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구루=윤진웅 기자] 기아 소형전술차량 KLTV(Korean Light Tactical Vehicle)이 폴란드에 상륙했다. 폴란드 기갑 기계화 부대 수색정찰용으로 투입되는 이 차량의 현지명은 '레그완'(Legwan)이다. 폴란드군은 16일(현지시간) 레그완 초도 물량이 폴란드에 도착했다고 밝혔다. 구매 계약 이후 8개월 만이다. 앞서 기아는 지난해 8월 아마먼트 에이전시(Armament Agency)를 통해 폴란드 국영방산그룹 PGZ(Polska Grupa Zbrojeniowa) 산하 로소막(Rosomak)과 경전술차량 LPR(KLTV의 폴란드 수출형) 400대 구매 계약을 체결했었다. 당시 계약 규모는 2억7000만 유로(한화 약 4000억원)였다. 이른바 '한국형 험비'로 불리는 레그완은 소형전술차를 기반으로 7톤(t)급 차 수준의 프레임 강성을 확보한 방탄정찰차이다. 지휘관용, 정찰용, 다목적용 등 목적에 따라 △KLTV141 △KLTV182 △KLTV280으로 모델명이 구분된다. 지난 2016년 육군에 공식 배치됐으며 칠레, 나이지리아, 투르크메니스탄, 필리핀 등에도 수출된 바 있다. 레그완은 폴란드 군의 요구사항에 맞춰 새롭게 현대화된 차체를 도
[더구루=길소연 기자] 노르웨이 국영 에너지 기업 에퀴노르가 울산 해상풍력발전 사업의 기본설계 검증을 노르웨이 선급협회 DNV에 맡긴다. [유료기사코드] 17일 업계에 따르면 에퀴노르는 DNV와 800MW 울산 반딧불이(Firefly) 부유식 해상풍력 발전단지의 기본설계(FEED)에 대한 검증 서비스 계약을 체결했다. DNV는 "한국 해상풍력 프로젝트는 부유형 변전소를 설계하고 설치하는 데 부유 구조물의 움직임을 견딜 수 있는 고전압 동적 케이블과 전기 장비의 필요성을 포함하여 뚜렷한 과제가 있다"고 말했다. 이어 "DNV는 해상 변전소 및 부유식 구조물에 대한 검증 서비스와 전문 지식을 활용해 이 프로젝트의 신뢰성과 효율성을 보장할 것"이라며 "여기에는 성능 최적화 및 위험 최소화에 중점을 둔 표준 기반, 설계 요구 사항 및 사양에 대한 독립적인 평가 및 검증이 포함된다"고 강조했다. 1864년 설립된 글로벌 선급 및 인증 기관인 DNV는 노르웨이 국가로부터 국가공인 선급 협회로 지정돼 감사 및 인증 업무를 수행하고 있다. 선박검사, 감리, 제3자 검사 및 기술에 관한 종합적인 서비스를 공급하고 있다. 에퀴노르는 현재 울산 연안에서 약 70km 떨어진 해상
[더구루=정예린 기자] HD현대일렉트릭이 영국 전력망 운영사 '내셔널그리드'에 변압기를 인도했다. 신재생 발전 확대로 증가하고 있는 현지 변압기 수요에 적기 대응, 유럽 시장 공략을 가속화한다. 16일 영국 중장비 전문 대형 운송 회사 '콜렛 앤 선즈(Collett & Sons, 이하 콜렛)'에 따르면 콜렛은 지난 2월 HD현대일렉트릭의 178톤(t) 규모 슈퍼그리드 변압기 2대를 내셔널그리드의 비글즈웨이드 변전소에 배송했다. HD현대일렉트릭이 지난 2022년 확보한 수주의 일환이다. 운송은 2주에 걸쳐 이뤄졌다. HD현대일렉트릭은 변압기를 국내에서 생산한 뒤 수출했다. 콜렛은 에식스주 틸버리항에 도착한 변압기를 변전소가 위치한 베드퍼드셔로 이동했다. 길이 9미터(m)·너비 5.4m·높이 5m인 변압기를 운송하기 위해 66m에 달하는 교량 트레일러를 사용했다. 이동 시간에만 8시간이 소요됐다. 이동중 경찰이 호위하는 등 각 카운티 정부로부터 지원을 받았다. 비글즈웨이드 변전소는 내셔널그리드가 지난 2022년 7월 착공한 400kV급 시설이다. 전력 용량을 80메가와트(MW)까지 끌어 올린다는 방침이다. 이를 통해 올해 말부터 현지 3000가구에 필요한
[더구루=오소영 기자] 미국 펜실베니아 철도국(SEPTA)이 중국중차(CRRC)로부터 철도를 받지 않기로 했다. 품질 검증을 통과하지 못해 당초 약속했던 시점보다 5년 가량 공급이 늦어져서다. 통상 분쟁 중인 중국을 배제하려는 미국 내부의 분위기도 계약에 영향을 미쳤다. 15일 SEPTA와 폭스29 등 외신에 따르면 이 기관은 최근 CRRC와의 1억8500만 달러(약 2600억원) 규모 철도 공급 계약을 취소했다. SEPTA는 지난 2017년 매사추세츠주 스프링필드에 생산시설을 보유한 CRRC를 철도 공급사로 택했다. CRRC가 경쟁사 캐나다 봄바디어보다 약 3400만 달러(약 470억원) 낮은 금액을 제시한 것으로 알려졌다. SEPTA는 각 130명의 승객을 수용할 수 있는 2층 열차 45량을 받아 통근 수요를 충족할 계획이었다. 2019년 첫 열차를 공급받기로 했으나 지연됐다. 지난 2022년 브레이크 테스트에서 오작동이 발견됐다. 수밀성(물의 침투와 흡수를 막는 성질) 시험을 통과하지 못했고, 비상 창문과 배선 등 여러 설비·부품에서 문제가 확인됐다. 코로나19까지 겹치며 2023년으로 기한을 연기했으나 이마저 지켜지지 못했다. 현재까지 SEPTA에 인
[더구루=길소연 기자] 해상풍력 전문기업 SK오션플랜트(옛 삼강엠엔티)가 참여한 대만 하이롱 해상풍력이 착공을 시작했다. 15일 업계에 따르면 캐나다 재생에너지 기업 노스랜드파워(NPI)·대만 위산 에너지·일본 미쓰이물산·말레이시아 젠타리로 구성된 하이롱 해상풍력 프로젝트 합작회사는 11일(현지시간) 하이롱 해상풍력 해상 건설의 첫 삽을 떴다. 초기 공사는 기초 핀 말뚝 설치, 해저 케이블 부설, 해상 변전소 설치 등이 진행된다. 풍력발전소 하부구조물의 기초 핀 말뚝 설치는 글로벌 해상풍력 건설업체 CDWE(CSBC-DEME Wind Engineering)은 해상 설치 선박인 그린 제이드(Green Jade)를 이용해 설치된다. 그린 제이드는 2026년까지 하이롱 해상풍력발전을 위해 73개의 풍력터빈 기초와 해상 변전소 기초 2개를 설치한다. 지금까지 5개 위치에 핀 파일을 설치했다. 풍력 터빈 설치 활동은 내년부터 시작될 예정이다. 올해 말까지 SK오션플랜트가 생산한 하부구조물(이하 자켓)을 공급받아 내년에 지멘스 가메사의 SG 14-222 DD 풍력 터빈을 설치한다. SK오션플랜트는 지난 2022년 8월 대만 하이롱 해상풍력단지 합작사 'HAI LONG
[더구루=길소연 기자] HD현대인프라코어의 건설장비 브랜드 '디벨론(DEVELON)'이 글로벌 원격 서비스센터를 통해 고객과 대리점 등의 요구사항을 해결, 고객 생산성 향상에 나선다. 15일 업계에 따르면 HD현대인프라코어는 올해 초 HD현대 글로벌 R&D센터(GRC) 13층에 디벨론 업타임 센터(Develon Uptime Center, DUC)를 개소했다. DUC는 디지털 기반의 서비스 기술을 활용해 고객과 대리점, 유통업체의 원격 지원 요청을 신속하게 해결한다. 원격 서비스로 △오류 코드 분석 △가상 현실(VR) 시뮬레이터 △증강 현실(AR) 안내 △CAN BLACK BOX 등을 포함한 포괄적인 서비스 제품군을 제공해 고객의 생산성을 향상에 도움을 준다. HD현대인프라코어는 DUC 개소 후 지난 2월에는 워크숍도 열어 경쟁력을 강화했다. 이날 워크숍에는 문재영 HD현대인프라코어 건설기계부문 부사장과 디지털 콘텐츠 개발 및 운영 담당 인력 28명이 참석했다. 워크숍에서는 경쟁사와 비교해 DUC의 서비스를 평가하고 전기전자개발실, HD현대사이트솔루션 기술연구소 등 사내 다양한 부서에서 개발 중인 기술 및 로드맵에 대한 정보를 공유했다. 문재영 HD현대
[더구루=정예린 기자] 한국항공우주산업(KAI)이 세계 3대 항공기 제작사인 브라질 '엠브레어' 자회사 '이브 에어 모빌리티(Eve Air Mobility, 이하 EAM)'로부터 전기 수직 이착륙 항공기(eVTOL) 핵심 부품 수주를 따냈다. 기체 개발부터 부품 공급에 이르기까지 미래항공모빌리티(AAM) 전 생태계를 아우르며 시장 공략을 가속화한다. EAM은 14일(현지시간) KAI를 자사 eVTOL 파일론 공급업체로 선정했다고 발표했다. 파일론은 항공기의 날개, 동체와 엔진 등을 연결하는 구조물이다. 구체적인 공급 규모와 납품 일정 등은 알리지 않았다. KAI는 EAM과의 공급 계약을 계기로 AAM 부품 시장 진출 신호탄을 쐈다. 특히 대외적으로 공개된 첫 파일론 수주 사례다. KAI가 취급하는 다양한 항공기 부품 중 파일론 설계·제작 기술 개발과 사업화에 뛰어든지 6년 만이다. 미래 모빌리티 분야 신사업으로 낙점한 2개 분야에서 접점을 가진 공급 계약을 확보했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 이번 수주는 KAI와 EAM 모회사인 엠브레어와의 오랜 파트너십이 기반이 됐다. KAI와 엠브레어는 지난 2009년 소형 제트기 동체부분 제작 계약을 체결하며 인연을 맺었다
[더구루=길소연 기자] 한화에어로스페이스(이하 한화에어로)가 폴란드에 '호마르-K(HOMAR-K, K-239 천무 폴란드명)' 18대를 납품했다. 한화에어로는 적기 납품 능력을 인정받아 1조6000억원 규모의 2차 실행 계약도 앞당긴다. 15일 업계에 따르면 한화에어로는 최근 폴란드에 다연장로켓(MLRS) K239 천무의 폴란드향 발사대 18대를 인도했다. 올해 말까지 36대의 시스템을 추가로 납품해 총 54대를 전달한다. 전달된 발사대는 폴란드 옐츠(Jelcz) 8X8 차량과 통합된다. 또 폴란드 WB그룹이 개발한 토파즈(TOPAZ) 시스템과도 연동된다. 토파즈 시스템은 토파즈 통합 전투 관리 시스템, 포넷(FONET) 디지털 통신 플랫폼, 무선 통신 세트가 포함된다. 로버트 셀렌바움(Robert Szelenbaum) 한화에어로스페이스 유럽법인 수석관리자는 "폴란드군이 18대의 K239 천무 발사대를 받았다"며 "올해 말까지 36대의 시스템이 추가로 인도되고, 오는 2026년까지 폴란드군은 총 144대의 발사대를 받을 것으로 예상된다"고 말했다. 폴란드 국방부는 한화에어로의 K239 천무 288대를 구매했다. 천무 공급 규모는 미사일 약 2만여발을 포함해
[더구루=길소연 기자] 한국철도공사(코레일)와 현대로템이 필리핀 도시고속철도(MRT) 사업에서 존재감을 뽐내고 있다. 코레일은 철도운영 기법과 안전시스템을 현지에 최적화해 아낌없이 전수하고 있으며, 현대로템은 생산한 전동차로 MRT 운영을 돕는다. 14일 업계에 따르면 이상화 주필리핀 한국대사는 지난 10일(현지시간) 한·필리핀 수교 75주년을 기념해 코레일과 현대로템과 함께 필리핀 마닐라 도시철도 7호선(MRT-7) 시설을 방문했다. 이날 이 대사와 MRT-7 사업단은 케존시티 그레이터 라그로(Greater Lagro)에 있는 창고 주변을 둘러보고, 그곳에서 필리핀 기업 산 미구엘(San Miguel Corporation, SMC)이 MRT-7를 구현하는데 한국 기술을 어떻게 활용했는지를 확인했다. 또 MRT-7 운전자와 교통 관제사의 훈련 시설도 시찰했다. 라몬 앙(Ramon S. Ang) SMC 사장 겸 최고경영자(CEO)는 "이 대사와 한국 기업의 MRT-7 시설 방문은 한국 엔지니어 와 기술 파트너십을 강조한다"며 "프로젝트가 운영되면 필리핀과 한국 간의 지속적인 우정의 상징이 될 것"이라고 밝혔다. 이어 "한국 기업 파트너들은 경제 성장을 촉진하는
[더구루=길소연 기자] 독일이 2주 만에 우크라이나에 포탄, 소총, 드론 등을 포함하는 새로운 군사 지원을 보냈다. 독일은 체코가 주도하는 우크라이나 탄약 지원 계획에 동참하고 있는 상황이다. [유료기사코드] 13일 업계에 따르면 독일은 10일(현지시간) 우크라이나에 6000발의 155mm 탄약을 공급했다. 독일이 제공한 군사 장비 목록에는 155mm 탄약 6000발, 화기용 탄약 100만 발, 예비 부품을 갖춘 벡터 정찰 드론 16대, RQ-35 하이드런(Heidrun) 정찰 드론 30대, 안티 드론 장치용 주파수 범위 확장기 30대, 전지형차량 워트호그(Warthog) 1대, 와이센트 1(Wisent 1) 지뢰 제거 탱크 2대 등이 포함된다. 독일은 앞서 지난달 28일 우크라이나에 이동식 원격 제어 및 보호 지뢰 제거 시스템 11대, 지뢰 제거기 3대, 적외선 카메라 70대, MK 556 돌격 소총 680정, 선외 모터 24대, CR 308 소총 120정, 탄약 6만발을 장착한 HLR 338 정밀 소총 50정, 기폭장치 5000정을 공급했다. 독일은 미국에 이어 우크라이나에 두 번째로 큰 무기 공급국이다. 독일은 지금까지 우크라이나 키예프에 군사 지원을
[더구루=길소연 기자] 세계 1위 풍력발전타워 제조사 씨에스윈드가 미국이 부과한 말레이시아산 풍력타워 반덤핑 관세에 소를 제기한다. 12일 업계에 따르면 씨에스윈드와 씨에스윈드 말레이시아법인은 지난 10일(현지시간) 미국국제무역법원(CIT)에 소송을 제기했다. 앞서 미국이 인도와 말레이시아산 풍력발전타워에 산정한 반덤핑 관세에 대해 이의를 제기한 것에 따른 것이다. 씨에스윈드의 주장이 받아들여지면 관세 재산정 명령이 내려진다. 미국 국제무역위원회(USITC)는 지난 2021년 저가의 인도와 말레이시아산 풍력발전타워로 미국 내 관련 업계가 실질적인 피해를 입었다고 판정했다. ITC의 결정에 따라 미국 상무부는 인도와 말레이시아산 풍력발전타워 수입에 대해 반덤핑 관세, 인도산 제품을 대상으로 상계관세 명령을 내렸다. 씨에스윈드 말레이시아산 제품에는 3.20%의 반덤핑 관세율이 매겨졌다. CIT는 미국의 통상·관세 소송을 다루는 연방법원이다. CIT 판결은 미국 정부도 따라야한다. 자국 기업뿐 아니라 한국의 포스코, 현대제철 등 해외 기업들도 소송을 종종 낸다. 씨에스윈드는 CIT를 통해 반덤핑 관세율을 낮추고자 한다. 씨에스윈드는 지난 2013년에도 반덤핑 규제
[더구루=길소연 기자] 한화가 'K-방산 큰손'으로 급부상한 폴란드에서 '종합 세트'로 방산 세일즈를 펼친다. 한화에어로스페이스(이하 한화에어로)와 한화오션을 통해 지상 무기부터 수중 무기 체계까지 다각도로 사업 영역을 확장하고 있다. 12일 업계에 따르면 한화는 폴란드와 협력을 강화해 탄약 현지 생산에 이어 K9 자주포 부품 물류센터 개설, 잠수함 수출까지 넘본다. 현재 한화에어로는 폴란드에서 호마르-K(HOMAR-K, K-239 천무 발사대 폴란드명)를 폴란드 생산 탄약 유형에 통합하기 위한 작업을 추진하고 있다. 한화에어로는 호마르-K 발사대를 수정·개선해 폴란드 생산 122mm 로켓을 발사하는 데 필요한 설계와 통합을 지원할 예정이다. <본보 2024년 3월 28일 참고 손재일 한화에어로 대표 "호마르-K, 폴란드산 탄약 유형 통합 작업 추진"> 폴란드에 탄약 생산 기술도 이전한다. 한화에어로는 향후 유럽 수출 시장 확보를 위해 폴란드에서 155mm 탄약을 생산할 계획이다. 한화는 또 폴란드에 3000t급 잠수함인 장보고 III급 최신형인 'KSS-III 배치(Batch) II' 잠수함을 제안하며 '오르카(Orka)' 프로그램에 도전한다.
[더구루=홍성일 기자] 투명 디자인으로 주목받은 영국 스마트폰 스타트업 '낫싱(Nothing)'이 대규모 투자 유치에 성공했다. 낫싱은 투자금을 바탕으로 인공지능(AI) 기기 개발에 속도를 낸다는 계획이다. [유료기사코드] 17일 업계에 따르면 낫싱은 타이거 글로벌이 주도한 시리즈 C 라운드를 통해 2억 달러(약 2760억원)를 추가로 확보했다. 낫씽은 이번 펀딩을 통해 13억 달러(약 1조7960억원) 기업가치를 인정받았다. 낫싱의 시리즈 C 투자 라운드에는 타이거 글로벌 외에도 GV, 하이랜드 유럽, EQT, 래티튜드, I2BF, 테이프스트리, 퀄컴 벤처스, 인도 억만장자 니킬 카마스(Nikhil Kamath) 등이 참여했다. 낫싱은 중국 스마트폰 제조사인 원플러스의 공동창업자인 칼 페이(Carl Pei)가 2020년 설립한 스마트폰 제조사다. 낫싱은 독특한 디자인을 앞세워 첫 제품부터 관심을 받았다. 스마트폰 후면 커버를 투명하게 제작한 것. 이에 '속 보이는 스마트폰'이라는 별명이 붙기도 했다. 낫싱은 여기에 글리프 인터페이스라는 기술도 결합했다. 글리프 인터페이스는 투명한 커버가 장착된 후면에 선 형태의 조명을 장착해, 이용자에게 통화, 타이머, 배
[더구루=홍성일 기자] 엔비디아(Nvidia)가 영국에 10만장이 넘는 그래픽처리장치(GPU)를 신규 공급하는 대규모 투자 계획을 발표했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영국 국빈 방문에 맞춰 미국 기업들의 투자가 이어지는 모양새다. [유료기사코드] 엔비디아는 16일(현지시간) 데이터센터 파트너사인 엔스케일(Nscale), 코어위브(CoreWeave) 등과 협력해 내년 말까지 영국에 최신 '블랙웰 울트라(Blackwell Ultra)' GPU를 최대 12만 장 공급할 것이고 발표했다. 엔비디아는 이번 공급은 기존에 계약됐던 물량이 아니라 온전히 신규 주문된 것이라고 강조하며, 최대 110억 파운드(약 20조7260억원) 규모에 달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엔비디아는 이번 프로젝트는 유럽 최대 규모의 AI 인프라 구축 사업에 투입될 것이라며, 오픈AI(OpenAI)가 해당 시설을 사용하기로 확정했다고 덧붙였다. 앞서 블룸버그는 지난 12일 오픈AI와 엔비디아가 엔스케일과 손잡고 영국에 데이터센터 건설을 추진하고 있다는 보도를 한 바 있다. 엔스케일은 12만 장 중 절반인 6만 장 가량을 공급받는다. 공급 받은 GPU는 엔스케일과 오픈AI가 공동을 추진하고 있는 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