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구루=길소연 기자] 세계 최대 해양 시추선사 발라리스(Valaris)가 브라질 국영 석유회사 페트로브라스에 초심해 드릴십(원유시추선)을 용선한다. [유료기사코드] 4일 업계에 따르면 발라리스는 브라질 페트로브라스와 드릴십 1척(Valaris DS-4)에 대한 용선 계약을 맺었다. 용선 기간은 3년(1064일)간이다. 용선 금액은 장비 이동 비용과 추가 서비스를 포함해 5억 1900만 달러(약 6800억원)이다. DS-4는 페트로브라스가 발주한 브지오스 필드의 산토스 암염하층(Santos Pre-Salt) 유전 개발 프로젝트에 투입된다. 브지오스 필드는 브라질에서 두 번째로 큰 유전 및 가스전으로, 현재 일일 60만 bpd 규모를 생산 중이다. 유전 부지가 암염층 하부라 일반적으로 수심 3000~7000m의 심해에 위치했다. 일반적인 해상 유전보다도 대규모의 투자와 장비가 필요한 특수 유전이다. DS-4 용선 계약은 내년 4분기에 이행된다. 페트로브라스가 용선해온 장비 계약이 9월에 만료되면 DS-4가 투입된다. 만료된 시추 장비는 약 1년 동안 서비스를 중단할 예정이다. 안톤 디보위츠(Anton Dibowitz) 발라리스 최고경영자(CEO)는 "발라리스
[더구루=홍성일 기자] 전 세계 카메라 시장의 90%를 점유하고 있는 니콘, 캐논, 소니가 인공지는(AI) 생성 가짜 이미지(딥페이크,deepfake)에 대한 대대적인 대응에 나섰다. [유료기사코드] 3일 업계에 따르면 니콘, 캐논, 소니는 디지털 증명 등을 활용한 진짜 사진 판별 기술을 활용, 딥페이크에 대응하고 있다. AI기술이 고도화되면서 딥페이크 기술을 악용하는 문제가 새로운 사회적 문제로 대두되고 있다. 딥페이크는 AI기술을 활용해 합성 콘텐츠를 만드는 것이다. 이에 딥페이크는 금융, 피싱, 허위영상물 제작 범죄 등에 악용되며 사회에 큰 혼란을 야기할 수 있다는 우려의 목소리가 나오고 있다. 그리고 AI기술로 실제 사진과 구분이 힘들 정도의 사진을 만들어내는 딥페이크 기술의 발전은 카메라 시장에도 영향을 미치고 있다. 실제 카메라로 촬영한 사진인지 딥페이크로 제작된 이미지 인지를 구분하기 힘들어진 것이다. 특히 실제 원본 사진 사용이 중요한 언론, 예술계 등에 피해가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니콘과 캐논, 소니는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디지털 서명 시스템을 도입하고 있다. 니콘의 경우 사진기자나 전문가들이 사용하는 미러리스 카메라에 디지털서명을 제공
[더구루=오소영 기자] 캐나다 시그마리튬이 브라질에서 역대 다섯 번째 리튬 선적을 완료했다. 친환경 리튬 2만2000톤(t)을 글렌코어에 공급했다. 리튬 사업의 성과를 올리며 매각을 앞두고 몸값을 높일 것으로 보인다. [유료기사코드] 3일 시그마리튬에 따르면 이 회사는 지난주 브라질 동남부 비토리아항에서 글렌코어에 보낼 리튬 2만2000t을 선적했다. 공급 대가로 운송비의 50%를 선불로 받는다. 선불금은 시그마리튬이 생산한 청정 리튬의 프리미엄 가격을 반영해 책정됐다. <본보 2023년 11월 4일 참고 '선불금까지 지급' 글렌코어 리튬 구하기 박차> 시그마리튬은 글렌코어에 적기에 리튬을 공급하며 브라질 사업의 경제성을 입증했다. 시그마리튬은 2012년부터 그로타 도 시릴로 광산을 개발했다. 2022년 말 리튬 공장의 시운전을 시작해 1년 만에 연간 생산능력을 2만7000t까지 끌어올렸다. 무엇보다 탄소·유해 화학물질·찌꺼기 배출이 없는 '트리플 제로' 리튬을 생산, 친환경적이고 안정적인 공급망을 확보하려는 배터리 업계의 수요에 대응했다. 아나 카브랄-가드너(Ana Cabral-Gardner) 시그마리튬 최고경영자(CEO) "지속가능한 리튬을 제
[더구루=오소영 기자] 일본 이시카와현 노토(能登) 반도 지역에서 강진이 발생했으나 일본 도시바가 현지 공장 건설에 순항하고 있다. 무라타 제작소(이하 무라타)도 적층세라믹콘덴서(MLCC) 공급에 문제가 없는 가운데 일본에 투자를 집중하고 있는 TSMC에 우려의 시선이 제기된다. [유료기사코드] 2일 공상시보(工商時報) 등 중화권 매체에 따르면 도시바는 이시카와현에 12인치(300㎜) 전력반도체 공장 건설을 예정대로 진행한다. 내진 설계를 강화해 강진 영향을 최소화했다는 입장이다. 도시바는 올해 1단계 생산을 시작할 예정이다. 공장이 최대 용량으로 가동되면 도시바의 전력반도체 생산능력은 2.5배 증가한다. 무라타는 공식 입장을 발표하지 않았으나 MLCC 공급에 이상이 없다는 게 업계의 중론이다. 이시카와현 공장은 실리콘 커패시터(Silicon Capacitor)를 주로 생산하기 때문이다. 무라타는 글로벌 MLCC 시장에서 40%대 점유율을 올리고 있다. 삼성전자와 애플 등을 고객사로 둔다. 일본 업체들의 피해는 적지만 안심하기 이르다. 일각에서는 일본에 투자를 확대하고 있는 TSMC의 지진 대응 능력이 시험대에 올랐다는 분석이 나온다. TSMC는 일본 남부
[더구루=홍성환 기자] 일본 정부가 독일 머크가 포토레지스트 세계 1위 기업 JSR을 인수하려고 하자 이를 막기 위해 국유화를 결정한 것으로 알려졌다. [유료기사코드] 2일 영국 파이낸셜타임스(FT)에 따르면 일본 국부펀드 산업혁신투자기구(JIC)가 작년 7월 JSR을 인수한 배경으로 머크의 JSR 인수 입찰 참여가 거론된다. FT는 소식통을 인용 "머크가 지난 2022년 가을 JSR에 인수 제안서를 제출했다"며 "이후 여러 글로벌 사모펀드(PEF)가 인수를 제안했다"고 전했다. 이에 JIC가 JSR이 적대적 인수합병(M&A)으로 해외에 팔릴 가능성을 차단하기 위해 사실상 국유화를 선택한 것이다. JIC은 작년 7월 JSR을 1조엔(약 9조2000억원)에 인수하기로 했다. 공개매수를 통해 지분 100%를 매수한 이후 상장 폐지할 방침이다. JSR은 포토레지스트 세계 1위로 시장 점유율은 30%에 달한다. 포토레지스트는 반도체 회로를 새길 때 필수적인 소재(감광액)다. 특히 최첨단 반도체 공정인 5㎚ 이하 파운드리 공정에 필수적인 극자외선(EUV) 노광장비용 포토레지스트는 독보적이다. 한·일 관계가 최악이던 2019년 7월 일본 정부가 보복 조치로 한국
[더구루=한아름 기자] 베트남 제약사 이멕스팜(Imexpharm)이 현지에서 거버넌스(기업지배구조)가 좋은 기업 톱텐에 들었다. 이멕스팜이 탄탄한 펀더멘털과 지속성장가능성을 인정받으면서 일찌감치 투자한 SK그룹이 결실을 맺을지 귀추가 주목된다. [유료기사코드] 2일 베트남 호찌민 증권거래소에 따르면 이멕스팜이 중형주 가운데 거버넌스가 가장 좋은 주식 톱텐에 선정됐다. 이는 호찌민 증권거래소는 하노이 증권거래소와 드래곤 캐피털 컴퍼니 등과 함께 실적과 재무 관리 상태 등을 분석한 결과다. 이멕스팜은 탄탄한 펀터멘털과 지속성장 가능성을 보유하고 있다는 평가를 받았다. 올해 실적이 늘어남에 따라 기업 가치가 상승하자 주주친화 경영을 강화한 점도 높은 점수를 받았다. 이멕스팜에 따르면 지난해 3분기 누적 순이익은 전년 동기 대비 23.2% 늘어난 1조788동으로 집계됐다. 매출도 전년 동기 대비 11.9% 증가했다. 매출·순이익 모두 목표보다 각각 2.2%, 3% 초과 달성했다. 당기순이익 대비 배당금 비율도10%로 책정했다. 이멕스팜은 선진국 수준의 의약품 생산 시설에 투자를 단행해 거버넌스를 강화한다는 계획이다. 트란 티 다오(Tran Thi Dao) 이멕스팜
[더구루=정예린 기자] 중동 주요 국가들이 수소 산업 선점에 나섰다. '오일 머니'를 앞세워 대규모 생산능력을 확보, 석유에서 수소 중심으로 청정에너지 전환을 가속화한다는 방침이다. [유료기사코드] 31일 아랍석유수출국기구(OAPEC)에 따르면 올 9월까지 중동에서 진행중인 수소 프로젝트는 수출용 47개를 포함해 82개에 달한다. 오만, 사우디아라비아, 아랍에미리트(UAE) 등이 사업을 활발하게 펼치고 있는 주요 국가로 꼽힌다. 오만은 2040년까지 약 30GW 규모의 그린·블루 수소를 생산하고 2050년까지 탄소 중립을 실현한다는 목표다. 저탄소 에너지 사업에 약 1400억 달러 규모의 투자를 집행할 계획이다. 올 3월 영국, 네덜란드, 독일, 인도, 일본 등 9개국 개발자들과 6건의 협약을 체결, 향후 7년간 녹색 수소 생산을 위한 약 200억 달러 규모 투자 유치에도 성공했다. 대표적으로 두쿰(Duqm)과 도파르(Dhofar) 지역 등에서 그린수소 생산 프로젝트를 진행하고 있다. 이를 통해 오는 2030년 연간 100만t의 수소 생산능력을 확보할 것으로 예상된다. 우리 기업들도 오만 수소 사업에 적극 참여해 수주 성과를 올리고 있다. 실제 한국 기업은
[더구루=정예린 기자] 토요타가 자동차용 첨단 반도체 시장에 도전장을 내민다. 일본 주요 완성차·부품 기업들과 연합전선을 구축, 기술 우위를 선점한다는 계획이다. [유료기사코드] 29일 토요타에 따르면 회사는 최근 차량용 고성능 디지털 반도체 연구개발(R&D)을 위한 이니셔티브 'ASRA(Advanced SoC Research for Automotive)’에 합류했다. 오는 2030년 양산차에 시스템온칩(SoC)을 탑재한다는 목표다. ASRA는 12개 일본 회사가 힘을 합쳐 이달 1일 출범했다. 토요타 외 △혼다 △닛산 △마츠다 △스바루 △덴소 △파나소닉 오토모티브 시스템 △케이던스 디자인 일본법인 △르네사스 △시놉시스 일본법인 △미라이즈 △소시오넥스트 등이 회원사다. 토요타 선임연구원인 케이지 야마모토가 의장을 맡는다. 내년부터 10나노미터(nm) 이하 첨단 공정을 기반 SoC 제품 연구에 착수할 예정이다. 오는 2028년까지 칩렛 기술을 확보한다. 칩렛은 기존의 칩 다이(Die, 웨이퍼에서 떼어낸 낱개 반도체 칩 하나에 해당하는 부분)에 탑재된 기능을 분리한 최소 단위의 칩이다. 기존 단일 칩이 아닌 칩렛을 여러 개 붙이는 방식으로 코어 수를 늘릴
[더구루=오소영 기자] 한국수력원자력이 관심을 보이는 카자흐스탄 신규 원전 사업이 가시화되고 있다. 건설비는 최대 19조원으로 카자흐스탄은 국제 금융기관을 활용해 자금 조달을 추진한다. 전 세계에서 가장 보편화된 가압경수로형 원전을 2035년부터 가동한다. [유료기사코드] 28일 블라스트(Vlast) 등 외신에 따르면 카자흐스탄 신규 원전 발주사 KNPP의 티무르 잔티킨(Timur Zhantikin) 최고경영자(CEO)는 지난 21일(현지시간) "첫 원전 건설 비용은 100~150억 달러(약 12~19조원)"라며 "국제 금융기관을 중심으로 자금을 조달하려 하고 있다"고 전했다. 카자흐스탄은 고질적인 전력난에 시달리며 원전 도입이 수면 위로 떠올랐다. 1998년 원전 가동을 중단한 후 약 20년 만에 원전 건설을 검토했다. 알마티주 울켄에서 2800㎿(메가와트) 규모의 신규 원전 2기 설립을 추진하고 있다. 잔티킨 CEO는 "13개 제안을 받아 검토한 결과 4개로 압축했다"고 설명했다. 최종 후보는 △한국수력원자력(ARP-1400) △중국 핵공업그룹(CNNC, HPR-1000) △러시아 로사톰(VVER-1200·1000) △프랑스 EDF(EPR-1200)이다.
[더구루=정예린 기자] 세계 최대 니켈 보유국인 인도네시아에서 대규모 리튬 매장지가 발견됐다. 니켈에 이어 리튬까지 전기차 배터리 핵심 원재료 통합 공급망 구축 역량이 강화되며 인도네시아로 향하는 글로벌 기업들의 투자 행렬이 이어질 것으로 전망된다. [유료기사코드] 28일 인도네시아 해양투자조정부에 따르면 루훗 빈사르 판자이탄(Luhut Binsar Pandjaitan) 장관은 지난 22일(현지시간) 열린 '2023년 성과평가 기자회견'에서 "전날 인도네시아에서 대규모 리튬 공급원이 발견됐다는 보고를 받았다"고 밝혔다. 정확한 매장지와 규모 등 세부 정보는 공개하지 않았다. 판자이탄 장관은 "이번 발견으로 인도네시아는 전기차 개발을 위해 중요한 구성 요소 중 하나를 더 확보할 수 있게 됐다"며 "기존 인도네시아의 니켈·코발트 매장량을 보완하는 한편 다른 국가로부터의 원자재 수입 의존도를 줄일 수 있을 것"이라고 강조했다. 당국은 오는 2030년까지 60만 대의 연간 전기차 현지 생산능력을 확보한다는 목표다. 현재 생산능력은 연간 3~4만 대 수준에 그친다. 현대자동차그룹, LG에너지솔루션, 포스코, CATL 등 한국과 중국 기업 투자를 활용해 전기차와 배터리
[더구루=정예린 기자] 호주 '라이온타운 리소스(Liontown Resources, 이하 라이온타운)'가 개발중인 리튬 광산 토지 소유주로부터 피소됐다. 로열티 산정 기준 비율을 놓고 치열한 법적 공방이 예고된 가운데 패소할 경우 라이온타운은 막대한 비용 지출이 불가피할 전망이다. [유료기사코드] 28일 라이온타운에 따르면 회사는 최근 호주증권거래소(ASX)에 "캐슬린 밸리 리튬 프로젝트 일부를 구성하는 특정 토지의 개인 로열티 보유자인 '드렘(Drem)'이 로열티 금액과 관련 문서의 해석에 대한 선언을 구하는 법적 절차를 제기했다는 통지를 받았다"며 "분쟁은 로열티 금액이 해당 토지에서 발생하는 총 생산량의 2% 또는 그보다 낮은 비율로 계산되는지 여부"고 공시했다. 이어 "라이온타운은 적절한 시기에 절차에 응답할 것"이라면서도 "드렘의 주장이 회사에 중요하다고 생각하지 않으며 2024년 중반에 계획된 첫 생산에도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고 덧붙였다. 드렘은 호주 동부 해안에 본사를 둔 민간 기업이다. 소송의 쟁점은 로열티 지급 기준에 대한 계약서상 해석이다. 광산 개발로 거액의 수익이 예상되는 만큼 소수점 수준의 비율 변동에도 큰 금액 차이가 발생할 수 있
[더구루=정등용 기자] LG에너지솔루션의 리튬 공급사 SQM(Sociedad Quimica y Minera de Chile)이 칠레 국영 광업기업 코델코(Codelco)와 살라르 데 아타카마(Salar de Atacama) 소금평원 개발 연장에 합의했다. SQM은 아타카마 개발 연장에 대한 대가로 지분 과반을 코델코에 넘길 예정이다. [유료기사코드] SQM과 코델코는 28일 공동성명을 내고 “리카르도 라모스 SQM 최고경영자(CEO)와 막시모 파체코 코델코 회장이 이끄는 양측 협상팀이 몇 달간의 논의 끝에 2025~2060년 아타카마 사업 개발에 대한 초기 합의에 도달했다”고 밝혔다. 이에 따라 SQM은 당초 오는 2030년 12월 만료 예정이었던 아타카마 사업 개발권을 오는 2060년까지 연장하게 됐다. 아타카마 사업 지분 과반을 코델코에 넘겨주게 됐지만 개발 기간이 늘어났다는 측면에서 투자자들에겐 나쁘지 않은 결과란 분석이 나온다. SQM은 앞서 아타카마 사업 개발 연장을 두고 코델코와 협상을 진행해왔다. 코델코는 칠레의 리튬 개발 사업 주도권을 보유하고 있는데, 이는 리튬을 국유화해 전략 자원으로 활용하겠다는 칠레 정부의 정책 방향에 따른 것이다. 협상
[더구루=정예린 기자] 테슬라 전 사장이 테슬라가 전기차 시장을 주도할 수 있었던 핵심 요인으로 일론 머스크 최고경영자(CEO)가 직접 주도한 실물 기반 제품 회의를 꼽았다. 수치를 담은 프레젠테이션 대신 실제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를 직접 만지며 평가하는 방식이 빠른 피드백과 조직 내 긴장감을 동시에 가능하게 했다는 분석이다. [유료기사코드] 2일 미국 IT 전문 매체 '테크크런치'에 따르면 테슬라의 전 글로벌 세일즈·서비스 총괄 사장이자 현재 제너럴모터스(GM) 이사회 멤버인 존 맥닐은 최근 보스턴에서 열린 'TC 올 스테이지' 행사에서 "첫 번째 규칙은 슬라이드를 금지하는 것이었다"며 "우리는 항상 실제 제품을 검토해야 했다"고 밝혔다. 이어 "매주 고위 임원들과 제품 책임자들이 모여 프로토타입이든 하드웨어든 직접 만지고 작동해보며 진척 상황을 점검했다"며 "이런 문화가 조직에 긴장감을 주고 매주 진척과 혁신이 이어지게 했다"고 덧붙였다. 머스크 CEO의 회의 운영 철학은 애플 창업자 고(故) 스티브 잡스의 조언에서 비롯됐다. 맥닐은 "머스크가 잡스를 찾아가 '하드웨어 비즈니스를 시작하려 한다. 한 가지 조언만 해달라'고 하자, 잡스는 '완벽한 제품을 만
[더구루=김은비 기자] 유럽 전기차 충전 인프라 업체 알피트로닉(Alpitronic)이 미국 충전 시장에서도 빠르게 입지를 넓히고 있다. 테슬라에 이어 미국 내 두 번째로 큰 충전 하드웨어 공급업체로 떠오르며 업계 판도를 흔들고 있다. [유료기사코드] 2일 충전 분석업체 파렌(Paren)에 따르면 알피트로닉은 지난 상반기(1~6월) 미국 급속 충전소 점유율 12%로 2위를 차지했다. 1위는 테슬라다. 점유율 36%를 기록했다. 3, 4위 차지포인트(ChargePoint)와 BTC파워였다. 점유율은 각각 9%, 8%로 집계됐다. 알피트로닉은 월마트·벤츠·아이오나 등 주요 파트너와 잇따라 계약을 체결하며 빠른 속도로 시장을 확장해온 것이 점유율 확대에 주효했다. 특히 GM·현대차·토요타 등이 참여한 초고속 전기차 충전 연합체 ‘아이오나(Ionna)’가 ‘프리미엄 EV 충전소’ 콘셉트인 ‘리차저리(Rechargery)’에 알피트로닉(alpitronic)의 ‘HYC 400’ 모델만을 단독 도입했다. 알피트로닉은 2023년 알피트로닉은 미국 노스캐롤라이나주 샬럿에 본사 및 생산 거점을 두고 있는 이탈리아 볼차노(Bolzano) 기반의 전력전자 전문 기업이다. 최근에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