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구루=김예지 기자] 삼성전자가 동남아시아 최대 규모 기업간거래(B2B) 전용 전시 공간을 열었다. 아세안 시장 내 기술 리더십을 공고히 하고 태국을 전략적 거점으로 삼아 B2B 생태계 확장에 본격적으로 나서기위한 신호탄으로 풀이된다. 1일 삼성전자에 따르면 삼성전자는 태국의 대기업 사하 그룹 계열사인 사하 파타나 인터홀딩 (Saha Pathana Inter-Holding, SPI)과 협력해 ' 삼성 비즈니스 경험 스튜디오(Samsung Business Experience Studio, 이하 BES)'를 태국 방콕에 공식 개소했다. BES는 방콕 중심부에 위치한 '킹스퀘어 커뮤니티 몰(King's Square Community Mall)' 내 898㎡(약 271평) 규모로 조성됐다. 동남아시아에서 가장 큰 삼성 B2B 전시·체험 공간이다. 단순한 제품 전시를 넘어 △인공지능(AI) △사물인터넷(IoT) △스마트싱스(SmartThings) 등 최신 기술이 접목된 기업 맞춤형 솔루션을 실시간으로 체험할 수 있도록 설계됐다. BES 내부는 실제 비즈니스 환경을 모사한 △AI 컨트롤 룸 스마트 오피스 △AI 기반 리테일 △호텔 △주거 공간 △교육 공간 등으로 구성
[더구루=정등용 기자] 한국 데이터센터 건설 시장이 오는 2033년까지 두 배 이상 성장할 것이라는 전망이 나왔다. 한국의 급속한 디지털 전환과 함께 정부의 데이터 인프라 지원 정책을 핵심 원동력으로 꼽았다. 미국 글로벌 시장 조사기관 ‘베리파이드 마켓 리포츠(Verified Market Reports)’는 이 같은 내용을 담은 ‘2033년 한국 데이터센터 건설 시장 규모 및 전망’ 보고서를 1일 공개했다. 보고서에 따르면 한국 데이터센터 건설 시장 규모는 올해 45억 달러(약 6조2700억원)에서 오는 2033년 98억 달러(약 13조6500억원)로 두 배 이상 커질 것으로 예상됐다. △한국의 급속한 디지털 전환 △데이터 인프라 지원을 위한 정부 정책 △클라우드 서비스 수요 증대를 요인으로 들었다. 보고서는 “한국은 아시아 태평양 지역 내 선도적인 데이터센터 시장 중 하나로, 인프라에 대한 상당한 투자가 이루어지고 있다”고 진단했다. 그러면서 “디지털 경제 이니셔티브를 촉진하는 정부 정책이 시장 확장을 주도하고 있다”고 평가하며 “주요 클라우드 서비스 제공업체들이 해당 지역 내 데이터센터 입지를 확대하고 있다”고 강조했다. 이와 함께 보고서는 “한국에서는
[더구루=이연춘 기자] 픽플레이 인사관리(HRM) 앱 '가치업'의 전국 사용 매장 수가 2만개를 돌파했다. 모든 서비스를 무료로 제공하면서 2023년 5월 출시 이후 이용자 수가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누적 출퇴근 기록은 700만건을 넘어섰다. 1일 픽플레이에 따르면 가치업은 근로계약서 작성과 출퇴근 기록관리 등 인사관리에 필수적인 기능을 제공하는 HRM 앱이다. 가치업은 최근 분리 운영되던 관리자용과 근로자용 앱을 통합하고 사용자 편의성을 대폭 강화하면서 신규 이용자 유입을 확대하고 있다. 올리브영, 교촌치킨, 맘스터치, BBQ, BHC, 굽네치킨, 메가커피, 빽다방 등 유명 프랜차이즈 매장은 물론, 일반 기업들의 사용도 늘고 있다. 가치업의 핵심 기능은 △출퇴근 기록관리 △근로계약서 체결 및 보관 △근로시간 관리 △근로기준법 준수 등으로 복잡한 노무 업무를 누구나 쉽게 처리할 수 있도록 설계됐다. 또 급여 계산의 편의성을 높이기 위해 근무기록을 엑셀 파일로 제공하며 출퇴근 기록의 정확성을 확보하기 위해 QR코드, GPS, 와이파이, 비콘 기술 등을 도입했다. 근로계약서 관리의 번거로움을 줄이기 위해 전자계약 기능도 탑재했다. 이를 통해 사용자들은 계약
[더구루=김명은 기자] 영국계 담배회사 브리티시아메리칸토바코(BAT)가 최고재무책임자(CFO) 교체 카드를 꺼내들었다. 전통적인 담배 제품에서 벗어나 '신규 카테고리'를 중심으로 사업을 확장하면서 핵심 인력의 변화를 통해 경영 속도를 높이려는 움직임으로 읽힌다. 내부 살림을 총괄하는 CFO 교체 등으로 변화를 모색하고 있다는 평가도 나온다. 업계 안팎에선 이를 계기로 대대적인 인적 쇄신 작업이 잇따를 것이란 관측이 제기된다. [유료기사코드] 1일 BAT에 따르면 영국 본사 최고재무책임자(CFO)이자 이사회 멤버인 소라야 벤치크(Soraya Benchikh)가 지난달 26일부로 자리에서 물러났다. 그의 명확한 사임 이유는 공개되지 않았다. 현재로선 개인의 경력 전환 의지와 회사 측의 전략적 인사 교체로 보는 시각이 많다. 그는 연말까지 인수인계를 지원할 예정이다. 아시아·중동·아프리카(APMEA) 지역 리더십 변화까지 예고되며 BAT는 글로벌 조직 전반의 전략적 재편과 성장 가속화를 위한 중요한 전환기를 맞고 있다. BAT는 이번 CFO 교체로 수익성과 재무안정성 두마리 토끼를 잡겠다는 복안이다. 현재 정식 후임자 선정을 위한 절차에 들어갔으며, 후임자가 임명
[더구루=김나윤 기자] 미래에셋캐피탈 베트남 자회사 미래에셋파이낸스가 2년 연속 적자를 끝내고 올해 상반기 세후 800억 동(약 40억원) 이상의 이익을 기록하며 흑자 전환에 성공했다. 베트남 미래에셋파이낸스는 지난달 31일(현지시간) 상반기 실적을 발표하며 "최근 2년간의 연속 적자에서 벗어나 안정적 수익 구조로 돌아섰다"고 밝혔다. 작년 동기에는 최대 3500억 동(약 190억원)의 세후 손실을 기록했으나 올해 상반기 실적 호조가 이를 상쇄하며 재무 회복의 신호탄이 됐다. 다만 흑자 전환에도 불구하고 과거 손실은 여전히 부담으로 작용하고 있다. 상반기 기준 미래에셋파이낸스의 누적 손실은 4400억 동(약 230억원) 이상이다. 여기에 상반기 총 부채는 연초 대비 5.3% 증가한 12조3500억 동(약 6500억원)이다.
[더구루=김은비 기자] 현대자동차 북미 전동화 전략의 거점인 메타플랜트 아메리카(HMGMA)의 리더십이 교체됐다. 현지 전동화 거점인 HMGMA의 역활 변화도 점쳤진다. 1일 업계에 따르면 현대차 권오충 HMGMA 법인장(전무)이 최근 사임하고 허태양 현대차 앨라배마 공장(HMMA) 생산실장(상무)이 신임 법인장으로 선임됐다. 허 신임 법인장은 2일 부터 공식 업무를 시작한다. 허 상무는 부산대 기계공학과를 졸업하고 지난 1995년 현대차에 입사, 생산운영·전략기획 등을 두루 거쳤다. 특히 HMMA에서 생산총괄을 맡으며 북미 생산 전략을 이끈 경험이 있다. 메타플랜트 부지 선정 과정에 참여하는 등 현지 사업에 대한 이해도가 높다는 평가다. 이번 인사가 HMGMA의 미국 내 역활 변화로 이어질 것으로 보인다. 허 공장장은 하이브리드 모델을 생산하고 있는 엘라배나 공장의 경험을 토대로 HMGMA의 전기차 생산은 물론 하이브리드 생산 확대를 이끌 것으로 예상된다. 현재 HMGMA에서는 현대차의 준중형 전기 SUV 아이오닉 5와 대형 전기 SUV 아이오닉 9 두 차종만을 생산하고 있다. 그러나 미국 내 전기차 수요가 위축되면서 하이브리드 생산 확대로 생산성과 수익성
[더구루=김예지 기자] LG전자가 러시아 시장에서 'RGB 프라이머리 컬러(RGB Primary Color)' 상표를 출원했다. 러시아 시장 재진입을 앞두고 단순한 브랜드 자산 보호를 넘어 기술 중심의 신제품 출시까지 염두에 둔 전략적 행보로 풀이된다. 1일 러시아 연방 특허청(Rospatent)에 따르면 지난달 25일 LG전자는 러시아 연방 특허청에 RGB Primary Color 상표를 출원했다. 이 상표는 △TV △디스플레이 △TV 전용 소프트웨어 등에 적용될 예정이다. 특히 'RGB'라는 명칭은 디스플레이 기술의 핵심 요소인 적색, 녹색, 청색 픽셀 구조를 의미하며, LG의 유기발광다이오드(OLED) 기술 경쟁력을 상징한다. RGB Primary Color는 LG전자가 올해 초 CES 2025에서 선보인 4세대 OLED 패널 기술과도 맞닿아 있다. 해당 패널은 기존 화이트 유기발광다이오드(WOLED) 방식과 달리, 세계 최초로 RGB 탠덤 구조를 적용해 밝기, 내구성, 전력 효율을 크게 개선했다. LG전자는 LG디스플레이와 협력해 이 기술을 적용한 차세대 OLED 제품 라인업을 글로벌 시장에 선보일 계획이다. 이번 상표 출원은 LG전자가 올해 들어 러
[더구루=길소연 기자] 한국과 미국의 조선협력 '마스가'(MASGA·미국 조선업을 다시 위대하게) 프로젝트의 핵심 축으로 떠오른 한화오션의 미국 자회사인 한화해운(한화쉬핑)이 한화필리조선소에 발주한 선박의 매각 가능성을 시사했다. 1일 노르웨이 해운전문지 '트레이드윈즈(Trade Winds)'에 따르면 한화해운은 신조 발주한 석유화학제품 운반선(PC선) 10척에 대한 상업적 옵션에 대해 유연한 입장을 보였다. 라이언 린치(Ryan Lynch) 한화해운 최고경영자(CEO)는 "한화그룹의 선주 계열사인 자사는 신조선을 임대하거나 미국산 선박만 자국에서 화물을 실을 수 있도록 규제한 존스법(Jones Act) 적용 대상 업체와 선박 매각에 대해 논의할 의향이 있다"며 신조선의 용선과 매각 가능성 모두 열어두고 있다고 밝혔다. 한화해운은 최근 한화필리조선소에 PC선 10척과 LNG 운반선 1척을 발주했다. PC선은 필리조선소가 단독 건조해 2029년 초 인도될 예정이다. LNG 운반선은 지난 7월 발주된 선박의 옵션분으로, 한화오션 거제사업장과 공동으로 건조할 예정이다. 한화필리조선소는 자산 운용 전략에 따라 건조한 PC선을 일정 기간 임대해 운항하는 용선 혹은 매
[더구루=정등용 기자] 롯데그룹이 베트남 초대형 복합단지 사업 '투티엠 에코스마트시티' 사업을 중단한 가운데 후폭풍이 지속되고 있다. 사업 중단의 결정적 원인이 된 토지 사용료에 대한 비판 여론이 거세지고 있다. 베트남 경제전문매체 디지뉴스(Diginews)는 1일 롯데그룹의 투티엠 에코스마트시티 사업 중단을 언급하며 정부의 토지 사용료 관리 문제를 비판했다. 매체는 “토지 사용료 결정은 오랜 시간이 걸리는데, 이 기간 동안 기업은 이자 비용과 기회 비용을 부담해야 해 막대한 손해를 입을 수 밖에 없다”고 지적했다. 이어 “과거에도 부동산 개발 프로젝트를 신청했다가 토지 사용료 문제로 막대한 손실을 입었던 기업이 많았던 만큼 이번 기회에 이를 전면적으로 재수정 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레 호앙 짜우 호치민시 부동산협회(HoREA) 회장은 인터뷰를 통해 "토지 사용료가 최종 결정 과정에서 인상되는 경우가 대다수라 많은 기업이 골머리를 앓고 있다”고 말했다. 앞서 롯데그룹은 지난 2017년부터 투티엠 에코스마트시티 사업을 추진해왔다. 이 사업은 호치민시 투티엠 지구 5만㎡ 부지에 지하 5층·지상 60층 규모로 쇼핑몰 등 상업시설과 오피스, 호텔, 레지던스, 아파
[더구루=정예린 기자] 아랍에미리트(UAE)가 미국 정부의 우려로 엔비디아 인공지능(AI) 칩 공급 무산 위기에 놓이자 거래 성사를 위해 적극 나서고 있다. 미국의 우려를 완화할 수 있는 제안 패키지를 준비하는 한편, 합의가 최종 무산될 경우 협력할 수 있는 다른 칩 공급업체를 고려하는 이중 전략을 가동 중인 것으로 전해진다. 안정적으로 반도체를 조달해 당국이 추진하는 첨단 인프라 구축 프로젝트를 성공적으로 수행하겠다는 의지로 풀이된다. [유료기사코드] 1일 업계에 따르면 셰이크 타눈 빈 자이드 알 나하얀 UAE 국가안보보좌관은 최근 미국의 결정에 대해 신중한 대응을 유지하면서도 협상을 재가동하기 위한 구체적 전략을 마련하고 있다. 미국과 UAE는 올해부터 엔비디아의 최신 AI 칩을 연간 50만 개 수입하는 예비 합의를 맺었다.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이 지난 5월 중동 3개국 순방 중 UAE 방문 당시 직접 지지를 밝히며 속도가 붙는 듯했지만, 미 상무부가 칩의 중국 유출 가능성을 문제 삼고 승인 절차를 보류해 상황이 급변했다. 합의가 법적 구속력을 갖지 못한 점도 불확실성을 키우는 요인 중 하나로 꼽힌다. UAE 정부가 대안을 모색하는 것은 미국의 정치·안보
[더구루=김은비 기자] 현대자동차 중국 합작사 베이징현대가 첫 전용 전기차 모델 ‘일렉시오(EO·ELEXIO)’를 화려하게 선보이며 중국 전기차 시장 공략에 시동을 걸었다. ‘도심 속 낭만 고백’ 콘셉트로 치러진 이번 행사에서 특별한 브랜드 경험을 제공했다. 1일 업계에 따르면 베이징현대는 최근 쓰촨성 청두 내 주요 명소에서 일렉시오 퍼블릭 쇼를 개최했다. 이번 행사는 중국 발렌타인 데이로 불리는 칠석(七夕, 음력 7월 7일) 을 맞아 진행된 행사로, 일렉시오의 첫 대규모 공개 행사다. 장미꽃으로 장식된 일렉시오가 서시박람성(웨스트엑스포시티)에서 출발해 텐푸 조이시티, 춘시거리, 관채골목, 인민공원 등을 순회했다. 특히 청두 금융특구 내 쌍둥이 빌딩 외벽에 일렉시오 대형 라이트쇼도 펼쳤다. 행사 현장에는 장미꽃 포토존과 무료 꽃 증정 이벤트, 사진 촬영 서비스와 SNS 이벤트 등이 마련됐다. 현지 인플루언서와 블로거들은 “쇼룸이 아니라 도심 속에서 신차를 만날 수 있어 신선하다”고 평가했다. 이번 일렉시오 출시 행사를 베이징현대의 재도약 신호탄으로 현지에서는 보고 있다. 일렉시오는 현대차 중국 R&D센터 주도로 개발된 현지 전략형 전기차다. 160kW
[더구루=김나윤 기자] 우리은행의 인도네시아 법인 우리소다라은행이 하반기에 낙관적인 수익 전망을 기대했다. 수수료 수익 증가와 비용 효율화를 통해 실적 반등이 가능할 것이라는 전망이다. 우리소다라 은행 상반기 순이익은 약 830억 루피아(약 70억원)로 전년 같은 기간 대비 74.9% 급감했다. 운영비가 4500억 루피아(약 380억원)에서 7400억 루피아(약 630억원)로 늘었고 비이자 수익은 1700억 루피아(약 140억원)에서 1100억 루피아(약 90억원)로 감소했다, 반면 순이자 수익(NII)은 긍정적인 흐름을 보였다. 전년 대비 4.1% 증가한 약 8700억 루피아(약 740억원)로 집계됐다. 전체 이자 수익은 변동 없이 1조9900억 루피아(약 1700억원) 수준을 유지했고 이자 비용은 4.86% 감소했다. 이에 따라 순이자마진(NIM)은 3.29%로 개선됐다. 우랸토(Wuryanto) 우리소다라은행 이사는 지난달 29일(현지시간) "상반기 순익 감소는 충당금을 선제적으로 확대하고 일시적인 운영비 조정을 감안한 대응"이라며 "하반기에는 인니 경제 회복 기대와 운영 효율화를 기반으로 실적이 개선될 것"이라는 입장을 밝혔다. 또 하반기 회사가 중점
[더구루=홍성일 기자] 독일 율리히 슈퍼컴퓨팅 센터(Jülich Supercomputing Centre, JSC)가 세계 최초로 엔비디아 DGX 퀀텀 기반 하이브리드 양자컴퓨터를 도입했다. 이번 시스템 구축이 양자컴퓨팅과 고성능컴퓨팅(HPC) 인프라가 통합된 하이브리드 양자컴퓨터 시스템의 상용화 시작점이 될 것이라는 분석이다. [유료기사코드] 19일 업계에 따르면 JSC는 퀀텀 머신(Quantum Machines), 아르케 시스템즈(Arque Systems)와 함께 엔비디아 DGX 퀀텀(NVIDIA DGX Quantum) 기반 하이브리드 양자컴퓨터를 배치했다. 하이브리드 양자컴퓨팅 기술은 양자컴퓨터와 전통적 방식의 슈퍼컴퓨터, 클라우드 등을 결합해 구동하는 기술이다. 하이브리드 양자컴퓨팅은 계산 과정에서 발생하는 양자 오류 일부분을 슈퍼컴퓨터로 보정, 연산에 더 많은 큐비트를 투입할 수 있다. 엔비디아에 따르면 슈퍼컴퓨터 기술을 활용해 오류를 10%만 보정해 낼 수 있다면 양자컴퓨터의 '오류 보정(Quantum error correction, QEC)' 능력이 기하급수적으로 향상될 것으로 전망됐다. JSC에 구축된 하이브리드 양자컴퓨터는 아르크 시스템즈의 5
[더구루=길소연 기자] 인도가 해외 선박 의존도를 낮추고 에너지 안보를 강화하기 위해 자국 조선소에서 유조선을 건조한다. [유료기사코드] 19일 업계에 따르면 인도석유공사(IOCL)는 인도해운공사(SCI) 주도 합작법인을 통해 아프라막스급 원유운반선 최소 10척을 발주할 예정이다. 아프라막스급 유조선은 파나마 운하를 통과할 수 있는 8만~12만DWT(재화중량톤수)를 가진 중형 유조선으로, 중거리 원유 수송에 적합하다. 신조선은 외국 선박에 대한 의존도를 낮추기 위해 한국과 중국 조선소가 아닌 인도 조선소에서 건조된다. 발주는 나렌드라 모디 총리가 오는 20일 알랑(Alang) 지구 본사가 있는 구자라트주 바브나가르(Bhavnagar) 방문에서 발표될 예정이다. 모디 총리는 이곳에서 글로벌 조선 허브로 도약하기 위한 장기 전략을 발표할 예정이다. 이번 신조 발주는 에너지 안보 강화와 해외 운임 절감, 그리고 '메이크 인 인디아(Make in India)' 정책에 따른 국내 조선업 육성을 목표로 하는 인도의 해양 전략과 부합한다. 인도 정부는 일자리 창출과 조선 산업 활성화를 위해 자국 건조를 고수하고 있다. 세계 3위 원유 수입국인 인도의 조선업의 글로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