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구루=최영희 기자] 메타버스 전문 개발사 원유니버스는 시그널리포트와 공동으로 개발한 금융·투자 메타버스 플랫폼 ‘시리버스’의 베타 서비스를 출시했다고 26일 밝혔다. 시리버스는 네이버 프리미엄 콘텐츠 매출 1위의 금융, 투자 관련 전문 콘텐츠 구독 서비스인 시그널리포트와 메타버스 플랫폼 개발 전문 스튜디오인 원유니버스의 엘리시온 스튜디오가 공동 개발한 국내 최초의 금융, 투자 관련 메타버스 서비스다. 시리버스는 현재 시그널리포트 구독자 간 메타버스 월드에서의 교류와, 필진들과의 만남, 투자 관련 정보 공유, 전용 콘텐츠 열람 등의 기능을 지원한다. 향후 비대면 강의와 게임 콘텐츠, 초보유저를 위한 학습 콘텐츠 제공이 순차적으로 업데이트 될 예정이다. 시리버스는 지난 6월말 안드로이드 플랫폼부터 베타 서비스를 개시하고, 현재는 시그널리포트 구독자 중 10회차 이상 이용자들에 한해 운영되고 있다. 이후 사용자 피드백을 받아 다양한 콘텐츠와 시스템 업데이트를 통해 내년 1분기 정식 서비스를 목표로 하고 있다. 시리버스 이용자들은 ‘시리언즈’라는 캐릭터를 생성하고 가상공간 내에서 동료 시리언즈들과 채팅으로 소통할 수 있다. 투자 전문 메타버스 플랫폼인만큼 투자에
[더구루=정등용 기자] 미래에셋증권이 인도에서 멀티캡 펀드 ‘NFO’를 출시한다. 미래에셋증권 인도네시아 법인인 미래에셋 세쿠리타스는 26일 NFO 출시 소식을 알리며 오는 28일까지 투자자 신청을 접수 받는다고 밝혔다. NFO는 인도네시아 대형주와 중형주, 소형주에 투자하는 개방형 펀드로 최소 투자 금액은 5000루피(7만8000원)부터 시작한다. 투자자가 포트폴리오를 다각화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으며 다양한 시장 주기에 걸쳐 위험 조정 수익을 얻을 수 있다는 게 업체 설명이다. 인도 증권거래위원회(SEBI)는 최근 멀티캡 펀드에 대해 대형주와 중형주, 소형주 투자 비중을 각 25% 이상 유지해야 하는 새로운 규정을 도입했다. 해당 요건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투자자는 투자 목표에 따라 유연하게 자금을 운용할 수 있다. NFO 포트폴리오의 최대 25%는 부채 상품에 투자된다. 이에 투자자는 해당 상품이 이자율 위험과 재투자 위험, 신용 위험, 유동성 위험을 포함한 특정 위험을 수반한다는 점을 인식해야 한다. 또한 NFO는 고위험 투자로 간주되는 리츠(REITs)와 인빗(InvITs)에 최대 10%를 할당한다. 투자자는 NFO 투자 전 투자설명서에 기재된
[더구루=정등용 기자] 미래에셋증권이 인도네시아에서 장애 아동 지원 활동에 나섰다. 기업의 사회적 책임(CSR) 활동을 확대하는 모습이다. 미래에셋증권 인도네시아 법인 미래에셋 세쿠리타스는 25일 자카르타 야야산 펨비난 아낙 카캇(YPAC)에서 장애 아동을 위한 교육 운영 기금을 전달했다. 이번 기금은 미래에셋 세쿠리타스가 개최한 인도네시아 최대 규모의 주식 트레이딩 대회 ‘HOTS 챔피언십 11(HCS 11)’ 참가 고객들로부터 모금됐다. 이 밖에 HOTS 챔피언십 11의 멘토 중 한 명인 마이클 여가 사회 공헌 기금을 기부했다. 아리산디 인드로위사띠오 미래에셋 세쿠리타스 이사는 “이번 CSR은 미래에셋 세쿠리타스와 고객이 지역 사회와 환경에 많은 관심을 갖고 있다는 것을 보여주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미래에셋 세쿠리타스는 최근 인도네시아 고객 기반을 넓히기 위해 다양한 CSR 활동을 전개하고 있다. 지난 10일엔 구디파이(Goodify) 프로그램을 시작했다. 구디파이 프로그램은 인터넷 쇼핑과 기부를 연결한 형태의 프로그램으로 자원봉사 연계 활동도 가능하다. 이보다 앞서서는 자카르타 북부 플루이트 시장에 위치한 바이툴 아민 모스크에서 기도용 양탄자 기부 행
[더구루=정등용 기자] 다올투자증권이 태국에서 자산 상담 서비스인 ‘다올섹 웰스 어드바이스(DAOLSEC Wealth Advice)’를 출시했다고 25일 밝혔다. 다올섹 웰스 어드바이스는 고객의 투자 목표를 충족하기 위해 다양한 투자 계획을 제공한다. 매월 동일한 투자 금액을 점진적으로 늘려 나가는 월간 계획과 비상 사태에 대비한 예비 자금을 마련할 수 있는 긴급 계획 등이 대표적이다. 각 계획에 대한 자금 포트폴리오 수립 과정엔 전문가가 함께한다. 전문가는 CFA 자격이 있거나 뮤추얼 펀드에 대한 전문 지식이 있는 다올투자증권 애널리스트로 구성된다. 이들은 위험 분산을 돕기 위해 다양한 유형의 뮤추얼 펀드 자산을 투자 포트폴리오에 할당한다. 다올섹 웰스 어드바이스는 자동으로 투자를 관리하고 분기마다 포트폴리오를 자동 수정한다. 발행된 것보다 비율이 높은 펀드는 매도하며, 지정된 것보다 비율이 낮은 펀드는 더 많이 구매하는 방식이다. 다올투자증권 태국 현지법인 다올타일랜드 관계자는 “다올섹 웰스 어드바이스는 고객의 재무 목표를 보다 쉽게 달성하는 데 도움이 되는 투자 관리 도구로서의 역할을 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한편, 다올투자증권은 지난 2008년 현지
[더구루=정등용 기자]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 주가가 저점을 벗어났다는 분석이 제기됐다. 올해 2분기 사업 실적도 부진할 가능성이 높지만 업계 불황이 끝날 것이란 전망이 확산하고 있다. 손현호 피델리티자산운용 펀드매니저는 25일 블룸버그와의 인터뷰에서 “메모리 사이클이 저점에 근접했거나 잠재적으로 저점에 도달했으며, AI 관련 투자가 강력한 수요 회복을 이끌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이어 “실적 약세는 이미 가격에 반영돼 있으며 경영진의 긍정적인 가이던스가 주가를 다시 끌어올릴 수 있다”고 강조했다. 실제로 블랙록과 JP모건 등 글로벌 금융사들은 이미 인공지능의 선전을 전망하며 반도체 주식을 계속 사들이고 있다. 피델리티 펀드도 지난 5월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 주식 보유 비중을 늘렸다. 손현호 펀드매니저는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의 암울한 예비 수익 보고서 이후 최악의 상황은 지나간 것으로 보인다”며 “일부 글로벌 반도체 주식은 여전히 장부가에 가깝게 거래되고 있는데 이는 매력적인 밸류에이션 전망을 제공한다”고 설명했다. 이번주엔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의 2분기 실적 발표가 예정돼 있다. 증권가에선 삼성전자 메모리 반도체 사업이 지난 1분기 4조5800억
[더구루=정등용 기자] 신한투자증권이 인도네시아 윤활제 전문 기업 루프로맥스 펠루마스 인도네시아(LMAX)의 기업공개(IPO)를 주간한다. 루프로맥스 펠루마스 인도네시아는 25일 신한 세쿠리타스 인도네시아를 기업공개 주간사로 선정하고 인도네시아 증권거래소(IDX) 상장을 추진한다고 밝혔다. 루프로맥스 펠루마스 인도네시아는 신주 1억9500만 주를 발행할 예정이며 주당 공모가 범위는 160~200루피아로 설정됐다. 이를 통해 312억~390억 루피아(약 26억~33억 원)를 조달한다는 계획이다. 이와 함께 9750만 개의 시리즈 I 워런트도 발행했다. 신주 2주를 보유한 주주는 1개의 시리즈 I 워런트를 취득할 수 있다. 1개의 시리즈 I 워런트에는 포테펠에서 발행된 신주 1주를 매수할 수 있는 권한이 부여된다. 시리즈 I 워런트 조달 금액은 160억~170억 루피아(약 13억~14억 원)에 이를 전망이다. 루프로맥스 펠루마스 인도네시아는 기업공개 조달 자금을 운전 자본으로 사용한다는 계획이다. 구체적으로는 자금 70%를 재고 구매에, 나머지는 운영비에 사용된다. 지난 1990년 설립된 루프로맥스 펠루마스 인도네시아는 윤활윤 전문 제조 기업으로 △엔진 첨가제
[더구루=최영희 기자] KB증권이 25일 포스코퓨처엠의 목표주가를 66만원으로 상향조정했다. 포스코퓨처엠은 배터리소재 제품 포트폴리오를 확대해 1분기에 이어 2분기에도 최대 매출을 경신했다. 2분기 연결 기준 매출액은 1조1930억 원, 영업이익 521억 원이다. 배터리소재 사업의 2분기 매출과 영업이익은 8425억 원과 375억 원으로 전분기 대비 각각 8.0%, 124,6%가 각각 증가했다. 양극재 부문 매출은 7863억원으로, 고성능 전기차용 프리미엄급 제품인 N86 양극재의 판매비중이 늘고 특히 에너지효율과 안정성이 높은 하이니켈 단입자 양극재를 지난 4월부터 국내 최초로 양산 공급해 온 것이 매출액 증가에 기여했다. 이날 KB증권 이창민 애널리스트는 "올해 전체 예상 매출은 전년 대비 66% 증가하고, 영업이익은 50% 늘어날 것으로 추정된다"면서 "긍정적인 시각을 유지한다"고 밝혔다. 특히 양극재 케파 확대에 따른 실적 성장이 기대된다고 설명했다. 한편, 전날 포스코포처엠은 10.50% 급등한 54만2000원으로 거래를 마쳤다.
[더구루=정등용 기자] 베트남 국가증권위원회(SSC)는 KB증권 베트남에 증권 시장 분야 행정 위반을 이유로 벌금 8000만 동(432만 원)을 부과했다고 24일 밝혔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KB증권 베트남은 관련 법에 따라 웹사이트에 공개된 정보를 5년 동안 보관해야 하지만 이를 지키지 않아 2000만 동(108만 원)의 벌금을 부과 받았다. 또한 KB증권 베트남 이사회는 회사 총 자산 10% 이상의 자본 차입에 대해 정보를 공개해야 할 의무가 있지만 지난 2021년부터 2022년까지 이를 적시에 공개하지 않아 6000만 동(324만 원)의 벌금을 부과 받았다. 이와 관련해 KB증권 관계자는 “지난해 11월 베트남 증권거래소가 현지 법인에 대한 점검을 진행했고 그 결과 대출 공시 의무 규정에 대한 해석 차이로 지적을 받아 이를 즉시 개선했다”면서 “다만 베트남 증권거래소에서 국가증권위원회에 점검 결과를 공유한 후 7개월이 지나 벌금이 부과된 상황”이라고 설명했다. KB증권은 지난 2017년 현지 증권사 마리타임증권을 인수하며 베트남 시장에 진출했다. 지난해엔 베트남 하노이증권거래소(HNX) 시장 점유율 톱10에 진입했다. 올해 상반기엔 지난해보다 저조한 실
[더구루=최영희 기자] "기업공개(IPO)를 시작으로 데이터센터 시장을 선도하는 글로벌 팹리스 전문기업으로 도약하겠다." 24일 파두는 여의도 63빌딩에서 IPO 기자 간담회 열고 이 같은 비전을 제시했다. 파두는 데이터센터에 특화된 시스템 반도체 팹리스 기업이다. 클라우드, 인공지능(AI), 빅데이터, 5G, 자율주행 등 데이터 수요의 증가에 따라 빠르게 성장하고 있는 데이터센터 영역에 집중하고 있다. 핵심 제품은 데이터센터에서 사용되는 SSD 컨트롤러다. SSD는 고성능 메모리 반도체인 낸드(NAND) 메모리반도체에 기반한 데이터 저장장치다. 속도가 느리고 내구성이 낮은 낸드를 데이터센터에서의 데이터 저장장치로 사용하기 위해선 낸드를 병렬로 구성해 속도를 높이고, CPU와 GPU에서 요구하는 데이터들을 빠르게 처리해 보내주면서 낸드의 데이터 손실을 방지하고 안정성을 높일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해 필요한 것이 바로 SSD 컨트롤러다. 파두는 이달 24~25일 기관 투자자 대상 수요예측을 거쳐 공모가를 확정한 후 27~28일 일반 투자자 대상 공모주 청약을 진행할 예정이다. 주당 공모 희망가액은 2만6000원∼3만1000원이며 공모주 청약 후 예상 시가총액은
[더구루=최영희 기자] 헬스케어 의료기기 전문기업 휴비츠가 사회 공헌 활동 프로그램인 '빛을 드림'을 통해 취약계층 아동의 안과 진료 및 수술을 진행했다고 24일 밝혔다. 매년 여러 기관들과 연계해 ▲취약 계층 무료 안경 지원 ▲군부대 무료 시력검사 ▲임직원 재능 기부 등 다양한 방식의 나눔을 실천해온 휴비츠는 올해부터 세이브더칠드런의 '2023 보건의료지원사업'에 취약 계층 아동의 안과 진료 및 수술비를 지원한다. 휴비츠가 취약 계층 아동을 대상으로 수술비를 지원하고, 세이브더칠드런이 대상 아동 및 협력 병원을 선정해 수술을 지원하는 방식이다. 이번 안과 수술을 진행한 새빛안과병원은 지난 5월 6명의 취약계층 아동의 사시 정밀 검사 및 수술을 진행했으며 현재 해당 아동들의 수술경과를 모니터링 중이다. 수술을 집도한 박수철 병원장은 “소아안과 전문의로 많은 아동들의 진료를 보고 있지만 가정 형편으로 인해 치료 시기를 놓친 환자들을 볼 때 안타까운 마음이 컸었다”면서 “특히 사시 아동의 경우 친구들의 시선이나 놀림 때문에 의기소침해지는 경우가 많은데 수술 후 밝은 모습으로 병원을 내원하는 아동들을 볼 때 가장 기쁘고 뿌듯하다”고 말했다. 휴비츠는 이번 사시 수
[더구루=정등용 기자] 미래에셋증권이 올해 2분기 베트남 시장에서 부진한 사업 실적을 거뒀다. 24일 미래에셋증권 베트남 법인 사업 보고서에 따르면 올해 2분기 영업이익은 전년 동기 대비 24% 감소한 1361억 동(약 74억 원)을 기록했다. 매출은 전년 동기 대비 5% 감소한 6072억 동(약 330억 원)으로 나타났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대출 및 미수금 이자가 3367억 동(약 180억 원)으로 전년 대비 3.5% 감소했다. 증권 중개 수익은 1356억 동(약 73억 원)으로 작년보다 20.3% 감소했으며, 당기손익인식금융자산(FVTPL)도 261억 동(약 14억 원)으로 57.1% 줄었다. 반면 만기보유증권(HTM) 투자 수익은 작년보다 88.4% 증가한 995억 동(약 54억 원)을 기록했다. 총 운영 비용은 전년 대비 2.6% 증가한 3993억 동(약 217억 원)에 달했다. 이 중 대출 및 미수금으로 인한 이자·손실 비용은 전체의 63%에 해당하는 2515억 동(약 137억 원)을 기록했다. 이는 전년보다 89.4% 증가한 수치다. 당기손익인식금융자산 손실은 87.4% 감소한 97억 동(약 5억 원)을 나타냈다. 총 자산은 연초 대비 9.2%
[더구루=정등용 기자] 미래에셋 글로벌X가 하반기 성장 동력으로 인공지능(AI) 시장을 주목했다. 인공지능이 산업 전반에 잠재적 성장의 핵심 원천이 될 것이란 분석이다. 스콧 헬프스타인 글로벌X 테마 솔루션 수석 부사장은 24일 “인공지능 생태계와 혁신 붐이 최근 산업계를 중심으로 조성되고 있다”면서 “이는 하반기 투자 시장을 낙관하는 중요한 이유 중 하나”라고 말했다. 이어 “우리의 분석에 따르면 로봇 공학과 인공 지능, 클라우드 컴퓨팅, 사물 인터넷 등 상반기 우수한 성과를 거둔 많은 테마가 여전히 매력적일 수 있다”며 “인공지능 외에도 미국 인프라와 농업 기술도 매력적인 기회를 제공할 것으로 보인다”고 덧붙였다. 그러면서 인공지능 중심 ETF 상품으로 △GX Robotics & Artificial Intelligence ETF(BOTZ) △ALPS Disruptive Technologies ETF(DTEC) △Goldman Sachs Innovate Equity ETF(GINN) △iShares Robotics and Artificial Intelligence Multisector ETF(IRBO) △Artificial Intelligence a
[더구루=오소영 기자] 호주 폐배터리 재활용 회사 리비움(Livium Limited, 옛 리튬오스트레일리아)의 자회사 엔바이로스트림(Envirostream Australia Pty Ltd)이 희귀 금속의 회수 기술 개발에 나선다. 금속 회수 기술을 보유한 아이온드라이브(Iondrive)에 재활용 원료를 제공하고 테스트를 수행한다. 지속가능한 회수 기술의 상업화를 앞당기고 재활용 산업의 성장을 견인한다. [유료기사코드] 18일 아이온드라이브에 따르면 엔바이로스트림과 심층공융용매(DES) 상용화를 위한 텀시트(term sheet·조건합의서)를 체결했다. DES는 특정 금속 이온을 선택적으로 용해하거나 침전시켜 희귀 금속을 추출할 수 있는 친환경 기술이다. 아이온드라이브는 DES 공정 테스트에서 유의미한 성과를 냈다. 폐배터리를 분해해 얻은 검은 가루 형태의 중간 가공품 '블랙매스'에서 95%가 넘는 희귀 금속 회수율을 기록했다. 연말 시운전을 목표로 파일럿 설비도 건설하고 있다. 엔바이로스트림은 이번 텀시트에 따라 파쇄된 태양광 폐패널과 셀, 블랙매스, 희토류 자석, 전자폐기물 등을 수집해 아이온드라이브에 제공한다. 아이온드라이브의 DES 기술·경제성 테스트에
[더구루=홍성일 기자] 마이크로소프트(MS)의 멕시코 핵심 데이터센터가 전력망 문제로 가스 발전기를 사용한 것으로 확인됐다. 인공지능(AI) 시대를 맞아 멕시코에 대한 빅테크 기업들의 투자가 급증하고 있지만, 이를 뒷받침할 전력 인프라의 한계가 장애물이 되고 있다는 평가다. [유료기사코드] 8일 업계에 따르면 MS가 지난해 5월 멕시코 케레타로주 콜론에 오픈한 하이퍼스케일 데이터센터 '멕시코 센트럴(Mexico Central)'은 올해 2월부터 6개월 가량 가스 발전기 7대에 의존해 운영됐다. MS가 멕시코 환경당국에 제출한 서류에 따르면 해당 발전기는 올해 2월부터 7월까지 하루 12시간동안 가동됐으며 데이터센터가 요구하는 전력량의 70%를 공급했다. 하지만 이 과정에서 5만4000가구가 1년동안 배출한 양과 같은 이산화탄소가 배출됐다. MS는 2024년 5월 오픈 이후부터 올해 1월까지는 어떻게 에너지를 공급했는지, 7월 이후 가스 발전기를 운영할지 여부 등에 대해서는 함구하고 있다. 멕시코 센트럴이 자체 가스 발전기를 동원한 배경에는 전력망의 건설 지연이 있다. 멕시코 센트럴은 중남미 지역의 첫 지역 리전으로, MS는 해당 데이터센터 구축과 교육 프로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