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구루=오소영 기자] SK케미칼이 독일 유통사와 협력해 재활용 페트 원료(PCR)를 사용한 '에코트리아 R101·102'를 출시한다. 유럽·중동·아프리카(EMEA)와 브라질 시장에서 제품을 다양화하고 친환경 패키징 소재 시장을 공략한다. 비에스터필드(Biesterfeld)는 15일(현지시간) "SK케미칼과 에코트리아 제품군을 추가했다"고 밝혔다. 에코트리아는 PCR를 30% 포함한 제품으로 글로벌 리사이클 스탠다드(GRS) 인증을 획득했다. 환경을 뜻하는 '에코(ECO)'와 선택을 의미하는 스페인어 '트리아(TRIA)'의 합성어로 SK케미칼이 2019년 출시했다. 이번에 추가된 제품은 에코트리아 R101과 R102이다. 에코트리아 R101과 R102는 PCR 함량이 최대 70%에 달한다. 높은 투명성과 내화학성을 자랑한다. SK케미칼은 비에스터필드와 25년 넘게 파트너십을 이어왔다. 작년 8월 협력을 확대하고 친환경 수지인 에코젠, 스카이그린 등을 선보였다. 에코트리아 R 제품군을 EMEA와 브라질에 출시해 협력을 넓히고 친환경 사업을 확대한다. SK케미칼은 연내 '에코트리아 CR'도 글로벌 런칭한다. 에코트리아 CR은 화학적 리사이클 기술로 분해한 원료를
[더구루=정예린 기자] 롯데케미칼의 말레이시아 자회사인 타이탄이 500만 달러를 투자해 공장 보수 및 노후한 장비 교체에 나선다. 16일 업계에 따르면 타이탄은 지난 11일(현지시간) 열린 올해 1분기 실적발표 설명회에서 공장 유지 보수 작업을 위해 500만 달러(약 56억원)의 자본 지출을 결정했다고 발표했다. 조족 해드리잔토 타이탄 이사는 "타이탄의 공장은 1991년 가동을 시작해 30년 간 운영되면서 부식 등으로 교체가 필요한 배관이 있고 더 이상 사용하지 않는 일부 장비나 예비 부품은 최신 제품으로 교체할 필요가 있다"고 밝혔다. 그는 "책정된 예산의 대부분은 설비 투자에 투입돼 여러 기계를 구입하는 데 쓰일 것"이라며 "장비를 구입하고 받는 데 까지는 최소 10개월 이상이 소요돼 선제적으로 주문하는 것"이라고 덧붙였다. 타이탄은 지난달 고밀도 폴리에틸렌(HDPE)과 납사크래커(NCC) 보수 공사에 나선 데 이어 설비 교체까지 예고하며 대규모 공장 리뉴얼에 나섰다. <본보 2021년 5월 27일 참고 롯데케미칼 LC타이탄, HDPE·NCC 보수공사> HDPE와 NCC 보수는 이달 15일께 마무리될 전망이다. 한편 타이탄은 올해 1분기 매출
[더구루=길소연 기자] 터키 정부가 효성티앤씨(HYOSUNG TNC)와 티케이케미칼(TK CHEMICAL) 등이 만들어 수출한 폴리에스터(FDY, 강력사)에 대한 반덤핑 조사를 개시한다. 현지기업이 한국산 제품의 저렴한 가격에 덤핑마진을 주장해 반덤핑 조사가 진행된다. 16일 코트라 터키 이스탄불무역관이 발표한 보고서에 따르면 터키 정부는 지난 2일 한국산 FDY를 대상으로 반덤핑 조사를 개시했다. 터키 무역부는 "한국산 FDY 제품의 터키향 수출이 매년 증가하는 반면, 공급 단가는 하락하고 있다"며 "한국산 제품의 시장점유율이 지속 증가했고, 한국산 제품에 대해 반덤핑 조사가 이루어졌다"고 밝혔다. 주요 반덤핑 조사 대상 기업은 △효성티앤씨(HYOSUNG TNC) △티케이케미칼(TK CHEMICAL) △제이티(JT Corp) △대한화섬(DAEHAN SYNTHETIC FIBER CO. LTD) △성안합섬(SEONG-AN SYNTHETIC CO. LTD) △신한무역(SHINHAN TRADING CO. LTD) 등이다. 조사 품목인 FDY는 폴리에스테르를 원료로 하는 합성필라멘트사다. 재봉사와 소매용은 제외하며, 67데시텍스 미만인 합성모노필라멘트를 포함한다.
[더구루=오소영 기자] 롯데케미칼이 허리케인 여파로 중단했던 미국 루이지애나 에틸렌글리콜(EG) 공장 가동을 재개한다. 주요 석유화학사들의 셧다운으로 공급이 부족해 모노에틸렌글리콜(MEG) 가격이 오르면서 롯데케미칼의 호실적이 기대된다. 15일 업계에 따르면 롯데케미칼은 지난 6일(현지시간) 루이지애나주 레이크찰스시에 위치한 EG 공장 가동에 돌입했다. 롯데케미칼은 지난달 21일부터 EG 공장을 폐쇄했었다. 루이지애나를 강타한 허리케인 영향으로 전력 공급이 끊겨서다. EG 공장은 연간 70만t의 MEG 생산량을 지녔다. <본보 2021년 5월 28일자 참고 [단독] 롯데케미칼 미국공장 열흘간 '셧다운'…'허리케인 강타'> 롯데케미칼이 공장 가동을 다시 시작했지만 제품 공급량은 여전히 제한적이다. 대만 난야플라스틱는 텍사스 MEG 공장(연간 80만t)을 이달 초부터 셧다운 했다. 같은 주의 연간 37만t 공장도 정기보수가 진행 중이다. 태국 석유화학사 인도라마 벤처스도 지난달 텍사스주 MEG 생산시설의 정기보수를 시작한 후 이달 초까지 가동을 멈췄었다. 해당 공장은 연간 35만8000t의 생산량을 갖췄다. 수급이 타이트해지며 석유화학 제품 가격은 오
[더구루=오소영 기자] 파키스탄이 한국산 무수프탈산(프탈릭 안하이드라이드)에 반덤핑 관세를 매기지 않기로 한 예비결정을 뒤엎었다. 한화솔루션에 9.57%를 비롯핸 한국산 제품에 14% 이상 책정하며 국내 석유화학 업계도 관세 영향에서 자유로울 수 없게 됐다. 파키스탄 국가관세위원회는 지난 5일(현지시간) 한국·중국·대만·러시아산 무수프탈산의 반덤핑 관세 최종 판정을 발표했다. 한화솔루션 9.57%와 그 외 한국산 제품에 14.82%의 관세가 매겨졌다. △대만 난야플라스틱 14.94%, 그 외 제품 24.61% △러시아산 16.31% △중국산 11.12%로 관세가 결정됐다. 무수프탈산은 합성수지와 가소제, 염료 제작 등에 사용되는 화학 원료다. 이번 조사는 현지 업체인 니미어 케미컬스가 상위 4개국의 반덤핑 판매로 손해를 입었다며 2019년 10월 제소장을 내며 시작됐다. 니미어 케미컬스는 현지에서 무수프탈산을 만드는 유일한 회사다. 연간 매출액이 약 1억 달러(약 1110억원)로 전체 화학 원료 시장의 약 15%를 차지한다. 국가관세위원회는 약 2개월 만에 조사를 개시했다. 이듬해 6월 관세를 부과하지 않기로 예비결정을 내린 후 조사를 진행해왔다. 최종 결정
[더구루=오소영 기자] SK어드밴스드와 폴리미래의 합작사 울산피피가 폴리프로필렌(PP) 공장 가동에 돌입했다. 아시아 수요 확대와 맞물려 울산피피의 수익이 늘어날 것으로 기대된다. 네덜란드 화학기업 라이온델바젤은 9일(현지시간) "연간 40만t을 생산할 수 있는 울산피피의 공장 가동을 성공적으로 시작했다"고 밝혔다. SK어드밴스드와 폴리미래는 2018년 6월 합작 투자 계약을 맺고 이듬해 10월 기공식을 가졌다. 총 5000억원을 쏟아 울산 신항만 배후단지 16만3726㎡ 부지에 신공장을 세웠다. 지난달부터 시범 가동에 들어갔다. <본보 2021년 5월 18일 참고 'SK-폴리미래 합작' 울산피피, PP 공장 가동 '임박'> 신공장은 SK어드밴스드에서 생산한 프로필렌을 원료로 쓴다. 고활성 촉매를 사용해 공정 효율을 높이는 라이온델바젤의 스페리폴 기술도 적용됐다. 라이온델베젤과 대림은 울산피피가 만든 PP의 해외 진출을, 폴리미래는 국내 판매를 담당한다. 울산피피는 고품질 PP를 양산하며 글로벌 시장을 공략한다. PP는 프로필렌을 원료로 생산되는 합성수지다. 파이프와 자동차 내외장재 등 산업용 소재, 주방용기, 위생용품, 포장재 등에 쓰인다. PP
[더구루=정예린 기자] 효성티앤씨가 미국과 유럽에서 마케팅 전문가를 영입하며 해외 시장 공략에 속도를 낸다. 프리미엄 시장 내 점유율을 확대해 글로벌 스판덱스 1위 업체 지위를 공고히 하겠다는 전략이다. 1일 업계에 따르면 효성티앤씨 유럽과 미국 마케팅팀은 최근 각각 클레어 오닐(Claire O'Neill)과 남지혜 과장을 마케팅 매니저로 영입했다. 이들은 모두 20~30년 간 섬유업계에 몸 담은 베테랑이다. 오닐 유럽 마케팅 매니저는 글로벌 섬유 업체의 주요 보직을 두루 거친 인물이다. 1989년 디자이너로서 커리어를 쌓기 시작해 패션마케팅으로 직무를 확대, 미국에 본사를 둔 인비스타(INVISTA), 라이크라 컴퍼니(The LYCRA Company) 등에서 유럽 지역 마케팅 매니저를 역임했다. 특히 속옷, 란제리, 수영복 등 소재 분야에 강점을 가졌다. 오닐 매니저는 주요 산업 파트너와 공동 개발 및 홍보 프로그램을 관리하는 역할을 맡을 예정이다. 효성티앤씨는 특수 섬유 및 원단을 기업 및 소매 고객에 효과적으로 홍보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남 미국 마케팅 매니저는 지난 2012년 효성티앤씨에 입사해 약 10년 간 글로벌 브랜드 마케팅 팀 소속
[더구루=오소영 기자] 롯데케미칼이 말레이시아 자회사에 이어 충남 대산 납사크래커(NCC) 공장의 간이보수를 진행한다. 1일 업계에 따르면 롯데케미칼은 지난달 15일부터 대산 NCC의 간이보수에 착수했다. 기간은 약 35~40일로 오는 20일 안팎으로 재가동이 예상된다. 보수 기간 에틸렌 공급량이 줄면서 다운스트림인 부타디엔(BD)과 벤젠·톨루엔·자일렌(BTX) 생산라인도 영향을 받을 전망이다. 롯데케미칼은 지난달부터 LC타이탄에서 간이보수를 추진하고 있다. 연간 에틸렌 28만5000t을 양산하는 NCC와 22만t 생산량을 갖춘 고밀도 폴리에틸렌(HDPE) 시설을 잠갔다. <본보 2021년 5월 27일자 참조 롯데케미칼 LC타이탄, HDPE·NCC 보수공사> 롯데케미칼은 정기적으로 시행하는 정기보수보다 규모가 작은 만큼 셧다운에 따른 기회손실은 크지 않을 것으로 보고 있다. 대산 공장은 연간 3조원이 넘는 매출을 올리는 핵심 사업장이다. 롯데케미칼 전체 매출의 21% 이상을 차지한다. 대산 NCC에서 제조되는 에틸렌은 연간 110만t으로 롯데케미칼 전체 생산량의 26.7%를 차지한다. 롯데케미칼은 이달 중으로 보수를 마쳐 공장을 안정적으로 가동하고
[더구루=오소영 기자] SK이노베이션이 중국해양석유집단유한공사(CNOOC)의 자회사와 약 44억3000만 위안(약 7740억원) 상당의 부유식 원유생산·저장·하역설비(FPSO) 임대 관련 투자의향서(LOI)를 체결했다. CNOOC와 협력을 강화해 내년 말 원유 생산에 매진한다. 31일 업계에 따르면 SK이노베이션은 28일(현지시간) 세네르테크(Cenertec)와 FPSO 임대 관련 LOI를 맺었다. 세네르테크는 CNOOC의 FPSO 운영 자회사로 남중국해 해상광구 내 다수의 FPSO 운영 경험을 보유하고 있다. 투자 규모는 약 44억3000만 위안으로 기간은 약 10년이다. SK이노베이션은 보유 지분만큼 투자한다. SK이노베이션 2015년 2월 지분 80%를 확보했지만 개발 단계에 들어가며 39.2%로 축소됐다. SK이노베이션은 FPSO를 건조해 남중국해 PRMB(Pearl River Mouth Basin) 17-03 광구 생산에 속도를 낸다. SK이노베이션은 2015년부터 CNOOC와 기초 탐사 작업을 진행했다. 약 3년 만에 탐사에 성공했다. 2017년 말 심도 2014m의 탐사정을 시추해 34.8m 두께의 유효 유층을 발견했다. 시험 생산에서 지층의 자
[더구루=정예린 기자] 롯데케미칼 미국 공장이 북미를 강타한 올해 첫 허리케인(열대성 폭풍) 여파로 가동을 멈췄다. 최소 10일 이상 셧다운 상태가 지속될 것으로 예상, 제품 수급에 비상이 걸렸다. 28일 업계에 따르면 미국 루이지애나주 레이크찰스시에 위치한 롯데케미칼의 에틸렌글리콜(EG) 공장이 지난 21일(현지시간) 전력 공급이 중단, 셧다운됐다. 현재 복구 작업을 진행 중이다. 재가동 시점은 미정이나 오는 31일이 유력하다. 롯데케미칼은 고객사에 보낸 서한에서 "지난 17일께 텍사스와 루이지애나 해안을 따라 레이크찰스를 비롯해 다른 지역을 강타한 폭풍에 대비했음에도 21일 폭우로 인해 고장이 발생, 중요한 공정 장비에 전력 공급이 안돼 예기치 않게 공장 가동을 중단하게 됐다"고 밝혔다. 롯데케미칼측은 모노에틸렌글리콜(MEG)과 디에틸렌글리콜(DEG), 트리에틸렌글리콜(TEG) 등 생산 제품의 정상적인 수급이 어렵다고 덧붙였다. 롯데케미칼 미국 공장은 지난해 8월에도 허리케인 영향으로 약 50일 간 가동을 멈춘 바 있다. 올해 초에는 미국의 기록적인 한파로 정전 사태가 이어지면서 생산시설 운영을 중단했다. 롯데케미칼 미국공장은 롯데케미칼이 지난 2019년
[더구루=오소영 기자] 롯데케미칼의 말레이시아 자회사 LC타이탄이 고밀도 폴리에틸렌(HDPE)과 납사크래커(NCC) 보수공사에 나선다. 한 달간의 공사기간 동안 하위 공정의 가동률도 낮춰 공급량을 줄이며 석유화학 제품의 가격 상승을 부추길 전망이다. 27일 업계에 따르면 LC타이탄은 지난 15일부터 약 한 달간 HDPE 공장을 보수한다. HDPE는 에틸렌을 중·저압에서 중합시킨 범용 합성수지다. 파이프와 용기, 필름, 완구제 등에 폭넓게 사용된다. LC타이탄은 말레이시아 공장에서 연간 22만t을 생산하고 있다. 납사크래커(NCC)도 동시에 보수에 들어간다. 연간 에틸렌과 프로필렌 각각 28만5000t, 14만5000t을 양산하는 시설로 간이보수 기간은 HDPE와 동일하다. 프로필렌 공급량이 줄며 폴리프로필렌(PP) 생산시설의 가동률이 하향 조정된다. PP는 프로필렌을 원료로 쓰는 합성수지로 전기·전자소재와 자동차 내·외장재, 식품 용기, 포장재 등에 활용된다. 롯데케미칼은 "법적으로 정해진 정기보수보다 규모가 작은 보수"라며 "NCC도 간이보수가 진행되는 만큼 하위 공정에도 다소 영향을 미칠 전망"이라고 밝혔다. LC타이탄이 정기보수에 들어가며 HDPE와 P
[더구루=오소영 기자] SK E&S가 참여하는 호주 다윈 액화천연가스(LNG) 사업이 추가 시추에 돌입했다. 3개 유정에서 시추를 진행해 생산량을 늘리며 LNG를 수입해 국내에서 청정 수소를 만들려는 SK E&S의 청사진이 현실화되고 있다. 26일 업계에 따르면 산토스는 바유-운단(Bayu-Undan) 가스전에서 생산정 3개에 대한 추가 시추에 착수했다. 2억3500만 달러(약 2620억원)를 투입해 시추를 진행하고 2000만BOE(석유환산배럴)를 확보한다. 오는 3분기부터 가스 생산에 돌입할 계획이다. 바유-운단 가스전은 호주 다윈시 북서부 해상에 위치한다. 가스를 생산해 육상 LNG 플랜트에서 액화 과정을 거쳐 상품화하는 다윈 LNG 프로젝트의 일환으로 개발이 진행되고 있다. 산토스가 지분 43.4%를 가진 최대 주주다. SK E&S 25%, 일본 인펙스 11.4%, 이탈리아 에니 11% 등을 보유하고 있다. SK E&S는 다윈 LNG 프로젝트를 통해 국내에 가스를 도입할 것으로 보인다. 지난 3월 최종투자의사결정(FID)을 선언한 바로사-깔디타 가스전과 함께 호주 사업에 속도를 내며 가스 확보를 박차를 가한다. SK E&am
[더구루=홍성일 기자] 프랑스 1위 통신사인 오렌지(Orange)가 사이버 공격을 받았다. 오렌지는 공격 감지와 함께 즉각 대응에 나섰으며 데이터 유출은 없었다고 전했다. 일각에서는 이번 사이버 공격이 중국 기반 해커 그룹의 소행일수도 있다는 분석을 내놓고 있다. [유료기사코드] 30일 업계에 따르면 오렌지는 성명을 통해 "25일(현지시간) 자사 정보 시스템 중 하나에 대한 사이버공격을 감지했다"며 "공격이 식별되자마자 오렌지 사이버디펜스와 협력해 해당 시스템과 연계된 서비스를 격리하는 등 조치를 취했다"고 밝혔다. 오렌지는 즉각적인 대처 이후 프랑스 당국에 이같은 사실을 통보했다. 유럽연합(EU) 내 통신사는 일반 데이터 보호 규정(GDPR)을 적용받아, 사이버 공격 등이 감지되면 3일 이내에 소재한 국가의 데이터 보호 당국에 신고해야한다. 이번 사이버 공격으로 데이터 유출 피해는 발생하지 않은 것으로 확인됐다. 오렌지는 "내부 또는 고객 데이터가 유출됐다는 증거는 발견되지 않았다"고 강조했다. 오렌지는 보안상의 이유를 들어 더 이상의 세부 정보는 공개하지 않았다. 오렌지가 격리한 서비스는 기업용 관리 서비스와 플랫폼 등 프랑스에서 제공되고 있는 일부 서비
[더구루=홍성일 기자] 핀란드 연구진이 양자컴퓨터의 핵심인 큐비트(qubit)를 안정적으로 더 오래 유지하는데 성공했다. 연구팀은 향후 수백, 수천개 큐비트를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는 기술을 개발, 양자컴퓨터 상용화에 다가선다는 목표다. [유료기사코드] 29일 업계에 따르면 핀란드 알토대학교 연구팀은 트랜스몬(transmon) 큐비트의 결맞음 시간(coherence time) 1.02밀리초(ms)를 기록했다. 알토대 연구팀의 기록은 기존 최고 기록(0.6ms)보다 2배 가까이 늘어난 결과다. 트랜스몬 큐비트는 기존 반도체 제조 기술을 활용해 만든 초전도 회로를 말한다. 이번 연구 결과는 국제 학술지인 네이처 커뮤니케이션즈 7월호에 게재됐다. 알토대 연구팀은 그동안 큐비트의 결맞은 시간을 더욱 장시간 유지하는데 집중해왔다. 결맞음 시간은 양자컴퓨터의 연산 단위인 큐비트가 양자 상태를 유지하며 계산을 수행할 수 있는 시간으로, 결맞음 시간이 길수록 양자 연산 오류 발생 가능성이 줄어들 뿐 아니라 더 많은 큐비트를 사용할 수도 있다. 연구팀은 큐비트의 양자중첩 상태가 붕괴되는 '결어긋남(decoherence)' 현상을 방지하기 위해 통제된 클린룸에서 큐비트를 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