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구루=길소연 기자] HD현대건설기계가 유럽에서 미니 굴착기 신규 라인업을 확대한다. 제품 경쟁력과 공급능력을 앞세워 유럽 내 미니 굴착기 시장 공략을 강화한다. 15일 업계에 따르면 HD현대건설기계는 유럽 시장에 미니 굴착기 8대를 출시한다. 출시 모델은 작동 중량이 1.7~5.5톤(t)에 이르는 12개 모델 범위로 구성됐다. △HX17AZ(1.7t) △HX19A(1.9t) △HX35AZ(3.5t) △HX40A(4.0t) △HX48AZ(4.8t) 등 미니 굴착기 5종은 이달 중 출시된다. 2.5t, 3.0t, 5.0t 무게의 모델은 2분기에 나올 예정이다. Z가 붙은 모델은 제로 테일 스윙 디자인을 특징으로 한다. 미니 굴착기를 활용하는 다양한 고객층을 고려해 비상 상황 시 엔진을 즉시 멈출 수 있는 긴급 스위치를 탑재해 안정성을 높였고, 인체공학적 디자인과 캐빈 설계 개선으로 여유로운 작업공간을 통한 안락함을 더했다. 붐, 디퍼 암, 도저 블레이드용 모든 유압 실린더에는 안전 밸브가 표준으로 장착됐다. 특히 유럽 배기가스 배출 기준인 STAGE V 규제를 충족하고 작업 효율을 극대화할 수 있는 고급 사양과 성능을 갖췄다. 장비 소음도 동급 모델 대비 최
[더구루=길소연 기자] 한화에어로스페이스의 6륜 구동 지능형 다목적무인차량(UGV) 아리온-스멧(Arion-SMET)이 미국 육군과 해병대가 실시한 현장 테스트를 통과했다. 아리온-스멧의 테스트 통과로 한화에어로스페이스는 미군의 다목적무인차량 신속획득사업에 한발 더 다가섰다. 15일 업계에 따르면 한화에어로스페이스(이하 한화에어로)는 미 육군과 해병대가 하와이에서 일주일간 실시한 현장 테스트를 완료했다. 이번 테스트는 아리온-스멧의 배치 준비 상태와 전쟁에서 요구하는 능력을 충족할 수 있는 서능을 보여주기 위함이다. 아리온-스멧은 2022년 11월 미 국방부가 주관하는 해외비교성능시험(Foreign Comparative Testing, FCT)에도 참여했다. 미 국방부는 국내에서 개발된 군용 무인차량 중 처음으로 아리온-스멧을 FCT 대상 장비로 선정하는 등 한화에어로의 첨단 지상 무인체계 기술에 관심을 보이고 있다. 한화에어로스페이스 관계자는 "성공적인 FCT 수행과 현장 테스트는 한화에어로스페이스가 미군 현대화 사업에 필요한 믿을 만한 파트너임을 보여준다"며 "아리온-스멧이 미군의 다목적무인차량 신속획득사업으로 이어질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할 예정"이라고
[더구루=길소연 기자] 미국 국방고등연구계획국(Defense Advanced Research Projects Agency, 이하 DARPA)이 드론 자율주행 프로그램을 통해 무인항공시스템(UAS)의 성능을 향상시킨다. 드론 자율성과 방어 능력을 강화해 복잡한 환경에서 적의 대응 능력을 앞선다는 목표이다.
[더구루=길소연 기자] 미국 해군의 무인 잠수정(UUV) 플랫폼의 공급업체가 선정됐다. 미 해군은 자율 수중 감지와 페이로드 전달을 제공하는 대형급 무인잠수정(LDUUV)을 개발해 해저 전투 능력을 향상시킨다.
[더구루=정예린 기자] 방위사업청이 글로벌 항공기 엔진 제조사 '프랫앤휘트니(P&W)'와 약 4800억원 규모의 유지·보수 계약을 체결했다. 우리 공군의 주력 전투기 핵심 부품을 최적의 상태로 관리, 전투력을 강화하고자 함이다. 프랫앤휘트니는 13일(현지시간) 방위사업청이 발주한 3억5500만 달러(약 4800억원) 규모 성과기반 군수지원(PBL) 사업을 수주했다고 발표했다. 공군 지원을 위한 단일 PBL 계약 중 가장 큰 규모다. 미국 방산업체 'RTX'의 계열사인 프랫앤휘트니는 우리 공군 전투기인 'F-15 이글'과 'F-16 파이팅 팔콘’에 탑재된 F100엔진 유지·보수를 맡는다. 신속한 부품 공급과 정비 서비스를 제공, 공군 전투시스템 가용성과 효율성 향상을 돕는다는 방침이다. 계약 기간은 작년 12월부터 오는 2027년 하반기까지다. 프랫앤휘트니는 지난 2012년 방위사업청과 첫 계약을 체결했다. 방위사업청과 프랫앤휘트니는 기존 계약을 갱신하며 파트너십을 이어왔다. 이번 계약은 양측 간 세 번째 연속 거래다. PBL은 군수품의 안정적인 가동률 보장을 위해 무기체계를 개발한 업체가 △운용 △유지 △보수 △성능개량 등을 전담하는 제도다. 대신 성
[더구루=길소연 기자] 대동의 북미법인이 트랙터 사업부인 카이오티(KIOTI)의 신규 임원을 선임했다. 대동의 장기적인 성장과 비전을 위해 새로운 경영진을 추가했다. 대동은 이번 인사를 통해 농기자재 제조업체에서 토탈 솔루션 제공업체로 전환해 고객에게 포괄적인 제품, 플랫폼, 서비스 및 전속 금융 지원을 제공한다는 전략이다. 14일 업계에 따르면 대동 USA는 윤치환 전무를 카이오티의 경영총괄책임자로 임명했다. 대동 USA 관계자는 "대동과 카이오티 트랙터가 업계를 선도할 수 있도록 조직 개편을 단행했다"며 "윤치환 경영총괄책임자는 대동의 전략적인 변화와 장기적인 성장 비전을 실현하는 데 핵심적인 역할을 할 것이며, 그의 전문성을 바탕으로 카이오티 트랙터 사업이 성장할 것으로 기대된다"고 밝혔다. 대동 USA가 윤 전무를 선임한 배경은 북미 트랙터 시장 확대뿐만 아니라 토탈 솔루션 회사로의 전환 때문이다. 대동은 농기자재 제조회사에서 농업의 토탈 솔루션을 제공하는 회사로의 전환을 가속화하고 있다. 토탈 솔루션 제공업체가 될 수 있도록 확장되는 제품 포트폴리오를 새로운 기술과 서비스로 보완하고 있다. 대동은 토탈 솔루션 회사로 거듭나 고객에게 포괄적인 제품,
[더구루=길소연 기자] 엄동환 방사청장이 폴란드를 방문해 양국간 방산 협력 강화에 대해 논의했다. 한국과의 무기 거래에서 자금 조달을 위한 한국의 대(對)폴란드 차관이 막혀 계약 파기 우려가 확산되자 수출입은행 개정 추진을 알리며 진화에 나섰다. 13일 업계에 따르면 엄 청장은 지난 8일(현지시간) 안제이 그지브(Andrzej Grzyb) 폴란드 국방위원장을 만나 한국-폴란드 간 방산 협력 강화에 대해 심도있는 대화를 나눴다. 엄 청장은 이 자리에서 폴란드와의 거래에서 걸림돌인 금융지원을 위해 폴란드 신용 한도 증액 동의는 물론 법 개정안 채택 등을 언급하며 계약 무효화 우려를 잠재웠다. 이에 안제이 그지브 위원장은 "한국산 무기의 큰 장점은 나토(NATO) 시스템과의 상호 운용성이 가능하고, 무기 자체를 기다리지 않고 즉시 구매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며 "한국산 무기를 통해 군 현대화를 추진하고자 한다"고 말했다. 위원장은 그러면서 이번 계약의 가장 큰 문제는 재정이라고 지적했다. 그는 "한국 측은 의회 임기가 끝나기 전에 구체화되어야 할 몇 가지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며 "한국 수출인은행이 폴란드에 대해 더 높은 신용 한도를 얻을 수 있도록 동의하길 바
[더구루=길소연 기자] K2흑표전차 성능 개량사업의 윤곽이 나왔다. 방사청은 도시지역 발달로 인한 작전소요 증대 등 미래 작전환경 변화에 대응하고, 유무인 복합전투능력 구비를 위해 K2전차 성능을 개량한다는 계획이다. 13일 업계에 따르면 방위사업청은 K2전차 성능 개량사업을 진행하고 있다. 사업 내용은 △적 대전차 미사일과 드론 공격 등에 효과적 대응이 가능한 복합능동방호장치 장착 △도시지역과 산악지역에서 작전수행간 승무원 관측능력 향상을 위한 360도 전장상황 인식장치 개발 △인공지능(AI)기반 원격사격통제체계(RCWS) 장착을 통한 전투력 향상이다. 복합능동방호장치는 이스라엘 트로피급 능동방어 장치를 장착한다. 트로피는 하드킬 능동방어시스템 중 코넷과 같은 대구경 대전차미사일 요격능력을 제대로 증명했다. 폴란드 수출형 K2PL에는 트로피 하드킬 능동방어 시스템을 선택했다. 다만 트로피 비용이 상당해 현재 트로피와 동급 이상의 성능을 갖춘 한국형 하드킬 능동방어시스템이 개발되고 있다. 현대로템과 이스라엘 라파엘이 개발 중이다. 이스라엘 아이언 비전과 유사한 국산 360도 투시헬멧 시스템도 장착한다. 360도 감시레이더는 대전차 무기 외 초소형 정찰 무인기
[더구루=길소연 기자] 두산에너빌리티 체코 자회사 두산스코다파워(이하 두산스코다)가 핀란드 펄프공장에 공급한 증기 터빈이 시운전에 나섰다. 핀란드의 바이오펄프 공장은 터빈 시운전을 거쳐 순차적으로 가동할 예정이다. 13일 업계에 따르면 핀란드 멧챠그룹(Metsä Group)은 두산스코다가 케미바이오펄프 공장에 공급한 270MW 증기 터빈 가동에 나섰다. 케미바이오펄프 공장은 두산스코다의 증기터빈을 통해 펄프 생산 능력을 90만 톤(t)에서 150만t으로 늘린다. 이 공장은 연간 생산량 62만t인 기존 케미 펄프 공장을 대신하게 된다. 케미 공장은 완공 후 연간 약 2.0TWh(테라와트시)의 재생 가능 전력이 생산될 예정이다. 이는 핀란드 총 전력 생산량의 약 2.5%에 해당한다. 두산스코다는 2022년에 멧챠그룹의 펄프 공장에 270MW 증기 터빈을 납품했다. 멧챠는 바이오 공장 건설로 핀란드 재생 에너지 비율을 2% 이상 증가시킨다는 전략이다. <본보 2022년 8월 9일 참고 두산스코다파워, 핀란드 바이오펄프 플랜트에 터빈 공급> 두산스코다의 증기 터빈은 보다 효율적인 발전과 자원 활용을 가능하게 해 궁극적으로 시설의 설치 공간을 줄이도록 설계
[더구루=홍성일 기자] 독일의 방산기업 라인메탈이 헝가리 바르펄로터(Várpalota) 탄약 공장의 2단계 투자를 개시했다. 라인메탈은 신규 생산을 통해 유럽 내 탄약 부족 문제를 완화하겠다는 계획이다.
[더구루=길소연 기자] 현대차그룹이 인수한 보스턴 다이내믹스와 LIG넥스원이 인수한 고스트 로보틱스가 4족 보행 로봇 주요 업체로 주목받고 있다.
[더구루=길소연 기자] 한화정밀기계가 베테랑 영업 전문가를 신임 멕시코 영업·홍보 담장자로 선임했다. 한화정밀기계가 중남미 지역에서 입지를 공고히 하고 제조산업의 우수성을 주도하기 위한 인사 조치다. 11일 업계에 따르면 한화정밀기계 미국법인 한화테크윈 오토메이션 아메리카(HTAA)는 구스타보 히메네즈(Gustavo Jimenez)를 신임 멕시코 사무소 PR담당자로 임명했다. 영업을 주로 하고, 홍보 업무도 겸직한다. 구스타보 히메네즈 외 미주 담당자 조닌 니콜스(Zonin nichols)도 멕시코 영업 업무를 수행한다. 한화정밀기계는 새로운 인력 확보를 통해 멕시코에서 최첨단 솔루션을 제공하고 제조업체가 우수성과 글로벌 경쟁력을 추구한다. 구스타보 히메네즈 신임 담당자는 뛰어난 영업과 엔지니어링 전문가이다. 전자 제조 산업, 특히 표면실장기술(SMT) 분야에서 풍부한 전문성과 입증된 실적을 보유하고 있다. 구스타보 히메네즈는 멕시코 국립대학에서 산업 및 시스템 엔지니어링을 전공한 후 영업, 협상, 계정 관리, 프로젝트 관리, 고객 서비스 분야에서 실력을 쌓았다. 풍부한 경험과 업계에 대한 해박한 지식을 바탕으로 한화정밀기계 멕시코 사업을 성장시킬 이상적인
[더구루=이꽃들 기자] 배달의민족 모기업 딜리버리히어로(Delivery Hero)가 유엔(UN)의 새로운 환경 이니셔티브인 '딜리버리-E 연합(Deliver-E Coalition)'에 창립 멤버로 참여하며 ESG(환경·사회·지배구조) 경영을 대폭 강화한다. 이번 결정은 전 세계적으로 팽창하는 배달 서비스 시장에서 발생하는 환경적 영향을 최소화하고, 지속 가능한 성장을 위한 글로벌 리더십을 확보하겠다는 전략으로 풀이된다.
[더구루=홍성일 기자] 중국 배터리 제조사 고션 하이테크(Gotion High Tech, 이하 고션)가 스페인에 배터리 소재 공장 건설을 추진한다. 고션은 새로운 소재 공장을 기반으로 파트너사인 이노뱃(InoBat)을 지원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