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구루=오소영 기자] 일본 혼다가 전고체 배터리의 상용화에 수십억 달러를 쏟겠다는 의지를 내비쳤다. 내년부터 테스트 라인을 만들고 차세대 배터리 시장 선점에 나선다. 미베 도시히로 혼다 최고경영자(CEO)는 지난 28일(현지시간) 미국 자동차 전문지 오토모티브 뉴스에서 "게임 체인저가 될 것으로 기대되는 전고체 배터리의 생산·출시 시점을 고민하고 있다"며 "(전고체 배터리와 리튬이온 배터리의) 균형을 고려해야 하며 이는 2020년대 후반에 일어날 가능성이 높다"고 밝혔다. 이어 "장기적으로 바라보고 수십억 달러를 투자할 최적의 타이밍을 살피겠다"고 덧붙였다. 전고체 배터리는 기존 리튬이온 배터리에 들어가는 전해액을 고체로 만든 제품이다. 안전성과 에너지밀도가 높아 차세대 배터리로 꼽힌다. 미베 CEO는 "내년까지 테스트 라인을 구축하겠다"며 "테스트 라인이 어떻게 진행되는지 지켜보고 전고체 배터리로의 전환이 언제 발생할지 평가하겠다"고 설명했다. 북미 시장에 대해서는 "바이든 행정부가 집권하고 전기차에 대한 수요가 급증하고 있지만 시간이 걸릴 것"이라며 "따라서 우리는 지금 너무 많은 노력을 기울여 지치고 싶지 않으며 아직 초기 단계에 있다"고 분석했다.
[더구루=길소연 기자] 독일 도심항공모빌리티(UAM) 개발사 볼로콥터(Volocopter)가 재정 문제와 증시 환경 등을 이유로 미국 증시 상장을 취소하기로 했다. 30일 업계에 따르면 볼로콥터는 특수목적인수기업(스팩·SPAC) 합병을 통한 미국 나스닥 증권거래소 상장 결정을 철회했다. 앞서 볼로콥터는 스팩 상장 거래 중단 의향서에 서명했으며, 스팩 파트너와 함께 우회상장 취소에 합의했다. 볼로콥터는 IPO를 취소한 이유로 증시 환경이 열악하다는 점을 꼽고 있다. 미국 경쟁사의 경우 IPO가 잘 진행되지 않아 가치평가를 대폭 수정해야 했다. 실제 두 달 전 뮌헨 출신의 독일 경쟁사 릴륨(Lilium)도 스페이스(Spac)를 제치고, 상장 후 기대했던 것보다 적은 수익을 올렸다. 볼로콥터의 상장 취소 계획은 수주 전부터 징후가 엿보였다. 지난 10월 볼로콥터의 최고재무책임자(CFO)로 영입한 르네 그리멘스(René Griemens)가 회사를 떠나면서 볼로콥터 상장 취소 조짐이 보였다. 볼로콥터는 창업 초기 크라우드펀딩 캠페인을 통해 자본을 조달한 기업이다. 당초 목표였던 120만 유로(약 16억1427만원)를 며칠 만에 달성됐다. 750명의 소액 투자자들은 회
[더구루=홍성환 기자] 억만장자 투자자 댄 롭(Dan Loeb)이 '테슬라의 대항마'로 불리는 전기차 스타트업 리비안에 대한 투자로 약 3600억원의 큰 수익을 거뒀다. 30일 파이낸셜타임즈 등에 따르면 댄 롭이 이끄는 미국 헤지펀드 서드포인트는 지난 여름 리비안 전환사채(CB)에 1억6700만 달러(약 1990억원)를 투자했다. 지난 10일(현지시간) 리비안이 나스닥에 상장하면서 이를 주식으로 전환한 것으로 알려졌다. 서드포인트는 리비안 상장 당일 투자자들에게 사모펀드 부문에서 640% 내부 수익률을 달성했다고 공개했다. 리비안은 상장 직후 급등세를 보이며 한때 포드·제너럴모터스(GM)·폴크스바겐 등을 제치고 글로벌 자동차업계 시가총액 3위에 오르기도 했다. 현재는 6위로 내려앉았다. 29일 리비안 주가는 119.77달러로 공모가(78.00달러)를 50% 이상 웃돌고 있다. 댄 롭은 지난해 초 리비안 설립자인 알제이 스커린지와 만난 사실을 최근 공개했다. 댄 롭은 투자자 서한에서 "새로운 유형의 자동차 회사를 설계하는 그의 카리스마 넘치는 비전과 접근 방식에 깊은 인상을 받았다"고 밝혔다. 그러면서 "아마존이 탄소중립을 유지하면서 물류 분야의 지배자가 되기
[더구루=정예린 기자] 영국 배터리 스타트업 '브리티시볼트'가 현지 첫 전기차 배터리 기가팩토리를 짓는다. 자금 조달을 위해 런던 증시 상장도 추진한다. 29일 업계에 따르면 브리티시볼트는 영국 잉글랜드 북동부에 위치한 노섬벌랜드의 블리스에 위치한 옛 석탄화력발전소 부지에 오는 2023년 첫 가동을 목표로 대규모 전기차 배터리 공장을 건설하고 있다. 2027년까지 30만 개의 배터리팩을 생산할 수 있는 30GWh 규모로 확장한다. 오랄 나자리(Orral Nadjari) 브리티시볼트 최고경영자(CEO)는 "(공장 부지 선정을 위해) 100개 이상의 지역을 검토한 결과 블리스가 유럽 내 배터리 공장을 위한 최고의 위치라고 봤다"며 "블리스는 항구 도시로 완성된 배터리셀을 유럽 전역으로 바로 배달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고 설명했다. 특히 블리스는 노르웨이에서부터 이어지는 해저케이블이 설치된 지역이다. 해저케이블을 통해 공장에 친환경 전력을 수급한다는 방침이다. 투자비는 약 26억 파운드(약 4조1365억원)다. 건설 자금 조달을 위해 기업인수목적회사(SPAC·스팩)과의 합병을 통한 기업공개(IPO)도 추진한다. 당초 런던과 뉴욕증권거래소를 놓고 저울질했으나 런던
[더구루=오소영 기자] 테슬라가 중국에서 만든 스포츠유틸리티차(SUV) '모델Y 퍼포먼스'에 AMD의 라이젠 프로세서를 썼다. 모델S와 모델X에 이어 모델Y에서도 협력을 이어가며 컴퓨팅 성능 강화에 주력한다. 29일 업계에 따르면 테슬라는 상하이 기가팩토리에서 생산한 모델Y 퍼포먼스의 마이크로컨트롤러유닛(MCU)에 AMD의 라이젠 칩을 탑재했다. 테슬라는 그동안 MCU 시스템에 엔비디아의 프로세서를 써왔다. 2012~2018년형 모델S와 2016~2018년형 모델X의 MCU에 엔비디아의 테그라 3 프로세서가 장착됐다. 이후 인텔 아톰 프로세서를 채택했다가 AMD로 노선을 바꿨다. 테슬라는 AMD의 칩을 모델Y 퍼포먼스 버전에만 쓸지, 중국향 차량에만 탑재할지는 밝히지 않았다. 다만 테슬라가 변종 모델에 동일한 온보드 컴퓨터를 사용하는 점을 감안할 때 AMD의 칩이 폭넓게 쓰였을 것으로 업계는 추측하고 있다. 테슬라는 앞서 AMD의 특허를 활용해 자율주행차 전용 인공지능(AI) 칩 개발을 추진했다. 2017년 9월 첫 시제품을 테스트했다. 올해 모델S와 모델X의 신형 인포테인먼트 시스템에 라이젠 가속처리장치(APU)와 RDNA2 기반 라데온 칩도 적용했다. 테
[더구루=김도담 기자] 세계 최대 규모 중국 배터리 기업 CATL이 독일 현지 인력 증원에 나섰다. 현지 배터리 생산이 임박한 것으로 풀이된다. 독일 현지 자동차 전문매체 오토모빌보체를 비롯한 현지 언론의 최근 보도에 따르면 CATL은 연말까지 독일 튀링겐 주 아른슈타인 공장 인력을 현 180명에서 연말까지 225명으로 증원한다고 밝혔다. CATL은 이와 별도로 중국 직원 115명이 현지 배터리 생산 시설 건설 과정에 투입된 상태라고 전했다. CATL의 독일 현지 배터리 생산이 임박했다는 신호로 해석할 수 있다. CATL은 국내 경쟁사 대비 20%가량 낮은 가격과 세계 최대 중국 시장 진출에 용이하다는 강점을 앞세워 지난 2019년 독일에 중국 외 지역의 첫 배터리 생산 거점을 짓기 시작했다. 올 연말 6개 생산라인 가동을 시작해 연 14기가와트시(GWh)의 배터리를 생산한다는 계획이다. 2025년까지 이를 연 100GWh까지 늘린다는 계획도 이미 밝힌 바 있다. 80킬로와트시(㎾h)용량의 전기차용 배터리 연 100만개 이상을 생산할 수 있는 양이다. 계획대로면 CATL의 유럽 생산능력이 LG에너지솔루션(70GWh)을 뛰어넘는다. CATL(Contempora
[더구루=정예린 기자] 화웨이가 내년 초 선보일 차세대 폴더블 스마트폰 양산에 돌입했다. 삼성디스플레이의 OLED 패널이 탑재된 제품이다. 29일 업계에 따르면 화웨이에 폴더블폰 힌지 부품을 공급하는 '심천 시통 자오리 테크놀로지(Sheznhen Shitong Zhaoli Technology)'는 최근 대량 생산을 시작했다고 지난 25일(현지시간) 열린 투자자 회의에서 밝혔다. 화웨이는 내년 2월 '메이트X2' 뒤를 잇는 폴더블폰 신제품을 출시할 예정이다.현재 폴더블폰용 디스플레이 내장형 광학 지문 센서와 OLED 디스플레이 테스트를 진행 중인 것으로 알려진다. 삼성디스플레이가 개발한 무편광(POL-Less) OLED 패널을 공급한다. 무편광 OLED 패널은 삼성디스플레이가 업계 최초 상용화에 성공한 제품이다. 기존 편광판과 달리 빛 반사를 막으면서도 빛의 투과율을 높여 패널 소비 전력을 25%까지 감소시킨다. 밝기도 20~30% 높다. 화웨이는 지난 2월 폴더블폰 '메이트X2'를 공개했다. 자체 세 번째 폴더블폰이자 처음으로 인폴딩(밖에서 안으로 접는) 방식을 채택한 제품이다. 최근에는 '메이트X2'의 5G 버전을 출시했다. 자체 칩인 '기린9000 5G'
[더구루=홍성일 기자] 인도 완성차업체 타타그룹의 차량용 반도체 투자 계획이 윤곽을 드러냈다. 29일 업계에 따르면 타타그룹은 반도체 제조·테스트 시설을 갖추기 위한 공장 부지를 확정하기 위해 인도 내 3개 주와 협상을 벌이고 있다. 타타그룹과 협상을 벌이고 있는 주는 타밀나두, 카르나타카, 텔랑가나 주다. 타타그룹은 해당 공장 건설에 우선 3억 달러를 투입할 계획이며 내년 말 가동을 목표로 하고 있다. 또한 이를 위해 최대 4000명의 근로자를 고용할 계획이다. 타타그룹이 반도체 직접 생산에 나서는 것은 반도체 공급난과 무관하지 않다. 특히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여파로 모바일 등 IT 기기 수요가 증가하며 반도체 부족 현상이 장기화되면서 차량 생산에 차질을 빚고 있다. 특히 타타모터스 산하 재규어랜드로버(JLR)는 지난 4월 차량용 반도체 수급에 어려움을 겪으며 웨스트미들랜드 캐슬브롬위치와 머지사이드 헤일우드 소재 공장이 가동을 중단한 바있다. <본보 2021년 8월 17일 참고 인도 타타그룹, 반도체 시장 출사표> 향후 전기차, 자율주행차 시대로 전환되면서 차량 당 반도체 필요수량도 급증하는 것도 반도체 자체생산에 나선 이유다
[더구루=윤진웅 기자] 현대자동차·기아의 특허를 담당하는 미국 최대 법률회사 '모건 루이스'(Morgan Lewis) 소속 이호상 변호사가 현지 특허 변호사 '톱10'에 선정됐다. 29일 미국 법률전문매체 '아이피워치독'(IPWatchdog)에 따르면 아이피워치독은 미국 특허 변호사 '톱10'을 공개했다.특허 전문 로펌 소속 변호사를 대상으로 활동과 성과 등을 비교해 선정했다. 아이피워치독 관계자는 "순위 선정을 위해 미국 특허청(USPTO)이 공개한 수천만 개의 PDF 파일을 모두 분석했다"며 "지난해 미국에서 발행된 35만 건의 실용 특허로 데이터를 제한해 10명의 변호사를 꼽았다"고 설명했다. 한국인으로는 유일하게 이호상 변호사가 '8위'에 이름을 올랐다. 이 변호사는 지난 2019년 모건 루이스에 합류해 현대차와 기아의 특허를 담당하고 있는 인물이다. 지난해 738건의 특허를 냈다. 현대차·기아 미국 법인이 기존 특허 등록 대행을 '맥더모트'(McDermott)에서 모건 루이스로 파트너사를 바꾼 이유도 이 변호사의 능력을 높이 샀기 때문인 것으로 전해진다. 이 변호사의 능력은 이미 자동차 업계에 잘 알려져있다. 글로벌 자동차 회사를 대신해 경쟁사와 라
[더구루=오소영 기자] 콩고민주공화국(DRC)이 풍부한 코발트 매장량을 바탕으로 배터리 제조국으로 도약을 모색한다. 위원회를 꾸리고 공장 설립을 지원한다. 29일 업계에 따르면 장-미셸 사마 루콘데 키엔게 DR콩고 총리는 지난 24일(현지시간) 수도 킨샤사에서 열린 비즈니스 포럼에서 "배터리 위원회를 만들겠다"고 밝혔다. DR콩고는 전기차 배터리의 핵심 원료인 코발트 부국이다. 미국 지질조사국(USGS)의 조사 결과 전 세계 코발트 매장량(710만t 규모)의 절반인 350만t가량이 매장돼 있다. 전 세계 코발트 생산의 3분의 2를 차지한다. 풍부한 매장량에도 불구하고 만연한 부패와 제한된 기반 시설 등으로 배터리 산업은 발전하지 못했다. DR콩고 정부는 위원회를 신설해 배터리 생태계를 조성할 계획이다. 출범 일정과 세부 역할을 알려지지 않았다. 배터리 생산시설 건설도 조력한다. 키엔게 총리는 "배터리 제조에 필요한 자금 조달을 돕기 위한 특수목적법인(SPV)을 출범하고자 최선을 다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아프리카 2위 구리 생산국인 잠비아도 콩고와 협력할 뜻을 내비쳤다. 하카인데 히칠레마 잠비아 대통령은 "아프리카의 산업 역량을 개발하고자 DR콩고 등 다른
[더구루=오소영 기자] 호주 연구기관이 양수식 수력발전·풍력발전 사업보다 테슬라의 에너지저장장치(ESS) '메가팩' 구축이 안정적인 전력 공급에 더 효과적이라는 분석을 내놓았다. 29일 업계에 따르면 빅토리아 에너지정책센터(Victoria Energy Policy Centre)는 최근 테즈메이니아주에서 추진 중인 에너지 사업의 경제성을 검토하는 보고서를 발표했다. 테즈메이니아주는 양수식 수력발전소와 풍력발전소를 짓고 250㎞ 길이의 해저케이블 '매리너스 링크'(Marinus Link)를 깔아 전력을 공급하는 프로젝트를 진행하고 있다. 중앙 정부는 지난해 매리너스 링크에 약 1억 호주달러(약 850억원)를 투입했다. 2024 회계연도에 최종투자결정이 내려질 에정이다. 지지자들은 해당 프로젝트를 호주의 청정 에너지 보급을 촉진할 주요 사업이라고 보고 있으나 빅토리아 연구기관의 의견은 달랐다. 빅토리아 에너지정책센터는 "사업비가 약 71억 호주달러(약 6조원)에 달할 것"이라며 "리튬이온 배터리 형태로 같은 용량을 구축하는 것이 더 바람직하다"고 지적했다. 이 센터는 "양수식 수력발전보다 배터리가 효율성과 응답성 모두 우수한 점을 고려할 때 테즈메이니아에서 양수식
[더구루=정예린 기자] AMD, 인텔, 엔비디아 등 글로벌 칩 회사가 오는 2023년 반도체 수급이 정상화될 것이라고 내다봤다. 예상 시점이 계속 늦춰지고 있는 가운데 관련 기업들은 최소 1년 더 공급난에 시달릴 전망이다. 29일 업계에 따르면 마크 페이퍼마스터(Mark Papermaster) AMD 최고기술책임자(CTO) 겸 수석 부사장은 최근 인도 매체 더힌두비즈니스라인과의 인터뷰에서 "우리는 반도체 공급이 2022년 하반기부터 2023년까지 점차 완화될 것으로 보고 있다"며 "이 때 칩 수급 균형이 정상화될 것으로 예상한다"고 밝혔다. 다른 글로벌 칩 회사 경영진 전망도 페이퍼마스터 CTO와 유사하다. 앞서 펫 겔싱어 인텔 CEO는 올 초 공급난이 2023년까지 이어질 것이라고 전망했다. 젠슨 황 엔비디아 최고경영자(CEO)는 이달 야후 파이낸스 라이브와의 인터뷰에서 "2022년까지 특히 그래픽카드 수요가 공급을 훨씬 초과할 것"이라고 밝혔다. 이 밖에 도시바도 최소 내년 9월까지는 병목현상이 지속될 것이라는 입장이다. 기업뿐 아니라 투자업계도 내년 하반기부터 점차 회복세를 띌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골드만삭스는 최근 "지금이 반도체 부족으로 인한 자동
[더구루=홍성일 기자] 헝가리가 폴란드 기업과 손잡고 소형 모듈 원전(Small Modular Reactor, SMR) 도입을 추진하기로 했다. 헝가리는 단순 검토 수준이 아닌 미국산 SMR 도입까지 완료, 에너지 믹스 구축에 속도를 낸다는 목표다. [유료기사코드] 4일 업계에 따르면 헝가리 원자력 개발 회사 '후나톰(Hunatom)'은 폴란드 SMR 기업 '신토스 그린 에너지(Synthos Green Energy, 이하 신토스)'와 의향서(LOI)를 체결했다. 후나톰과 LOI를 체결한 신토스는 폴란드 최고 부호인 미하우 소워보프(Michał Sołowow)가 운영하는 SMR 전문기업이다. 신토스는 폴란드 기업 중에서도 가장 적극적으로 SMR 도입을 추진해 온 기업이다. 미국 제네럴일렉트릭(GE)과 일본 히타치 합작사인 'GE 히타치 뉴클리어 에너지(GEH)'와 전략적 협력 관계를 구축하고 있다. 신토스는 GEH가 개발한 발전용량 300메가와트(㎿)의 SMR 'BWRX-300'의 폴란드 내 독점권을 보유하고 있다. 계약에 따라 후나톰은 신토스를 통해 BWRX-300 도입에 앞서 필요한 기술적, 인프라적, 재정적, 법적 준비 작업을 진행한다. 후나톰이 정확히
[더구루=홍성환 기자] 엔비디아가 투자한 것으로 유명한 AI 데이터센터 기업 코어위브(CoreWeave)가 미국 뉴저지주(州) 데이터센터 개발에 본격 착수한다. [유료기사코드] 4일 미국 상업용 부동산 컨설팅 회사 뉴마크에 따르면 코어위브는 미국 뉴저지주 케닐워스 지역 노스이스트 과학기술센터(NEST) 내 데이터센터 개발 부지를 3억2200만 달러(약 4500억원)에 매입했다. 코어위브는 이 부지에 12억 달러(약 1조6700억원)를 투자해 전체면적 약 2만6000㎡ 규모 AI 데이터센터를 건설할 계획이다. 노스이스트 과학기술센터는 미국 부동산 투자사 오닉스 에쿼티스와 머신 인베스트먼트 그룹이 머크 본사를 인수해 개발한 과학기술 단지다. 코어위브는 엔비디아의 AI 반도체를 이용한 데이터센터를 운영하고 임대하는 사업을 한다. 이 회사는 2017년 암호화폐 채굴 회사로 출발 후 2019년 AI 학습·추론에 필수적인 그래픽처리장치(GPU) 클라우드 인프라 구축 사업으로 전환했다. 코어위브는 클라우드 서비스 제공 업체라는 점에서 아마존의 웹서비스 AMS, 마이크로소프트(MS) 애저, 구글 클라우드와 경쟁하고 있다. 페이스북 모회사 메타와 IBM 등을 고객사로 두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