 생산될 예정인 R2 칩은 기존 R1보다 향상된 성능과 더 높은 전력 효율을 제공할 것으로 전망된다. TSMC에 따르면 2nm 공정은 '게이트올어라운드(Gate-A
[더구루=홍성일 기자] 독일 율리히 슈퍼컴퓨팅 센터(Jülich Supercomputing Centre, JSC)가 세계 최초로 엔비디아 DGX 퀀텀 기반 하이브리드 양자컴퓨터를 도입했다. 이번 시스템 구축이 양자컴퓨팅과 고성능컴퓨팅(HPC) 인프라가 통합된 하이브리드 양자컴퓨터 시스템의 상용화 시작점이 될 것이라는 분석이다. [유료기사코드] 19일 업계에 따르면 JSC는 퀀텀 머신(Quantum Machines), 아르케 시스템즈(Arque Systems)와 함께 엔비디아 DGX 퀀텀(NVIDIA DGX Quantum) 기반 하이브리드 양자컴퓨터를 배치했다. 하이브리드 양자컴퓨팅 기술은 양자컴퓨터와 전통적 방식의 슈퍼컴퓨터, 클라우드 등을 결합해 구동하는 기술이다. 하이브리드 양자컴퓨팅은 계산 과정에서 발생하는 양자 오류 일부분을 슈퍼컴퓨터로 보정, 연산에 더 많은 큐비트를 투입할 수 있다. 엔비디아에 따르면 슈퍼컴퓨터 기술을 활용해 오류를 10%만 보정해 낼 수 있다면 양자컴퓨터의 '오류 보정(Quantum error correction, QEC)' 능력이 기하급수적으로 향상될 것으로 전망됐다. JSC에 구축된 하이브리드 양자컴퓨터는 아르크 시스템즈의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