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구루=정등용 기자] 다올투자증권이 태국 전기공학 전문 기업 RSSC의 기업공개(IPO)를 주관한다. RSSC는 26일 다올투자증권 태국 법인을 기업공개 주관사로 선정하고 태국증권거래소(SET) 상장을 추진한다고 밝혔다. RSSC는 주당 0.5바트의 가격으로 신주 3억 주를 발행할 예정이다. RSSC는 전기공학을 전문으로 하는 기업으로 정부 기관과 민간 부문의 재생 에너지 건설 사업에 주력하고 있다. 구체적인 사업 부문으로는 발전소 건설 서비스 사업, 송전·배전 설비 사업, 재생 에너지 사업 등이 있다. 최근 3년 간 매출을 살펴 보면 지난 2020년 13억9244만 바트(약 515억 원)에서 2021년 17억7182만 바트(약 655억 원), 2022년 19억1539만 바트(약 708억 원)로 꾸준히 상승하고 있다. 순이익은 지난 2020년 5669만 바트(약 21억 원), 2021년 6342만 바트(약 23억 원), 2022년 7588만 바트(약 28억 원)를 각각 기록했다. 순이익률은 지난 2020년 4.07%, 2021년 3.58%, 2022년 3.96%를 나타냈다. 올해 1분기의 경우 매출 4억3276만 바트(약 160억 원), 순이익 851만 바
[더구루=최영희 기자] 이엠앤아이는 인도 현지법인의 임차 계약을 마무리하고 다음달 중 업무를 시작한다고 26일 밝혔다. 이번 현지법인 설립으로 인도 협력사들과의 신사업을 본격화할 전망이다. 이엠앤아이는 지난 5월 인도 완성차 업체 브리스크EV(BriskEV)와 전기 오토바이 시장 진출을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했다. 협약의 첫 성과로 브리스크EV 전기 오토바이에 탑재될 디스플레이 계기판(클러스터)을 개발해 납품하고, 국내산 배터리도 공급을 시작할 예정이다. 회사 관계자는 "브리스크EV향 디스플레이 클러스터 양산을 마치고 선적을 앞두고 있다"며 "향후 배터리 공급까지 이어질 예정"이라고 말했다. 오는 10월 출시되는 브리스크EV의 신제품 전기 오토바이 오리진X1, X2에 이엠앤아이가 공급하는 디스플레이와 배터리가 탑재될 예정이다. 회사는 해당 사업부에서 발생하는 매출과 이익을 재투자해 인도 배터리 물류 사업도 확대한다고 설명했다. 이엠앤아이는 "현재 현금성 자산은 70억 원에 달하고 유동비율 240%, 부채비율 40%의 안정적인 재무구조를 갖추고 있다"며 "인도에서 신규 사업을 성공적으로 진행하고 있다”고 밝혔다.
[더구루=정등용 기자] 글로벌 투자은행(IB) 골드만삭스가 미국 증시의 하락 가능성을 제기했다. 코맥 코너스 골드만삭스 애널리스트는 26일 미국 증시의 하락을 경고하면서 투자 포트폴리오 헤지(hedge)를 고려할 필요가 있다고 밝혔다. 그는 “주식 상승에 베팅하는 선물과 옵션은 비싸졌다”며 “풋옵션 등으로 하락에 대비해야 한다”고 진단했다. 풋옵션 매수나 선물 매도로 자신이 보유한 주식의 손실을 헤지 할 수 있다 이어 “S&P 500 지수의 상승은 소수의 메가캡 주식이 주도했다”며 “랠리의 폭이 좁아지면 시장 하락 위험이 커지는 신호”라고 덧붙였다. 또한 미국 주식 밸류에이션이 역사상 가장 높은 수준에 이르렀다는 게 코너스의 주장이다. 19배의 주가수익비율(PER)은 역사상 88번째 높은 백분위수에 해당한다. 코너스는 “S&P 500 지수가 지금과 같은 수준 이상에서 거래됐을 경우 이후 12개월 동안 평균 14%의 하락을 경험해왔다”며 “일반적인 경우엔 5%의 하락이 예상된다”고 분석했다. 코너스는 “수면 아래 위험성은 점점 커지고 있다”며 “지금이라도 시장의 중요한 위험 요소를 면밀히 추적하는 작업을 시작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한편, 미국의
[더구루=정등용 기자] 노무라증권은 포스코퓨처엠의 목표 주가를 기존 41만원에서 47만원으로 상향 조정하고 투자의견을 ‘매수’로 유지한다고 26일 밝혔다. 노무라증권은 포스코퓨처엠의 추가 수주가 주가 상승을 이끌 것으로 전망했다. 포스코퓨처엠은 올해 6월까지 100조원이 넘는 양극재 수주 계약을 체결한 상황이다. 증권가에선 이미 포스코퓨처엠의 목표 주가 상향이 이어지고 있다. 신영증권은 포스코퓨처엠에 대해 올해 2분기 이익률 정상화가 기대된다며 목표주가를 기존 대비 12% 올린 45만원으로 제시했다. 신영증권은 “올해 2분기를 기점으로 북미 얼티엄셀즈(Ultium Cells)에 공급하는 하이니켈 N83 제품 출하가 본격 개시되며 물량 효과가 본격화 할 것”이라며 “올해 양극재 출하량은 약 7만톤으로 작년 대비 102% 성장할 것”이라고 예상했다. 유안타증권도 포스코퓨처엠의 목표 주가를 47만3000원으로 제시했다. 유안타증권은 “대규모 수주 계약으로 하반기 수주 모멘텀 부재에 대한 우려가 있다”면서도 “주요 고객사인 LG에너지솔루션과 삼성SDI가 여러 기업과 합작법인(JV)를 맺은 상태로 추가 수주 모멘텀이 여전하다”고 설명했다. 포스코퓨처엠 양극재 부문의
[더구루=정등용 기자] 미래에셋자산운용이 인도 드론기업 아이디어포지(ideaForge)의 기업공개(IPO)에 앵커 투자자로 참여했다. 아이디어포지는 IPO 자금을 활용해 제품 카테고리를 확장한다는 계획이다. 26일 인도증권거래위원회(SEBI)에 따르면 아이디어포지는 앵커 투자자들로부터 25억5000만 루피(약 400억 원)를 조달했다. 앵커 투자자는 IPO를 앞둔 기업의 지분에 대규모 투자를 진행해 상장 흥행과 성공을 이끄는 역할을 한다. 미래에셋자산운용 인도 법인은 앵커 투자자 중 하나로 이름을 올렸다. 이 밖에 △노무라 △인베스코 △HSBC △ICICI △프루 뮤추얼펀드 △HDFC 뮤추얼펀드 △골드만삭스 등이 참여했다. 아이디어포지는 앵커 투자자들에게 주당 672루피의 발행 가격으로 379만3000주를 할당했다. 아이디어포지는 이달 초 프리 IPO 펀딩 라운드에서 6억 루피(약 100억 원)를 모금한 바 있다. 당시 라운드에는 △타타 AIG 제너럴 인슈어런스 △모틸랄 오스왈 뮤추얼 펀드 △씽크 인베스트먼트 PCC △360 원 자산 관리 같은 기관 투자자들이 참여했다. 아이디어포지는 IPO를 위해 주당 638~672루피의 가격 밴드를 설정했다. 청약은 오는
[더구루=정등용 기자] 골드만삭스가 CMMS(설비관리시스템) 전문 업체 림블(Limble)에 투자했다. 골드만삭스는 림블이 CMMS 시장에서 폭발적인 잠재력을 발휘할 것으로 전망했다. [유료기사코드] 림블은 23일 골드만삭스 성장주 사업부가 주도하는 시리즈B 펀딩 라운드를 통해 5800만 달러(약 750억 원)의 자금을 조달했다고 밝혔다. 기업 가치는 4억5000만 달러(약 5900억 원)로 평가 받았다. 골드만삭스는 최근 출시한 52억 달러(약 6조7700억 원) 규모의 성장 주식 펀드를 통해 이번 투자를 진행했다. 이 펀드는 강력한 시장 입지와 견고한 비즈니스 모델을 갖춘 고성장 기업에 주로 투자하고 있다. 이와 함께 골드만삭스 성장주 사업부 수석 고문인 존 코놀리가 림블 이사회에 합류해 다음 성장 단계에 대한 자문을 제공할 예정이다. 골드만삭스는 림블이 CMMS 시장에서 주도적인 역할을 할 것으로 보고 이번 투자를 결정했다. 존 코놀리는 “림블은 대규모 운영도 간소화하는 직관적이고 사용자 친화적인 최신 CMMS로 이 시장에 혁신을 가져왔다”며 “전 세계 수천 명의 고객을 통해 그 가치를 입증했다”고 평가했다. 지난 2015년 설립된 림블은 기업을 대상으
[더구루=정등용 기자] 미래에셋 글로벌X가 투자자에게 미국 단기 국채에 투자하는 ‘글로벌X 1-3개월 T-Bill ETF(CLIP)’를 출시했다고 23일 밝혔다. T-Bill은 미국 재무부가 발행하고 미국 정부가 지급을 약속한 만기 1년 이하의 초단기 국채를 말한다. T-Bill은 미국 재정 적자를 메우거나 만기가 도래한 국채를 차환 발행하는 용도로 사용된다. 글로벌X는 “최근 몇 달 동안 미국 연방준비제도이사회(FRB)가 금리 인상을 통해 인플레이션을 잡으려고 하면서 수익률 곡선이 급격하게 역전됐다”며 “이러한 금리 상승기에는 단기 국채가 투자자에게 매력적인 대안이 될 수 있다”고 설명했다. CLIP은 이러한 단기 채권의 이점을 투명하고 비용 효율적인 ETF 래퍼의 형태로 투자자들에게 제공한다. 수수료율은 0.07%로 책정됐다. 인컴 관련 리서치를 총괄하는 로한 레디 글로벌X 이사는 “CLIP은 불확실한 거시경제 환경에서 유연성을 유지하고자 하는 투자자들에게 매력적인 옵션이 될 것”이라며 “인컴 기반 솔루션에 대한 우리의 전문성을 활용해 고객과 자문사에게 중요한 접근 방식을 제공할 것”이라고 말했다. 글로벌X는 지난 2008년 설립된 미국 ETF 전문운용사
[더구루=최영희 기자] 초기 기업 전문투자사 더벤처스가 150억 원 규모의 베트남 투자 펀드를 조성하며 해당 지역 집중 투자에 나선다고 23일 밝혔다. 더벤처스는 2014년에 설립된 벤처캐피털로 현재까지 뤼이드, 지바이크, 헤이딜러, 파킹스퀘어 등을 비롯한 국내외 스타트업 150여개에 꾸준히 투자해 왔다. 2020년부터는 동남아시아 지역을 중심으로 투자를 확대해 베트남, 말레이시아, 캄보디아, 방글라데시, 인도 등 개발도상국 국가들의 스타트업을 대상으로 총 26건, 약 90억 원의 투자를 집행한 바 있다. 특히 더벤처스가 동남아시아 투자를 주목적으로 조성한 ‘임팩트 컬렉티브 코리아 펀드’의 경우 현재 30%가 넘는 수익률을 기록하며 성과를 보이고 있다. 이런 성과를 바탕으로 더벤처스는 동남아시아 국가들 중에서도 가장 빠른 경제성장률을 보이고 있는 베트남 집중 투자 펀드 조성에 나섰다. 펀드 규모는 150억 원이다. 더벤처스는 보다 적극적인 투자 확대를 위해 싱가포르에 법인을 설립하고, 펀드 운영을 위한 싱가포르 벤처캐피털 라이센스를 취득했다. 또한 RMIT 호치민 출신의 김성헌 심사역이 현지 팀에 합류했고, 대표펀드 매니저인 김대현 파트너가 호치민에 상주하며
[더구루=최영희 기자] 국내 대표 에듀테크 기업 아이스크림에듀가 한화손해보험과 신성장동력 발굴과 ESG 가치실현 및 동반성장을 위한 전략적 업무협약을 체결했다고 23일 밝혔다. 이번 협약으로 아이스크림에듀와 한화손해보험은 교육과 보험을 결합한 서비스부터 신규 사업 모델 발굴까지 지속적인 사업 확대에 적극적으로 상호 협력키로 했다. 또 환경·사회·지배구조(ESG)차원의 사회공헌 활동으로 여성과 아동 및 취약계층을 위한 사업까지 공동으로 추진할 예정이다. 두 회사는 이번 MOU를 기념해 오는 7월 공동 프로모션도 진행한다. 한화손해보험 고객 중 유아 및 초·중등 자녀를 둔 학부모를 대상으로 하며, 스크래치 카드 이벤트를 통해 아이스크림 홈런을 제휴가로 이용할 수 있는 행사다. 변수홍 아이스크림에듀 공공·제휴사업실 실장은 “두 회사가 보유한 기술력과 전문성을 바탕으로 한층 발전된 고객 경험과 서비스를 제공할 뿐 아니라, 교육과 보험의 결합의 차원에서 더 확대된 신규 사업 모델로 고객 지향적이고 혁신적인 사업을 개발, 확대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고 밝혔다.
[더구루=최영희 기자] 폴라리스오피스가 글로벌 협업 플랫폼 1위 기업 아틀라시안의 ITSM 전문 파트너 자격을 획득했다고 22일 밝혔다. 아틀라시안 ITSM 전문 파트너 자격은 국내 기업 중에서는 최초이며 아시아 2번째다. ITSM은 기업 내의 모든 IT 서비스 관리를 뜻한다. IT 관련 부서에 대한 요청 관리뿐만 아니라 인적·물적 자원의 관리, 협력사 및 솔루션 벤더 관리, 장애 및 문제 해결 등 IT 서비스와 관련된 모든 과정과 활동을 포함한다. 정상적인 기업활동을 위해 ITSM은 필수적이다. 특히 최근 내부회계관리제도 강화로 인해 코스피, 코스닥은 물론 코넥스 상장사까지 IT 서비스에 대한 엔드 투 엔드 관리가 필요해졌다. 이에 기업들은 외부 ITSM 솔루션을 도입하거나 내부에서 자체 ITSM 도구를 개발해 운영해오고 있다. 아틀라시안의 ITSM은 업무관리 솔루션 분야 독보적 위치에 있는 Jira(지라)와 통합 운영할 경우 시너지가 극대화된다는 점이 가장 큰 강점이다. 강화된 내부회계관리제도 감사에 적절히 대응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비용 및 인력 관리 측면에서도 효율적인 솔루션이다. 폴라리스오피스는 국내 아틀라시안 파트너사 중 가장 많은 ITSM 전문
[더구루=정등용 기자] 인도 주식시장 시가총액이 전세계에서 네 번째로 큰 규모로 성장했다. 인도 기업들의 실적 호조로 해외 투자자들의 자금이 대거 몰린 결과다. 22일 증권 업계에 따르면 인도 주식시장 시가총액은 지난 3월 말 이후 13% 증가해 현재 3조3000억 달러(약 4200조 원)까지 성장했다. 이는 미국, 중국, 홍콩, 일본에 이어 전세계에서 네 번째로 큰 규모이며 글로벌 주식시장 전체 시가총액의 3.3%에 이르는 수준이다. 인도 봄베이증권거래소(BSE)의 BSE 센섹스 지수도 21일 전일보다 0.31% 오른 6만3523.15로 사상 최고치를 경신했다. 인도증권거래소(NSE)의 니프티 50 지수 역시 일본 닛케이 225 지수에 이어 이번 분기 아시아 태평양 지역에서 가장 우수한 성적을 거뒀다. 업계는 이 같은 인도 주식시장의 성장이 외국인 투자 열풍에서 비롯된 것으로 보고 있다. 블룸버그 데이터에 따르면 외국인 투자자들은 지난 4월부터 약 57억 달러(약 7조3400억 원) 규모로 인도 주식을 매수했다. 최근 몇 주 동안에도 매주 10억 달러(약 1조3000억 원) 이상의 자금이 유입되는 등 외국인 매수세는 이어지고 있다. 기준금리 인하에 대한 기
[더구루=최영희 기자] 제1 금융권의 주택담보대출 비교 견적 서비스가 곧 시장에 출시될 전망이다. 로보어드바이저 전문기업 파운트는 자회사 파운트파이낸스에서 출시 예정인 '온·오프라인 연계 주택담보대출 비교견적 서비스'가 금융위원회 혁신금융서비스(규제 샌드박스)에 지정됐다고 22일 밝혔다. 이번에 혁신금융으로 지정된 서비스는 주택담보대출 비교에 특화된 온·오프라인 연계형이다. 단순히 주택담보대출 상품의 금리를 비교하는 것이 아닌 제1 금융권 은행 기준으로 한도를 조회하고 비교 견적을 통해 가장 유리한 조건의 대출상품을 선택할 수 있도록 한 서비스다. 올 하반기 플랫폼 출시를 목표로 하고 있다. 특히 완전 비대면으로 진행이 어려운 주택담보대출의 특성을 고려해 플랫폼을 통해 금융기관과 연계된 대출모집인을 중개, 대출모집인에 의한 비교 견적 서비스라는 것이 가장 큰 특징이다. 소비자가 플랫폼을 통해 주택담보대출 한도를 조회한 후 금융권 대출모집인들에게 견적을 요청하면 각 대출모집인이 제안한 견적 중 최적의 대출상품을 직접 선택할 수 있다. 이후 해당 대출상품을 제안한 대출모집인과 대면 상담을 거쳐 대출을 실행하게 되는 구조다. 현재 국내 주택담보대출 시장은 소비자와
[더구루=오소영 기자] 호주 폐배터리 재활용 회사 리비움(Livium Limited, 옛 리튬오스트레일리아)의 자회사 엔바이로스트림(Envirostream Australia Pty Ltd)이 희귀 금속의 회수 기술 개발에 나선다. 금속 회수 기술을 보유한 아이온드라이브(Iondrive)에 재활용 원료를 제공하고 테스트를 수행한다. 지속가능한 회수 기술의 상업화를 앞당기고 재활용 산업의 성장을 견인한다. [유료기사코드] 18일 아이온드라이브에 따르면 엔바이로스트림과 심층공융용매(DES) 상용화를 위한 텀시트(term sheet·조건합의서)를 체결했다. DES는 특정 금속 이온을 선택적으로 용해하거나 침전시켜 희귀 금속을 추출할 수 있는 친환경 기술이다. 아이온드라이브는 DES 공정 테스트에서 유의미한 성과를 냈다. 폐배터리를 분해해 얻은 검은 가루 형태의 중간 가공품 '블랙매스'에서 95%가 넘는 희귀 금속 회수율을 기록했다. 연말 시운전을 목표로 파일럿 설비도 건설하고 있다. 엔바이로스트림은 이번 텀시트에 따라 파쇄된 태양광 폐패널과 셀, 블랙매스, 희토류 자석, 전자폐기물 등을 수집해 아이온드라이브에 제공한다. 아이온드라이브의 DES 기술·경제성 테스트에
[더구루=홍성일 기자] 마이크로소프트(MS)의 멕시코 핵심 데이터센터가 전력망 문제로 가스 발전기를 사용한 것으로 확인됐다. 인공지능(AI) 시대를 맞아 멕시코에 대한 빅테크 기업들의 투자가 급증하고 있지만, 이를 뒷받침할 전력 인프라의 한계가 장애물이 되고 있다는 평가다. [유료기사코드] 8일 업계에 따르면 MS가 지난해 5월 멕시코 케레타로주 콜론에 오픈한 하이퍼스케일 데이터센터 '멕시코 센트럴(Mexico Central)'은 올해 2월부터 6개월 가량 가스 발전기 7대에 의존해 운영됐다. MS가 멕시코 환경당국에 제출한 서류에 따르면 해당 발전기는 올해 2월부터 7월까지 하루 12시간동안 가동됐으며 데이터센터가 요구하는 전력량의 70%를 공급했다. 하지만 이 과정에서 5만4000가구가 1년동안 배출한 양과 같은 이산화탄소가 배출됐다. MS는 2024년 5월 오픈 이후부터 올해 1월까지는 어떻게 에너지를 공급했는지, 7월 이후 가스 발전기를 운영할지 여부 등에 대해서는 함구하고 있다. 멕시코 센트럴이 자체 가스 발전기를 동원한 배경에는 전력망의 건설 지연이 있다. 멕시코 센트럴은 중남미 지역의 첫 지역 리전으로, MS는 해당 데이터센터 구축과 교육 프로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