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구루=김은비 기자] 대만 TSMC가 인텔에서 새롭게 출시하는 노트북 프로세서 '루나 레이크(Lunar Lake)'와 '애로우 레이크(Arrow Lake)' 컴퓨팅 타일에 사용되는 3나노미터(㎚) 생산에 착수했다. [유료기사코드] 19일 대만 언론사 디지타임스(Digitimes) 등 외신에 따르면 TSMC는 인텔의 신규 프로세서 루나 레이크·애로우 레이크용 3나노 칩 주문을 받고 웨이퍼 대량 생산을 시작했다. 루나 레이크와 애로우 레이크는 인텔이 새롭게 개발한 14세대 인텔 코어 프로세서 '인텔 코어 울트라'의 두 번째 시리즈다. 기존 프로세서 대비 인공지능(AI) 활용을 위한 신경망 처리장치(NPU)가 새롭게 추가됐다. 공정 성숙도나 포베로스(Forveros)를 활용한 칩렛 기술 적용, 하이브리드 코어에 새롭게 초 저전력 코어까지 탑재하는 등 변화를 줬다. 앞서 인텔은 지난 4일부터 7일까지 대만 타이베이 난강 전시장에서 열린 '컴퓨텍스 2024’에서 ‘루나레이크'와 '애로우 레이크'를 공개한 바 있다. 루나 레이크는 현재 출시된 코어 울트라 프로세서 1세대인 '메테오 레이크(Meteo Lake)' 대비 AI 처리 능력을 3배 가량 높였다. 반도체 설계
[더구루=길소연 기자] 한화오션의 잠수함 파트너사인 영국 방산기업 밥콕인터내셔널(이하 밥콕)이 미국 군용 선박 업체 헌팅턴 잉걸스 인더스트리(HII)와 호주의 핵 잠수함 프로그램을 위해 손을 잡았다. 양사는 합작 회사를 설립해 핵추진 잠수함 활동의 모든 측면에서 포괄적인 전문 지식을 제공, 호주의 역량 개발을 돕는다. [유료기사코드] 19일 업계에 따르면 밥콕은 HII와 함께 새로운 합작 법인 H&B디펜스를 설립했다. H&B디펜스는 오커스(AUKUS·미국·영국·호주 안보 동맹) 하에 호주, 영국, 미국의 조선 경험을 결합, 호주의 첫 번째 핵 추진 잠수함 프로그램을 지원한다. 호주 캔버라에 본사를 둔 H&B디펜스는 정부와 업계, 학계의 주요 이해관계자들과 협력해 호주에서 숙련된 원자력 인력을 육성하고 포괄적인 프로그램을 개발할 예정이다. H&B디펜스는 호주 핵 추진 잠수함 사업을 지원하기 위해 밥콕과 HII의 원자력 분야 최고의 인재도 한데 모았다. 핵 추진 잠수함 운영을 지원하기 위해서는 33년간 호주 해군(RAN)에서 근무한 베테랑 팀 브라운 AM(Tim Brown AM)을 H&B디펜스 전무이사로 임명했다. 그는 잠수함
[더구루=정등용 기자] 칠레 국영 광산기업 코델코가 독일 자동차 제조업체 BMW와 스위스 로봇 자동화 전문기업 ABB를 만났다. 배터리 핵심광물 협력 가능성을 모색하기 위한 차원에서다. [유료기사코드] 막시모 파체코 코델코 회장은 18일(현지시간) 칠레 산티아고에서 열린 한 행사에 참석해 최근 유럽 방문 기간 동안 BMW와 ABB 관계자들을 만났다고 밝혔다. 파체코 회장은 두 기업 모두 글로벌 친환경 에너지 전환 흐름에 따라 구리와 리튬 확보에 강한 의지를 보였다고 전했다. 파체코 회장은 “BMW의 경우 전기차라는 도전에 직면해 있는 만큼 이 시장에서 어떻게 경쟁력을 확보할 것인지에 대해 고민하고 있다”면서 “전기차는 내연기관 자동차보다 더 많은 구리를 필요로 한다”고 말했다. ABB에 대해 파체코 회장은 “그들은 점점 더 전기의 중요성이 높아지는 세상 속에서 구리를 어디에서 어떻게 구할지에 대한 고민을 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이번 회동이 칠레 정부가 추진 중인 마리쿵가 염전 프로젝트와 무관하지 않다는 분석도 나온다. 칠레 정부는 현재 배터리 금속 생산에서의 역할을 강화하기 위한 차원으로 새로운 리튬 프로젝트 파트너를 찾고 있다. 코델코는 올해 초 약 3억
[더구루=김은비 기자] 대만 패널업체 이노룩스(Innolux)가 대만 타이난의 4번째 공장을 인공지능(AI) 반도체 개발을 위한 백엔드 패키징 공장으로 탈바꿈시킨다. 글로벌 메모리 제조사 중 한 곳과 협력해 AI 관련 기술을 반도체 메모리와 결합할 것으로 보이면서 이노룩스의 행보에 관심이 쏠리고 있다. [유료기사코드] 18일 대만 연합신문망(聯合新聞網) 등 외신 보도에 따르면 이노룩스는 3.5세대 및 4세대 LCD 패널 생산공장을 AI 애플리케이션 개발을 위한 후공정 패키징 공장으로 개조한다. 이노룩스는 X선 센서를 포함한 반도체 패키징 및 팬아웃 패널 레벨 패키징(FOLPP)을 위해 공장을 전환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이노룩스는 지난해 타이난 4공장의 5.5세대 LCD 패널 생산을 중단하고 인력을 다른 공장으로 재배치하는 등 반도체 분야로의 사업 다각화를 모색해 왔다. FOLPP는 기존 패키징 기술 대비 높은 집적도, 낮은 제조 비용, 뛰어난 신뢰성 등 장점을 보유한 차세대 반도체 패키징 기술이다. 엔비디아가 인공지능(AI) 반도체용 TSMC 패킹 공급 부족을 예상해 FOLPP 기술을 대안으로 검토하는 등 주목을 받고 있다. 최근 AI 수요가 급증하면서 고성
[더구루=길소연 기자] 스미토모상사가 카타르 에너지의 블루 암모니아 제조공장 건설 프로젝트에 '유정용강관'(OCTG)을 공급한다. 유정 굴착과 채유에 사용되는 OCTG를 공급해 암모니아 생산을 돕는다. 일본 기업이 중동의 이산화탄소 포집·저장(CCS, Carbon Capture & Storage) 프로젝트에 OCTG를 공급하는 건 이번이 처음이다. [유료기사코드] 18일 업계에 따르면 스미토모는 카타르 국영 에너지기업인 카타르에너지와 OCTG 파이프 공급 계약을 체결했다. 일본제철이 제조한 OCTG를 스미토모가 카타르 에너지가 주도하는 카타르 메사이드 지역의 블루 암모니아 생산공장에 납품한다. OCTG 공급량은 약 1000톤(t)이다. 카타르 에너지가 참여하는 블루 암모니아 플랜트 프로젝트는 카타르 메사이드 지역에서 배출되는 메탄가스로부터 CO2를 분리하고, 이를 지하에 저장해 암모니아를 생산하는 사업이다. 연간 120만t에 달하는 암모니아 생산을 목표로 한다. 땅에 주입된 CO2에는 OCTG의 부식성을 증가시키는 다양한 불순물이 포함됐다. 일본제철이 생산한 고합금 OCTG는 혹독한 석유와 가스 개발 환경에서 탁월한 내식성을 입증했으며, 최근에는 기존
[더구루=진유진 기자] 세계 1위 파운드리 업체 대만 TSMC의 대만 자이 첨단 패키징 공장 건설이 중단됐다. 건설 현장에서 다량의 유물이 발견됨에 따라 개발 일정에 영향을 줄지 업계의 이목이 쏠리고 있다. [유료기사코드] 18일 외신 및 업계에 따르면 TSMC가 개발 중인 대만 서남부 자이현 타이바오 지역 첨단 패키징 공장 2곳 부지 가운데 P1 공장 부지에서 밧줄 무늬 도자기 조각과 도자기 고리, 기타 유물 등이 출토됐다. 현재 문화재 보존법 조항에 따라 공사는 일시 중단된 상태다. TSMC는 지난 달 말 자이과학단지에 첨단 패키징 공장 P1 공장을 건설하던 도중 유적 추정지를 발굴한 것으로 알려졌다. 대만 남부과학단지 관리국은 이달 초 열린 문화자원심의위원회에서 '문화재 보존법' 규정에 따라 인양 계획을 마련하고 현재 P1 공장 공사를 우선 중단하기로 결정했다. TSMC는 P2 공장 착공에 맞춰 공정을 조정했다. 향후 전반적인 공사 건설 진행에는 거의 영향을 미치지 않을 것으로 예상된다. 대만 당국은 "공장 완공 일정에 큰 영향을 미치지 않도록 최선을 다해 TSMC를 지원하고 상황에 대처할 수 있는 전략을 제시할 것"이라고 밝혔다. TSMC는 자이과학단
[더구루=길소연 기자] 한국형 전투기 KF-21 사업의 공동 개발국인 인도네시아가 아닌 새로운 파트너로 사우디아라비아(이하 사우디)와 아랍에미리트(UAE)가 대안으로 떠오르고 있다. 분담금에 이은 기술 유출로 문제가 된 인도네시아와 공동 개발 협력 여부 재검토 이야기까지 나오고 있는 상황에서 사우디와 UAE가 새로운 협력자가 될 수 있을지 전략적인 판단이 필요해 보인다. [유료기사코드] 18일 업계에 따르면 사우디와 UAE가 KF-21 전투기 개발 프로그램에 대한 관심이 크다. 최근 사우디와 UAE는 국산 중거리 지대공 유도무기체계 천궁(KM-SAM)-Ⅱ를 구매하며 한국과 방산 파트너십을 확대하고 있는 상황이다. 본보 2024년 6월 9일 참고 중동發 '천궁 구애' 현지서도 힘 실린다> 사우디는 2030년까지 무기 구매 예산의 50%를 국산 장비 구매에 쓴다는 '비전 2030'을 추진하고 있다. 사우디가 비전 2030을 진행하려면 또 다른 해외 파트너와 공동개발을 추진해야 한다. 특히 기술이전과 자국 현지 생산 조건을 유지하면서 나토 표준 전투기까지 얻기 위해서는 KF-21 프로그램에 참여하는게 낫다는 판단으로 보인다. 앞서 아오타이비 사우디 국방부 차
[더구루=길소연 기자] 한국수력원자력이 눈독을 들이는 카자흐스탄 신규 원자력 발전 사업이 국민투표를 통해 결정난다. 원전의 안전성을 우려하는 목소리를 감안해 국민투표를 실시, 사업을 추진한다. [유료기사코드] 17일 업계에 따르면 숭가트 예심카노프(Sungat Yesimkhanov) 카자흐스탄 에너지부 차관은 "카자흐스탄의 원자력 발전소 건설에 관한 국민투표가 올 가을에 열릴 수도 있다"며 "현재 전국 각지에서 설명 작업이 진행 중으로 가을에 완료될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정부는 원전 건설 설명회로 국민들에게 생태, 에너지, 안전에 관한 정보를 제공하고 있다"며 "설문 조사에 따르면 인구의 55~57%가 원자력 발전소 건설을 지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고 전했다. 카자흐스탄은 작년부터 원전 건설 관련 국민투표 개시를 알렸다. 카심-조마르트 토카예프(Kassym-Jomart Tokayev) 카자흐스탄 대통령은 지난해 9월 원전 건설에 관한 국민투표 실시를 제안했다. 카심-조마르트 토카예프 대통령은 "세계 최대의 우라늄 생산국 중 하나인 카자흐스탄은 자체 원자력 발전을 보유해야 한다고 생각한다"며 "타당성 연구를 통해 알마티 지역 울켄(Ulken) 마을 지역이
[더구루=오소영 기자] 호주 필바라 클린 퓨어스(이하 PCF)가 호주산 철광석을 아시아로 수출할 시 발생하는 탄소 배출량을 최대 90%까지 줄일 수 있다는 연구 결과를 발표했다. 액화천연가스(LNG)를 활용해 해운 업계의 핵심 과제인 '탈탄소'에 속도를 낸다. [유료기사코드] 16일 이탈리아선급협회(RINA)에 따르면 이 협회는 PCF, 오션 마린 에너지와 지난 4일(현지시간) 철광석 운송 과정에서 탄소 배출을 감축할 방법을 발표했다. 이 연구는 작년 11월 세 회사가 체결한 양해각서(MOU)에 따라 이뤄졌다. △PCF가 호주 포트헤들랜드에 짓는 저탄소 LNG 플랜트 △오션 마린 에너지가 추진 중인 LNG 벙커링 △RINA가 설계하는 20만9000DWT급 LNG 추진 벌크선을 활용해 얼마나 탄소를 줄일 수 있는지 검토했다. 그 결과 호주 필바라에서 아시아 국가로 철광석을 수출할 시 탄소 배출량을 2050년까지 90% 감축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때 배출량은 연료를 생산해 공급하고 연료를 실제 사용하는 전 과정의 배출량(WtW·Well-to-Wake)을 기준으로 한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저탄소 플랜트를 가동해 LNG를 생산할 경우 온실가스 배출량은 초
[더구루=오소영 기자] 우리나라가 베트남 전공정 소재 수입 시장에서 미국과 중국에 밀리는 것으로 드러났다. 베트남의 반도체 산업 성장에 대응해 현지를 적극 공략해야 한다는 분석이 나온다. [유료기사코드] 15일 코트라 하노이무역관에 따르면 감광액·현상제을 포함한 베트남의 사진용 화학 조제품·단일 물품(HS코드3707.90) 수입액은 지난해 789만 달러(약 110억원)를 기록했다. 두 소재는 사진을 찍듯이 웨이퍼에 빛을 쏴 원하는 모양의 회로를 그리는 노광 공정에 쓰인다. 미국은 2019년부터 5년 연속 최대 수입국에 올랐다. 작년 수입액 기준 미국(43.8%)과 중국(16.77%), 한국(8.36%) 순이었다. 한국으로부터의 수입액은 2019년 17만1437달러(약 2억원)에서 2023년 66만672달러(약 9억원)로 커졌지만 미·중을 따라잡기에는 역부족이었다. 실리콘 웨이퍼 수입 시장도 중국산이 99% 이상이다. 한국으로부터의 수입 비중은 1% 미만으로 극소수다. 한편, 한국의 대(對)베트남 감광액 수출액은 2019년 110만 달러(약 15억1700만원)에서 2023년 183만 달러(약 25억원)로 65.5% 증가했다. 현상제 부문도 지난해 베트남(47만
[더구루=한아름 기자] 호주 임상연구기관(CRO) 노보텍이 한국이 아시아태평양 지역의 신약 임상 연구 허브로 부상할 것이라는 전망을 내놨다. 한국 정부의 지원 정책이 다양한 데다 제약·바이오 기업의 연구 인프라가 잘 갖춰졌다는 분석에서다. [유료기사코드] 김윤이 노보텍 임상 서비스 부사장은 지난 11일 제12회 영국·아일랜드 임상시험 아웃소싱 컨퍼런스(Outsourcing in Clinical Trials UK and Ireland conference)에서 "한국은 아시아태평양 지역에서 신약 연구를 주도하는 대표적인 나라 중 하나"라며 "한국의 임상 연구 인프라는 아시아태평양 지역에서 가장 빠르게 성장하고 있어 머지않아 신약 임상 연구 허브로서 역할할 것"이라는 전망을 내놨다. 노보텍은 지난 1996년 호주 시드니에서 설립된 CRO 기업으로, △임상시험 관리 △규제 업무 △데이터 관리 및 통계 분석 △의료 모니터링 등 사업을 전개하고 있다. 한국 파트너사로는 부산대병원, 경희대병원 등이 있다. 이번 컨퍼런스는 글로벌 제약·바이오 기업뿐 아니라 CRO 업체, 정부 규제 기관, 데이터 관리·분석 업체 등 관련 사업의 다양한 전문가들이 모인 자리로, 한국 제약·바
[더구루=한아름 기자] 미국 식품 기업 크래프트 푸즈의 스테이크 소스 에이원(A.1.)이 대만에서 유해 물질이 검출돼 제품 전량이 반송 또는 폐기 처리에 놓였다. 국내에서도 안전성 논란으로 이어질지 주목된다. SPC삼립이 수입, 판매하고 있다. [유료기사코드] 대만 위생복리부 식품약물관리서(식약서·TFDA)는 14일 수입식품 통관검사에서 불합격한 제품 15건을 공개했다. 이중 에이원 스테이크 소스에서 발암물질 '에틸렌옥사이드'(EO)가 기준 이상 검출됐다고 밝혔다. 대만 식품안전위생관리법 제15조에 따른 잔류농약 허용량 기준에 부합하지 않아 전수 반송이나 폐기한다고 설명했다. 에틸렌옥사이드는 세계보건기구(WHO) 산하 국제암연구소(IARC)가 인체에 발암성이 확인된 물질로 분류했으며, 미국 독성물질 관리 프로그램상 'K 등급'의 인체 발암 원인으로 알려져 있다. 국내에서는 SPC삼립이 에이원 스테이크 소스를 판매하고 있다. 해당 제품은 코스트코 등 오프라인 매장에 입점해 있다. SPC삼립 관계자는 "확인 중"이라는 원론적인 답변만 내놨다. 한편, 에이원 스테이크 소스는 지난 1824년 영국 왕실 요리사 헨더슨 윌리엄 브랜드가 처음 개발했다. 에이원 스테이크
[더구루=정예린 기자] 테슬라 전 사장이 테슬라가 전기차 시장을 주도할 수 있었던 핵심 요인으로 일론 머스크 최고경영자(CEO)가 직접 주도한 실물 기반 제품 회의를 꼽았다. 수치를 담은 프레젠테이션 대신 실제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를 직접 만지며 평가하는 방식이 빠른 피드백과 조직 내 긴장감을 동시에 가능하게 했다는 분석이다. [유료기사코드] 2일 미국 IT 전문 매체 '테크크런치'에 따르면 테슬라의 전 글로벌 세일즈·서비스 총괄 사장이자 현재 제너럴모터스(GM) 이사회 멤버인 존 맥닐은 최근 보스턴에서 열린 'TC 올 스테이지' 행사에서 "첫 번째 규칙은 슬라이드를 금지하는 것이었다"며 "우리는 항상 실제 제품을 검토해야 했다"고 밝혔다. 이어 "매주 고위 임원들과 제품 책임자들이 모여 프로토타입이든 하드웨어든 직접 만지고 작동해보며 진척 상황을 점검했다"며 "이런 문화가 조직에 긴장감을 주고 매주 진척과 혁신이 이어지게 했다"고 덧붙였다. 머스크 CEO의 회의 운영 철학은 애플 창업자 고(故) 스티브 잡스의 조언에서 비롯됐다. 맥닐은 "머스크가 잡스를 찾아가 '하드웨어 비즈니스를 시작하려 한다. 한 가지 조언만 해달라'고 하자, 잡스는 '완벽한 제품을 만
[더구루=김은비 기자] 유럽 전기차 충전 인프라 업체 알피트로닉(Alpitronic)이 미국 충전 시장에서도 빠르게 입지를 넓히고 있다. 테슬라에 이어 미국 내 두 번째로 큰 충전 하드웨어 공급업체로 떠오르며 업계 판도를 흔들고 있다. [유료기사코드] 2일 충전 분석업체 파렌(Paren)에 따르면 알피트로닉은 지난 상반기(1~6월) 미국 급속 충전소 점유율 12%로 2위를 차지했다. 1위는 테슬라다. 점유율 36%를 기록했다. 3, 4위 차지포인트(ChargePoint)와 BTC파워였다. 점유율은 각각 9%, 8%로 집계됐다. 알피트로닉은 월마트·벤츠·아이오나 등 주요 파트너와 잇따라 계약을 체결하며 빠른 속도로 시장을 확장해온 것이 점유율 확대에 주효했다. 특히 GM·현대차·토요타 등이 참여한 초고속 전기차 충전 연합체 ‘아이오나(Ionna)’가 ‘프리미엄 EV 충전소’ 콘셉트인 ‘리차저리(Rechargery)’에 알피트로닉(alpitronic)의 ‘HYC 400’ 모델만을 단독 도입했다. 알피트로닉은 2023년 알피트로닉은 미국 노스캐롤라이나주 샬럿에 본사 및 생산 거점을 두고 있는 이탈리아 볼차노(Bolzano) 기반의 전력전자 전문 기업이다. 최근에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