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구루=홍성일 기자] 네이버와 소프트뱅크의 합작사인 Z홀딩스가 운영하는 간편 결제 플랫폼 '페이페이(PayPay)'의 보험 서비스가 출시 10개월만에 가입건수 100만 건을 넘어섰다. Z홀딩스는 26일 페이페이 내 보험 서비스 미니앱 '페이페이 보건(PayPay호켄)'의 10월 14일 누적 가입건수 100만 건을 돌파했다고 밝혔다. 페이페이 보건은 페이페이 앱 안에서 사용할 수 있는 보험 서비스로 지난해 12월 서비스를 시작했으며 이 기간 1일 자동차 보험 가입건수가 25만 건 이상으로 전체 가입건수의 4분의1을 차지했다. 페이페이 보건이 빠르게 가입건수를 늘려갈 수 있었던 것은 일본 1일 간편결제 플랫폼인 페이페이와 통합돼 지원되기 때문이다. 소비자들은 언제 어디서든 페이페이 모바일 앱으로 보험 서비스를 신청할 수 있으며 보험료도 앱으로 지불할 수 있다. 또한 페이페이 보건은 일상적인 사고 상황에 대처할 수 있는 다양한 보험 상품을 제공하고 있다. 일상적인 자전거 사고에 대비하는 '안심 자전거'를 비롯해 차를 렌트했을때 가입하는 '안심 드라이브', 골프 라운딩 상황에서 벌어질 수 있는 사고에 대비한 '안심 골프' 등 다양한 보험 라인업을 갖췄다. 특히 4
[더구루=홍성일 기자] 카카오의 웹콘텐츠 플랫폼 '카카오픽코마'가 일본에서 할로윈 이벤트를 진행하며 유저 확대에 나섰다. 카카오픽코마는 31일까지 할로윈 이벤트를 진행한다고 27일 밝혔다. 카카오픽코마의 이번 할로윈 이벤트에서는 템빨 등을 비롯해 최고 인기 29개 작품의 할로윈 특별 표지가 등장했다. 카카오픽코마는 할로윈 특별 표지 일러스트를 작품당 1명에게 선물하는 이벤트도 함께 진행 중이며 29개 작품에 대해서는 31%의 할인도 제공한다. 또한 무료 코인 제공 이벤트도 개최, 유저들의 눈길을 끌고 있다. 한편 카카오 픽코마는 지난 2016년 4월 출시된 이후 일본에서만 3000만 다운로드 이상을 기록하며 큰 인기를 끌고 있다. 모바일 시장조사 기관 센서타워에 따르며 픽코마는 2020년과 2021년 세계 만화앱 매출 1위 자리를 차지했다.
[더구루=정등용 기자] 유튜브가 게임 사업 부문 총괄로 구글플레이 출신 인사를 영입했다. 유튜브 내 게임 트래픽 비중이 높은 만큼 이에 대한 사업 역량을 강화하겠다는 차원으로 해석된다. 유튜브는 21일 구글플레이 게임 파트너십 팀에서 전무 이사를 지낸 레오 올레베를 게임 사업 부문 총괄로 영입했다고 밝혔다. 올레베는 게임 업계에서만 20년 이상을 종사했다. 작년 5월 구글플레이 합류 전에는 페이스북에서 게임 파트너십 수석 글로벌 이사로 5년 이상 근무했다. 주로 AAA 모바일과 PC, 콘솔, 온라인 게임 출시 과정에 참여해 개발자와 신생 기업들에게 조언을 해왔다. 이 밖에 올레베는 △바이오웨어 △EA △디즈니 △워너 브라더스 △시에라 온라인 △징가 △카밤과 같은 글로벌 기업에 몸 담으며 △스타워즈 △마블 △디즈니 프린세스 △매트릭스 등 주요 브랜드 프로젝트에 참여하기도 했다. 올레베는 전임자였던 라이언 와이어트가 올해 1월 암호화폐 업체 폴리곤 테크놀로지 최고경영자(CEO)로 부임하면서 그 빈 자리를 메우게 됐다. 와이어트는 7년 동안 유튜브에서 게임 사업 부문을 총괄한 바 있다. 유튜브는 올레베 영입을 통해 게임 부문 사업을 강화할 것으로 보인다. 게임 콘
[더구루=홍성일 기자] 네이버 라인증권이 일본에서 업계 최단 시간만에 150만 계좌를 돌파했다. 라인증권은 18일 인터넷 증권 업계 최단 시간 150만 계좌 개설을 돌파했다고 밝혔다. 2019년 8월 서비스 개시 이후 약 3년 9개월만에 거둔 성적이다. 라인증권은 라인 메신저를 기반으로 하는 투자 서비스 플랫폼으로 '투자를 보다 가까이, 보다 간편하게'라는 모토로 지난 2019년 8월 출시됐다. 라인증권은 9200만명의 유저를 확보하고 있는 일본의 국민 메신저 라인을 기반으로 빠르게 유저를 확보해왔다. 라인증권의 성장은 코로나19 팬데믹 시기 주가가 급등에 개인투자자들이 늘어나면서 탄력을 받았다. 또한 주식을 통한 노후자금 마련 열풍과 일본 정부의 투자 촉진 캠페인 등이 결합하며 자산 운용에 대한 관심도도 증가한 것도 유저 확대에 역할을 했다. 실제로 2022년 3월 말 기준 일본의 개인주주는 6460만명으로 역사상 최대치를 기록했다. 이에 라인증권은 초보 투자자들을 유치하기 위해 일본 국내 주식을 1주 단위로 거래할 수 있는 서비스, 최소 100엔부터 투자 가능한 소액 투자 서비스 등을 제공하며 투자 문턱을 낮추는데 집중했다. 또한 해외 주식에 대한 접근성
[더구루=홍성일 기자] AI 기반 콘텐츠 제작 플랫폼 재스퍼(Jasper)가 1700억 규모 투자를 유치하며 플랫폼 확대에 나선다.
[더구루=홍성일 기자] 비즈니스 그룹웨어 라인웍스를 서비스하고 있는 웍스 모바일 재팬이 라인웍스에 대한 대대적인 업데이트를 실시했다.
[더구루=홍성일 기자] 라인과 야후재팬이 공동 기술 컨퍼런스를 개최한다. Z홀딩스는 브랜드 통합 등에 이어 다양한 컨퍼런스에서도 통합 시너지를 발휘한다. 라인은 야후 재팬과 함께 내달 17일과 18일 이틀 간 기술 컨퍼런스 '테크-버스(Tech-Verse)'를 개최한다고 밝혔다. 테크-버스는 기존의 라인 '디벨로퍼 데이(LINE DEVELOPER DAY)'와 야후 재팬의 '야후 재팬 테크 컨퍼런스(Yahoo! JAPAN Tech Conference) 대신 올해 처음으로 라인과 야후재팬이 공동으로 주최하는 기술 컨퍼런스다. 이번 테크-버스 컨퍼런스에는 라인과 야후 재팬 외에도 데마에칸, 제트랩 등 Z홀딩스 산하 자회사들이 다수 참여할 예정이다. 오프닝 세션에는 양 사의 CTO가 참석, 행사 개최를 알리며 △데이터·AI △서버 △모바일 앱 △인프라 등 9개 카테고리 87개 세션을 통해 참가 기업들의 연구·개발 역사, 전망, 최첨단 기술 등이 소개된다. 이번 컨퍼런스는 모두 온라인으로 진행되며 한국어, 영어, 일본어 등 3개 언어로 제공된다. Z홀딩스는 네이버와 소프트뱅크가 50%씩 출자해 설립한 합작사인 A홀딩스에 자회사로 라인과 야후 재팬을 100% 보유하고
[더구루=홍성일 기자] 네이버의 디지털 콘텐츠 자회사 '웹툰 엔터테인먼트'가 북미에서 프리미엄 웹소설 서비스를 개시했다. 웹툰 엔터테인먼트는 욘더를 통해 스토리텔링 부문 시장을 더욱 확대한다. 웹툰 엔터테인먼트는 13일(현지시간) 프리미엄 웹소설 플랫폼 '욘더(Yonder)'를 출시했다고 밝혔다. 욘더는 현재 안드로이드 버전만 서비스되고 있으며 iOS 버전 출시도 준비 중이다. 욘더는 로맨스, 미스터리, SF, 판타지 등 다양한 장르의 소설 700개 이상을 출시와 동시에 서비스하기 시작했다. 웹툰 엔터테인먼트는 욘더의 콘텐츠 확보를 위해 매년 200만 달러를 투입할 예정이며 블랙스톤 퍼블리싱, 아이톤 북스, 스털링 앤 스톤, 포탈 북스, 레이스마크드와 같은 출판사들과 제휴도 체결했다. 욘더가 기존 왓패드 플랫폼과 다른 점은 고도화된 선별 작업을 통해 엄선된 콘텐츠만을 제공하는 프리미엄 서비스라는 점이다. 왓패드는 누구나 자신의 이야기와 만화를 기고할 수 있는 반면 욘더는 웹툰 엔터테인먼트의 큐레이션을 통해 제공된다. 욘더는 특히 로맨스 부문에 수준 높은 작품을 배치하고 있다. 욘더는 로맨스 장르 베스트셀러 작가인 아이비 스모크의 소설을 독점 서비스한다. 아이
[더구루=홍성일 기자] 네이버가 미국의 중고 거래 플랫폼 '포쉬마크'를 인수하기로 한 가운데 미국 로펌들이 인수 가격 설정에 대한 조사에 착수했다. 향후 집단소송으로 이어질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어 결과에 이목이 집중된다. 7일 업계에 따르면 미국 밀워키에 기반으로 두고있는 로펌 '아데미 로'는 네이버의 포쉬마크 인수 과정을 두고 법률 위반 가능성을 조사하고 있다. 아데미 로는 뉴욕을 기반으로 한 바이스 로 로펌과 함께 조사를 진행한다. 이외에도 뉴올리언스의 칸 스윅&포티 로펌도 조사에 착수했다. 네이버는 지난 4일 포쉬마크를 총 16억 달러(약 2조2576억원)에 인수한다고 발표했다. 포쉬마크는 미국 내 MZ세대를 대상으로 의류, 패션 아이템 등을 거래할 수 있도록 C2C(소비자 간 거래) 중고 거래 플랫폼을 운영하고 있다. 아데미 로가 네이버의 포쉬마크 매각 결정 과정을 조사하기로 결정한 것은 인수 가치가 저평가 된 것이 아니냐는 판단에서다. 포쉬마드의 기존 주주들은 이번 매각 결정에 따라 1주당 17.90 달러를 받게 된다. 한 때 주당 100달러를 넘었던 주식인 만큼 주주이익에 부합했는지를 확인하겠다는 것이다. 네이버는 포쉬마크의 순기업 가치를
[더구루=홍성일 기자] 올 3분기 글로벌 모바일 앱 매출이 지난해보다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글로벌 경제 둔화가 모바일 앱 시장에도 영향을 미치고 있다는 분석이다. 5일 모바일 시장조사기관 센서타워가 공개한 '2022년 3분기 글로벌 앱 매출' 보고서에 따르면 3분기 앱스토어, 구글플레이 매출은 전년동기 대비 5% 감소한 316억 달러(약 44조9380억원)를 기록했다. 플랫폼 별로는 앱스토어에서 발생한 매출이 212억 달러로 지난해보다 5억 달러 줄어들어 2.3% 하락했으며 구글플레이는 9.6% 감소한 104억 달러였다. 다운로드는 전체 플랫폼에 걸쳐 353억 번 이뤄졌으며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1% 감소한 수치를 보였다. 3분기 비게임 앱 중에서 가장 높은 매출을 기록한 앱은 중국 바이트댄스가 개발한 숏폼 플랫폼 '틱톡'으로 9억1440만 달러의 매출을 올렸다. 모바일 게임 시장은 매출 감소 폭이 더 컸다. 3분기 모바일 게임 시장 매출은 193억 달러(약 27조4390억원)로 전년동기 대비 12.7%나 줄어들었다. 플랫폼 별로는 애플 앱스토어 9.8% 감소한 119억 달러, 구글플레이 16.9%감소한 74억 달러였다. 다운로드는 137억번으로 지난해와
[더구루=홍성일 기자] 이탈리아 최대 모바일 앱 개발사인 '벤딩 스푼스(Bending Spoons)'가 수천억대 자금을 조달하며 신규 제품 개발에 나섰다.
[더구루=홍성일 기자] 네이버가 인큐베이션한 프랑스의 스타트업 '메타브.RS(METAV.RS)'가 시드 자금 확보에 성공하며 사업 확장을 본격화한다. 4일 업계에 따르면 메타브.RS는 시드 투자 라운드를 통해 300만 유로(약 42억원)를 조달했다. 이번 펀딩은 제이스퀘어, 시아 파트너스, 50 파트너스가 주도했으면 다수의 앤젤투자자들이 참여했다. 메타브.RS는 올해 1월 설립됐으며 파리 스테이션F에서 네이버의 인큐베이팅을 받았다. 메타브.RS는 명품브랜드, 소매업체들에 웹3 자산, 전자상거래 사이트, 가상현실 관리 솔루션을 제공한다. 솔루션 중에는 3D NFT(대체불가토큰) 제작 기능을 탑재하고 있다. 해당 NFT는 디센트럴랜드, 더샌드박스 등과 호환된다. 또한 NFT를 직접 판매할 수 있는 메타샵도 구현하는 등 '미니버스' 구축 기능도 포함하고 있다. 메타브.RS는 이번에 확보한 자금을 현재 20명 수준인 직원을 내년 말까지 2배로 늘리는데 투입하고 IT교육, 플랫폼 개발, 글로벌 서비스 확대 등에 투입할 계획이다. 메타브.RS 관계자는 "우리는 메타버스의 쇼피파이가 되는 것을 목표로 한다"며 "가상 탈의실에서 디지털 트윈에 이르는 플러그 앤 플레이 솔루
[더구루=진유진 기자] 미국 '바이오젠(Biogen)'과 일본 '에자이(Eisai)'가 공동 개발한 알츠하이머병 치료제 '레카네맙(상품명 레켐비)'이 호주에서 공식 승인됐다. 최근 미국 FDA 승인에 이어 호주에서 추가 허가를 받으면서 글로벌 시장에서 레카네맙의 상업적 확장세가 한층 탄력을 받을 전망이다. 동시에 이 약의 제제는 레카네맙은 최근 미국 시사주간지 '타임(TIME)'이 선정한 '2025년 최고의 발명품'으로도 꼽히며 혁신성을 인정받았다.
[더구루=홍성환 기자] 미국 태양광 전기차 스타트업 앱테라 모터스(Aptera Motors)가 증시에 상장한다. 자본력을 강화해 태양광 전기차 상용화에 박차를 가할 전망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