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구루=김은비 기자] 기아가 5월 스페인 시장에서 질주했다. 전년 동기 대비 두 자릿수 이상 급증한 판매고를 기록, 올해 들어 월간 기준 최고 실적을 달성했다. 하이브리드·전기차 라인업 확장과 SUV 인기 모델 판매 증가가 맞물린 결과다. 기아는 전동화 모델을 내세우며 현지 시장에서 브랜드 위상을 공고히 한다는 방침이다. 7일 스페인자동차제조협회(ANFAC)에 따르면 기아는 지난달 스페인에서 총 6796대를 판매, 월간 기준 역대 최고 실적을 달성했다. 이는 전년 동월(5124대) 대비 26% 증가한 수치다. 브랜드별 판매 순위는 6위, 시장 점유율은 6%를 기록했다. 올들어 5월까지 판매량은 2만7673대로, 전년 동기 대비 11% 성장했다. 점유율은 5.9%로 집계됐다. 기아의 실적은 대표 SUV 모델인 스포티지가 견인했다. 지난달 한 달간 1565대가 판매됐다. 기아 소형 전기 SUV EV3 역시 높은 수요를 기록했다. 지난해 10월 출시 이후 가파른 성장세를 보이고 있는 EV3는 지난달 512대를 판매, 베스트셀링 전기차 '톱3'에 올랐다. 현대차는 지난달 6835대를 판매하며 브랜드 판매 순위 5위에 올랐다. 전년(6473대) 대비 6.2% 상승,
[더구루=김은비 기자] 기아가 유럽에서 주력 스포츠유틸리티차량(SUV) '2025년형 스포티지(Sportage)'를 공개, 이르면 7월 출시한다. 사륜구동(AWD) 하이브리드(HEV) 모델을 라인업에 추가했다. 6일 업계에 따르면 기아는 2025년형 스포티지를 3분기 유럽 시장에 공식 출시한다. 슬로바키아 잘리나 공장에서 생산한다. 가격은 아직 공개되지 않았으나 현재 가격(5500만원)과 비슷한 수준으로 예상된다. 쇼어드 크니핑(Sjoerd Knipping) 기아 유럽법인 최고운영책임자(COO)은 “역대 가장 정교하고 완성도 높은 스포티지”라며 “기존 고객은 물론, 신규 소비자 모두를 만족시킬 모델”이라고 강조했다. 신형 스포티지는 외관 디자인부터 파워트레인에 이르기까지 전 분야에서 대대적으로 업그레이드가 이뤄진 기아의 야심작이다. 파워트레인은 △1.6리터 가솔린 터보 엔진과 △최대 239마력 하이브리드로 두 가지다. 특히 하이브리드 모델은 AWD 옵션을 선택할 수 있어 실용성과 주행 성능을 동시에 원하는 유럽 소비자에게 적합하다는 평가다. 기아는 유럽 내 하이브리드 SUV 수요가 급증하는 상황에서 신형 스포티지로 유럽 자동차 시장에서 입지를 확대한다는 방침
[더구루=홍성일 기자] 미국 뉴욕 존 F. 케네디 국제공항(JFK)에 사상 처음으로 순수 전기 항공기가 착륙했다. 이번 착륙으로 순수 전기 항공기 상업화의 속도가 붙을 것이라는 분석이다. [유료기사코드] 6일 업계에 따르면 항공우주 기업 베타 테크놀로지스(BETA Technologies, 이하 베타)가 개발한 아리아(ALIA) 전기 항공기(CTOL)가 3일(현지시간) JFK 공항에 성공적으로 착륙했다. 이번 착륙은 JFK 공항을 관리하는 뉴욕·뉴저지 항만청과 베타의 협력을 통해 진행됐다. CTOL은 통상적인 방식(활주)으로 이착륙하는 고정익 항공기를 말한다. 베타에 따르면 JFK 공항에 착륙한 아리아 CTOL은 롱아일랜드에서 이륙했으며, 45분간 비행 후 랜딩에 성공했다. 항공기 안에는 조종사 1명과 리퍼블릭 항공 사장 맷 코스칼, 블레이드 에어 모빌리티 최고경영자(CEO) 롭 비젠탈을 포함해 총 5명이 탑승했다. 아리아 CTOL은 최대 5명의 승객 또는 560kg 화물을 수송할 수 있다. 이번 시험비행은 2023년 12월 뉴욕·뉴저지 항만청이 전기 항공기 제작 기업들에 시연 요청서(RFI)를 보내면서 시작됐다. 뉴욕·뉴저지 항만청은 전기 항공기 도입을 통해
[더구루=정예린 기자] "AI는 모든 것을 최적화할 수 있는 게임체인저입니다." 6일 미국 매거진 WWD에 따르면 앨리슨 스트랜스키(Allison Stransky) 삼성전자 미국법인 최고마케팅책임자(CMO)는 최근 이 매체와의 인터뷰에서 "모바일 기기는 이제 개인 AI 동반자로 진화해 건강을 증진하고, 더 효율적으로 일하고, 사랑하는 사람을 돌보는 데에도 도움을 주고 있다"며 이같이 밝혔다. 삼성전자는 브랜드 전략과 마케팅 측면에서 AI 기술을 적극 활용하고 있다. 스트랜스키 CMO는 "우리는 풍부한 데이터를 보유하고 있으며, AI를 활용해 사람들의 실생활에 매우 직관적이고 실용적인 경험을 제공할 수 있다"며 "고객 여정의 다양한 지점에서 매우 관련성 높고 개인화된 메시지를 전달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그는 삼성전자가 북미 1위 가구 브랜드인 애슐리 퍼니처(Ashley Furniture)와 진행한 협업을 대표 사례로 언급했다. 삼성전자는 지난해 미국 테네시주 브렌트우드(Brentwood)에 있는 애슐리 퍼니처 플래그십 매장에 '삼성 스마트싱스 홈 앳 애슐리(Samsung SmartThings Home at Ashley)'를 선보였다. 가전과 가구를 결합해
[더구루=정예린 기자] 스페인 의료 시스템이 인공지능(AI) 도입으로 급속히 재편되고 있다. 시장을 선점한 강자가 없는 초기 단계인 만큼, 한국 기업이 '기술'과 '현장 적응력'을 무기로 유럽 의료 AI 시장의 핵심 파트너로 도약할 수 있는 기회가 열렸다는 분석이다. 6일 시장조사기관 '스페리컬 인사이츠(Spherical Insights)'에 따르면 스페인 AI 기반 의료 시장 규모는 2023년 약 1억8000만 달러에서 2033년까지 약 69억5000만 달러로 증가, 연평균 성장률은 44.1%에 달할 전망이다. 또 스페인 바이오기업협회(Asebio) 조사 결과 의료 종사자 중 11%가 AI 기술을 사용 중이며, 42%는 도입을 준비하고 있는 것으로 확인됐다. 스페인 정부 역시 AI를 차세대 의료 전략의 핵심 기술로 설정하고 디지털 헬스케어 기반 마련에 속도를 내고 있다. 모니카 가르시아 스페인 보건부 장관은 지난 2월, AI를 국민보건 시스템(SNS)에 통합하는 전략을 발표하며 의료진의 행정 부담을 줄이고 진단의 정확성을 높이는 수단으로 AI를 적극 활용하겠다고 밝혔다. 이에 따라 의료진 대상 교육 프로그램 확대와 현장 적용 역량 강화가 병행되고 있다. 실
[더구루=오소영 기자] 콜롬비아 해군 대표단이 HD현대중공업과 한화오션을 만났다. 국내 전시회인 '국제해양방위산업전(MADEX)'에서 부스를 둘러보고 조선소를 찾았다. 페루에 이어 콜롬비아도 한국에 협력을 구애하며 'K-조선'이 중남미 해군 전력 현대화의 핵심 파트너로 떠올랐다. 6일 콜롬비아 해군과 디펜사 등 외신에 따르면 해군 참모총장인 후안 리까르도 로소 오브레곤 대장(Juan Ricardo Rozo Obregón)은 지난달 28일부터 31일까지 부산 벡스코에서 열린 'MADEX 2025'를 찾았다. HD현대중공업과 한화오션 부스를 둘러보고 함정 기술을 살폈다. 이어 HD현대중공업 울산조선소와 한화오션 거제사업장을 시찰했다. 한화오션에서는 박성우 특수선해외사업단 상무가 직접 접견하고 잠수함 모형을 선물했다. 콜롬비아 해군은 공식 페이스북을 통해 "대한민국 해군 함정이 어디서 어떻게 건조되는지 확인할 수 있었다"며 "호위·잠수함 현대화 사업의 유력 공급사 후보인 두 조선소에 대한 이해도를 높일 기회였다"고 설명했다. 콜롬비아 해군은 독일제 잠수함인 'U-209'와 'U-206A'의 노후화로 대체 군함을 조달할 예정이다. 지난 2022년에는 2042년까지
[더구루=오소영 기자] 중국 액정표시장치(LCD) 모니터 시장 규모가 25조원 이상으로 집계됐다. 가파른 시장 성장으로 BOE를 비롯해 중국 기업들도 덩달아 호실적을 거뒀다. 고성능 제품을 필요로 하는 기업간거래(B2B) 시장에서 중국 브랜드의 틈새를 파고들어야 한다는 분석이 제기된다. 6일 코트라 베이징무역관과 중국 즈옌잔산업연구원(智研瞻)에 따르면 현지 LCD 모니터 시장 규모는 2020년부터 3년 연속 성장했다. 작년 상반기 1350억5700만 위안(약 26조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7.5% 커졌다. 시장이 확대되며 중국 기업들은 수혜를 입었다. 빠른 세대교체와 현지 정부의 제조업 지원 정책으로 로컬 브랜드의 성장이 가속화됐다. 중상산업연구원의 조사 결과, BOE는 1분기 매출액이 전년 동기 대비 10.27% 증가한 505억9900만 위안(약 10조원)을 기록했다. 모니터 관련 매출이 80% 이상을 차지한다. TCL 계열사인 CSOT는 고급 게이밍 모니터와 상업용 디스플레이에 집중하고 있고, 후발주자인 HKC는 중저가 모니터·TV 시장에서 강세다. 이들은 거대 내수를 보유한 중국 시장을 발판 삼아 해외 무대에서도 영향력을 확대하고 있다. 중국 기업들이
[더구루=오소영 기자] 중국 7대 군사대학인 '베이징 항공항천대학'이 고성능 컴퓨팅 칩을 개발했다. 자체 개발한 신개념 연산 방식을 적용해 낮은 전력으로 복잡한 계산을 빠르고 안정적으로 처리할 수 있는 칩을 구현했다. 미국의 제재에 맞서 첨단 칩 기술을 선제적으로 확보하려는 중국의 행보가 가속화되고 있다. 5일 광명일보(光明日报) 등 중국 매체에 따르면 리훙거 항공항천대 교수가 이끄는 연구팀은 최근 하이브리드 확률 컴퓨팅 시스템온칩(SoC)을 개발했다. 오픈소스 아키텍처인 'RISC-V'를 기반으로 하는 새 칩은 우수한 내구성과 에너지 효율성을 갖췄다. 비법은 연산 방식에 있다. 0과 1로 정보를 처리하는 기존 컴퓨터의 연산 방식에서 벗어나 연구팀은 이진수(0과 1)와 확률을 더한 HSN(Hybrid Stochastic Number)을 제안했다. 가령 특정 신호가 총 10회 중 7회 나타나면 0.7로 표시하는 식이다. 연구팀은 HSN을 활용해 데이터 처리 과정에서 전력 소모량을 최소화했다. 이번에 개발된 칩은 오류가 잘 나지 않고 잡음을 비롯해 악조건에서도 연산이 가능하다. 터치스크린 기기와 항공기 제어시스템 등에 활용될 전망이다. 연구팀은 향후 음성·이미지
[더구루=오소영 기자] HD현대가 로봇에 꽂혔다. 미국 휴머노이드 로봇 기업에 이어 국내 대기업들로부터 러브콜을 받는 산업용 맞춤형 인공지능(AI) 전문기업 마키나락스와 손잡았다. 고장을 예측하는 AI 기반 솔루션을 개발해 용접용 로봇에 탑재한다. 로봇에 AI를 더해 조선업 자동화의 새 패러다임을 선도한다. 5일 HD현대삼호에 따르면 이 회사는 모회사인 HD한국조선해양, 마키나락스와 지난달 13일 '로봇 공정 효율화를 위한 AI 활용 양해각서(MOU)'를 체결했다. 세 회사는 용접용 협동로봇에 적용할 AI 기반 예지보전 솔루션을 개발한다. 예지보전은 AI를 활용해 사전에 로봇의 이상을 감지하고 고장을 예측하는 기술이다. 이 기술을 활용하면 적절한 시기에 유지보수를 수행함으로써 고장에 따른 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다. 용접 작업의 효율성을 극대화하고 궁극적으로 조선소의 품질 경쟁력과 안전성을 높일 것으로 기대된다. HD현대는 '미래 첨단 조선소(Futrue of Shipyard, 이하 FOS)' 로드맵에 따라 2030년까지 지능형 자율 운영 조선소를 구축한다는 목표를 갖고 있다. AI는 이를 구현할 필수 기술이다. 로봇의 진정한 가치는 AI와 결합될 때 비로소
[더구루=오소영 기자] 미국 에너지 저장 솔루션 기업 '포윈(Powin)'이 현지 정부에 사업을 중단할 수 있다고 경고했다. 내달 28일을 기점으로 200명 이상 해고할 가능성을 통보했다. 경영난이 지속되고 시장 성장성에 대한 회의적인 시각도 커지고 있어서다. 이번 위기로 포윈을 파트너로 삼은 삼성물산의 글로벌 에너지저장장치(ESS) 사업 전략은 일부 차질이 예상된다. [유료기사코드] 5일 오리건 주정부에 따르면 포윈은 지난달 29일(현지시간) 키스 윌슨 포틀랜드 시장과 프랭크 부베닉 튜얼러틴 시장, 오리건 고등교육 조정 위원회(HECC)에 사업 중단 계획을 담은 서한을 보냈다. 상황이 나아지지 않으면 오는 7월 28일 또는 그 이전에 직원들을 자를 수 있다고 공지했다. 실직 위험에 놓인 직원은 약 250명이다. 오리건주는 '근로자 조정 및 재훈련고지(WARN)법'에 따라 100명 이상 근로자를 고용한 회사가 사업장 폐쇄나 해고를 결정할 경우 60일 전에 이를 통보하도록 규정하고 있다. 포윈은 서한에서 최고경영자(CEO)를 비롯해 해고 대상 직원들의 직책을 열거했다. 1989년 설립된 포윈은 전 세계 11GW 이상 ESS를 공급했다. 현재 6GWh 규모 ES
[더구루=김은비 기자] 기아가 올들어 5월까지 콜롬비아 자동차 시장에서 브랜드 판매 순위 '넘버2'에 올랐다. 1위인 르노와의 점유율 격차는 0.2%p로, 그야말로 턱 밑이다. 기아는 베스트셀링카로 꼽힌 K3 수요에 힘입어 연내 1위 탈환을 노린다는 방침이다. 5일 콜롬비아 경제인협회(ANDI)와 콜롬비아 수입차협회(FENALCO)에 따르면 기아는 올해 들어 5월까지 콜롬비아에서 총 1만1406대를 판매, 브랜드 판매 순위 2위에 올랐다. 전년 동기 대비 48.4% 상승, 점유율은 13.1%를 기록했다. 1위인 르노의 판매량은 1만1557대(점유율 13.3%)로, 양사 간 격차는 단 151대에 불과하다. 기아는 지난달 역시 전년 동월 대비 26.3% 급증한 2452대를 판매, 브랜드 순위 2위에 올랐다. 점유율은 12.4%로 집계됐다. 기아 실적은 K3가 견인했다. K3는 지난 1~5월 점유율 3.9%를 기록, 전체 차종 중 판매량 1위를 기록했다. 토요타 코롤라 크로스(3.6%)와 마쓰다 CX-30(3.5%) 등을 제쳤다. 5월 한 달 기준으로도 K3는 880대 판매, 모델별 판매 순위 2위에 올랐으며 1위는 코롤라 크로스(953대)였다. 현대차는 5월까지
[더구루=정예린 기자] 삼성전자는 갤럭시 S25 엣지를 통해 극단적인 고사양 대신, 사용자 경험 중심의 핵심 기능만 담은 전략을 내세웠다고 강조했다. 카메라와 배터리 등 일부 사양 축소에 대한 우려를 '선택과 집중'이라는 방향성으로 정면 돌파하겠다는 의도다. 5일 미국 IT 전문 매체 톰스가이드에 따르면 블레이크 가이저(Blake Gaiser) 삼성전자 미국법인 스마트폰 제품관리 디렉터는 최근 이 매체와의 인터뷰에서 갤럭시 S25 엣지에 대해 "고객이 원하는 모든 것을 제공하고, 고객이 원하지 않는 것은 제공하지 않는 '골디락스(Goldilocks)' 스마트폰"이라고 평가했다. 갤럭시 S25 엣지는 울트라와 플러스 사이 사용자층을 겨냥한 모델이다. 가이저 디렉터는 "울트라와 플러스 사용자 사이에는 큰 화면은 선호하지만 S펜은 필요 없고, 플래그십 카메라는 원하면서도 울트라처럼 무겁고 두꺼운 건 원하지 않는 이들이 많다"며 "고성능 플래그십 성능을 갖추면서도 가볍고 세련된 기기를 원하는 사람들이 꽤 많다"며 출시 배경을 설명했다. 가이저 디렉터는 얇고 가벼우면서도 플래그십 성능을 그대로 유지한 점을 갤럭시 S25 엣지의 가장 큰 강점으로 꼽았다. 단순한 경량화
[더구루=홍성일 기자] 핀란드의 휴대전화 제조사인 'HMD(Human Mobile Devices)'이 세계 최고 인기 축구팀 중 하나인 FC바르셀로나와 손잡고 중국에서 노키아 피처폰을 출시했다. [유료기사코드] 3일 업계에 따르면 HMD는 지난달 29일(현지시간) 중국에서 FC바르셀로나와 컬래버레이션한 바르사 3210(Barça 3210) 피처폰을 선보였다. HMD는 클래식 노키아 휴대전화의 매력과 FC바르셀로나의 브랜드를 결합해, 노키아를 좋아하는 축구팬을 공략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바르사 3210은 HMD와 FC바르셀로나가 맺은 파트너십에 따라 제작됐다. 양사는 지난해 8월 3년 파트너십 계약을 체결한 바 있다. 바르사 3210이 처음 출시된 것은 지난 4월이다. HMD는 바르사 3210 외에도 컬래버레이션 스마트폰인 '바르사 퓨전'도 출시했었다. 바르사 3210은 지난해 출시된 노키아 3210 모델을 기반으로 제작됐으며, 4G 통신망을 지원하며 200만화소 후면 카메라 1개가 장착됐다. 디자인은 FC바르셀로나와 컬래버한 제품이라는 점을 보여주기 위해 엠블럼과 상징색이 사용됐다. 휴대전화 후면에는 FC바르셀로나를 상징하는 자주빛의 빨간색과 엠블럼이 각인됐
[더구루=정예린 기자] 테슬라 전 사장이 테슬라가 전기차 시장을 주도할 수 있었던 핵심 요인으로 일론 머스크 최고경영자(CEO)가 직접 주도한 실물 기반 제품 회의를 꼽았다. 수치를 담은 프레젠테이션 대신 실제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를 직접 만지며 평가하는 방식이 빠른 피드백과 조직 내 긴장감을 동시에 가능하게 했다는 분석이다. [유료기사코드] 2일 미국 IT 전문 매체 '테크크런치'에 따르면 테슬라의 전 글로벌 세일즈·서비스 총괄 사장이자 현재 제너럴모터스(GM) 이사회 멤버인 존 맥닐은 최근 보스턴에서 열린 'TC 올 스테이지' 행사에서 "첫 번째 규칙은 슬라이드를 금지하는 것이었다"며 "우리는 항상 실제 제품을 검토해야 했다"고 밝혔다. 이어 "매주 고위 임원들과 제품 책임자들이 모여 프로토타입이든 하드웨어든 직접 만지고 작동해보며 진척 상황을 점검했다"며 "이런 문화가 조직에 긴장감을 주고 매주 진척과 혁신이 이어지게 했다"고 덧붙였다. 머스크 CEO의 회의 운영 철학은 애플 창업자 고(故) 스티브 잡스의 조언에서 비롯됐다. 맥닐은 "머스크가 잡스를 찾아가 '하드웨어 비즈니스를 시작하려 한다. 한 가지 조언만 해달라'고 하자, 잡스는 '완벽한 제품을 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