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구루=윤진웅 기자] 현대자동차가 동남아시아 국가를 중심으로 리더십을 교체하고 있다. 현대차가 신남방 정책 등을 추진하는 등 아세안 시장 확대를 위해 새로운 리더십을 꾸리고 있다. 필리핀과 인도네시아를 시작으로 해외법인장에 대한 연쇄 이동이 예상된다. 20일 업계에 따르면 현대차는 지난 15일 현대차 필리핀 판매법인장에 손지호 전 싱가포르 글로벌 혁신센터(HMGICS) 영업혁신그룹장을 임명했다. 현대차가 필리핀 수장을 교체한 것은 약 2년 만이다. 손지호 신임 법인장은 HMGICS 영업혁신그룹장 활동 이전부터 현대차 인도와 중동, 아프리카, 베트남 영업본부장을 역임하며 영업력을 쌓은 인물이다. 영업에 대한 높은 이해도를 토대로 전임자가 쌓아놓은 기반을 활용하는 데 적임자라는 평가를 받는다. 업계 관계자는 "이동욱 전 법인장은 임기 동안 34개의 딜러십을 학보하는 것과 더불어 아이오닉과 고성능 브랜드 N 등 현대차 주력 모델들의 성공적인 현지 출시를 이끌었다"며 "이 법인장의 뒤를 이어 손지호 신임 법인장이 새로운 현지 전략을 마련할 것으로 기대된다"고 전했다. 현대차는 이날 필리핀법인장과 더불어 인도네시아법인장도 2년 만에 교체했다. 이주훈 전 아태권역 신
[더구루=윤진웅 기자] 국제특송기업 'DHL'이 테슬라 세미 트럭을 미국 공급망에 투입한다. 지난 여름 테스트를 토대로 장거리 운송 능력을 직접 확인한 데 따른 결정이다. 미국 공급망 투입 결과를 토대로 향후 유럽 공급망에도 세미 트럭을 활용할 계획이다. DHL은 최근 자료를 내고 최근 테슬라 세미 트럭 테스트 결과를 공개하고 "성능에 깊은 인상을 받았다"고 밝혔다. DHL은 일찍부터 세미 트럭의 관심을 가진 대표적인 업체 중 하나이다. 지난 2017년 세미 트럭 프로토타입 공개 직후 10대를 사전 주문할 정도로 전기 트럭 시험에 대한 관심을 나타낸 바 있다. DHL 세미 트럭 테스트는 지난 여름 2주 동안 미국 공급망 파트너들과 함께 진행됐다. 주행 능력을 중점으로 진행된 이 테스트에서 세미 트럭은 7만5000파운드(약 34톤) 만재(full-load) 상태로 390마일(약 625km) 운송에 나서는 등 장거리 운송 능력을 뽐냈다. DHL은 "세미 트럭 1회 충전 주행 거리가 500마일에 달한다는 점을 직접 확인했다"며 "특히 2주간 평균 50마일(80km/h) 이상의 속도로 운행하면서도 전비 효율성은 1.72kWh/마일로 나타났다"고 설명했다. 이는 테슬
[더구루=윤진웅 기자] 미국 제너럴모터스(GM)가 북미 전용 옵틱 생산을 시작했다. 럭셔리 브랜드 캐딜락 라인업의 새로운 엔트리 레벨 EV인데다 현지 보조금 혜택까지 적용된다는 점에서 기대감이 높은 상태이다. 올해 리릭에 이어 내년 국내 출시 여부에 대한 관심 또한 증가하고 있다. 19일 GM 전문소식지 'GM 오소리티(GM Authority)'에 따르면 GM은 지난 14일 멕시코 라모스 아리즈페 공장에서 2025년형 옵틱 생산을 시작했다. 당초 4분기 생산을 예고한 적은 있으나 구체적인 생산 일자가 공개된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이곳 공장에서 생산된 물량은 북미 전기차 시장에만 공급된다. 미국에는 처음 선보이는 모델이지만 이미 중국과 프랑스, 독일, 스웨덴, 스위스 등에서는 판매되고 있다. 중국의 경우 상하이 진차오에 위치한 SAIC-GM 합작 공장에서 생산되고 있다. 북미 전용 옵틱은 총 4가지 트림으로 제공된다. 현지 판매 가격은 5만4390달러(한화 약 7460만 원)부터다. 럭셔리 전기차를 소유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기 위해 가격을 최대한 낮췄다. 럭셔리 브랜드 라인업의 새로운 엔트리 레벨 EV 역할을 맡기기 위해서다. IRA 보조금 혜택까지 받을
[더구루=김은비 기자] 기아가 신규 전기차 EV4의 출시를 앞두고 막바지 테스트를 진행 중이다. 최근 독일 뉘르부르크링에서 EV4 프로토타입이 주행 테스트를 하는 장면이 포착되면서 기대감이 한층 높아지고 있다. 29일 호주자동차매체 카세일즈(Carsales)에 따르면 기아는 독일 뉘르부르크링에서 EV4 주행 테스트를 진행했다. 기아 EV4는 현대차그룹의 전기차 전용 플랫폼인 E-GMP를 기반으로 개발된 다섯 번째 모델이다. 지난해 10월 '기아 EV 데이'에서 EV4 콘셉트카로 처음 공개된 바 있다. 포착된 EV4는 앞서 공개된 콘셉트카와 유사한 실루엣을 갖추고 있다. 다만 기아는 앞서 EV4 세단 모델의 콘셉트카를 공개했는데, 이번에 포착된 차량은 후면 디자인에 위장이 더해지면서 5도어 해치백 모델일 것으로 추정된다. 후면부 미등이 완성되지 않아 가려져 있으나 EV3와 유사한 디자인 요소가 포함될 것으로 예상된다. 또한, 검은색 클래딩이 제거된 부분에서 공기역학적 성능이 강화된 차량 디자인이 눈에 띈다. EV4는 기아의 오퍼짓 유나이티드(상반된 개념의 창의적 융합)의 디자인 철학을 반영하고 기아의 특유 디자인인 스타맵 시그니처 라이팅 주간주행등(DRL) 등
[더구루=정등용 기자] KG모빌리티의 자율주행 파트너사인 포니 AI(PONY.AI)가 미국 상장을 추진한다. 글로벌 자율주행 기술 시장 내 경쟁력을 한층 강화하기 위한 포석으로 해석된다. [유료기사코드] 포니 AI는 17일(현지시간) 미국 증권거래위원회(SEC)에 IPO(기업공개) 신청서를 제출했다. 포니 AI는 상장 주식 수와 예상 가격대는 밝히지 않았다. 다만 중국 증권규제당국은 지난 4월 포니 AI의 미국 상장을 승인하면서 나스닥 자본시장이나 뉴욕증권거래소에서 보통주를 최대 9820만 주까지 발행할 것이라고 밝힌 바 있다. 포니 AI는 이번 공모를 통해 예상되는 수익금에 대해 자세히 설명하지 않았지만, 시장 진출 전략을 실행하고 연구·개발(R&D)에 대한 지속적인 투자 및 일반적인 기업 목적에 자금을 사용할 계획이라고만 명시했다. IPO 주관사로는 △골드만삭스 아시아 법인 △메릴린치 아시아 태평양 법인 △도이치뱅크 홍콩 지점 △화타이증권 미국 법인 △타이거 브로커스 뉴질랜드 법인이 선정됐다. 지난 2016년 미국 실리콘밸리에서 설립된 포니 AI는 인공지능과 빅데이터, 맵핑 시스템 등 주요 핵심 기술을 기반으로 자율주행차를 개발하고 있다. 특히 로
[더구루=김은비 기자] 테슬라가 전 세계에 6만개 슈퍼차저 전기차 커넥터를 설치, 새로운 이정표를 세웠다. 글로벌 완성차 브랜드가 테슬라의 북미충전규격(NACS)을 채택이 이어지고 있어 테슬라의 글로벌 전기차 충전 인프라 시장에서 영향력은 더욱 강화될 것으로 보인다. 18일 업계에 따르면 테슬라는 최근 일본 시즈오카현 모리마치에 위치한 슈퍼차저 스테이션에 6만 번째 전기차 커넥터를 설치했다. 이는 지난 2분기 기준 5만9596개 보다 404개 증가한 수치다. 테슬라 일본법인은 이를 기념하기 위해 커넥터에 기념패를 부착했다. 테슬라 슈퍼차저는 지난 2012년 미국에 첫 번째 스테이션을 건설한 이래 전 세계로 빠르게 확장됐다. 특히 북미 지역에서는 전기 자동차 운전자들에게 가장 광범위하고 안정적인 충전 인프라를 제공하고 있는 충전소로 여겨지며, 테슬라의 핵심 경쟁력 중 하나로 자리 잡고 있다. 특히 테슬라는 슈퍼차저 네트워크를 타사 전기차에도 개방하면서 사용량이 급증했다. 북미충전표준(NACS)을 채택한 완성차 업체는 GM을 포함해 △현대차 △벤츠 △볼보 △포드 △리비안 △닛산 △폭스바겐 등이다. 테슬라의 슈퍼차저 네트워크 확장력은 전기 공급량을 통해 명확히 드
[더구루=윤진웅 기자] 현대자동차가 인도법인 기업공개(IPO)를 마무리하자 본격적인 현지 투자에 나섰다. 지난해 GM으로부터 인수한 푸네 공장 시설 투자와 더불어 첸나이 공장 현대화 작업을 위한 절차에 돌입했다. 18일 현대차 인도판매법인(HMIL)에 따르면 현대차는 최근 인도 당국에 타밀나두주 첸나이공장 현대화 작업에 관한 사전타당성 조사 보고서(pre-feasibility report)를 제출했다. 사전타당성 조사는 사업계획의 충실성, 사업의 타당성 등을 미리 검증하는 평가제도를 말한다. 구체적으로 현대차는 150억 루피(한화 약 2449억 원)를 투입, 공장 제조 시설을 개조하겠다는 계획이다. 이를 위해 공장 부지 18만1000㎡를 추가로 확보하고 현대화 작업에 나선다는 방침이다. 현대화 이후 공장 규모는 54만㎡에서 72만㎡까지 확장된다. 다만 연간 생산량은 기존과 동일한 85만 대 수준을 유지한다. 현대차는 인도 당국의 승인을 토대로 현대화 작업을 본격화하고 향후 5년 이내 완료하겠다는 계획이다. 이에 따른 현지 일자리 창출 효과는 155개로 예상된다. 현재 공장 직원 수는 약 1만8706명이다. HMIL은 "국내외 승용차 수요가 증가하고 있는 점을
[더구루=정등용 기자] 현대자동차 인도법인 IPO(기업공개)가 성공적으로 마무리 됐다. 기관투자자 수요가 대거 몰리며 흥행을 주도한 가운데 최대 33억 달러(4조4800억원)를 조달하는 데에도 성공했다. 18일 현대차 인도법인에 따르면 IPO 마감 결과 공모 주식 수의 2.37배에 달하는 청약이 몰린 것으로 확인됐다. 특히 공모 마지막 날이었던 17일 적격기관투자자(QIB)의 강력한 수요가 이를 뒷받침 했다. 인도 뭄바이증권거래소(BSE) 데이터를 보면 주당 1865~1960루피(약 3만~3만1500원)의 가격대에서 9980만 주에 대해 2억3630만 주의 입찰이 접수됐다. 개인 투자자 부분에선 0.5배수 청약이 이뤄졌으며, 4950만 주에 대해 2500만 주의 입찰이 접수됐다. 적격기관투자자 부분에선 2830만 주 모집에 1억9720만 주가 청약돼 6.97대1의 경쟁률을 보였다. 직원 부문은 77만8000주 공모에 135만7000주가 청약돼 1.74배를 기록했다. 비기관 투자자 부분은 2120만 주 공모에 1280만주가 청약돼 0.6배에 그쳤다. 앞서 현대차 인도법인은 지난 14일 싱가포르투자공사(GIC)와 블랙록 등 225개 앵커투자자로부터 9억8940만
[더구루=윤진웅 기자] KG모빌리티가 유럽 자동차 시장 바로미터인 독일에서 판매 하락세를 나타내고 있다. 브랜드 전환 과정에 따른 현지 공급망 차질과 더불어 독일 정부의 전기차 보조금 폐지가 겹친 데 따른 영향으로 풀이된다. 다만 지난달 유럽 판매법인 운영을 본격화하고 대대적인 현지 맞춤형 전략을 마련하고 있다는 점에서 남은 기간 반등 기대감은 유지되고 있다. 18일 독일연방도로교통청(KBA)에 따르면 KG모빌리티는 올해 들어 9월까지 독일 시장에서 총 1416대를 판매했다. 이는 전년(1799대) 대비 21.28% 두 자릿수 하락한 수치이다. 해당 기간 독일 시장 규모는 211만6074대로 집계됐다. 브랜드 내 BEV 판매 비중은 15%로 전년(14.3%)보다 0.7%포인트 상승했지만, 의미 있는 수치는 아니다. 전체 판매량이 줄어든 데 따른 기저 효과에 불과하다. KG모빌리티는 같은 기간 독일 BEV 시장에서 전년(257대) 대비 17.50% 감소한 212대 판매에 그쳤다. 브랜드별 판매 순위는 40위권에 머무르고 있다. 현지 진출 브랜드 만과 마세라티, 니오, 롤스로이스, 루시드 등 12개 브랜드가 KG모빌리티보다 낮은 판매량을 나타내고 있지만, 대부분
[더구루=윤진웅 기자] 현대자동차·기아가 올들어 9월 말 누적 유럽 자동차 시장 바로미터인 독일 시장에서 주춤했다. 현지 전기차 시장 공략을 토대로 입지 확대에 나섰지만, 보조금 폐지 등 사정이 여의치 않아 BEV 판매량이 두 자릿수 급감했다. 4분기 반등을 위한 새로운 전략 마련이 시급하다는 평가이다. 17일 독일연방도로교통청(KBA)에 따르면 현대차·기아는 올해 들어 9월까지 독일 시장에서 총 12만6197대를 판매했다. 이는 전년 보다 7.5%(1만대) 가량 하락한 수치다. 양사 합산 시장 점유율은 5.96%에 그쳤다. 단일 브랜드 기준 현대차는 전년(7만9514대) 대비 8.12% 감소한 7만3056대, 기아는 전년(5만6903대) 대비 6.61% 하락한 5만3141대를 기록했다. 점유율은 각각 3.45%, 2.51%를 기록했다. 3분기 누적 독일 시장 규모는 211만6074대로 집계됐다. 브랜드별 판매 순위에서 현대차는 9위를 유지하며 톱10 브랜드 지위를 이어갔지만, 여전히 기아는 11위로 순위권 밖을 달리고 있다. 기아와 10위인 토요타(6만7258대)와 판매 격차는 1만4117대로 '톱10' 진입은 기대하기는 힘든 상황이다. 1위는 폭스바겐이
[더구루=김은비 기자] 금호타이어가 빅데이터와 인공지능(AI) 기술을 활용해 타이어 디지털 트윈 시스템을 구축한다. 이를 통해 타이어 개발 프로세스의 혁신을 선도하겠다는 방침이다. 17일 금호타이어에 따르면 이 회사는 타이어 디지털 트윈 시스템 구축을 완료하고 제품 개발 프로세스에서 디지털 전환을 본격추진한다. 금호타이어는 급변하는 모빌리티 산업의 변화에 발빠르게 대응하고자 지난 2021년 타이어 개발 프로세스의 디지털 전환(Digital Transformation)을 선언한 바 있다. 금호타이어는 센서를 적용한 스마트(smart) 타이어 개발을 비롯, CAE(Computer Aided Engineering) 기술과 디지털 기술, 인공지능(AI) 기술을 융합한 디지털 트윈(Digital Twin, DT) 시스템 구축에 힘써왔다. 타이어 디지털 트윈 기술은 기존의 제품개발 프로세스인 실물(Physical) 제품 개발 방식에서 디지털 공간 상에 개발 과정을 구현한 가상(Virtual) 제품 개발로 전환하는 방법을 일컫는다. 이 디지털 프로세스를 사용하면 여러 버전의 타이어 제품도면을 자동으로 설계하고 빅데이터 및 FEM 성능 예측을 자동으로 수행할 수 있다. 또
[더구루=윤진웅 기자] 현대자동차 프리미엄 브랜드 제네시스가 미국에서 준대형 전기 세단 모델 G80EV에 대한 파격적인 할인을 적용했다. 동급 모델 중 가장 큰 할인 혜택이라는 점에서 높은 관심을 받고 있다. 17일 업계에 따르면 제네시스는 2024년형 G80 전동화 모델에 대한 미국 리스 인센티브 혜택을 최대 2만2500달러(한화 약 3080만 원)로 책정했다. 이는 기존 판매 가격의 약 30%에 해당하는 수치이다. 2025년형 제네시스 부분 변경 모델 현지 출시를 앞두고 남은 재고를 정리하기 위한 전략적 할인 정책 일환이다. 카즈다이렉트는 "내연기관 모델과 비교해 훨씬 더 매력적인 가격인 만큼 정치적인 이유 등으로 테슬라와 메르세데스-벤츠 전기차 모델의 구매를 망설이고 있는 소비자들에게는 딱 맞는 선택일 수 있다"며 "예상보다 남은 재고 소진이 빨라질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고 전망했다. G80 전동화 모델은 제네시스의 첫 번째 전기차이다. 고급스러운 디자인 및 상품성과 400V/800V 멀티 급속 충전시스템 기반의 우수한 전동화 기술력을 토대로 상품성을 인정받았다. G80 전동화 부분 변경 모델은 지난 2021년 7월 출시 이후 3년 만에 이뤄졌다. 브
[더구루=정등용 기자] 대만 전고체 배터리 업체 프롤로지움 테크놀로지(ProLogium Technology)가 일본 규슈전력과 전고체 배터리 개발에 나섰다. [유료기사코드] 4일 관련 업계에 따르면 규슈전력은 지난달 31일(현지시간) 프롤로지움 테크놀로지와 협력해 산업용 전고체 배터리를 개발할 것이라고 밝혔다. 두 회사는 효율성과 저온 내구성을 개선한 전고체 배터리를 개발할 계획이다. 영하 30도에서도 95%의 용량을 유지하는 제품이 될 전망이다. 이번 협력 과정에서 프롤로지움 테크놀로지는 배터리 셀을 공급하며, 규슈전력은 건설 기계 등 장비용 모듈을 설계한다. 키타규슈와 사가 지역의 현지 파트너 기업들도 협력에 참여할 예정이다. 두 회사는 내년 CES(국제전자제품박람회)에서 개발 성과를 선보일 예정이며, 오는 2027년까지 양산에 들어간다는 계획이다. 이와 관련, 프롤로지움 테크놀로지 투자사인 이브이첨단소재는 “프롤로지움이 초유동화 무기 고체 전해질을 발표하며 차세대 전고체 리튬 배터리 상용화 시대를 열었다”고 강조했다. 해당 전해질 기술은 고체 물질의 높은 이온 농도와 액체의 우수한 계면 접촉 특성을 결합해, 기존 전고체 배터리의 3가지 주요 병목 현상(
[더구루=홍성일 기자] 헝가리가 폴란드 기업과 손잡고 소형 모듈 원전(Small Modular Reactor, SMR) 도입을 추진하기로 했다. 헝가리는 단순 검토 수준이 아닌 미국산 SMR 도입까지 완료, 에너지 믹스 구축에 속도를 낸다는 목표다. [유료기사코드] 4일 업계에 따르면 헝가리 원자력 개발 회사 '후나톰(Hunatom)'은 폴란드 SMR 기업 '신토스 그린 에너지(Synthos Green Energy, 이하 신토스)'와 의향서(LOI)를 체결했다. 후나톰과 LOI를 체결한 신토스는 폴란드 최고 부호인 미하우 소워보프(Michał Sołowow)가 운영하는 SMR 전문기업이다. 신토스는 폴란드 기업 중에서도 가장 적극적으로 SMR 도입을 추진해 온 기업이다. 미국 제네럴일렉트릭(GE)과 일본 히타치 합작사인 'GE 히타치 뉴클리어 에너지(GEH)'와 전략적 협력 관계를 구축하고 있다. 신토스는 GEH가 개발한 발전용량 300메가와트(㎿)의 SMR 'BWRX-300'의 폴란드 내 독점권을 보유하고 있다. 계약에 따라 후나톰은 신토스를 통해 BWRX-300 도입에 앞서 필요한 기술적, 인프라적, 재정적, 법적 준비 작업을 진행한다. 후나톰이 정확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