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구루=홍성환 기자] 미래에셋금융그룹이 영국 런던 오피스 빌딩 매물을 거둬들였다. 런던 오피스 부동산 시장이 회복세에 접어들었다는 판단에 따른 것으로 풀이된다. 이에 따라 리파이낸싱(재융자)에 나설 예정이다. 27일 부동산 전문매체 코스타(CoStar News)에 따르면 미래에셋은 인도네시아 최대 부동산 개발사 시나르마스와 런던 소재 사무실 건물인 '트웬트 올드 베일리(20 Old Bailey)' 매각 협상을 취소했다. 앞서 양측은 올해 초부터 이 건물 매각 협상을 진행해 왔다. 매각 규모는 2억4000만 파운드(약 4070억원) 수준으로 알려졌다. 이는 매입가 3억4000만 파운드(약 5800억원)보다 크게 낮은 수준이다. 미래에셋이 앞서 지난 2018년 블랙스톤으로부터 이 건물을 인수한 바 있다. 이는 런던 부동산 시장의 회복세가 기대됨에 따라 재융자를 실시한 뒤 시장 상황을 살피기 위한 것으로 보인다. 부동산정보업체 존스랑라살(JJL)에 따르면 작년 4분기 런던 오피스 임대차 순흡수면적(Take-Up)은 약 31만5870㎡ 수준으로 직전 분기 대비 55% 증가했다. 이는 2010년 이후 4분기 기준으로 가장 높은 수치다. 임대차 순흡수면적은 임대 수요
[더구루=홍성환 기자] 삼성전자 투자 전문 자회사인 삼성넥스트가 인공지능(AI) 전용 벡터 데이터베이스(DB) 플랫폼 액티브루프(Activeloop)에 투자했다. 생성형 AI 확산으로 벡터 DB 기술 개발도 속도가 빨라지고 있다. 액티브루프는 27일 1100만 달러(약 150억원) 규모로 초기 자금조달 라운드를 완료했다고 밝혔다. 이번 라운드는 스트림라인드벤처스가 주선했다. 삼성넥스트를 비롯해 세계 최대 액셀러레이터 와이콤비네이터, 알룸니벤처스, 디스퍼션캐피탈 등이 참여했다. 액티브루프는 2018년 설립한 소프트웨어 개발업체다. 음성·영상·문서·임베딩 등 구조화하지 않은 정보의 흐름을 기계학습, 대규모언어모델(LLM) 등으로 간소화하도록 설계한 AI 전용 DB 플랫폼인 '딥레이크(Deep Lake)'를 개발했다. 글로벌 제약사 바이엘 레디올로지, 3D 전문기업 매터포트 등이 이 회사의 솔루션을 활용하고 있다. 디빗 버니아티얀 액티브루프 최고경영자(CEO)는 "우리의 플랫폼을 통해 더 정확한 AI 애플리케이션을 만들 수 있다"면서 "특히 생산성을 5배 이상 높이고 비용을 최대 75% 절감할 수 있다"고 전했다. 생성형 AI 활성화로 벡터 DB 기술이 주목받는다
[더구루=정등용 기자] 소형모듈원자로(SMR) 업체 뉴스케일파워가 뉴욕 증시에서 상승 랠리를 이어가는 가운데 존 홉킨스 뉴스케일파워 최고경영자(CEO)가 자사주를 매각했다. [유료기사코드] 26일 미국 증권거래위원회(SEC)에 제출된 자료에 따르면 홉킨스 최고경영자는 지난 22일 뉴스케일파워 주식 5만9768주를 매각했다. 이는 지난 1년 간 매각된 자사주 8만8305주 중 절반 이상을 차지했다. 뉴스케일파워는 최근 1년 동안 내부자 매수 2건, 내부자 매도 33건을 기록했다. 가장 최근 내부자 매도는 주당 4.2달러에 거래돼 시가총액이 3억3919만6000달러(약 4540억원)에 달했다. 뉴스케일파워는 최근 뉴욕 증시에서 상승 랠리를 이어가고 있다. 인공지능(AI)이 발달할수록 전력 소모량이 늘어날 것이라는 전망에 힘이 실리면서 SMR 설치가 활발해질 것이라는 기대감이 반영된 결과다. 실제 뉴스케일파워 주가는 이달 들어 한때 170% 넘게 급등하며 7.08달러까지 상승하기도 했다. 지난해 8월 이후 처음으로 주당 7달러 선을 회복한 셈이다. 현재 주가는 조정 국면을 거쳐 4달러대를 기록 중이다. 황수욱 메리츠증권 연구원은 “지난해 11월 주요 프로젝트 무산
[더구루=정등용 기자] LX인터내셔널이 인수한 인도네시아 아디 카르티코 프라타마(AKP) 니켈 광산의 주식이 급등했다. 인도네시아 증권거래소(IDX)는 아디 카르티코 프라타마에 ‘비정상적인 시장 활동(UMA)’을 발표했다. 26일 관련 업계에 따르면 인도네시아 증권거래소는 “투자자 보호를 위해 아디 카르티코 프라타마 주가가 비정상적으로 상승했음을 알린다”고 밝히며 UMA를 발표했다. 이에 따라 인도네시아 증권거래소는 현재 아디 카르티코 프라타마 주식 거래의 패턴 변화를 모니터링 하고 있다. 아디 카르티코 프라타마 주가는 지난 21일(현지시간) 거래에서 0.81% 상승한 1250루피아를 기록했다. 다만 최근 한 달 기준으로 주가는 무려 104.92% 급등했다. 아디 카르티코 프라타마는 지난 1월9일 인도네시아 증권거래소에 코드 ‘NICE’로 상장됐다. 당시 기업공개(IPO)는 주당 438루피아로 진행됐으며, 현재 주가는 이와 비교해 185.38% 상승한 상황이다. 아디 카르티코 프라타마는 상장 직후인 지난 1월16일 LX인터내셔널에 인수됐다. LX인터내셔널은 지난해 11월 이사회를 열어 AKP광산 인수를 결의했다. 이어 지난 1월5일 아디 카르티코 프라타마 지
[더구루=홍성환 기자] 글로벌 사모펀드(PEF) 운용사 텍사스퍼시픽그룹(TPG)이 약 6조7000억원에 달하는 초대형 아시아 바이아웃 펀드를 조성한다. 이 가운데 약 10%를 한국 시장에 투입할 방침이다. 26일 블룸버그통신 등에 따르면 TPG는 50억 달러(약 6조7000억원) 규모로 여덟번째 아시아 바이아웃 펀드를 마감할 예정이다. TPG는 이 가운데 80%를 호주·인도·동남아 시장에 할당할 예정이다. 이는 7호 펀드 비중인 70% 대비 10%포인트 늘어난 수준이다. 반면 중국에 대한 투자 비중은 25%에서 10%로 낮춘다. 나머지 10%는 한국 시장에 배정했다. 바이아웃 펀드는 부실한 기업의 경영권을 인수하여 구조조정이나 다른 기업과 인수·합병(M&A) 등의 방법을 통해 기업의 가치를 높인 뒤 회사를 팔아 수익을 거두는 펀드다. TPG는 운용자산(AUM)이 2220억 달러(약 300조원)에 이르는 글로벌 3대 사모펀드다. 지난 1999년 아시아 자회사 뉴브리지캐피털이 제일은행의 경영권을 인수하면서 한국 시장에 진출했다. 2005년 제일은행을 매각하며 한국 시장을 떠났다가 2016년 이상훈 대표와 윤신원 부대표를 모건스탠리 프라이빗에쿼티(PE)에서
[더구루=홍성환 기자] 태국 3대 은행 가운데 하나인 시암상업은행(SCB)이 국내 주식 시장에 대해 긍정적인 전망을 내놨다. 캄폰 아디레크솜뱃 시암상업은행 최고투자책임자(CIO)는 25일 현지 매체 더네이션(The Nation)과 인터뷰에서 "반도체 업황 회복, 낮은 밸류에이션, 기업 밸류업 정책, 외국인 투자자 복귀 등 네가지 긍정적인 요인에 따라 한국 증시가 매력적이다"라며 "점진적으로 투자를 확대할 것으로 추천한다"고 밝혔다. 캄폰 CIO는 "한국 주요 전자기업의 견고한 실적에 힙입어 한국 증시가 상승세를 보일 것으로 예상한다"면서 "이는 한국의 수출 회복과 반도체 판매 급증에 따른 것"이라고 분석했다. 또 "코스피의 주가수익률은 5년 평균 대비 10.6배, -0.3 표준편차로 여전히 매력적인 밸류에이션을 유지하고 있다"고 전했다. 그는 이어 "기업 밸류업 프로그램의 효과도 주목해야 한다"면서 "특히 저평가된 주식에 유리할 것으로 예상되며 자사주 매입과 배당금 인상도 기대된다"고 했다. 끝으로 "외국인 투자자들이 작년 11월부터 순매수하기 시작하며 2021년 이후 최대 유입액을 기록했다"고 말했다. 캄폰 CIO는 "블룸버그 컨센서스에 따르면 한국 경제성
[더구루=정등용 기자] 프랑스 매체 악투스 두웹이 10만 달러를 100만 달러로 바꿀 수 있는 양자 컴퓨팅 주식 3가지를 선정·공개했다. 24일 악투스 두웹에 따르면 이번에 선정된 주식 3가지에는 퀀텀컴퓨팅과 아이온큐, 휴렛 팩커드 엔터프라이즈가 포함됐다. 퀀텀컴퓨팅은 실제 애플리케이션을 위한 양자 컴퓨팅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 개발을 전문으로 한다. 주요 제품인 카탈리스트(Qatalyst)는 기업이 복잡한 컴퓨팅 문제를 해결하는 데 도움이 되는 양자 애플리케이션 가속기다. 퀀텀컴퓨팅의 시가 총액은 약 6237만 달러(약 830억원)이며 주당순이익(EPS)은 -0.4달러를 기록 중이다. 악투스 두웹은 퀀텀컴퓨팅이 오는 2028 회계연도 이후부터 손익분기점을 돌파할 것으로 보고 잠재적 성장 가능성이 있다고 강조했다. 아이온큐는 올해 성장세가 두드러질 것으로 예상했다. 아마존 웹 서비스와 마이크로소프트 애저 퀀텀 등과 같은 주요 클라우드 플랫폼을 통해 양자 컴퓨터에 액세스하면 상당한 이점을 선점할 수 있을 것으로 전망했다. 다른 양자 컴퓨팅 주식과 마찬가지로 아이온큐도 수익성이 없을 것이란 분석이 대체적인 시각이다. 다만 악투스 두웹은 오는 2027 회계연도부터
[더구루=정등용 기자] 미국 투자 전문매체 더 모틀리 풀(The Motley Fool)이 비트코인과 이더리움, 도지코인의 급격한 움직임에 암호화폐 현물 ETF 자본 유입이 영향을 미쳤다는 분석을 내놓았다. 23일 더 모틀리 풀의 암호화폐 분석 보고서에 따르면 그레이스케일 비트코인 ETF와 같은 현물 비트코인 ETF로의 자본 유입이 비트코인과 전체 섹터에 영향을 주고 있다. 실제 그레이스케일 ETF는 지난 18일 6억4300만 달러(약 8600억원)의 자본 유출을 기록하며 비트코인과 이더리움, 도지코인의 급격한 하락세를 주도했다. 현물 ETF로의 자본 유입은 암호화폐 업계에서 가장 큰 이슈 중 하나다. 그레이스케일 같은 다양한 비트코인 현물 ETF가 단기간에 기록적인 자금 유입을 보이면서 비트코인 시장의 수급 불균형에 대한 기대감으로 다른 투기성 개인 자본이 이 분야로 유입되기도 했다. 최근엔 일론 머스크가 도지코인을 테슬라 구매 생태계에 추가 통합할 수 있다는 발언을 했다. 실현 여부는 미지수지만 도지코인의 투기적 거래 성격을 강화하는 데 요인이 됐다는 분석이 지배적이다. 이더리움의 경우 미국 증권거래위원회(SEC)가 그레이스케일 등의 현물 ETF 신청을 검
[더구루=정등용 기자] 미국 투자 정보 미디어 업체 인베스터 플레이스(Investor Place)가 3월에 매수해야 하는 가장 저평가 된 양자컴퓨팅 주식 3가지를 선정·공개했다. 23일 인베스터 플레이스에 따르면 이번 3가지 주식에는 리게티 컴퓨팅(Rigetti Computing)과 퀀텀 컴퓨팅(Quantum Computing), 아이온큐(IonQ)가 선정됐다. 리게티 컴퓨팅의 경우 양자 집적 회로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는 부분이 가치가 있다고 평가했다. 본질적으로 집적 회로는 설치되는 컴퓨터에 맞게 맞춤 제작된 특수 마이크로칩과 같기 때문이다. 이러한 접근 방식은 리게티 컴퓨팅이 주로 제품의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 사용자 인터페이스에 대한 연구·개발에 집중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리게티 컴퓨팅의 고객 기반이 양자 컴퓨팅 수요와 함께 성장하면 리게티 컴퓨팅은 자사 제품에 대한 전체 스택 제어권을 갖게 된다. 통합 포토닉스로 알려진 일종의 센서 컴퓨팅을 전문으로 하는 퀀텀 컴퓨팅은 양자 역학의 틈새 시장을 점유하고 있다. 빛의 양자역학적 특성을 활용하는 퀀텀 컴퓨팅은 나사, 로스 알라모스 등의 파트너와 함께 최고의 연구 기업으로 자리 잡았다. 인베스터 플레이스는
[더구루=홍성환 기자] 미국 행동주의 공매도 투자자 카피바라리서치(Capybara Research)가 미국 반도체 기업 엔비디아(NVIDIA)가 투자해 주목받은 음성 인식 전문 인공지능(AI) 기업 사운드하운드AI(SoundHound AI)를 정조준했다. 카피바라는 22일 사운드하운드에 대한 공매도 보고서에서 "이 회사는 거짓말과 속임수를 퍼붓는 실패한 회사"라며 "아무리 마시지를 해도 숫자를 좋게 만들 수 없기 때문에 통계를 제공하지 않는다"고 지적했다. 카피바라는 "사운드하운드는 자사 제품을 오픈AI가 개발한 챗GPT와 동등한 세계적인 수준의 AI로 소개하고 있지만 실제로 그렇지 않다"면서 "하운디파이 제품은 상용 음성인식을 사용해 수동으로 프로그래밍된 지식 그래프를 검색한다"고 주장했다. 그러면서 "회사의 소프트웨어가 수동으로 프로그래밍되고 유지 관리가 노동 집약적이기 때문에 잘못된 정보를 제공하는 경우가 많다"면서 "이로 인해 과거 정보를 사용자에게 전달한다"고 꼬집었다. 카피바라는 또 "사운드하운드는 메르세데스-벤츠, 도이치텔레콤, 넷플릭스 등 일부 최대 고객이 이탈했다는 사실을 숨기고 있다"면서 "주요 고객을 유지하는 것이 회사의 지속가능한 비즈니
[더구루=홍성환 기자] 미래에셋자산운용 미국 계열사 글로벌X가 비트코인 추세 지표를 출시했다. 글로벌X는 22일 코인데스크인디시스와 협력해 글로벌X 비트코인 트렌드 스트레티지 상장지수펀드(Global X Bitcoin Trend Strategy ETF·BTRN)를 출시했다고 밝혔다. 이 ETF는 코인데스크 비트코인 추세 지표(BTI)를 기초자산으로 하는 최초의 ETF다. 이 지표는 지난 5년간 백테스트(지수 모형 적정성 평가)한 추세 데이터를 기반으로 추산한다. BTRN는 비트코인의 현재 가격 추세를 기반으로 비트코인 선물에 대한 동적인 노출을 제공함으로써 다양한 시장 주기를 탐색하는 데 도움을 주도록 설계됐다. 글로벌X는 "이 상품은 비트코인 선물에 대한 노출을 확보하기 위해 요소 기반 접근 방식을 활용, 가상자산 ETF의 진화를 보여준다"고 강조했다. 한편, 글로벌X는 2008년 설립된 미국 ETF 전문 운용사로, 테마형·인컴형 등 차별화한 상품을 공급하며 주목을 받았다. 미래에셋자산운용은 지난 2018년 이 회사를 인수했다. 운용자산(AUM)은 400억 달러(약 53조원) 이른다.
[더구루=홍성환 기자] 아시아·태평양 지역 최대 부동산 자산운용사 ESR(e-Shang Redwood Group)이 자산 규모 150조원이 넘는 글로벌 부동산 시장 큰손 스타우드캐피탈(Starwood Capital)과 맞손을 잡았다. 아시아·태평양 지역 물류센터·데이터센터 등에 대한 투자를 확대할 방침이다. 22일 관련 업계에 따르면 양사는 스타우드캐피탈이 ESR 공동 창업자 스튜어트 깁슨 공동 최고경영자(CEO) 등이 보유한 지분 10.7% 인수하는 내용의 주식매매계약을 체결했다. 이번 지분 투자로 ESR과 스타우드캐피탈은 아시아·태평양 지역 부동산 시장에 대한 투자를 공격적으로 확대할 방침이다. 스타우드캐피탈은 미국 월가의 억만장자 투자자이자 부동산 거물인 배리 스턴리히트가 설립한 부동산 전문 자산운용사다. 운용자산(AUM) 규모는 1150억 달러(약 153조원)에 이른다. 배리 스턴리히트 스타우드캐피탈 회장은 "ESR은 스타우드캐피탈의 주요 성장 부문인 물류센터와 데이터센터 시장에서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는 아시아·태평양 최고의 부동산 플랫폼"이라며 "장기적으로 협력 관계를 이어갈 수 있기를 기대한다"고 전했다. ESR은 아·태 지역 최대이자 세계에서 세
[더구루=홍성일 기자] 핀란드 연구진이 양자컴퓨터의 핵심인 큐비트(qubit)를 안정적으로 더 오래 유지하는데 성공했다. 연구팀은 향후 수백, 수천개 큐비트를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는 기술을 개발, 양자컴퓨터 상용화에 다가선다는 목표다. [유료기사코드] 29일 업계에 따르면 핀란드 알토대학교 연구팀은 트랜스몬(transmon) 큐비트의 결맞음 시간(coherence time) 1.02밀리초(ms)를 기록했다. 알토대 연구팀의 기록은 기존 최고 기록(0.6ms)보다 2배 가까이 늘어난 결과다. 트랜스몬 큐비트는 기존 반도체 제조 기술을 활용해 만든 초전도 회로를 말한다. 이번 연구 결과는 국제 학술지인 네이처 커뮤니케이션즈 7월호에 게재됐다. 알토대 연구팀은 그동안 큐비트의 결맞은 시간을 더욱 장시간 유지하는데 집중해왔다. 결맞음 시간은 양자컴퓨터의 연산 단위인 큐비트가 양자 상태를 유지하며 계산을 수행할 수 있는 시간으로, 결맞음 시간이 길수록 양자 연산 오류 발생 가능성이 줄어들 뿐 아니라 더 많은 큐비트를 사용할 수도 있다. 연구팀은 큐비트의 양자중첩 상태가 붕괴되는 '결어긋남(decoherence)' 현상을 방지하기 위해 통제된 클린룸에서 큐비트를 구
[더구루=오소영 기자] 미국 원자력규제위원회(NRC)가 현지 소형 원전 스타트업인 라스트에너지(Last Energy)와 합의 절차에 돌입했다. 소형모듈원자로(SMR) 인허가 권한 일부를 주정부에 이관하고 관련 절차를 간소화할 것으로 전망된다. NRC의 규제 권한이 약화될 경우, 차세대 원전인 SMR 시장에 상당한 파장이 전망된다. [유료기사코드] 29일 E&E뉴스 등 외신에 따르면 전 NRC 고위 관계자는 "NRC와 라스트에너지가 주정부에 SMR 사업에 대한 허가 권한을 일부 넘기는 방식으로 합의할 수 있다"고 전했다. 양측은 미국 텍사스동부지방법원에서 SMR 규제 문제를 다퉈왔다. 원고인 라스트에너지, 미 유타·텍사스 주정부는 1956년에 제정된 'AEC(NRC의 전신) 규정'을 문제 삼았다. 해당 규정은 모든 민간 상업용 원전이 규모와 상관없이 무조건 인허가를 받아야 한다는 내용을 담고 있다. 원고 측은 NRC의 규정이 자국 원자력법의 취지를 무시한 것이라고 지적했다. 원자력법에 따라 △국가 안보에 중대한 위협을 미칠 정도록 많은 핵물질을 사용하거나 △공공의 건강과 안전에 영향을 주는 방식으로 운영되는 상업용 원전만 NRC의 인허가 대상이라는 주장