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구루=정등용 기자] 에릭 슈미트 전 구글 CEO(최고경영자)가 리튬메탈전지 스타트업 사이온 파워(Sion Power)에 투자했다. 사이온 파워는 자사 리튬메탈전지 제품인 리세리온(Licerion) 상용화를 위해 투자 자금을 활용한다는 계획이다. 3일 관련 업계에 따르면 에릭 슈미트가 이끄는 신규 투자사 힐스파이어(Hillspire)는 최근 사이온 파워의 7500만 달러(약 1000억원) 규모 시리즈A 투자 라운드에 참여했다. 이번 투자 라운드는 LG에너지솔루션의 투자 전문 계열사인 LG 테크놀로지 벤처스와 브릭스 캐피털 매니지먼트를 통해 진행됐다. 수학자 짐 사이먼스가 소유한 기존 투자사 유클리드 캐피털(Euclidean Capital)도 주요 투자자 중 하나로 이름을 올렸다. 사이온 파워는 신규 투자 자금을 리세리온 상용화에 사용할 예정이다. 리세리온은 최대 500Wh/kg의 배터리로 기존 리튬 이온 배터리보다 두 배 많은 에너지를 저장할 수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와 함께 사이온 파워는 자동차 OEM(주문자상표부착생산)과 전지 제조업체의 테스트 및 시장 개발을 위한 전자동 제조 라인을 구축할 계획이다. 이 곳에선 고품질의 대형 리튬메탈 전지가 생
[더구루=오소영 기자] 캐나다계 광업회사 '넥스트소스 머티리얼즈(NextSource Materials, 이하 넥스트소스)'가 모리셔스에 흑연 가공 시설 설립을 위해 환경 인허가 절차에 착수했다. 초기 3600톤(t) 규모로 음극재용 흑연을 생산하고 점차 생산량을 늘린다. 중국산 흑연 의존도를 낮추려는 글로벌 완성차·배터리 업계의 움직임에 대응한다. 1일 모리셔스 정부에 따르면 넥스트소스는 모리셔스 당국에 BAF 건설에 필요한 환경영향평가(EIA) 신청서를 제출했다. 신공장은 모리셔스 수도 포트루이스에 들어선다. 넥스트소스는 지난해 부지를 장기 임대했다. 포트루이스 경제 특구인 자유무역항 내 부지를 빌려 세제 혜택을 꾀했다. 이어 환경 인허가 절차에 착수하며 공장 건설을 본격화했다. 넥스트소스는 이르면 연내 신공장에서 배터리 음극재용으로 가공된 구형정제흑연(CSPG) 생산할 계획이다. 연간 3600t의 생산능력을 갖추고 향후 3개 라인을 추가해 생산량을 1만4400t까지 확대된다. 작년 2월 BAF 시설의 기술 연구에서 책정된 예상 초기 투자비는 3280만 달러(약 440억원)다. 모리셔스는 몰로 흑연 광산이 위치한 마다가스카르와 멀지 않다. 아시아와 유럽,
[더구루=오소영 기자] 미국 에버차지(EverCharge)가 글로벌 에너지 기업 쉘에서 전기차 충전 사업을 이끈 안드레아스 립스(Andreas Lips)를 새 수장으로 임명했다. SK E&S의 미국 자회사 '패스키(PassKey)'와 시너지를 강화하고 성장을 도모한다. 에버차지는 1일(현지시간) 립스를 최고경영자(CEO)로 선임했다고 밝혔다. 에버차지는 작년 11월 제이슨 아펠바움(Jason Appelbaum) 설립자 겸 CEO의 사임 후 패스키의 전기차 충전 유닛 장인 강태호 부사장이 임시 CEO를 맡아왔다. 약 반년 만에 새 수장으로 립스를 영입했다. 립스 신임 CEO는 쉘에서 20년 이상 일하며 에너지와 전기차 충전 분야에서 폭넓은 경험을 쌓은 인물이다. 모빌리티 서비스를 제공하는 쉘 플릿 솔루션즈 사업에서만 8년 근무했다. 에버차지로 옮기기 직전에는 북미·아시아 전기차 충전 사업을 담당하는 쉘 리차지 솔루션즈 아메리카·아시아의 CEO를 지냈다. 전기차 충전기 관리·운영, 통신규약 개발을 위한 국제협의체 'OCA(Open Charge Alliance)'와 북미 최대 전기차 산업 연합인 'ATE(Alliance for Transportation E
[더구루=정예린 기자] 프랑스 '에어리퀴드'가 오는 7월 파리올림픽 개막을 앞두고 수소 모빌리티 인프라 확대에 나섰다. 수소 부문 공식 파트너사로서 수소 충전망을 제공하고 ‘친환경 올림픽’ 개최를 지원한다.
[더구루=오소영 기자] 미국 탄소포집·활용·저장(CCUS) 기업 '8리버스'가 현지 전력사 '록키 마운틴 파워(Rocky Mountain Power)'와 손잡았다. 와이오밍주 내 폐쇄 예정인 석탄화력 발전소를 활용해 '세계 최대' 탄소 포집 사업을 모색한다. SK머티리얼즈의 지원을 토대로 미국 시장을 공략한다. 2일 와이오밍 주정부와 업계에 따르면 록키 마운틴 파워는 지난달 29일(현지시간) 8리버스와 와이오밍 탄소 포집 사업 협력을 위한 업무협약(MOU)을 체결했다. 양사는 석탄화력 발전소에 탄소포집 장치 설치를 검토한다. 와이오밍주 질레트에 위치한 와이오닥과 글렌록 인근 데이브 존스턴 발전소가 후보다. 전자는 록키 마운틴 파워의 모회사인 퍼시픽 코퍼레이션 80%, 블랙힐스 에너지 20%의 지분을 보유하고 있다. 402㎿ 규모로 2039년 폐쇄 예정이다. 약 816㎿ 규모의 후자는 1959~1972년 사이 건설됐다. 2028년 1·2호기를 시작으로 2039년 마지막 4호기까지 가동이 중단된다. 록키 마운틴 파워와 8리버스는 두 발전소 중 우선순위를 정하고 타당성 평가를 수행한다. 설계와 엔지니어링 연구를 진행하고 탄소 포집 장치의 설치 여부를 최종 확정한다
[더구루=정등용 기자] 미국 폐배터리 재활용 혁신기업 어센드 엘리먼츠(Ascend Elements)가 켄터키주 전구체 공장 건설을 위한 신규 자금을 확보했다. 어센드 엘리먼츠는 이번 투자 유치로 폐배터리 재활용 시장 내 입지를 강화할 것으로 예상된다.
[더구루=오소영 기자] 한화가 일본에서 신규 태양광 모듈 브랜드 '리닷라이즈(Re.RISE®)'를 론칭했다. 주택용부터 산업용까지 포괄하는 고출력·고효율 모듈로 일본 태양광 에너지 시장에서 경쟁력을 높인다. 한화재팬(옛 한화큐셀 재팬)은 일본 태양광 시장을 겨냥한 브랜드 리닷라이즈를 선보였다고 2일 밝혔다. 리닷라이즈는 일본 시장에 특화된 양면형 제품으로 구성된다. 컴팩트한 사이즈로 좁은 지붕에도 설치가 가능한 주택용부터 대용량 산업용 모듈까지 아우른다. 이번에 출시된 모델은 △최대 출력 230Wp, 효율 20.8%인 'Re.RISE® S 230' △최대 출력 435Wp, 효율 22.3%인 'Re.RISE®-G2 435' △최대 출력 580Wp, 효율 22.5%인 'Re.RISE® L-G2 580' △최대 출력 610Wp, 효율 22.6%인 'Re.RISE® L-G2 BFG 610'이다. 주택용 모듈인 S 230은 일본 도쿄도 환경국으로부터 뛰어난 성능을 인정받아 보조금 지원 대상에 올랐다. 한화재팬은 향후 라인업을 확대할 계획이다. 일본 맞춤형 제품으로 시장 우위를 공고히 한다. 한화는 2011년 한화큐셀 재팬을 설립해 일본 시장에 진출했다. 작년 3월 한
[더구루=오소영 기자] 중국 선전BTR신재료(贝特瑞, 이하 BTR)가 모로코에 양극재 공장 투자를 확정했다. 1조원 이상 쏟아 연간 5만톤(t)의 양극재 공장을 건설한다. 풍부한 광물과 지리적 이점 덕분에 모로코에 배터리 소재 회사들의 투자가 몰리고 있다.
[더구루=정예린 기자] 원익머트리얼즈가 미국 텍사스주 오스틴에 신규 토지를 매입했다. 최대 고객사인 삼성전자의 현지 공장 인근이다. 원익머트리얼즈가 텍사스주를 신규 투자처로 낙점한 것은 삼성전자의 북미 주요 공급망에 진입하기 위한 결정으로 풀이된다. 반도체 특수가스를 납품, 양사 간 동맹이 확대될 것으로 기대된다. 1일 미국 매체 '오스틴비즈니스저널' 등 외신과 현지 정부에 따르면 원익머트리얼즈 미국법인은 지난 1월 오스틴 매너시 올드 킴브로 로드(Old Kimbro Road) 인근 필지 2개를 구입했다. 이 곳에 특수가스 제조시설을 건설할 예정이다. 원익머트리얼즈 관계자는 "전자 특수가스 및 첨단 재료에 대한 고객의 요구 사항을 지원하기 위해 토지를 매입했다"고 밝혔다. 공장 건설 일정과 시설 규모 등 구체적인 사안에 대해서는 함구했다. 고객사명도 비공개 원칙을 내세웠으나 삼성전자가 유력하다. 삼성전자는 원익머트리얼즈 매출의 약 80%를 책임지는 고객사다. 2003년 PH3 혼합가스 납품 개시를 시작으로 반도체 공정용 특수가스로 공급 제품을 다변화했다. CoS(황화카르보닐) 애칭가스 등 신규 가스 공급 중이다. 스콘 존스 매너시 경제개발이사는 “원익머트리얼
[더구루=정예린 기자] 중국에서 1세대 전기차 교체 시기와 맞물려 폐배터리 배출량이 급증하고 있다. 산업 인프라 부족으로 인해 회수율이 미미한 수준에 그치는 등 재활용 산업 성장의 발목을 잡고 있다는 지적이 나온다.
[더구루=정예린 기자] 리튬 세계 1위 매장국인 칠레가 작년 발표한 '국가 리튬 전략(Estrategía Nacional del Litio)'을 구체화했다. 국유화 기조를 유지하되 민간 개방 비중을 늘려 산업 활성화를 꾀한다.
[더구루=정예린 기자] 미국 '퀀텀스케이프'가 양산 단계에 가까워진 전고체 배터리 시제품 공급을 개시했다. 전고체 배터리 상용화 로드맵이 순항하며 연내 완제품을 생산하겠다는 목표에 한 발 더 다가섰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